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72A - 화물 운송 카트 - Google Patents

화물 운송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72A
KR20020056872A KR1020027000703A KR20027000703A KR20020056872A KR 20020056872 A KR20020056872 A KR 20020056872A KR 1020027000703 A KR1020027000703 A KR 1020027000703A KR 20027000703 A KR20027000703 A KR 20027000703A KR 20020056872 A KR20020056872 A KR 2002005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wheel
caster wheel
distance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니쉬클라우스
슈미드요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5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1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specially adapted for 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7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the main load support being a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운송 가능하며 차대(2)를 구비한 화물 운송 카트(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대에는 에스컬레이터가 경사진 구역에서 화물 운송 카트(1)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16)들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장치들은 전방에 배치되어 수직 선회축(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조향 캐스터휠(steering caster wheel)(7)의 근처와 두 개의 후방 휠(9) 근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카트는 카트(1)가 밀쳐지는 방향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적재면 (11)을 가지며 휴대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면은 위쪽을 향하는 전방 멈춤 장치(12)와 위쪽을 향하는 후방 멈춤 장치(13)에 의해서 제한된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 카트는 이 카트(1)를 안내하는 밀침 장치(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방 멈춤 장치(12)로부터 후방 멈춤 장치(13)까지의 거리를 조향 캐스터휠(7)의 선회축(8)과 후방 멈춤 장치(13)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성하며, 에스컬레이터에서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동 휠의 형태로 조향 캐스터휠(7)을 설계하고, 조향 캐스터휠(7)의 선회축(8)과 후방 휠(9)의 공통 수평축(10) 사이의 거리를 최소 480mm부터 최대 560mm로 구성하며, 후방 휠(9)들 사이의 거리를 최소 480mm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 운송 카트{BAGGAGE TRANSPORT CART}
독일 실용신안 G 85 34 959.3에는 상술한 종류의 화물 운송 카트가 기술되어 있지만, 상기 운송 카트의 지지 장치는 실질적으로 차대의 아래쪽 횡측면에 배치되며 톱니 모양의 널판지(serrated slat)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물 운송 카트의 발전된 다른 형태가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물 운송 카트에서는 지지 장치가 전방 조향 캐스터휠 근처와 후방 휠 근처에서 차대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양 운송 카트들의 형태는 트렁크와 큰 여행용 손가방과 같은 모든 크기의 대용량 화물을 수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상기 화물 운송카트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에서 사용하기 위한 버팀대로서 3개 혹은 2개의 디딤판(tread-board)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어느 하나의 디딤판이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운송 가능한 화물 운송 카트(cart)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운송 카트는 전방에 배치되어 수직 선회축(pivotal axis)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향 캐스터휠(steering caster wheel)뿐만 아니라 두 개의 후방 휠들 근처에 지지 장치들이 형성되어 있는 차대(undercarriage)와, 휴대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되며 위쪽을 향하는 전방 멈춤 장치(front stop device)와 위쪽을 향하는 후방 멈춤 장치(rear stop device)로 제한되고 카트가 밀쳐지는 방향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적재면(loading surface)을 갖는 저장 장치와, 카트를 안내하기 위한 밀침 장치(pushing device)를 구비한다.
도 1은 화물 운송 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동일한 화물 운송 카트를 밀침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따라서, 손가방, 소형 여행용 가방 또는 예를 들어 조종사의 가방과 같은 휴대 물품을 운송할 때에만 적합한 소형 화물 운송 카트를 발명할 필요가 있다. 발명하고자 하는 화물 운송 카트는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에서 두 개의 디딤판만으로 지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어느 하나의 디딤판이 사용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 카트는 상향 및 하향 운송시에 기울어지지 않아야 할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에 진입시에 첫 번째 디딤판이 이미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방 멈춤 장치로부터 후방 멈춤 장치까지의 거리가 조향 캐스터휠의 선회축과 후방 멈춤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에스컬레이터에서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동 휠의 형태로 전방 조향 캐스터휠을 구성하고, 조향 캐스터휠의 선회축과 후방 휠들의 공통 수평 휠축 사이의 거리를 최소 480mm부터 최대 560mm로 설계하며, 후방 휠들의 폭을 최소 480mm로 설정한다.
