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906A -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906A
KR20020050906A KR1020000080196A KR20000080196A KR20020050906A KR 20020050906 A KR20020050906 A KR 20020050906A KR 1020000080196 A KR1020000080196 A KR 1020000080196A KR 20000080196 A KR20000080196 A KR 20000080196A KR 20020050906 A KR20020050906 A KR 2002005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additional information
meta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인
위남숙
김성현
문환표
손정교
권성화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이충식
주식회사 아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식, 주식회사 아미시스 filed Critical 이충식
Priority to KR102000008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906A/ko
Publication of KR2002005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906A/ko

Link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정보 제공자의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측은 라디오의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와; 메타 정보, 메타정보 파라메타 및 서술형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와;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의 음성/음향 정보에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합성 및 송신부를 구비하며, 수신 측은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선국 및 복조부와; 선국 및 복조부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받아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모빌 유닛이나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모빌 유닛은 라디오에 장착된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다른 모빌 유닛이나 외부 접속 장치에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음성/음향 컨텐츠 외에 추가 정보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의 착신자 주소를 갖는 메타 정보를 제공하며, 라디오 방송 수신자는 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가 제공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INFORMATION}
본 발명은 라디오 방송 신호 내에 서비스 제공 업자와 통신 가능한 주소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라디오 방송 수신자가 서비스 제공 업자와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방송은 송신측(방송국)에서 소정 라디오 주파수에 음성/음향으로 구성되는 정보(이하 음성/음향 컨텐츠라 칭한다), 예를 들면, 뉴스, 일기 예보, 교통 정보, 음악, 오락, 연예, 스포츠 정보를 라디오 주파수에 실어 제공하고 청취자는 라디오 수신기로 음성/음향 정보를 수신하여 청각으로 청취할 수 있게 한 방송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디오 방송 방식은 전달 가능한 컨텐츠가 음성/음향에 한정되어 있어 음성/음향 컨텐츠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음성/음향 컨텐츠와 함께 수신측에 제공하는 방송 방식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문자나 기호 등 시각적으로 청취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정보로 청각에만 의존하는 음성/음향 컨텐츠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어느 가수의 노래를 방송할 때 가수에 대한 정보, 노래에 관한 정보(노래 제목, 가사, 작사자, 작곡자 등), 음반 구입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방송할 수 있는 기술은 유럽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는데, 그 기본 목적은 라디오 방송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의 이름과 종류, 방송국의 정보 등을 문자로 청취자에게 제공함과 더불어 휴대용 또는 차량용 FM 수신기가 수신 중인 프로그램의 송출 주파수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변경될 때에, 자동으로 해당 방송국의 주파수를 선국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방송할 수 있는 기술은 주로 FM 주파수의 부 반송파를 사용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그 방식에는 유럽에서 개발된 RDS(Radio Data System)와 북미에서 RDS를 확장해서 표준화한 RBDS(Radio Broadcast Data System), 그리고 일본 NHK와 스웨덴의 Teracom이 개발한 DARC(Data Radio Channel)가 있다.
RDS는 1987년부터 프랑스, 스웨덴 등 유럽 국가에서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는 방식으로서 부 반송파로 57KHz 대역을 사용하며 1.2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프로그램 정보, 자동 선국, 교통 정보, 문자 방송, 시간 정보, 무선 호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RBDS는 기본적으로 RDS와 같은 부 반송파 대역을 사용하지만, FM만이 아니라 AM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RDS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규정하고 있다.
DARC는 부 반송파 주파수로 76KHz를 사용하며, 16Kbps의 빠른 전송 속도를통해 뉴스, 일기 예보, 경제 정보, 교통 정보,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MBC가 전국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험 방송 중인 방식이다.
