KR20130097539A - 대게보육어초 - Google Patents
대게보육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7539A KR20130097539A KR1020120019272A KR20120019272A KR20130097539A KR 20130097539 A KR20130097539 A KR 20130097539A KR 1020120019272 A KR1020120019272 A KR 1020120019272A KR 20120019272 A KR20120019272 A KR 20120019272A KR 20130097539 A KR20130097539 A KR 20130097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b
- nursery
- fish
- reef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131500 Chionoecetes opilio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41001597010 Kurtus gulliver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017 Astac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80 herd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994 Ce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1490 Chionoece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9250 Cope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52 Mollus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2645 predator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게보육어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성장한 대게를 사각모양의 하우스형 구조물로 유집(誘集)하여 자망어업이나 천적으로부터 대게를 보호하고, 구조물의 내부는 대게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대게를 보호 육성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대게보육어초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대게보육어초를 대게가 밀집하여 서식하는 수역에 투입함으로써, 매년 감소하고 있는 대게 자원을 인위적으로 보호, 육성하여 대게의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한 기반 시스템 구축 및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대게 산업 활성화 및 명품화가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하여 어가 소득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게보육어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게보육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게가 밀집하여 서식하는 수역에 대게를 보호 육성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매년 감소하고 있는 대게 자원을 인위적으로 보호, 육성하여 대게 산업의 활성화 및 명품화를 도모할 수 있는 대게보육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게는 물맞이게과 대게속에 속하는 갑각류로서, 1800년대에는 세계 각지에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많은 보고가 있었으나, 지금은 총 5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대게는, 일반적으로 해양환경이 안정적인 깊은 수심에서 서식하며, 그 분포는 1 ~ 5도 이하의 수온에서 염분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지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즉, 대게는 북반구의 냉수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우리나라의 동해, 오호츠크해, 베링해, 북태평양 및 북대서양의 북아메리카 대륙 측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바다의 수심 200 ~ 500m 범위에 걸쳐 주로 서식하고 있으나, 북으로 갈수록 서식 수심이 얕아져 베링해나 북대서양에서는 수m 정도의 연안에도 서식하고 있다.
그 중, 붉은 대게(Chionoecetes opillio)는, 그 분포 수심에 있어서 일반 대게에 비해 깊은 수심인 500 ~ 2,000m 사이에 주로 분포하며, 주 서식 수온은 0.1 ~ 0.3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게의 생태는, 집단으로 생활하며, 집단 형성시 처음은 1 ~ 2층의 매트(mat) 형태로 분포하고, 얼마 후 직경 1 ~ 2m, 높이 0.5 ~ 1m의 무덤 형태를 형성하며, 이러한 무덤 형태의 대게 무리가 1 ~ 2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집단을 형성한다. 이때, 집단 전체의 넓이는 일반적으로 2.2ha 정도이며, 개체 수는 10만 마리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하나의 무더기는 수백 개체로 형성되고, 수컷이 주변으로 이동해 와서 외자란을 부화시킨 암컷과 교미를 하여 대게의 부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수컷의 수는 암컷 수의 1 ~ 10%에 불과하며, 일반적으로, 대게의 부화는 수심 500 ~ 2,000m의 해저에서 부화하고, 그 유생은 3개월간 플랑크톤(plankton) 생활을 한 뒤 치(稚)게로 변태하고, 해저(海底) 생활로 접어들게 된다.
