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443B1 -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 Google Patents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443B1
KR101547443B1 KR1020150039963A KR20150039963A KR101547443B1 KR 101547443 B1 KR101547443 B1 KR 101547443B1 KR 1020150039963 A KR1020150039963 A KR 1020150039963A KR 20150039963 A KR20150039963 A KR 20150039963A KR 101547443 B1 KR101547443 B1 KR 10154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loop
hull
beams
lowe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현
Original Assignee
해주이엔씨 (주)
백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주이엔씨 (주), 백상현 filed Critical 해주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15003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K61/00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선박을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있어 하부선체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H빔 사이에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하여 지붕 형상으로 제작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를 H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하되, 각각의 콘크리트루프가 밀착되는 부위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한 루프구조체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루프구조체를 하부선체 내부의 빈 공간상에 선체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킴에 따라,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던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내부공간에 다양한 어류와 패류 및 해조류가 많은 개체수로 모여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성 구조물을 합리적인 조립식 시공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선어초가 기울어지더라도 H빔을 기초로 한 콘크리트루프의 배치상태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이나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용도로 최적화시킨 구조물을 침선어초의 내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침선어초의 활용가치와 경제성을 극대화시키고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통한 어촌의 수익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A sunken ship-reef with H-beam based concrete roof device}
본 발명은 폐선박을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있어 하부선체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H빔 사이에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하여 지붕 형상으로 제작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를 H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하되, 각각의 콘크리트루프가 밀착되는 부위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한 루프구조체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루프구조체를 하부선체 내부의 빈 공간상에 선체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킴에 따라,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던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내부공간에 다양한 수생생물의 서식과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 또는 침선낚시터 조성 등에 매우 적합한 기능성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각종 어류나 패,조류(貝藻類) 등과 같은 수생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구조물로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은신처를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과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침설형 어초로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반구형 인공어초 또는 강철재 프레임을 소재로 하여 약 10m 내외의 높이를 가지는 다층의 골조구조물로 형성시킨 강제어초(鋼製魚礁)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또 다른 침설어초로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의 경우는, 폐선박에 잔존하는 오일(Oil)이나 페인트 성분 또는 기타 유해한 성분 등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로 말미암아 그 시설이 점차 줄어들었으나, 최근에 들어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이나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목적으로 침선어초의 활용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침선어초는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과 갑판 및 선체바닥이 포함된 하부선체의 외관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하부선체의 내부 중 엔진실과 같이 주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 빈 공간으로 조성시키거나, 하부선체의 내부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켜 오염원을 제거하는 한편, 갑판과 하부선체의 여러 개소에 다이버의 출입과 해수의 소통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폐선박이 직립되도록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침선어초는 하부선체의 내부공간을 빈 공간으로 방치하여 두었기 때문에, 하부선체의 내부공간에 어류나 패류 또는 해조류와 같은 수생생물이 제대로 모여들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다이버들을 위한 침선어초 내부의 수중체험이나 침선어초 내외의 다양한 어종을 기반으로 하는 침선낚시터 조성과 같은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내부공간에 콘크리트 어초를 투입시키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하부선체 내부의 넓은 공간에 콘크리트 어초를 규칙적으로 배치시키는 공정 자체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막대한 시설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파랑(波浪)이나 태풍 또는 기타 다른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침선어초가 기울어질 경우에는, 콘크리트 어초가 하부선체 내부공간의 한 쪽으로 몰려 기존의 배치구조가 허물어짐에 따라 요구하는 어초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604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H빔 사이에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하여 지붕 형상으로 제작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를 H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하되, 각각의 콘크리트루프가 밀착되는 부위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한 루프구조체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루프구조체를 하부선체 내부의 빈 공간상에 선체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킴에 따라,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던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내부공간에 다양한 어류와 패류 및 해조류가 많은 개체수로 모여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성 구조물을 합리적인 조립식 시공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선어초가 기울어지더라도 H빔을 기초로 한 콘크리트루프의 배치상태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이나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용도로 최적화시킨 구조물을 침선어초의 내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H빔을 이용한 침선어초용 콘크리트 루프구조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H빔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측 