상술한 방식을 통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방송하는 기술은 주어진 시간 내에 청취자가 만족할 만한 충분한 량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을 통해서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한 청취자의 정보(청취율, 청취자 연령별 정보, 청취자 직업 등)를 방송국으로 피드백 시켜 전달하기 어려우며, 특히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의 상품 판매 사업자(예컨데, 방송 중인 노래가 수록된 음반 판매 사업자)와 청취자를 직접 연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사업자와 청취자간의 상거래 활동이 이어지기 위해서는 청취자가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하며, 사업자와 청취자간의 상거래 등을 포함하는 경제적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소에 청취자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경로, 위치, 방법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이러한 정보를 메타 정보라 칭한다.)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라디오 부가 방송에서는 상술한 메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가 메타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정보의 지능적인 재사용(intelligent reuse)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음성 및 음향 컨텐츠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와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메타 정보를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포함시켜 라디오 방송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음향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하여 외부 접속 장치가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중 메타 정보를 착신 주소로 갖는 정보 제공자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쉽게 추출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모빌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트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는 모빌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트 관련 추가 정보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거나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는 베이스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디오 방송국에 있어서,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내소정 착신 주소 정보인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와; 상기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의 음성/음향 정보에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합성 및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라디오 방송 방법에 있어서,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내 소정 착신 주소 정보인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음성/음향 정보에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 정보와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에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선국 및 복조부와; 선국 및 복조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중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에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선국 및 복조부와; 선국 및 복조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주소를 갖는 착신자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접속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와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단계와; 선국 및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의 소정 착신자와 접속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원격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모빌 유닛에 있어서,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 모듈과; 작동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을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수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부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 연결부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수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주소를 갖는 착신자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접속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구성하는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를 구별해 놓은 도면,
도 4는 RT(Radio Text) 방식에 의한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는 RT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메타 정보 및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RT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메타 정보 및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TDC(Transparent Data Channel)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ODA(Open Data Application)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DARC(Data Radio Channel)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에 구성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상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에서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를 플로우 메모리 및 래치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에서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를 래치 메모리에서 처리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를 갖는 오디오 콤포넌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가 외부 접속 장치를 통하여 음성 및/ 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가 모빌 유닛 및 외부 접속 장치를 통하여 음성 및/ 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가 접속 모듈을 구비한 모빌 유닛을 통하여 음성 및/ 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와 접속이 가능한 모빌 유닛의 블록도,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 가능한 접속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음성 및/ 또는 데이터 네트웍과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접속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라디오 방송 및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2는 접속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라디오 방송 및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 12 :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
13 : 합성 및 송신부 21 : 안테나
22 : 선국 및 복조부 23 : 음성/음향 재생부
24 : 데이터 디코더 25 : 스피커
26 : 베이스 스테이션 100 : 라디오
110, 407 : 접속 모듈 261, 401 : 제어 모듈
262, 406 : 저장 모듈 263 : 플로우 메모리
264 : 래치 메모리 265, 403 : 사용자 입력부
266, 405 : 외부 통신 연결부 267 : 수신 모듈
268, 404 : 표시부 269 : 송신 모듈
300 : 외부 접속 장치 400 : 모빌 유닛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행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의 개략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방송국에 구성되어야 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는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를 구비하며,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는 일반적인 라디오 방송의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를 구비하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로 구성된다. 이 중 서술형 정보란, "아미시스로 오세요^^"처럼 사용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메타 정보와관련된 내용을 서술하는 정보를 뜻한다. 그리고 메타 정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tp://www.amisys.co.kr"와 같이 인터넷 망에서 사용되는 URL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 무선 전화 번호 또는 IPv6와 같이 네트웍 상태에서 착신자 주소를 알리는 어떠한 정보도 사용이 가능하다. 메타 정보 파라메터는 메타 정보 뒤에 붙는 부분으로 방송 정보,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로 구성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에 저장되며,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내의 컨텐츠들에 대응하여 저장되어야 함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음향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에 존재하지 않고 외부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방송되는 음성/음향 컨텐츠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테 및 서술형 정보로 구성되는 데, 경우에 따라서 세 가지 내용 중 어떤 것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하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조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이나 기계적인 선택에 의해서 이 중 일부는 생략되어 저장되거나 전송되어 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 에서
아미시스로 오세요^^
는 서술형 정보에 해당하고,
http://www.amisys.co.kr/music/pop/sale.php
는 메타 정보에 해당하고, "?"는 메타 정보와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구분하는 구분자의 역할을 하며,
program=HelloPop&time=5:19GMT&song_title=Radio+Killed+The+Video+Star&amp;singer=The+Presidents+Of+Radio+States&CD_num=123456
은 메타 정보 파라메터에 해당한다.
도 3의 메타 정보 파라메터는 크게 방송 정보와 서비스 정보의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방송 정보는 방송과 관계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송 정보는 현재 방송되는 내용과 반드시 관련이 있는 정보일 필요는 없다. 방송 채널, 방송 시간이나 방송국의 위치 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메타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특정 서비스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품 안내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품 ID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program=HelloPop&time=5:19GMT&song_title=Radio+Killed+The+Video+Star&singer=The+Presidents+Of+Radio+States"
이 방송 정보 부분으로, 방송 프로그램(program) 명이 HelloPop이며, 제공시각(time)이 5:19GMT이고, 제공하는 음성/음향 컨텐츠 즉, 노래 곡명(song_title)이 Radio Killed The Video Star이며, 가수(singer)가 The Presidents Of Radio States임을 나타낸다.
또한, CD_num=123456이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CD번호(CD_num)가 123456임을 나타낸다.
도 3의 예에서 방송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이루는 각 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를 사용하였다.
도 3에 도시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RDS, RBDS 및 DARC 방식에 의하여 송신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들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RDS나 RBDS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 들 중에서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는 RT(Radio Text), ODA(Open Data Application),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등이 있다.
