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501A -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501A
KR20020056501A KR1020000085865A KR20000085865A KR20020056501A KR 20020056501 A KR20020056501 A KR 20020056501A KR 1020000085865 A KR1020000085865 A KR 1020000085865A KR 20000085865 A KR20000085865 A KR 20000085865A KR 20020056501 A KR20020056501 A KR 2002005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plate
bracket structure
ti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동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6501A/ko
Publication of KR2002005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력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운전자의 상해치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하부 스티어링샤프트 및 이를 감싸는 내외측 튜브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컬럼에 틸트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있어서,
외측 튜브의 상측으로 ∩형상으로 절곡지게 형성된 보강편이 안착 설치되고, 보강편의 상측으로 상호 용접 결합되는 상부지지체 및 플레이트가 적정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보강편과 상부지지체 사이에 양측면이 개구된 보강클립이 개재되도록 보강편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한 조의 조정볼트 및 조정너트가 플레이트와 보강클립의 양측면을 통해 관통결합되며, 조정너트에 틸트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 볼트가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감축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생산성의 향상 및 운전자의 상해치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TILY BRACKET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스티어링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틸트 레버를 스티어링컬럼에 고정시키는 틸트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차량 충돌시 운전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바퀴를 회동시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꿔주는 장치로서, 스티어링휠을 회동시킴에 따라 이 스티어링휠에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 결합되어 있는 스티어링샤프트가 회전되고, 이 스티어링샤프트가 바퀴에 소정의 링크적수단으로 연결된 스티어링기어를 동작시켜 바퀴를 회동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양단부에는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기어가 결합되므로 차체에 견고하게 지지되어야만 조향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는데,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차체에 지지하는 것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튜브형상의 스티어링컬럼이며, 이 스티어링컬럼은 상,하부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에 의해서 운전석측과 엔진룸을 차단하는 대쉬패널(미도시)에 고정된다.
스티어링컬럼은 그 구성이 크게 상,하부 스티어링샤프트(5,13)와, 내외측 튜브(1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은 틸트레버(8)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으로, 일명 틸트 브라켓이라고도 한다.
이 틸트 브라켓은 상부지지체(1)와, 상부지지체와 용접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2)와, 상부지지체(1)와 리벳팅 결합되는 제 2플레이트(10)와, 스프링(1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틸트 레버(8)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볼트(3)와 조정너트(7)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4는 외측 튜브의 하측에 용접 결합되어 조정나사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보강클립을 나타낸 것이며, 9는 틸트 레버를 조정너트(7)에 고정 결합시키는 볼트를 나타낸 것이고, 14는 제 1플레이트(2)와 제 2플레이트(10)를 고정시키는 캡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컬럼과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틸트 브라켓의 하측부위 즉, 외측 튜브의 하측부위가 운전자의 무릎부위에 접촉되어 운전자에게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무릎부위와 부딪히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성으로 중량 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컬럼과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지지체20 : 플레이트
30 : 보강편40 : 조정볼트
45 : 조정너트50 : 틸트 레버
55 : 틸트볼트60 : 상부 스티어링샤프트
65 : 외측튜브70 : 하부 스티어링샤프트
75 : 내측튜브90 : 보강클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 스티어링샤프트 및 이를 감싸는 내외측 튜브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컬럼과,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틸트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의 상측으로 안착 설치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상측으로 적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상호 용접 결합되는 상부지지체 및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편과 상부지지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보강편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양측면이 개구된 보강클립과,
상기 플레이트와 보강클립의 양측면을 통해 관통결합되는 조정볼트 및 조정너트와,
상기 조정너트에 체결되어 틸트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 상,하부 스티어링샤프트(60,70) 및 이를 감싸는 내외측 튜브(75,65)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컬럼에 틸트 레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있어서,
외측 튜브(65)의 상측으로 ∩형상으로 절곡지게 형성된 보강편(30)이 안착 설치되고, 보강편(30)의 상측으로 상호 용접 결합되는 상부지지체(10) 및 플레이트(20)가 적정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보강편(30)과 상부지지체(10) 사이에 양측면이 개구된 보강클립(90)이 개재되도록 보강편(3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한 조의 조정볼트(40) 및 조정너트(45)가 플레이트(20)와 보강클립(90)의 양측면을 통해 관통결합되며, 조정너트(45)에 틸트 레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볼트(55)가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양단부가 절곡되어 양측면이 개구된 보강클립(90)이보강편(30)의 상면에 일체로 용접된 상태로 외측튜브(65)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용접)되고, 그 위에 상부지지체(10)와 플레이트(20)가 상호 용접된 상태로 적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조정볼트(40)는 플레이트(20)의 양측면과 보강클립(90)의 양측면에 관통되고, 그 관통된 단부가 조정너트(45)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틸트 레버(50)는 조정너트(45)와 레버볼트(55)에 의해서 고정된다.