받침대프레임에 의하여 평행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H빔 사이에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가 H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루프는, "工工"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H빔으로 삽입되는 양측의 하단조립부와, 상기 양측의 하단조립부에서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벽체부와, 상기 각각의 경사벽체부 상단측을 연결하는 상단평면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경사벽체부는 하단측의 폭이 넓고 상단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의 벽체가 되고, 상기 경사벽체부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콘크리트루프의 사이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루프구조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침선어초는,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과 갑판 및 선체바닥이 포함된 하부선체의 외관은 유지시키고, 하부선체의 내부공간은 일부 또는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킨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있어서, 상기 하부선체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에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하부선체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선체와 갑판에는 다이버의 출입과 해수의 소통을 위한 선체개구부와 갑판개구부가 다수 개소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루프구조체를 이루는 각각의 H빔 양측 끝단부에는 하부선체의 내측공간에 루프구조체를 용접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루프구조체 사이에는 루프구조체간의 간격유지와 강도보강을 위한 수평 방향의 연결프레임과 수직 방향의 지주프레임이 H빔을 기초로 하여 추가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각의 H빔 중앙부 상측에는 콘크리트루프의 하단조립부를 삽입시켜 H빔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콘크리트루프를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 슬라이드 방식의 조립시공이 가능하도록 H빔의 일부를 잘라낸 조립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콘크리트루프의 하단조립부 바닥면에는 H빔과의 용접을 위한 보강받침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받침판은 콘크리트루프의 하단조립부 내측으로 매입되는 수직판 부분과 H빔과의 용접을 위한 수평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 H빔의 조립절개부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은 콘크리트루프가 배치되지 아니한 센터공간이 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크리트루프의 상단평면부에는 한 쌍의 로프결속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던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내부공간에 다양한 어류와 패류 및 해조류가 많은 개체수로 모여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성 구조물을 합리적인 조립식 시공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침선어초가 기울어지더라도 H빔을 기초로 한 콘크리트루프의 배치상태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여 어초 고유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다이버들을 위한 침선어초 내부의 수중체험이나 침선어초 내외의 다양한 어종을 기반으로 하는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용도로 최적화시킨 구조물을 침선어초의 내부에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서, 침선어초의 활용가치와 경제성을 극대화시키고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통한 어촌의 수익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H빔을 사이에 두고 지붕 형상의 콘크리트루프를 설치하는 동시에, 콘크리트루프의 사이마다 해수소통이 가능한 여유간격을 제공함으로서, 콘크리트루프 자체가 매우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콘크리트와 함께 투입되는 보강철근의 량과 이에 따른 루프구조체의 중량 및 루프구조체에 가해지는 해수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H빔 중앙부 상측에 조립절개부를 형성시킨 경우에는, 한 쌍의 H빔이 하부측 받침대프레임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평행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한 다음, 조립절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루프의 하단조립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H빔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콘크리트루프를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 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슬라이드 방식의 조립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잇점들은 콘크리트 루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선어초의 제작기간과 시설비용을 한층 더 단축 및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임은 물론이고, 콘크리트루프의 하단조립부에 H빔과의 용접을 위한 보강받침판을 설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콘크리트루프가 하단조립부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H빔을 따라 매우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다이버들이 해당 공간의 내부를 보다 안전하게 유영하면서 수중체험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루프구조체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콘크리트루프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콘크리트루프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콘크리트 루프구조체를 침선어초에 적용시키기 위한 설치상태의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의 일부 절개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H빔(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다수 개의 하부측 받침대프레임(3)에 의하여 평행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H빔(1) 사이에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Concrete roof)(2)가 H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된 것이다.
상기 H빔(1)의 전체 길이는 본 발명의 루프구조체(10)가 설치되는 침선어초의 하부선체 폭에 맞추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H빔(1) 사이의 간격은 다이버들의 안전한 유영(遊泳)과 시설강도 등을 고려하여 1m~1.5m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 각각의 H빔(1)을 따라 총 6개의 콘크리트루프(2)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콘크리트루프(2)의 설치갯수는 최소 4개로부터 H빔(1)의 길이와 루프구조체(10)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최대 12개까지 설치가 가능하고, 받침대프레임(3)의 적용갯수 역시 루프구조체(10)의 강도를 고려하여 최소 4개에서 최대 8개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콘크리트루프(2)는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工工"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H빔(1)으로 삽입되는 양측의 하단조립부(2c)와, 상기 양측의 하단조립부(2c)에서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벽체부(2b)와, 상기 각각의 경사벽체부(2b) 상단측을 연결하는 상단평면부(2a)를 포함하는 지붕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루프(2) 자체를 지붕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평판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중심측 모멘트에 대한 지지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H빔(1)을 따라 삽입된 콘크리트루프(2)의 균열이나 파손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루프(2)의 폭과 길이는 H빔(1) 사이의 간격에 맞추도록 하고, 콘크리트루프(2)의 두께는 10cm~30cm 정도가 바람직하며, 경사벽체부(2b)의 경사각도는 20도~30도 정도가 가장 안정적이다.