이때, 암컷이 성체로 된 직후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산란을 초산란이라 부르며, 동해에서는 6 ~ 8월에 걸친 여름에 행해지고, 두 번째 이후의 산란은 경산란으로 겨울인 2 ~ 3월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해저생활에 들어간 대게는 탈피를 반복하면서 성장을 하는데 암컷은 10회의 탈피를 걸쳐 제 11 탈피령 때에 성체가 되고, 그 이후에는 탈피를 하지 않는데 반해, 수컷은 그 후에도 탈피를 계속하여 성장을 하기 때문에 암컷과 수컷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대게는 탈피 시기가 가까워지면 오래된 갑 아래에 새로운 갑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체를 이중갑게라 부르며, 암컷의 이중갑게는 봄에서 여름에 걸쳐, 수컷의 이중갑게는 가을에 많이 나타나고, 이 시기에는 상품적 가치가 없기 때문에 금어기로 설정해 놓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탈피는 두흉갑이라 부르는 갑과 복절이 접해 있는 곳이 분리되고 거기에서 새로운 개체가 빠져나오면서 이루어지게 되고, 대게 내에서도 공식을 하기 때문에 탈피중과 직후 시기가 가장 위험하다.
더욱이, 대게의 먹이 생물은, 해조류, 갑각류(새우, 게, 요각류, 단각류 등), 연체류 등 매우 다양하며, 이들의 포식 생활은 주로 저서성 어류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경우에는, 갑폭 2 ~ 5cm의 치게가 고무꺽정이, 벌레문치 등과 같은 많은 저서성 어류가 위 내용물에서 발견되어 이들이 치게의 주 포식자 들인 것으로 추정되나, 대게 자원에 대한 이들의 영향은 불명확하며, 또한, 대게 성체에 의한 공식도 상당한 양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양적인 분석은 아직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게 자원이 감소하면서 대게의 어획을 둘러싼 업종간의 어획 경쟁이 발생하고, 대게 치게를 불법으로 어획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동해구 기저에서도 봄 어기에 많은 양의 대게 치게가 혼획되어 바다에 투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치게는 성장이 장기간 소요되는 대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는 어떠한 관리 수단도 강구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현재로서는 대게가 주로 서식하는 대게 어장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이나 저인망 어선 등의 무차별적인 남획에 의해, 대게는 물론 치게까지도 필요 이상으로 남획되어 점차 개체수가 줄어듦으로 인해 대게 자원의 고갈마저 우려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게의 서식지에 대게 무리의 생육을 공간을 제공하여 자망 어선에 의한 무분별한 대게의 남획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망 어선의 조업중인 그물이 인공어초에 걸려 피해를 입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보육어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육어초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1014848호(2011.02.08.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팽이형 어초블록을 이용한 다목적 인공어초"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014848호의 "팽이형 어초블록을 이용한 다목적 인공어초"는, 종래의 인공어초는 그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내부 공간이 좁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류의 번식 및 생활에는 적합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류가 생활하고 번식하기에 적합한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지면서도, 패류 및 조류가 부착되어 생활하기에 적합하고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는 다목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014848호는, 물속에 투하되어 수중생물의 식생공간이 되는 인공어초로서, 프레임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 서로 일체로 연결된 복수개의 팽이형 어초블록이 배치되어 어초블록 경사패널 및 어초블록 바닥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어초블록 경사패널이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어초블록 바닥패널 위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팽이형 어초블록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그 크기가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상면에서 막대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부의 측면으로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팽이형 어초블록이 평면에서 나란하게 복수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복수 개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이형 어초블록의 외곽을 둘러싸서 감싸도록 팽이형 어초블록과 결합하여 어초블록 경사패널 및 어초블록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014848호의 "팽이형 어초블록을 이용한 다목적 인공어초"는, 어류가 생활하고 번식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대게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인공어초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913808호(2009.08.18.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은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913808호의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는, 종래의 패, 조류용 인공어초는 대부분 수심이 얕은 천해에 시설되기 때문에 파도나 조류 등으로 인하여 쉽게 전도 또는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패류의 자원배양을 위한 어초의 기능면이나 구조적인 측면에 미흡한 점이 많았고, 자연 상태에서의 해조류 부착 및 서식에 용이한 구조나 바다 속에 떠다니는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조류 걸림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지 못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913808호는, 해저면에 침설(沈設)되는 인공어초에 있어서,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의 피라미드형 사면체로 형성되는 어초본체와, 상기 어초본체의 하측단 둘레 방향을 따라 어초본체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초본체의 각 벽면을 형성하는 삼각 형상의 단위격벽에는 어초내부공간으로 음영(陰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위격벽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간 삼각 개구부와, 단위격벽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저면 삼각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913808호의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역시, 패조류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대게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었다.