RT에서는 버전(version) A와 버전 B로 나뉘어지며 버전 A에서는 단위 패킷 당 4 바이트 문자 정보를 전송하고 16개의 패킷을 합쳐서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므로 모두 64 바이트의 문자 열을 전송할 수 있으며, 버전 B에서는 단위 패킷 당 2 바이트 문자 정보를 전송하고 16개의 패킷을 합쳐서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므로 모두 32 바이트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는 버전 A의 RT 형식의 데이터 전송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PI코드 필드는 프로그램 식별 코드(Program Identification Code)를 가지고, 체크워드 + 오프 셋(checkword+offset)필드는 에러 방지 및 블록과 그룹 동기 정보를 가지며, 그룹 타입 코드 필드(Group type code)는 그룹별 코드를 가진다. 또한, B0필드는 버전(version)코드를 가지고, TP 필드는 트래픽 프로그램 식별자 코드(Traffic Identification Code)를 가지며 텍스트 A/B 플래그 필드에는 전송된 데이터를 업 데이트(update)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코드를 구비한다. 또한 텍스트 세그먼트 어드레스(Text segment address) 필드에는 전송 패킷의 어드레스를 알리는 코드를 구비한다. 즉, 버전 A에서는 16개의 패킷이 모여서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므로 텍스트 세그먼트 어드레스 필드는 전송 중인 패킷이 16개중 몇 번째 패킷에 속하는 것인지를 알리는 코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라디오 텍스트 세그먼트(Radio text segment) 필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2 바이트의 문자 데이터를 구비하며, 버전 A의 패킷에 두 개의 라디오 텍스트 세그먼트가 구성된다. 따라서, 버전 A의 RT 방식에서는 하나의 패킷에 4 바이트의 문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RT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라디오 텍스트 세그먼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메타 정보(메타 정보 파라메타를 포함할 수 있음.)인지, 서술형 정보인지 또는 일반 종래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인지를 알리기 위한 별도의 식별자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도 5a와 같은 방법을 채용하였다. 즉, 메타 정보가 URL 정보 http://www.amisys.co.kr임을 나타내기 위해, 앞 뒤로 <URL>,</URL> 식별자를 붙여 보내거나, 전화번호 1-800-123-4567을 나타내기 위해, 앞 뒤로 <TEL>,</TEL>의 식별자를 붙여서 보낼 수있다. 또한 서술형 정보 "아미시스로 오세요^^"를 나타내기 위해, 앞 뒤로 <DESC>,</DESC>의 식별자를 붙여서 보낼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전 A의 RT 방식에서는 하나의 패킷에 최대 4개의 문자 데이터만이 수용되며, 텍스트 세그먼트 어드레스를 이용하여도 최대 64개의 문자만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포함한 메터 정보의 전송 시에는 64개 이상의 문자를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b와 같은 방식을 채용하였다. 길이가 긴 서술형 정보의 경우도 하기 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세그먼트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64개의 문자 데이터 열(텍스트 세그먼트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연속되는 데이터 열을 이하에서는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라 하였다.)을 전송할 수 있으며, 하나의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와 다음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가 내용이 이어지는 경우에, 현재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의 끝에 <1>, <2>, <3>, 등과 같이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를 붙이고, 다음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의 처음에 이전 텍스트 세그먼트의 순서 표시자 즉 <1>, <2>, <3>을 차례로 대응하여 붙여준다.
도 6에는 메타 정보에 순서 표시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가 행하는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먼저, 메타 정보에 식별자 즉 <URL>,</URL> 또는 <TEL>,</TEL>을 부가하고(S1)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타 정보의 총 문자가 64개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 단계(S2)의 판단 결과,전송하여야 하는 총 정보가 64개 이하이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식별자가 부가된 메타 정보들을 합성 및 송신부(13)에 제공한다(S3). 합성 및 송신부(13)는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의 컨텐츠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로부터의 메타 정보, 메타 정보 파라메터 및 서술형 정보를 합성하고 합성된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행한다.
그러나, 단계(S2)의 판단 결과 총 문자가 64개 보다 많으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단계(S4)로 진행하여 총 문자들 중 61개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61개의 문자 후단에 순서 표시자(〈I〉)를 부가하되 이 때의 I는 1로 설정하여 첫 번째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나머지 문자(식별자를 포함하는)의 총 수가 61개 이하인가를 판단하여(S5), 61개 이하이면 단계(S6)로 진행하여 마지막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를 형성한다. 즉,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이전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의 순서 표시자(〈I〉)를 메타 정보 선두에 부가하고 61개 이하인 문자들을 연결하여 마지막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를 구성한다.
한편, 단계(S5)의 판단 결과, 나머지 문자(식별자를 포함하는)의 총수가 61개를 초과하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12)는 단계(S7)로 진행하여 이전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의 순서 표시자(〈I〉)를 메타 정보 선두에 부가하고 나머지 총 문자들 중 58개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61개의 문자 후단에 순서 표시자(〈I〉)를 부가하되 이 때의 I는 1 증가시켜 설정한다.