이와 더불어, 도 5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경사벽체부(2b)는 하단측의 폭이 넓고 상단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의 벽체가 되고, 이러한 경사벽체부(2b)의 구조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콘크리트루프(2)의 사이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8)이 제공되며(도 3참조), 상기 콘크리트루프(2)의 상단평면부(2a)에는 콘크리트루프(2)상에 로프를 결속시켜 콘크리트루프(2)의 운반이나 이동작업을 크레인 등으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로프결속구멍(2d)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H빔(1) 중앙부 상측에 H빔(1)의 날개 부분이 일부 잘려 나간 형태의 조립절개부(4)를 형성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조립절개부(4)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H빔(1)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콘크리트루프(2)를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 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슬라이드 방식의 조립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H빔(1)이 하부측 받침대프레임(3)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결 설치된 루프구조체(10)의 베이스프레임을 일차적으로 제작한 다음, 조립절개부(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해당 콘크리트루프(2)를 H빔(1)을 따라 일측 끝단부로 밀어 넣게 되며,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의 콘크리트루프(2)를 기배치된 콘크리트루프(2)의 측면부까지 밀어 넣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루프구조체(10)를 조립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2)를 일렬로 배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각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측으로 H빔(1)을 끼워 맞춘 다음, 각각의 H빔(1) 하측면으로 받침대프레임(3)을 맞대어 용접시키는 일반적인 작업과정에 비하여 한층 더 손쉽고 신속한 루프구조체(10)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H빔(1)의 양측 끝단부와 조립절개부(4)의 내측에는 콘크리트루프(2)의 최종적인 위치고정을 위한 루프스토퍼(1a)가 설치되고, 상기 조립절개부(4)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은 콘크리트루프(2)가 배치되지 아니한 센터공간(9)이 된다.
도 6에서는 상기 콘크리트루프(2)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었는 바,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 바닥면에 금속 재질의 보강받침판(2e)을 설치하여 상기 보강받침판(2e)을 H빔(1)과 용접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받침판(2e)은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 내측으로 매입(埋入)되는 수직판(보강판) 부분과 H빔(1)과의 용접을 위한 수평판(용접판)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보강받침판(2e)의 적용시 상기 루프스토퍼(1a)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보강받침판(2e) 중에서 수직판(보강판) 부분은 콘크리트루프(2)의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하단조립부(2c)측에 매입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판(용접판) 부분은 수직판 부분이 기설치된 콘크리트루프(2)를 H빔(1)을 따라 삽입시킨 이후, 수직판의 하단부와 H빔(1) 부분을 맞대어 용접 및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보강받침판(2e)은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 폭에 걸쳐 1개 내지 3개 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1과 도 2 및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H빔(1) 양측 끝단부에는 침선어초용 폐선박의 하부선체 내측공간에 루프구조체(10)를 용접식으로 연결 설치하기 위하여 맞대기 용접판을 포함하는 용접단부(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H빔(1) 측면부와 바닥부에는 루프구조체(10)간의 연결을 위한 수평 방향의 연결프레임(6)과 루프구조체(10)의 지지를 위한 수직 방향의 지주프레임(7)이 추가로 설치된다.
도면상 상기 연결프레임(6)은 H빔이 사용되었고, 상기 지주프레임(7)은 원형의 막대봉이 사용되었으나, 연결프레임(6)과 지주프레임(7)은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지주프레임(7)의 상단측에는 3개의 상단지주대(7a)가 분기되어 있고, 지주프레임(7)의 하단측에는 2개의 지지다리(7b)가 분기되어 있으나, 이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루프구조체(10)를 적용시킨 본 발명에 따른 침선어초(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12)과 갑판(15) 및 선체바닥(14)이 포함된 하부선체(13)의 외관은 유지시키고, 하부선체(13)의 내부공간은 일부 또는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킨 폐선박(11)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하되, 하부선체(13)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에 상기 루프구조체(10)가 하부선체(13)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이다.