이러한 해결책을 통하여, 적재 상태이든지 비적재 상태이든지 에스컬레이터에서 안정되게 운송될 수 있는 합리적인 소형 화물 운송 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정성에는 적어도 두 가지 기술적인 특징들이 기여하는데, 첫 번째 특징으로서는 조향 캐스터휠의 선회축이 전방 멈춤 장치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화물 운송 카트가 에스컬레이터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 중요한 특징은 조향 캐스터휠이 에스컬레이터에서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동 휠로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면, 조향 캐스터휠의 구동 바퀴가 첫 번째 디딤판과 맞물리게 되어 화물 운송 카트는 상기 첫 번째 디딤판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화물 운송 카트의 안정적인 운송에도 기여한다. 기타 특징으로서는 화물 운송 카트가 전복되거나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아래에,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화물 운송 카트(1)는 위쪽에서 볼 때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차대(2)를 갖는다. 상기 차대(2)의 후방 측면 영역(3)에는 차대(2)로부터 두 개의 파이프형 기둥(5)이 연장되고 기둥의 상단부에는 밀침 장치(6)가 부착된다. 또한, 차대(2)의 전방 영역(4)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조향 캐스터휠(7)이 배치된다. 아래에서, 수직축을 선회축(8)으로 표기한다. 상기 파이프형 기둥(5)들의 아래쪽에는 아래에서 양 후방 휠(9)들로 표기하는 각각 하나의 바퀴가 배치된다. 후방휠(9)들은 공통 수평축(10) 상에 위치한다. 조향 캐스터휠(7) 근처와 후방 휠(9) 근처에는 차대(2)에 고정 배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화물 운송 카트(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지된 지지 장치(16)가 제공된다. 또한, 차대(2)의 후방 영역(3)으로부터 시작하여 화물 운송 카트(1)의 밀침 방향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며 특히 휴대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적재면(11)이 연장된다. 상기 적재면(1)의 전방에는 위쪽을 향하는 전방 멈춤 장치(12)가 연결된다. 또한, 적재면 (11)의 후방 단부(15)에도 위쪽을 향하는 후방 멈춤 장치(13)가 제공된다. 상기 후방 멈춤 장치(13)는 밀침 장치(6) 근처의 수평축(14)을 중심으로 앞쪽으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화물 운송 카트에는 밀침 장치(6)로부터 아래쪽으로 후방 휠(9)까지 안내되는 제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장치들은 알려진 바와 같이 동일한 여러 대의 화물 운송 카트(1)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밀쳐질 수 있도록 형성 및 배치된다. 소량만을 운송하는 화물 운송 카트(1)는 화물에 따라 결정되며, 따라서 독일 실용신안 G 85 34 959.3에 기술된 대용량 화물 운송 카트보다 작고 에스컬레이터의 연속된 두 개의 디딤판들로만 지지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하학적 구조를 제안한다. 즉, 전방 멈춤 장치(12)로부터 후방 멈춤 장치(13)까지 측정한 거리(A)는 조향 캐스터휠(7)의 선회축(8)과 후방 멈춤 장치(13) 사이의 거리(B)보다 작다. 또한, 선회축(8)과 후방 휠(9)의 공통 수평축(10) 사이의 거리(C)는 최소 480mm부터 최대 560mm로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후방 휠(9)들의 폭(D)은 최소 480mm로 설정한다. 거리(A, B, C)의 계산시 최소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에서 상기 화물 운송 카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에서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된 제동 휠의 형태로 지지 장치(16) 바로 옆에 조향 캐스터휠(7)을 형성한다. "가동 등판 휠(travel-rising-wheel)"의 명칭으로 공지된 이와 같은 조향 캐스터휠(7)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정방향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향 캐스터휠(7)은 상기 휠이 밟고 있는 디딤판에서 자동적으로 제동된다. 따라서, 화물 운송 카트(1)는 디딤판의 전방 가장자리를 너머서 진행할 수 없다.
도 2에서는 밀침 방향을 따라서 후방에서 바라본 화물 운송 카트(1)를 도시한다. 치수(D)는 휠(9)의 중앙으로부터 휠(9)의 중앙까지 측정한 후방 휠(9)들의 폭(D)이다. 상기 폭은 최소 480mm로 설정되며 최대 600mm에 이를 수 있다.
화물 운송 카트(1)가 진행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예를 들어 유럽 표준 EN 115에 명기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2)

  1.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운송 가능한 화물 운송 카트(1)로서,
    전방에 배치되어 수직 선회축(8)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향 캐스터휠 (steering caster wheel)(7)뿐만 아니라 두 개의 후방 휠(9)들 근처에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역에서 상기 카트(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16)들을 구비한 차대(2)와,
    휴대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되며 위쪽을 향하는 전방 멈춤 장치 (12)와 위쪽을 향하는 후방 멈춤 장치(13)로 제한되고 카트(1)가 밀쳐지는 방향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적재면(11)을 갖는 저장 장치와,
    카트(1)를 안내하기 위한 밀침 장치(6)를 구비한 화물 운송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멈춤 장치(12)로부터 후방 멈춤 장치(13)까지의 거리는 조향 캐스터휠(7)의 선회축(8)과 후방 멈춤 장치(13)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상기 조향 캐스터휠(7)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동 휠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조향 캐스터휠(7)의 선회축(8)과 후방 휠(9)의 공통 수평축(10) 사이의 거리는 최소 480mm부터 최대 560mm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휠(9)들 사이의 폭은 최소 480mm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침 장치(6)로부터 후방 휠들까지 제동 장치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 카트.
