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744A -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744A
KR20020050744A KR1020010082433A KR20010082433A KR20020050744A KR 20020050744 A KR20020050744 A KR 20020050744A KR 1020010082433 A KR1020010082433 A KR 1020010082433A KR 20010082433 A KR20010082433 A KR 20010082433A KR 20020050744 A KR20020050744 A KR 2002005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ne
molding
molding composition
polyamid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450B1 (ko
Inventor
힘멜만마르틴
바르츠빌프리트
바우만프란츠-에리히
슈미츠귀도
오엔브링크게오르크
헤거하랄트
리히터랄프
Original Assignee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Publication of KR2002005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8Polyamid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28Next to second layer of polyamide
    • Y10T428/31732At least one layer is nylon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원자를 4개 이상 갖는 폴리아민 0.05 내지 2.5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 50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250℃ 및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가 5000Pa·s 이상이며,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와 100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를 서로 비교하는 경우, 250℃에서의 점도비가 7 이상인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당해 성형 조성물은 용융 강성이 높고, 절단하기가 용이하며, 취입 성형에서 널리 사용된다.

Description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Molding composition with good capability for blow molding}
본 발명은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고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및 당해 성형 조성물을 취입 성형하여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취입 성형방법은 통상적으로 중공품(예: 병, 탱크, 튜빙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한다. 전통적인 압출 취입 성형법에서는, "파리손(parison)"을 수직으로 하향 압출하고, 일단 충분한 길이에 이르면, 공기를 주입하여 금형 내에서 조형하여 완성품을 수득한다. 보다 최근에는 기계공학에서의 발전으로, 취입 성형법의 다른 변형법, 예를 들면, 적합한 취급 단위를 사용하여 파리손을 3차원 공동에 위치시키는, 3D 취입 성형이 유도되었다. 언급되어야 하는 또다른 변형법은 파리손을 밀폐된 공동으로 흡인시키는 흡인 취입 성형법이다. 다음의 문헌을 통상적인 취입 성형방법에 관하여 인용할 수 있다:
- F. Hensen, W. Knappe, H. Potente (ed.), Handbuch der Kunststoff-Extrusionstechnik II/Extrusionsanlagen [Handbook of Plastics extrusion technology II/extrusion systems],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86, Chapter 12,
- F. Schuller, Plastverarbeiter, Volume 49, No. 7, pp. 56-59
- W. Daubenbuchel, Kunststoffe82(1992), pp. 201-206(동시압출 취입 성형법에 대한 문헌임)
모든 취입 성형 변형법의 일반적인 특성은 예를 들면, 중력으로 인한 파리손 인락(drawdown)을 최소화시키는 데 높은 용융 강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폴리아미드의 경우, 합당한 용융 점도에서 하부의 성형 조성물에 충분히 높은 용융 강성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 큰 금형의 경우, 불가능하다. 여기서 또 다른 문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는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절단하기 더욱 곤란하다는 점이다. 이는 절단 또는 파괴법이 "플래쉬(flash)"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주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 강성이 높고 취입 성형 적용에 적합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과 비교하여 절단하기가 더 용이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지된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당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숙련가에게 절대 명백하지 않다.
폴리아민과 폴리아미드를 기본으로 한 분지된 공중합체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코어 분자로서 폴리에틸렌이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덴드리머의 존재하에 카프로락탐을 양이온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참조: J.M. Warakomski, Chem. Mater, 1992, 4, 1000 - 1004]. 선형 나일론-6과 비교하여, 이러한 유형의 나일론-6 덴드리머는 현저히 감소된 용융 점도 및 용액 점도를 갖지만, 인장 강도, 강성, 융점, 용융 엔탈피 및 산소 차단 작용은 그대로이다.
폴리비닐아민과 폴리아미드를 기본으로 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2,615,863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442,975호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의 존재하에 락탐을 중합시켜 제조한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 15 772호에는 폴리이민-폴리아미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부터 및 폴리올레핀 및/또는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블렌드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을 가공하여 염색하기 용이한 섬유를 수득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6 54 179호에는 락탐과 각각 아미노카복실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삼관능가 아민으로부터 및 이관능가 카복실산과 일관능가 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한 H형 폴리아미드(여기서, 뒤의 두 물질 사이와 이들과 하나 이상의 삼관능가 아민의 관능 그룹 사이에는 특정한 비가 존재한다)가 기재되어 있다. 제품은 개선된 용융 안정성을 갖는다.