도 9에서는 하부선체(13)의 선수(뱃머리)측 내부를 빈 공간으로 조성하여 해당 공간상에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열(列), 선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층(層)을 이루도록 총 9개의 루프구조체(10)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도 10에서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4개의 열(列), 선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층(層)을 이루도록 총 12개의 루프구조체(10)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선체(13)와 갑판(15)에는 다이버의 출입과 해수의 소통을 위한 선체개구부(16)와 갑판개구부(17)가 다수 개소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루프구조체(10)를 이루는 H빔(1) 양측 끝단부의 용접단부(5)는 하부선체(13)의 좌,우 내측면과 용접되는 한편, 각각의 루프구조체(10) 사이에는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루프구조체(10)간의 간격유지와 강도보강을 위한 수평 방향의 연결프레임(6)과 수직 방향의 지주프레임(7)이 H빔(1)을 기초로 하여 용접방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측 루프구조체(10)의 지주프레임(7)은 선체바닥(14)의 내측면과 용접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연결프레임(6)과 지주프레임(7)에 의하여 루프구조체(10)의 사이마다 제공되는 간격은, 다층 통로식 구조물을 통한 다이버들의 안전하고 손쉬운 유영과 수중체험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유사시 하부선체(13)나 갑판(15)에 형성된 개구부(16)(17)를 통하여 선체 외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1.5m~2.5m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체개구부(16)와 갑판개구부(17)의 직경 역시 이와 유사한 치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침선어초(20)의 대표적인 일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하부선체(13)의 내부에 빈 공간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획하느냐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루프구조체(10)를 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루프구조체(10)가 하부선체(13)의 폭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던 침선어초(20)의 하부선체(13) 내부공간에 다양한 어류와 패류 및 해조류가 많은 개체수로 모여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성 구조물을 합리적인 조립식 시공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침선어초(20)가 기울어지더라도 H빔(1)을 기초로 한 콘크리트루프(2)의 배치상태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어초 고유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다이버들을 위한 침선어초(20) 내부의 수중체험이나 침선어초(20) 내외의 다양한 어종을 기반으로 하는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용도로 최적화시킨 구조물을 침선어초(20)의 내부에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서, 침선어초(20)의 활용가치와 경제성을 극대화시키고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통한 어촌의 수익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H빔(1)을 사이에 두고 지붕 형상의 콘크리트루프(2)를 설치하는 동시에, 콘크리트루프(2)의 사이마다 해수소통이 가능한 여유간격(8)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루프(2) 자체가 매우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콘크리트와 함께 투입되는 보강철근의 량과 이에 따른 루프구조체(10)의 중량 및 루프구조체(10)에 가해지는 해수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H빔(1) 중앙부 상측에 조립절개부(4)를 형성시킨 경우에는, 한 쌍의 H빔(1)이 하부측 받침대프레임(3)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工工" 형태로 평행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한 다음, 조립절개부(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H빔(1)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콘크리트루프(2)를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 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슬라이드 방식의 조립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잇점들은 콘크리트 루프구조체(10) 및 이를 이용한 침선어초(20)의 제작기간과 시설비용을 한층 더 단축 및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함은 물론이고,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에 H빔(1)과의 용접을 위한 보강받침판(2e)을 설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콘크리트루프(2)가 하단조립부(2c)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H빔(1)을 따라 매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다이버들이 해당 공간의 내부를 보다 안전하게 유영하면서 수중체험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
1 : H빔 1a : 루프스토퍼 2 : 콘크리트루프
2a : 상단평면부 2b : 경사벽체부 2c : 하단조립부
2d : 로프결속구멍 2e : 보강받침판 3 : 받침대프레임
4 : 조립절개부 5 : 용접단부 6 : 연결프레임
7 : 지주프레임 7a : 상단지주대 7b : 지지다리
8 : 여유간격 9 : 센터공간 10 : 루프구조체
11 : 폐선박 12 : 상층구조물 13 : 하부선체
14 : 선체바닥 15 : 갑판 16 : 선체개구부
17 : 갑판개구부 20 : 침선어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12)과 갑판(15) 및 선체바닥(14)이 포함된 하부선체(13)의 외관은 유지시키고, 하부선체(13)의 내부공간은 일부 또는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킨 폐선박(11)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20)에 있어서,