상술한 도 6의 과정에 의하여 도 5b와 같은 메타 정보가 형성되며, 이러한메타 정보는 합성 및 송신부(13)를 통하여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의 컨텐츠와 합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라디오 수신기로 전송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은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11)의 컨텐츠가 전송될 때에 1회에 한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나, 다수에 걸쳐 동일 내용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처음 송신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와 추가로 반복하여 전송되는 정보를 구별하기 위하여 추가로 반복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반복되는 정보임을 알리는 반복 태그 예컨데 〈repeat〉라고 하는 태그를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에 부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복 태그를 부가함으로써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수신측은 새로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인지 또는 재 전송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하여 일부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가 수신측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수신측은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텍스트 세그먼트 메시지를 복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문자 데이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HTML, XML또는 새로이 적용되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등 다양한 언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RDS 또는 RBDS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패어런트 데이터 채널(Transparent Data Channel : TD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TDC 방식에서는트랜스패어런트 데이터 채널 필드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며, 트랜스패어런트 데이터 필드는 RT 방식에서와 같이 2 바이트 또는 4 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TDC 방식에서는 모두 5 비트의 패킷 주소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모두 32개의 패킷을 사용할 수 있어 타입에 따라 64 바이트 또는 128 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DC 방식에서도 상술한 RT 방식에서 채용한 방식 즉, 식별자, 순서 표시자, 반복 태그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RDS 또는 RBDS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ODA(Open Data Applications) 방식을 통해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ODA 방식에서는 미리 정해진 규약이 없고, 서비스 제공자가 그룹 타입 코드(Group Type Code)를 부여받아 그 그룹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자신에 맞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세그먼트 필드는 RT 방식과는 상이하게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ODA 방식에서는 데이터 세그먼트 표시 필드 부분에 RT 방식에서의 식별자, 순서 표시자 등의 정보를 부가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ODA 방식에 따른 데이터는 송/수신측에서 같은 방식으로 부호화/복호화하며 RDS나 RBDS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에러 정정 외에 더 나은 에러 정정을 위해서 혹은 데이터 압축, 데이터 암호화 등을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부호화/복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DARC 방식은 RDB나 RBDS보다 빠른 전송 속도와 향상된 오류 정정 기능을 통해 단위 패킷 당 22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을 한 개 이상 사용하여 정보를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ARC 방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적인 형태가 도9에 도시되어 있다.
DARC 방식에서는 헤더(Header), 데이터 표현 타입(Data Representation Type), 데이터 길이(Data Length) , CRC(cyclic redundancy code)와 페러티 비트를 갖는 시작 패킷(packet)과 데이터 패킷으로 구분된다. 시작 패킷 내의 헤더는 다른 데이터들과의 구별을 위한 것이며, 데이터 표현 타입은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들이 어떤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는 지를 알려주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데이터가 XML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는지 혹은 URL이나 전화번호 등이 그대로 나타나 있는 지 또는 어떠한 부호화/암호화 방식이 적용되었는지 등을 알려준다. 이 값을 보고 수신측은 데이터 패킷 내 데이터들을 어떤 방식으로 해석할지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길이 부분은 패킷 데이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길이를 표시하며, CRC와 패리티 비트 부분은 오류 감지 및 정정을 위한 코드가 삽입된다.
한편, 데이터 패킷 내의 데이터 필드에는 정보 패킷 내의 데이터 표현 타입에서 지정된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의 DARC 방식에서는 정보 패킷 내 데이터 길이 필드 내에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길이 정보가 삽입되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은 176 비트씩 분할되어 데이터 패킷 내에 삽입됨으로써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전송된다. 이러한 DARC 방식에서도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176 비트씩 분할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RT 방식에서와 같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전송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 등의 정보를 데이터 필드에 삽입함으로써 전송 순서를 알릴 수 있으며, 식별자를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선두 부분과 후미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임을 표시할 수 있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종류도 나타낼 수 있다.
라디오 방송을 통해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 방송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위에서 제시한 방법 외의 다른 방식도 본 발명에서는 채용할 수 있으며, 위에서 제시한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되는 방식이라면, 그 어떤 데이터 전송 방식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 10에는 상술한 방식들을 통하여 라디오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분리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를 갖는 라디오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안테나(21)에 수신된 방송 신호는 선국 및 복조부(22)를 거쳐 음성/음향 재생부(23)와 데이터 디코더(24)로 보내진다. 음성/음향 재생부(23)에서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음성/음향 신호를 추출하여 스피커(25)로 보내 재생하며. 데이터 디코더(24)는 입력된 신호에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추출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26)에 제공한다.
베이스 스테이션(2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61)을 구비하며, 제어 모듈(261)은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모듈(262) 내의 플로우 메모리(263)에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부(265) 및 수신 모듈(267)을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플로우 메모리(263) 내의 데이터들을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하거나,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접속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하였다.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양이 많은 경우에는 그 순서 표시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 모듈(261)은 이 순서 표시자를 이용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순서대로 플로우 메모리(263)에 저장하며, 반복 태그( 반복됨을 알리는 식별자. 예를 들면〈repeat〉)를 이용하여 전송 과정에서 누락된 정보를 복구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메모리 모듈(261)내에 플로우 메모리(263)를 구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 메모리(26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연속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선택하여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하거나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하여야 하나, 서로 다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연속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선택 시점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플로우 메모리(264)는 용량이 무한한 것이 아니라 한정되어 있음으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연이어 제공되는 데이터 디코더(24)의 모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저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플로우 메모리(263)의 저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다. 즉, 플로우 메모리(263)는 전체 용량에 상관없이 정해진 기간 동안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계속 저장하고, 기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삭제한다.
두 번째 방법은 저장되는 기간에 상관없이 플로우 메모리(263)에 저장될 전체 용량을 정해 두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계속 저장해 두다가 정해진 용량을 넘으면 시간적으로 가장 앞에 저장된 것부터 삭제함으로써 전체 용량을 유지해 가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을 결합시키는 방법이며 네 번째 방법은 시간 과 용량 외에 다른 조건을 주어 그 조건을 만족하면 계속 저장하고, 만족하지 못하면 삭제해 나가는 방법이다.