제WO 96/35739호에는 추가로 용융 점도가 전단 속도에 조금밖에 의존하지 않는 특정한 스타(star) 형상의 분지된 폴리아미드가 기재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선행 기술 문헌이 아닌 독일 특허원 제100 05 640.7호 및 제100 05 639.3호에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공중합체의 유동성이 일반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은 언급된 선행 기술분야로부터 명백하다.
놀랍게도,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 50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질소원자를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1개 이상 갖는 폴리아민(a) 0.05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중량%와,
락탐, ω-아미노카복실산 및/또는 디아민과 디카복실산과의 등몰량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 형성 단량체(b)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성형 조성물에 의해 언급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 250℃ 및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가 5000Pa·s 이상이고,
-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와 100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를 서로 비교하는 경우, 250℃에서의 점도비가 7 이상이다.
폴리아민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종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덴드리머, 예를 들면, ((H2N-(CH2)3)2N-(CH2)3)2-N(CH2)2-N((CH2)2-N((CH2)3-NH2)2)2(독일 특허원 제196 54 179호) 또는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N',N'-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1,2-에탄디아민, 3,15-비스(2-아미노에틸)-6,12-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9-[2-비스[2-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3,6,9,12,15-펜타아자헵타데칸-1,17-디아민(참조: J.M. Warakomski, Chem. Mat. 1992, 4, 1000-1004),
- 아지리딘을 중합시켜 수득할 수 있고(참조: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 E20, pp. 1482-1487,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87) 일반적으로 아미노 그룹의 분포가 1급 아미노 그룹 25 내지 46%, 2급 아미노 그룹 30 내지 45% 및 3급 아미노 그룹 16 내지 40%인, 분지된 폴리에틸렌이민.
바람직한 경우, 폴리아민의 수 평균 몰량 Mn은 146g/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g/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g/mol 이상, 20000g/mol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g/mol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g/mol 이하이다.
폴리아미드 형성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락탐 및 각각의 ω-아미노카복실산은 탄소수가 4 내지 19, 특히 6 내지 12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ε-카프로락탐, ε-아미노카프로산, 카프릴로락탐, ω-아미노카프릴산, 라우로락탐, ω-아미노도데칸산 및/또는 ω-아미노운데칸산을 사용한다.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배합물의 예는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프산, 헥사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 옥타메틸렌디아민/세박산, 데카메틸렌디아민/세박산,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 도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 및 도데카메틸렌디아민/2,6-나프탈렌디카복실산이다. 그러나, 이들 외에도, 다른 배합물, 예를 들면,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테레프탈산,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프산/테레프탈산,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프산/카프로락탐,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ω-아미노운데칸산, 데카메틸렌디아민/도데칸디오산/라우로락탐, 데카메틸렌디아민/테레프탈산/라우로락탐 또는 도데카메틸렌디아민/2,6-나프탈렌디카복실산/라우로락탐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는 각각의 경우 폴리아미드 형성 단량체(b)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디카복실산 0.01 내지 약 0.5mol% 및 트리카복실산 0.01 내지 약 0.2mol% 중에서 선택된 올리고카복실산을 추가로 사용하여 제조한다.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의 등량 배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 비율의 계산은 이들 단량체 각각을 개별적으로 포함한다. 올리고카복실산을 부수적으로 사용하면 레올로지 특성 뿐만 아니라 용매 및 연료에 대한 내성, 특히 내가수분해성 및 가알콜분해 내성, 및 응력-균열 내성도 현저히 개선시키고, 또한 팽창 성능 및 이와 관련된 치수 안정성 및 확산-차단 작용도 현저히 개선시킨다.