    상기 하부선체(13)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에는 H빔(1)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10)가 하부선체(13)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선체(13)와 갑판(15)에는 다이버의 출입과 해수의 소통을 위한 선체개구부(16)와 갑판개구부(17)가 다수 개소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루프구조체(10)는, 하부선체(13)의 내부에 조성된 빈 공간의 폭 방향에 걸쳐 "工工"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H빔(1)과, 상기 각각의 H빔(1)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하부측 받침대프레임(3)과, 상기 각각의 H빔(1) 사이에서 H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루프(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루프(2)는, "工工"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H빔(1)으로 삽입되는 양측의 하단조립부(2c)와, 상기 양측의 하단조립부(2c)에서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벽체부(2b)와, 상기 각각의 경사벽체부(2b) 상단측을 연결하는 상단평면부(2a)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벽체부(2b)는 하단측의 폭이 넓고 상단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의 벽체가 되고, 상기 경사벽체부(2b)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콘크리트루프(2)의 사이마다 마름모 형태의 여유간격(8)이 제공되며,
    상기 루프구조체(10)를 이루는 각각의 H빔(1) 양측 끝단부에는 하부선체(13)의 내측공간에 루프구조체(10)를 용접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단부(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루프구조체(10) 사이에는 루프구조체(10)간의 간격유지와 강도보강을 위한 수평 방향의 연결프레임(6)과 수직 방향의 지주프레임(7)이 H빔(1)을 기초로 하여 추가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H빔(1) 중앙부 상측에는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를 삽입시켜 H빔(1)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콘크리트루프(2)를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 슬라이드 방식의 조립시공이 가능하도록 H빔(1)의 일부를 잘라낸 조립절개부(4)가 형성되며,
    상기 H빔(1)의 양측 끝단부와 조립절개부(4)의 내측에는 콘크리트루프(2)의 최종적인 위치고정을 위한 루프스토퍼(1a)가 설치되고, 상기 각 H빔(1)의 조립절개부(4)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은 콘크리트루프(2)가 배치되지 아니한 센터공간(9)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 바닥면에는 H빔(1)과의 용접을 위한 보강받침판(2e)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받침판(2e)은 콘크리트루프(2)의 하단조립부(2c) 내측으로 매입되는 수직판 부분과 H빔(1)과의 용접을 위한 수평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루프(2)의 상단평면부(2a)에는 한 쌍의 로프결속구멍(2d)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KR1020150039963A 2015-03-23 2015-03-23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KR10154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963A KR101547443B1 (ko) 2015-03-23 2015-03-23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963A KR101547443B1 (ko) 2015-03-23 2015-03-23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443B1 true KR101547443B1 (ko) 2015-08-25

Family

ID=5406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963A KR101547443B1 (ko) 2015-03-23 2015-03-23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79B1 (ko) 2015-11-26 2016-02-23 해주이엔씨 (주)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KR101624469B1 (ko) 2015-11-20 2016-05-25 해주이엔씨 (주)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101831112B1 (ko) 2017-08-18 2018-02-23 해주이엔씨 (주)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14Y1 (ko) 2006-03-28 2006-06-19 주식회사 해중 철도차량을 이용한 인공어초
KR200425747Y1 (ko) * 2006-06-28 2006-09-07 주식회사 해중 수중 환타지아 레저장 구조물
KR200428056Y1 (ko) * 2006-07-24 2006-10-04 주식회사 해중 교체 블록식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14Y1 (ko) 2006-03-28 2006-06-19 주식회사 해중 철도차량을 이용한 인공어초
KR200425747Y1 (ko) * 2006-06-28 2006-09-07 주식회사 해중 수중 환타지아 레저장 구조물
KR200428056Y1 (ko) * 2006-07-24 2006-10-04 주식회사 해중 교체 블록식 인공어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69B1 (ko) 2015-11-20 2016-05-25 해주이엔씨 (주)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101597079B1 (ko) 2015-11-26 2016-02-23 해주이엔씨 (주)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KR101831112B1 (ko) 2017-08-18 2018-02-23 해주이엔씨 (주)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69B1 (ko) 방사상의 어초판과 연결다리를 가지는 인공어초
KR101547443B1 (ko)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JP4183862B2 (ja) 人工魚礁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CN112825799B (zh) 一种海上移动式养殖与制氢装备
KR101572415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RU179174U1 (ru) Донно-пелагический рифовый модуль
KR101375558B1 (ko)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KR101621680B1 (ko) 용승작용을 유도하는 강제어초구조체
KR101167655B1 (ko) 팔각지붕형 인공어초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101597079B1 (ko)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CN111789062B (zh) 一种自由组合式人工鱼礁
CN108308079A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及其建设方法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CN208080311U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20020060437A (ko)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100977533B1 (ko) 인공 어초
KR200389601Y1 (ko) 인공어초
JPH0432058Y2 (ko)
JP4524443B2 (ja) 高層魚礁
CN219920018U (zh) 一种带有高层鱼礁的渔业观察平台
KR102399823B1 (ko) 해상풍력단지 내 수산업 공존을 위한 해저 지주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