미설명부호 80은 하부 스티어링 브라켓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전면에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내측튜브(75)가 외측튜브(65)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충격력은 조정볼트(40)가 수용된 보강클립(90)에 전달되어 변형이 발생된다.
이 보강클립(90)은 양단부가 절곡된 상태에서 조정볼트(40)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서 평판형으로 평편하게 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의 변형에너지가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며, 이후에 보강클립(90)의 상부지지체(10)들이 이탈되더라도, 하중이 분산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외측 튜브(65)의 하측에는 운전자의 무릎부위에 해당되는 브라켓 구조물이 없으므로, 운전자의 상해치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력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운전자의 상해치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바,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구성부품수를 감축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의 향상 및 원가 절감등의 효과를 갖는다.
둘째,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운전자의 상해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상,하부 스티어링샤프트(60,70) 및 이를 감싸는 내외측 튜브(75,65)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컬럼과,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틸트 레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의 상측으로 안착 설치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보강편(30)과,
    상기 보강편(30)의 상측으로 적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상호 용접 결합되는 상부지지체(10) 및 플레이트(20)와,
    상기 보강편(30)과 상부지지체(10) 사이에 개재되도록 보강편(3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양측면이 개구된 보강클립(90)과,
    상기 플레이트(20)와 보강클립(90)의 양측면을 통해 관통결합되는 조정볼트(40) 및 조정너트(45)와,
    상기 조정너트(45)에 체결되어 틸트 레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볼트(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KR1020000085865A 2000-12-29 2000-12-29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KR20020056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65A KR20020056501A (ko) 2000-12-29 2000-12-29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65A KR20020056501A (ko) 2000-12-29 2000-12-29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01A true KR20020056501A (ko) 2002-07-10

Family

ID=2768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865A KR20020056501A (ko) 2000-12-29 2000-12-29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650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47U (ja) * 1992-02-18 1993-08-31 日本精工株式会社 チルト式コラプシブル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の支持部
JPH06298102A (ja) * 1993-04-12 1994-10-25 Toyota Motor Corp エネルギー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175401A (ja) * 1994-12-22 1996-07-09 Hino Motors Ltd エネルギ吸収ステアリング・コラム・ジョイント
KR960037157U (ko) * 1995-05-27 1996-12-16 만도기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Tilt)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970040900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틸트와 텔레스코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JPH09202246A (ja) * 1996-01-30 1997-08-05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47U (ja) * 1992-02-18 1993-08-31 日本精工株式会社 チルト式コラプシブル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の支持部
JPH06298102A (ja) * 1993-04-12 1994-10-25 Toyota Motor Corp エネルギー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175401A (ja) * 1994-12-22 1996-07-09 Hino Motors Ltd エネルギ吸収ステアリング・コラム・ジョイント
KR960037157U (ko) * 1995-05-27 1996-12-16 만도기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Tilt)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970040900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틸트와 텔레스코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JPH09202246A (ja) * 1996-01-30 1997-08-05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0433B1 (en) Tilt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US7344158B2 (en) Mount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s
JP3052731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5230533A (en) Shock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EP1179461A2 (en) Automotive pedal support structure and automotive vehicle provided therewith
JP2978788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5452917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tiltable steering shaft
JP2000142426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H0529185Y2 (ko)
KR20020056501A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브라켓구조
GB2288654A (en) Tilt steering apparatus
JPS6157462A (ja) エネルギ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2592682Y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の支持機構
KR102559115B1 (ko) 차량용 프론트 로어암 장치
JP2000168576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おける衝撃吸収装置
KR100783774B1 (ko)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충격흡수구조
JP3383762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JPH0885461A (ja) 自動車の前部の補強構造
JP2580542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JPS5816725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0362119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멤버의 전후강성 보강용 레그브라켓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