이러한 4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을 실제 제품에 적용할 때의 조건에 맞추어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저장 모듈(262)에서 사용하는 플로우 메모리(263) 및 래치 메모리(264)는 RAM, EEP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HDD, 이동식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저장 모듈(26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사용자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메타 정보의 종류, 서술형 정보의 내용, 컨텐츠 내용, 방송 프로그램 이름, 저장 시간, 만기 시간 등을 필드(field)로 하여 레코드(record) 단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검색, 그룹(group)화, 삭제, 수정, 정렬 등을 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5)는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 모듈(261)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 키들을 구비하며 제어 모듈(261)은 선택 키들의 구동에 따라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플로우 메모리(263)에 저장하거나, 플로우 메모리(263)의 데이터를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하고, 저장 모듈(262)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수정, 삭제, 적절한 순서로 정렬 등의 가공 처리를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65)에는 저장 모듈(262)내의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선택 키가 구성되며, 제어 모듈(261)은 이 선택 키의 구동에 응하여 래치 메모리(264)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스테이션(26)은 표시부(268)를 구비하며 표시부(268)는 LCD, LED 및 비프 음 발생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제공되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제공되고 있음을 표시부(268)에 표시함과 함께 입력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용을 표시한다. 즉 제어 모듈(261)은 LCD 화면 표시, LED(표시등)의 점등 또는 비프 음 발생 등을 통하여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입력이 되는지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 모듈(261)은 저장 모듈(262)에 저장된 정보의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LCD 등에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부(265), 수신 모듈(267)을 통한 사용자 명령의 입력, 송/수신 정보, 제어 모듈의 상태(예를 들면 정보 송신 중, 정보 수신 중, 래치 메모리에 저장 중 등) 등을 표시하기도 한다.
송신 모듈(269)은 제어 모듈(261)의 제어에 따라 광 매체나 전파 매체를 사용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송신 모듈(269)은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수신 모듈(267)은 외부로부터 광 매체나 전파 매체 등의 무선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 명령은 외부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외부 통신 연결부(266)는 유선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외부 기기나 이동식 저장 매체와 케이블 연결 또는 착탈식 연결을 할 수 있도록 RS232C, USB, IEEE1394 등의 외부 연결 포트를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한다. 또한, 외부 통신 연결부(266)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265)에서와 같은 사용자 명령이 제어 모듈(26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261)은 외부 통신 연결부(266)를 통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26)은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 모듈(269), 수신 모듈(267), 외부 통신 연결부(266)를 모두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으나, 베이스 스테이션(26)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중 메타 정보가 가리키는 네트웍 상의 착신지에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접속 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할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듈을 갖추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 연결부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26)의 기본 기능은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저장 모듈(262)에 제공하는 기능과 저장 모듈(26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외부 접속 장치에 제공하는 기능이다.
도 12에는 제어 모듈(261)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저장 모듈(262)에 저장하는 과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저장 모듈(2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 메모리(263)와 래치 메모리(264)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모듈(261)은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받아 플로우 메모리(263)에 순차 저장한다(S11, S12). 또한, 제어 모듈(2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디코더(24)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음을 표시부(268)에 표시함과 함께 입력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표시부(268)의 LCD 화면 등에 표시한다(S13).
상술한 단계(S11, S12, S13)들의 수행에 의하여 사용자는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268)에 표시 중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에서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명령은 사용자 입력부(265), 또는 수신 모듈(267) 또는 외부 통신 연결부(266)를 통하여 제공될 것이다.
단계(S13)의 수행 후에 제어 모듈(261)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대한 전송 명령이 제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4), 전송 명령이 제공되면 선택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한다(S15).
위의 단계를 거친 후, 제어 모듈(261)은 단계(S16)로 진행하여 선택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대한 저장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가를 판단하고,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한다(S18).
단계(S16)의 판단 결과 저장 명령이 제공되지 않거나 단계(S17)의 수행에 의하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후에 제어 모듈(261)은 단계(S18)로 진행하여 플로우 메모리(263)의 갱신 시점인가를 판단한다. 단계(S18)의 판단 결과, 플로우 메모리(263)의 갱신 시점이면 제어 모듈(261)은 플로우 메모리(263)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갱신하고(S19) 단계(S11)로 귀환한다.
도 13에는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하거나, 삭제 등을 행하는 제어 모듈(261)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61)은 사용자로부터 래치 메모리(264)내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대한 표시 명령이 제공되는가를 판단한다(S21). 표시 명령에 의하여 제어 모듈(261)은 래치 메모리(264)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표시부(268)내의 LCD 화면 등에 표시한다(S22). 이 경우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다수이나 LCD 화면이 작은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하나의 LCD 화면 내에 표시 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 모듈(261)은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소정 정보(예컨데 가장 먼저 저장된 정보)를 LCD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68)등의 업/다운 키를 조작함에 따라 다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LCD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261)은 단계(S23)에서LCD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다는 선택 명령(본 실시예에서 선택 명령은 3가지 종류 즉 전송 명령, 삭제 명령 및 기타 명령을 포괄한다.)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고,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S24)로 진행하여 LCD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변경을 요구하는 변경 신호(예컨데 업/다운 키의 조작에 의한)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 단계(S24)의 판단 결과,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모듈(261)은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LCD 화면상에 표시하고 단계(S22)로 귀환한다(S25).