사용되는 올리고카복실산은 탄소수 6 내지 24의 어떠한 목적하는 디- 또는 트리카복실산이라도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디오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사이클로헥산-1,4-디카복실산, 트리메스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조절제는 탄소수 3 내지 50의 지방족, 지환족,방향족, 아랄사이클릭 및/또는 알킬아릴 치환된 모노카복실산, 예를 들면, 라우르산, 불포화 지방산, 아크릴산 또는 벤조산이다. 이들 조절제를 사용하면 분자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아미노 그룹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당해 방법으로는 또한 관능 그룹, 예를 들면,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 등을 도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는 다양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락탐 및 각각, ω-아미노카복실산 및 폴리아민을 함께 충전시키고, 중합을 수행하거나, 각각, 중축합을 수행하는 것이다. 올리코카복실산은 반응의 출발시 또는 반응 동안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은 우선 락탐 분해(cleavage) 및 예비중합을 물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2단계 공정(또 다른 방법은 직접 사용하거나 상응하는 ω-아미노카복실산 또는 각각의 디아민 및 디카복실산을 예비중합하는 방법)이다. 폴리아민은 제2 단계에서 계량 투입하고, 적합한 경우, 부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올리고카복실산을 예비중합 동안 또는 후에 계량 투입한다. 이어서, 혼합물에 가한 압력을 200 내지 290℃의 온도에서 감소시키고 질소 스트림에서 또는 진공하에 중축합시킨다.
또 다른 바람직한 방법은 폴리아미드를 가수분해하여 초기중합체를 제공하고 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폴리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는 말단 그룹 차이가 거의 0인 것이거나, 부수적으로 사용되는 올리고카복실산이, 적합한 경우, 중축합에 의해 미리 혼입된 것이다. 그러나, 올리고카복실산을 분해 반응 초기에 또는 분해 반응 동안 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초고도로 분지되고 산가가 40mmol/kg 미만, 바람직하게는 20mmol/kg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mmol/kg 미만인 폴리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200 내지 29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정도로 적은 반응 시간 후에 거의 완전한 전환이 달성된다.
필요한 경우, 다수 시간 동안 지속되는 진공 단계가 공정의 또 다른 단계로서 부가된다. 이러한 단계는 200 내지 290℃에서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6시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상 소요된다. 다수 시간의 유도 기간 후에, 용융 점도 증가가 관찰되며, 이는 말단 아미노 그룹 서로와의 반응으로 암모니아가 제거되고 쇄 결합된 것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반응을 용융 상태로 완료시키는 것을 바라지 않는 경우, 선행 기술에 따르는 초고도로 분지된 폴리아미드의 고체상 후축합도 가능하다.
250℃에서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7000Pa·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00Pa·s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00Pa·s 이상이다. ASTM D4440-93에 따르는 콘 앤드 플레이트 점도계(cone-and-plate viscometer)에서 측정한다.
0.1 1/s의 전단 속도 및 100 1/s의 전단 속도에서 250℃에서의 용융 점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점도비는 바람직하게는 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이는 첫번째로 폴리아민의 특성 및 양을 통해 영향받을 수 있고, 두번째로 올리고카복실산의 어떠한 부수적인 사용을 통해서 영향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규칙은점도비가 더 높을수록 코폴리아미드는 더욱 분지된다는 것이다.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외에, 성형 조성물은
- 폴리아미드의 통상적인 충격 개질제,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특히, EPM 또는 EPDM)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특히, SEBS)(여기서, 이들 경우 모두, 충격 개질제는 관능 그룹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 성분으로서 무수물 또는 올레핀계 불포화 무수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기타 α-올레핀-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 기타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예들 들면, PA6, PA11, PA12, PA612, PA1010, PA1012, PA1212, PA6,3T 또는 당해 중합체를 기본으로 한 코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2,6-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2,6-나프탈레이트 또는 당해 중합체를 기본으로 한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플루오로중합체,
- 충전제 및 안료,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탈크, 황화아연, 실리케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박리 또는 삽입시킨 필로실리케이트,
- 강화재,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휘스커(whisker) 또는 나노튜브, 예를 들면, 탄소계 나노튜브,
- 성형 조성물에 대전방지 특성 또는 전기 전도성을 제공하는 첨가제, 예를들면, 탄소 섬유, 흑연 피브릴, 스테인레스 강 섬유 또는 전도성 블랙,
- 난연제, 예를 들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인 함유 난연제, 브롭화 방향족 화합물 및 브롬화 폴리스티렌 또는 브롬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물질,
-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왁스,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또는 성핵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총 약 50% 이하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용융 강성이 높고, 따라서 취입 성형하기에 용이하다. 플래쉬는 절단 또는 파괴법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형 조성물은 거의 통상적인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에 의해 획득된 수준에서도 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하다.