아울러, 인공어초에 대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890281호(2009.03.17.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890281호의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는, 종래의 정삼각뿔형 인공어초는, 정삼각뿔 뼈대의 꼭지점 부분에 삼각뿔 보조판이 설치되어 외관상 음영(陰影)과 요철(凹凸) 등에 의한 외관이 두드러지므로 해당 부위로는 어류가 효과적으로 위집될 수 있지만, 어초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정삼각뿔 뼈대의 중앙 부분에는 이러한 음영과 요철 등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어초의 전체적인 관점을 기준으로 어류의 위집에 필요한 시각적인 유인효과 및 이로 인한 시설효과가 다소 저하되고, 치어와 같은 어린 수중생물의 은신에 필요한 충분한 음영이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890281호는, 정삼각뿔 형상의 뼈대가 되는 정삼각뿔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정삼각뿔 형상으로 제조되는 인공어초에 있어서, 상기 정삼각뿔 프레임에 의하여 인공어초의 측면부와 바닥부에 걸쳐 형성되는 사면체(四面體)의 내부에는 역삼각형 프레임이 정삼각뿔 프레임과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삼각뿔 프레임과 역삼각형 프레임에 의하여 인공어초의 내부공간은 4개의 삼각뿔형 외곽부 어초공간과 1개의 내부위집공간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외곽부 어초공간에는 꼭지점 부위마다 삼각뿔대 형상의 어초블록이 삽입되어 각각의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어초블록에는 다수 개의 유동통로가 어초블록의 삽입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어초블록 모서리 부분을 따라서는 어초블록으로부터 단지게 돌출되는 모서리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890281호의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도, 상기한 종래의 인공어초들과 마찬가지로, 어류의 유집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일 뿐, 대게의 생육 및 보호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여러 가지 어초가 제공된 바 있으나, 대게의 생육 및 보호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대게 전용의 어초는 제공된 바가 없었다.
즉, 대게의 서식환경을 개선하고 대게 및 치게를 보호, 육성하기 위해서는, 대게 전용 보육초를 개발하여 대게의 주 서식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대게 집단의 생육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저인망 어선 등의 그물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함으로써 대게가 필요 이상으로 남획되거나 치게가 포획되는 것을 차단하고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여 대게 자원을 보호 육성하고 궁극적으로 어민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대게 전용의 보육어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대게 전용의 어초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게가 밀집하여 서식하는 수역에 대게를 보호 육성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매년 감소하고 있는 대게 자원을 인위적으로 보호, 육성하여 대게의 지속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 및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대게 산업 활성화 및 명품화를 도모하고,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으로 어가 소득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게보육어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장한 대게를 사각모양의 하우스형 구조물로 유집(誘集)함으로써, 자망어업이나 천적으로부터 대게를 보호하고, 구조물의 내부는 대게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 대게보육어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대게의 서식지에 설치되어 대게의 생육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대게보육어초에 있어서, 하우스형 구조물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대게의 보육을 위한 공간을 가지는 보육어초 프레임;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 내부의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외벽의 측면 및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통수공; 및 대게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출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가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통수공은,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 내부의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천적이나 해적생물이 들어올 수 없도록 방어하기 위해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대게보육어초는, 상기 대게보육어초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한 대게보육어초는,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기둥의 상단에 상기 대게보육어초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대게의 유집을 위한 먹이를 넣어두기 위해 설치되는 먹이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그 상부가, 상단이 절단된 사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게를 사각모양의 하우스형 구조물로 유집(誘集)하여 자망어업이나 천적으로부터 대게를 보호하고, 구조물의 내부는 대게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게를 보호 육성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대게보육어초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대게보육어초를 대게가 밀집하여 서식하는 수역에 투입함으로써, 매년 감소하고 있는 대게 자원을 인위적으로 보호, 육성하여 대게의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한 기반 시스템 구축 및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대게 산업 활성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명품화가 가능하므로, 어가 