단계(S23)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선택 명령을 제공하면 제어 모듈(61)은 단계(S26)로 진행하여 선택 명령이 전송 명령인가를 판단한다. 단계(S26)의 판단 결과, 전송 명령이면 제어 모듈(261)은 LCD상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모빌 유닛(400) 또는 외부 접속 장치(300)에 제공한다(S27).
그러나, 선택 명령이 전송 명령이 아니면 제어 모듈(261)은 단계(S28)로 진행하여 삭제 명령인가를 판단하여 삭제 명령이면 래치 메모리(264)에서 해당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즉 LCD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를 소거한다(S29). 한편, 선택 명령이 전송 명령 및 삭제 명령이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 명령을 의미하므로 제어 모듈(261)은 단계(S30)에서 기타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기타 명령이라 함은 제어 모듈(261)이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대한 다른 기능 예컨데 수정하거나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모든 명령을 포괄하는 의미임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 모듈(261)은 단계(S27, S29, S30)의 수행 후에 사용자로부터 도 13의 모드 즉 래치 메모리(264)내 정보의 전송, 편집 등의 과정을 종료하라는 종료 명령이 제공되는가를 판단하여(S31), 종료 명령이 제공되면 모든 과정을 종료하나, 종료 명령이 제공되지 않으면 단계(S22)로 귀환하여 상술한 과정을 연속하여 되풀이 할 것이다.
도 14에는 상술한 베이스 스테이션을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가 구현된 오디오 콤포넌트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라디오를 청취하는 중 표시부(268)의 "데이터 수신 중" 표시를 보거나 스피커의 삑소리(Beep sound)를 인식해 현재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알 수 있다. 도15a에서 상기 정보가 수신될 때의 표시부(268)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래치 메모리 저장" 버튼은 눌러 플로우 메모리(263)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할 수 있다. 도15b에 이러한 경우의 표시부(268)를 예시하였다.
사용자는 라디오 방송의 청취 도중에 "메모리 내용 보기" 버튼을 눌러 플로우 메모리(263)와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내용을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15c에 이러한 경우의 표시부(268)를 예시하였다.
사용자가 플로우 메모리(263) 또는 래치 메모리(264)에 저장된 정보를 화살표 키와 "선택"버튼을 눌러 정보를 선택하여 삭제 또는 수정 등의 정보 가공을 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정보는 반전하여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선택된 정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5d에서는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선택하여 삭제 또는 수정 등 정보를 가공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모리 모듈(262)에 저장된 정보를 선택한 후 "외부 전송" 버튼을 눌러 상기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15e에 정보를 선택한 후 "외부 전송" 버튼을 눌러 상기 정보를 외부 접속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외부 접속 장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26)으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제공되며, 외부 접속 장치는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존재하는 소정 착신자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6에는 이러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26)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라디오(100)는 외부 접속 장치(300)와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접속 장치(300)와의 접속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통신 연결부(266) 또는 송수신 모듈(267,268)을 통하여 수행된다. 즉 베이스 스테이션(26)과 외부 접속 장치(300)간의 연결은 외부 통신 연결부(266)를 통한 케이블 연결, 착탈식 연결, 버스를 통한 연결을 채용할 수 있으며, 송수신 모듈(267,269)을 통한 연결은 IrDA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광 매체 사용, 블루투스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RF 매체 방식을 채용할 수 도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26)으로부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접속 장치(300)는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과 접속할 수 있는 장치면 어느 장치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메타 정보가 인터넷 망의 URL에 관한 것이면 외부 접속 장치(300)는 인터넷 망과의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메타 정보가 일반 전화망과의 통신이 가능한 전화 번호라면 전화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일반 유/무선 전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이 수신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모빌 유닛(400)으로 전달하고, 차후에 외부 접속 장치에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외부 접속 장치(300)로 하여금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게 할 수 있으며, 도 18과 같이 접속 모듈을 구비한 모빌 유닛(400)을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직접 접속도 가능하다. 모빌 유닛(400)은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전송 받아 외부 접속 장치(300)로 전송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중계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대한 접속 모듈이 있다면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과의 직접 접속도 가능하다. 이러한 모빌 유닛(4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 번호 제 10-2000-0067247호의 "데이터 또는 음성 네트웍 접속 장치 및 방법"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모빌 유닛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모빌 유닛(400)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를 장착한 라디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도 구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모빌 유닛(400)의 블록도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빌 유닛(400)은 제어 모듈(401), 송수신 모듈(402), 사용자 입력부(403), 표시부(404), 외부 통신 연결부(405), 저장모듈(406) 및 접속 모듈(407)을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403)는 모빌 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작동 키 외에 상술한 베이스 스테이션(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키들을 구비한다. 모빌 유닛(400)의 작동을 위한 키의 예로서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선택 키, 취소 키, 검색용 키 등을 들 수 있으며, 베이스 스테이션(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키의 예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요청 키, 선택 키, 취소 키, 저장 키, 검색용 키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빌 유닛(400)의 작동 키와 베이스 스테이션(26)의 작동 키들은 상호 중복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복되는 키들을 각각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키로만 구성하고, 모드 선택키 즉, 모빌 유닛 모드와 원격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키를 구성하고, 이 모드 선택 키에 의하여 해당 작동 키가 모빌 유닛(400)용으로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26)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용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어 모듈(401)은 모빌 유닛(4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 부분으로 통상 CPU, 메모리, I/O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면 EEPROM, 프레쉬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406)도 추가될 수 있다. 제어 모듈(401)의 하드웨어적 구성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어 모듈(401)은 송수신 모듈(402) 또는 외부 외부 통신 연결부(405)를 통하여 외부 기기 예컨데 본 발명의 베이스 스테이션(26)과의 접속이 가능하며, 베이스 스테이션(26)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즉,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저장 모듈(406)내에 저장하거나, 표시부(40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01)은 저장 모듈(406)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403)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추출하여 표시부(404)에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404)에 표시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403)로부터의 전송 명령에 따라 송수신 모듈(402) 또는 외부 통신 연결부(405)를 통하여 외부 접속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01)은 접속 모듈(407)을 통하여 직접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착신자와의 통신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모듈(4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모드 선택 키를 이용하여 리모콘 모드를 설정한 후에 사용자 입력부(403)의 소정 작동 키를 구동시키면, 제어 모듈(401)은 구동된 작동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송수신 모듈(402)을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26)의 수신 모듈(267)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빌 유닛(400)을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빌 유닛(400)의 사용자 입력부(403)에는 베이스 스테이션(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작동 키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모빌 유닛(400)을 리모콘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장치들간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기본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있다.