KR1020027000703A 1999-11-10 2000-11-07 화물 운송 카트 KR20020056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19764U DE29919764U1 (de) 1999-11-10 1999-11-10 Gepäcktransportwagen
DE29919764.6 1999-11-10
PCT/DE2000/003924 WO2001034449A1 (de) 1999-11-10 2000-11-07 Gepäcktransportwa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72A true KR20020056872A (ko) 2002-07-10

Family

ID=808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703A KR20020056872A (ko) 1999-11-10 2000-11-07 화물 운송 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227963B1 (ko)
JP (1) JP2003513855A (ko)
KR (1) KR20020056872A (ko)
CN (1) CN1160216C (ko)
AU (1) AU2481701A (ko)
DE (2) DE29919764U1 (ko)
ES (1) ES2242656T3 (ko)
WO (1) WO2001034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10208U1 (de) * 2000-06-09 2000-09-21 Wanzl Metallwarenfabrik Kg Transportwagen zum Befördern von Gepäck
DE10304962A1 (de) * 2003-02-06 2004-08-19 Wanzl Metallwarenfabrik Gmbh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CN106080702B (zh) * 2016-07-20 2018-04-24 江苏大学 一种楼梯间的货物运输装置及方法
CN107802083A (zh) * 2017-11-16 2018-03-16 吴雨桐 一种可伸缩式自动行走行李箱底座
CN108657258A (zh) * 2018-06-27 2018-10-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物料运输推车
CN111071316B (zh) * 2020-02-13 2021-09-28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转向轻便的水泥推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4193A1 (fr) * 1980-11-14 1982-05-21 Reunis Sa Ateliers Roue pour chariots, notamment de magasins a libre-service, permettant le blocage du chariot dans des escaliers roulants et chariot muni de cette roue
JPH0312610Y2 (ko) * 1985-10-23 1991-03-25
DE3630473A1 (de) * 1985-12-12 1987-06-19 Wanzl Kg Rudolf Von hand bewegbarer rolltreppengaengiger gepaecktransportwagen
DE8534959U1 (de) 1985-12-12 1986-01-30 Rudolf Wanzl Kg, 8874 Leipheim Von Hand bewegbarer rolltreppengängiger Gepäcktransportwagen
DE3841697A1 (de) * 1988-12-10 1990-06-13 Wanzl Metallwarenfabrik Kg Fahrrolle zur befestigung an transportwagen, insbesondere an einkaufswagen
JPH1178900A (ja) * 1997-09-08 1999-03-23 Exedy Corp カート
JP3197521B2 (ja) * 1998-04-28 2001-08-13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ハンド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4449A1 (de) 2001-05-17
EP1227963B1 (de) 2005-06-01
ES2242656T3 (es) 2005-11-16
JP2003513855A (ja) 2003-04-15
AU2481701A (en) 2001-06-06
CN1160216C (zh) 2004-08-04
CN1365331A (zh) 2002-08-21
EP1227963A1 (de) 2002-08-07
DE29919764U1 (de) 2000-01-05
DE50010477D1 (de)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237B2 (en) Accessible cart for use with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US6138815A (en) Conveyor system for load-carrying carts
US20060103094A1 (en) Pallet cart
US20140366783A1 (en) Adaptor pallet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plurality of dollies by means of an adaptor pallet
US6655892B2 (en)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operation
KR20020056872A (ko) 화물 운송 카트
US3720335A (en) Snowmobi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pickup trucks
EP1218282B1 (en) Lift-truck
US20030180130A1 (en) Cart and lift system
US2925999A (en) Pallet jack
EP0319627B1 (en) Freight container lifting means
US20080190917A1 (en) Freight Handling Apparatus
WO1997011023A1 (en) Good liffting/moving device
JPS5940755B2 (ja) 傾斜ビン
JP3375662B2 (ja) トレーラによる空パレットの取扱方法及びこのトレーラの構造
JPH09302974A (ja) 車両搭載用パレットとそれを使用する立体駐車場
EP1169257B1 (en) Method of beverage distribution
EP1222347A1 (en)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KR200275907Y1 (ko) 물품운반용운반대차
JP2006015937A (ja) ソリ付運搬車
JP3041440U (ja) 重量物運搬用台車
JP3010608U (ja) 荷物積み降ろし用台車
JPH0659940B2 (ja) 荷移載装置
JPH0567470B2 (ko)
KR200271160Y1 (ko) 카고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