소득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게보육어초를 설치함으로써, 현재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대게 및 치게를 보호하고, 나아가 대게 자원 및 환경, 생태 그리고 생산 등에 대한 조사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속적인 대게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게의 주 서식 장소에 설치하여 대게 집단의 생육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저인망 어선 등의 그물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함으로써, 대게가 필요 이상으로 남획되거나 치게가 포획되는 것을 차단하고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여, 대게 자원을 보호 육성하는 동시에, 어민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대게 전용의 대게보육어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게를 하우스형 구조물로 유집(誘集)함으로써, 자망어업이나 천적으로부터 대게를 보호하고, 구조물의 내부는 대게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 대게보육어초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며, 도 3은 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하우스형 구조물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대게의 보육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보육어초 프레임(11)과, 보육어초 프레임(11)의 측면 및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통수공(12) 및 대게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보육어초 프레임(1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출입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육어초 프레임(11)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통수공(12)은, 대게보육어초(10) 안팎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여 대게보육어초(10)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통수공(12)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물망이 설치됨으로써, 구조물 내부의 해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의 천적이나 큰 어류와 같은 해적생물은 들어올 수 없도록 방어하며, 어미로부터 부화된 대게 새끼가 천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대게의 출입을 위한 각각의 출입구(13)는, 바람직하게는, 대게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보육어초 프레임(11)의 상단에는, 대게보육어초(10)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결고리(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육어초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게보육어초(10)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둥(41)의 상단에 상기한 연결고리(14)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보육어초 프레임(11)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초기에 대게의 유집이 용이하도록 대게가 좋아하는 먹이를 넣어둘 수 있는 먹이통(4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을 넓게 설계하여 조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대게보육어초(10)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조류나 모래에 의해 묻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를 상단이 절단된 사면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저인망 어선의 그물 등이 대게보육어초(10) 위로 지나가는 경우에도 대게보육어초(10)가 어선의 그물에 걸려 쓰러지거나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그물이 대게보육어초(10)에 걸려 훼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나 시멘트로 형성됨으로써, 한번 군집을 이루면 거의 이동하지 않는 대게의 특성상 대게의 서식지에 한번 투하하면 꺼내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상기한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이용하는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는, 대게의 군집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넓이가 1 ~ 2m이고 높이가 0.5 ~ 1m인 무덤 형태를 이루어 군집 생활을 하는 점을 고려하여, 대략 1 ~ 4개의 군집이 생활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을 넓게 두어 보다 많은 개체수가 안정적인 군집을 이루며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에 따르면, 대게의 특성상 군집을 이루어 여러 겹으로 층을 이루며 살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대게가 생육과 산란시에 그 층이 쓰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게보육어초(10)에 따르면, 수컷 대게가 상층에서 방사하였을 때 조류에 의한 정자의 흩어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수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게보육어초를 대게가 주로 서식하는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남획으로 인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대게 및 치게를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대게 자원 및 환경, 생태 그리고 생산 등에 대한 조사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속적인 대게 자원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게보육어초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대게보육어초 11. 보육어초 프레임
12. 통수공 13. 출입구
14. 연결고리 41. 기둥
42. 먹이통
12. 통수공 13. 출입구
14. 연결고리 41. 기둥
42. 먹이통
Claims (8)
- 대게의 서식지에 설치되어 대게의 생육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대게보육어초에 있어서,