라디오 -> 베이스 스테이션 -> 모빌 유닛 ->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라디오 -> 베이스 스테이션 -> 모빌 유닛 -> 외부 접속 장치 ->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라디오 -> 베이스 스테이션 -> 외부 접속 장치 ->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이러한 방법들 외에도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베이스 스테이션(26)에서 복수 개의 모빌 유닛들과 복수개의 외부 접속 장치(300)를 거쳐서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에 이용될 수 있다.
모빌 유닛(400) 및 외부 접속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여 메타 정보가 지시하는 소정의 착신자와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착신자와의 통신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거나, 상품을 구매하는 등의 활동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각 장치(즉, 라디오, 베이스 스테이션, 외부 접속 장치/모빌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연결되었으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모듈(110)을 더 구성함으로써 다른 외부 접속 장치(300) 및 모빌 유닛(400)을 거치지 않고 접속 모듈(110)을 이용하여 바로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 모듈(110) 및 베이스 스테이션(26)을 갖는 라디오의 개략 블록도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외관이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접속 모듈(110)을 이용한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과의 통신을 통하여 소정 착신자와 접속 후에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65) 또는 기타 외부 장치를 통하여 착신자에 대하여 소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접속 모듈(110)을 통하여 제공되는별도의 정보는 표시부(268)를 통하여 저장하거나, 메모리 모듈(262)내에 저장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의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표시부, 사용자 입력부 등은 접속 모듈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1 및 22의 경우에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이 인터넷 망 등 데이터 망인 경우이며, 음성 망 즉 유/무선 전화망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신자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화기 회로가 내장되어야 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음성/음향 정보 외에 음성/음향 정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의 착신자 주소를 갖는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며, 라디오 방송 수신자는 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와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9)

  1. 라디오 방송국에 있어서,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내 소정 착신 주소 정보인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제공부와;
    상기 음성/음향 컨텐츠 제공부의 음성/음향 정보에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합성 및 송신부를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에는 방송과 관계되는 방송 정보와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갖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선두 및 후미에는 기 설정된 식별자가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DS(Radio Data System) 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T(Radio Text)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T로 전송 가능한 개수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분할 정보의 선두에는 전송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가 부가되며, 상기 선미에 부가되는 순서 표시자는 뒤이어 전송되는 분할 정보의 선두에 붙는 순서 표시자가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ODA(Open Data Application)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TDC로 전송 가능한 개수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분할 정보의 선두에는 전송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가 부가되며, 상기 선미에 부가되는 순서 표시자는 뒤이어 전송되는 분할 정보의 선두에 붙는 순서 표시자가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BDS(Radio Broadcast Data System)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T(Radio Text)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RT로 전송 가능한 개수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분할 정보의 선두에는 전송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가 부가되며, 상기 선미에 부가되는 순서 표시자는 뒤이어 전송되는 분할 정보의 선두에 붙는 순서 표시자가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ODA(Open Data Application)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TDC로 전송 가능한 개수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분할 정보의 선두에는 전송 순서를 알리는 순서 표시자가 부가되며, 상기 선미에 부가되는 순서 표시자는 뒤이어 전송되는 분할 정보의 선두에 붙는 순서 표시자가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DARC(Data Radio Channel) 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19. 라디오 방송 방법에 있어서,
    음성/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 내 소정 착신 주소 정보인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음성/음향 정보에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에는 방송과 관계되는 방송 정보와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갖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의 선두 및 후미에는 기 설정된 식별자가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신 장치.
  24.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에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선국 및 복조부와;
    상기 선국 및 복조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25.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에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선국 및 복조부와;
    상기 선국 및 복조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주소를 갖는 착신자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접속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26. 제 24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에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 접속 장치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통신 연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 접속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 연결부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선두 및 선미에 붙는 식별자로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저장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 연결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은,
    플로우 메모리와;
    래치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플로우 메모리에 제공하고, 상기 플로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래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URL을 통하여 인터넷의 소정 착신자와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망의 소정 착신자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라디오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컴퓨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핸드 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0.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PDA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유선 전화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2.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접속 모듈을 내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URL을 통하여 인터넷의 소정 착신자와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망의 소정 착신자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라디오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8.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컴퓨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49.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핸드 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50.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PDA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51.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장치는 유선 전화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가 정보 수신 장치.