하우스형 구조물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대게의 보육을 위한 공간을 가지는 보육어초 프레임;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 내부의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외벽의 측면 및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통수공; 및
대게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출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수공은,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 내부의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천적이나 해적생물이 들어올 수 없도록 방어하기 위해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게보육어초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기둥의 상단에 상기 대게보육어초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대게의 유집을 위한 먹이를 넣어두기 위해 설치되는 먹이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그 상부가, 상단이 절단된 사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어초 프레임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게보육어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9272A KR101352899B1 (ko) | 2012-02-24 | 2012-02-24 | 대게보육어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9272A KR101352899B1 (ko) | 2012-02-24 | 2012-02-24 | 대게보육어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7539A true KR20130097539A (ko) | 2013-09-03 |
KR101352899B1 KR101352899B1 (ko) | 2014-01-21 |
Family
ID=4944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9272A KR101352899B1 (ko) | 2012-02-24 | 2012-02-24 | 대게보육어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8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41432A (zh) * | 2014-05-04 | 2014-09-17 | 大连海洋大学 | 海珍品底播方法及其专用底播装置 |
KR102360854B1 (ko) * | 2021-11-25 | 2022-02-10 | 주식회사 해광 | 석재를 이용한 해삼 어초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3564B1 (ko) * | 2008-10-14 | 2010-11-11 | 린코마린(주) | 주꾸미 증식용 인공어초 |
KR100950657B1 (ko) * | 2009-06-19 | 2010-04-02 | (주)해영 | 인공어초 |
KR100975397B1 (ko) | 2009-10-29 | 2010-08-11 | 박용면 | 계단형 인공어초 |
KR100952348B1 (ko) | 2009-12-30 | 2010-04-09 | 곽철우 | 해조류 포자 식생부를 갖는 사다리꼴형 인공어초 |
-
2012
- 2012-02-24 KR KR1020120019272A patent/KR101352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41432A (zh) * | 2014-05-04 | 2014-09-17 | 大连海洋大学 | 海珍品底播方法及其专用底播装置 |
KR102360854B1 (ko) * | 2021-11-25 | 2022-02-10 | 주식회사 해광 | 석재를 이용한 해삼 어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899B1 (ko) | 2014-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uer et al. | World octopus fisheries | |
Troost | Causes and effects of a highly successful marine invasion: case-study of the introduc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continental NW European estuaries | |
Goñi et al. | Review of the biology, ecology and fisheries of Palinurus spp. species of European waters: Palinurus elephas (Fabricius, 1787) and Palinurus mauritanicus (Gruvel, 1911) | |
Nicosia et al. | Homarid lobster hatcheries: their history and role in research, management, and aquaculture | |
Holden et al. | Synergies on the coast: challenges facing shellfish aquaculture development on the central and north coast of British Columbia | |
KR101289093B1 (ko) | 돔형 해삼 증식초 | |
KR101395758B1 (ko) | 해삼용 인공어초 | |
KR20140116306A (ko) | 문어 해중림 인공어초 | |
KR101415366B1 (ko) |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 |
KR101286078B1 (ko) |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 |
KR101352899B1 (ko) | 대게보육어초 | |
Utama et al. | Lobster cultivation in Indonesia and Vietnam: A review | |
Chuku | Promoting oyster culture in Ghana: Strategies for optimising seed collection and growth of crassostrea tulipa (lamarck, 1819) in coastal water bodies | |
KR101355164B1 (ko) |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 |
KR102200440B1 (ko) |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 |
KR101890563B1 (ko) | 문어 치어의 단계별 생육 양식어장 구조 | |
KR101968913B1 (ko) | 해삼 혼합 양식방법 | |
Whitfield et al. | Fishes of the Knysna Estuary | |
KR102475503B1 (ko) | 새뱅이 수확방법 | |
KR102542583B1 (ko) |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 |
King | Fisheries in the Economy of the South Pacific | |
KR102003185B1 (ko) | 목재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 |
KR100464672B1 (ko) | 흑진주조개의 종묘생산용 해상사육장치 | |
KR200195043Y1 (ko) | 전복서식용 인공어초 | |
Davis | Conch aquaculture: Queen conch, Strombus gigas, and fighting conch, Strombus alatus and Strombus pugil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