  52.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가 음향/음성 정보와 합성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를 선국 및 복조하는 단계와;
    선국 및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검출하여 복호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의 소정 착신자와 접속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방법.
  54. 제 52 항 또는 5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의 소정 착신자와 접속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한 소정 착신자와의 접속은 소정의 외부 접속 장치를 통하여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방법.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한 소정 착신자와의 접속은 소정의 모빌 유닛을 통하여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수신 방법.
  57. 원격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모빌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 모듈과;
    작동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을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모빌 유닛.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유닛.
  59. 제 57 항 또는 58 항에 있어서,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 가능한 접속 모듈(407)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의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모듈로 상기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과의 통신이 가능한 모빌 유닛.
  60. 제 59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모빌 유닛용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에 따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유닛.
  61. 제 60 항에 있어서,
    외부 통신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외부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유닛.
  62. 제 61 항에 있어서,
    저장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 모듈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유닛.
  63.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수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 연결부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4.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수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주소를 갖는 착신자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접속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5. 제 63 또는 6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내에는 메타 정보 파라메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 접속 장치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통신 연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외부 접속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8.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는 선두 및 선미에 붙는 식별자로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9. 제 68 항에 있어서,
    저장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 연결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은,
    플로우 메모리와;
    래치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데이터 디코더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상기 플로우 메모리에 제공하고, 상기 플로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들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래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2.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URL을 통하여 인터넷의 소정 착신자와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3.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망의 소정 착신자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5.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라디오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6.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컴퓨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7.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핸드 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8.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PDA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79.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유선 전화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0.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접속 모듈을 내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URL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URL을 통하여 인터넷의 소정 착신자와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3.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전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장치는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망의 소정 착신자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5.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라디오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6.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컴퓨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7.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핸드 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8.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PDA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89.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유선 전화기 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KR1020000080196A 2000-12-22 2000-12-22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KR20020050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196A KR20020050906A (ko) 2000-12-22 2000-12-22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196A KR20020050906A (ko) 2000-12-22 2000-12-22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06A true KR20020050906A (ko) 2002-06-28

Family

ID=2768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196A KR20020050906A (ko) 2000-12-22 2000-12-22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3066A1 (en) * 2005-02-07 2006-08-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symbolic music of traditional music, and apparatus for coding/decod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same
KR100869154B1 (ko) * 2007-07-31 2008-11-25 최승필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195A (ja) * 1995-03-24 1996-10-11 Clarion Co Ltd 多重放送用受信装置
JPH10116237A (ja) * 1996-08-08 1998-05-06 Fujitsu Ltd 情報収集装置、受信情報処理装置、情報送信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00021018A (ko) * 1998-09-25 2000-04-15 이득렬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수신 모듈 내장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0063415A (ko) * 1999-12-22 2001-07-09 노성대 에프엠 부가 방송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195A (ja) * 1995-03-24 1996-10-11 Clarion Co Ltd 多重放送用受信装置
JPH10116237A (ja) * 1996-08-08 1998-05-06 Fujitsu Ltd 情報収集装置、受信情報処理装置、情報送信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00021018A (ko) * 1998-09-25 2000-04-15 이득렬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수신 모듈 내장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0063415A (ko) * 1999-12-22 2001-07-09 노성대 에프엠 부가 방송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3066A1 (en) * 2005-02-07 2006-08-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symbolic music of traditional music, and apparatus for coding/decod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same
KR100869154B1 (ko) * 2007-07-31 2008-11-25 최승필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138B2 (en) Process for transmitting messages by digital sound broadcasting and receiver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JP2005506763A (ja) サービスデータ配信システム
KR20030093225A (ko) 와이어리스 음악 및 데이터 트랜시버 시스템
WO2003009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multimedia data with analog broadcast data.
JPH1055656A (ja) 受信情報記録システム
WO2005069569A1 (en) Program and data alerts and auxiliary datastreams in a multichannel broadcast system
KR20100014821A (ko) 음악 인식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3204282B2 (ja) 受信機
JPH1155203A (ja) 送受信システム
US20030033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broadcast synchronized data triggers
JP2002199343A (ja) デジタル放送情報を受信、再生可能な受信装置
JP3716872B2 (ja) 受信機
US20060002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KR20020050906A (ko) 메타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모빌 유닛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JP4106309B2 (ja) オーディオ放送受信装置
KR10060402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저장과 이용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292042B1 (ko) 방송시스템및그방법
JPH10209983A (ja) Dab受信機の自動録音/再生装置
EP0865175A2 (en) Radio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trnsmission systyms such as Digital Audio Broadcast (DAB) and Radio Data System (RDS)
JPH08331068A (ja) 受信機
US20060166617A1 (en) Broadcast data processing
JP2005215304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JP313583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6195538B1 (en) Receiver for receiving text-based multiplex broadcasts and storing text-based data
EP0833468B1 (en) Receiver for receiving mulliplexed broadcast programmes, comprising audio data and supplementary broadcas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