통상적인 취입 성형법 이외에 성형 조성물을 가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3D 취입 성형법, 예를 들면, 파리손을 반쯤 개방된 금형으로 압출시키는 방법, 3D 파리손 조작 또는 3D 흡인 취입 성형 또는 후속적인 취입 성형으로 경연질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기타 취입 성형법이다.
성형 조성물을 가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방법은 2층 이상의 복합체를 제공하는 동시압출 취입 성형법, 동시압출 3D 취입 성형법, 동시압출 흡인 취입 성형법 등이다.
제조된 금형은 특히 모터 비히클 부문에서 또는 자동차 부품으로서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액체 또는 기체용 컨테이너 또는 라인으로서, 기타 우수한 저온 충격 강도와 함께 우수한 내약품성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는 금형으로서 사용된다.이들 용도의 예로는 탱크, 탱크 충전 파이프, 냉각제 유체 라인, 연료 라인, 증기 라인(즉, 연료 증기를 운반하는 라인), 팽창 탱크, 냉각 시스템, 공기 흡수 튜브, 축 슬리브 또는 저장소가 있다.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이들 금형은 또한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EVOH계 또는 플루오로중합체계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연료 부품 차단층(fuel-component-barrier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 또는 기타 중합체를 기본으로 한 전기 전도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금형은 또한 개별층으로서 또는 블렌드 성분으로서 분쇄재생재료(regrin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물질은 다음과 같다:
VESTAMIDZA 7340: 상대 용액 점도 ηrel이 2.1이고 용융 강성이 개선된 고비점 DEGUSSA-HULS AG PA12.
폴리아민-PA12 공중합체: 라우로락탐 49.75kg을 가열 용기 속에서 180 내지 210℃에서 용융시킨 다음, 압력 밀착 반응 용기로 옮긴다. 이어서, 수중 H3PO250% 농도 용액 5.7g과 물 2.5kg을 가하고, 혼합물을 280℃로 가열한다. 여기서 라우로락탐 분해를 자연발생압하에 수행한다. 이어서, 압력을 수증기압 10bar로 감압시킨 다음, LUPASOLG100(BASF AG 폴리에틸렌이민) 0.250kg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자연발생압하에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물에 가한 압력을 대기압으로 감압시킨 후, 질소 스트림하에 2시간 동안 중축합시킨다.
투명한 용융물을 용융 펌프를 통하여 배출하고, 수욕에서 냉각시키고, 펠릿화하고 증발시킨 다음, 160℃의 온도에서 질소 스트림하에 고체 상으로 후축합시킨다.
결정화 융점 Tm: 175℃
ηrel: 2.2
아미노 그룹의 농도: 90mmol/kg
말단 카복실 그룹의 농도: 20mmol/kg
250℃에서 기계적 레오미터(콘 앤드 플레이트)로 측정한, 사용된 성형 조성물의 용융 점도
0.1 1/s에서의 점도[Pa·s] 100 1/s에서의 점도[Pa·s] 점도비
VESTAMIDZA 7340 6200 1700 3.6
폴리아민-PA12 공중합체 79000 2600 30
표 1의 결과로부터 0.1 1/s의 전단 속도(압출 다이 외부의 파리손에 대해 거의 전형적임)에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 점도가 VESTAMIDZA 7340의 점도보다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100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압출 다이 내부의 용융물에 대해 거의 전형적임)는 1.5배 높을 뿐이다.
실시예:
0.5ℓ 용적의 병을 크룹프 코텍스 모델(Krupp Kautex model) KEW 401에서 제조한다.
공정은 차례로 다음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파리손을 압출시킴,
- 금형으로 파리손을 전진시키고 에워쌈,
- 초퍼로 파리손을 절단함,
- 취입 맨드럴을 수직으로 금형으로 도입함,
- 취입 공정
- 금형을 개방 및 방출함.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분명한 우월성이 여기서 보여진다. VESTAMIDZA 7340을 사용하면, 파리손이 자체 무게하에 늘어지고, 절단하면 나이프 위에 성형 조성물의 잔사가 남지만(이는 병의 목의 불완전한 성형을 유도함),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는다.

Claims (12)

  1.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 50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질소원자를 4개 이상 갖는 폴리아민(a) 0.05 내지 2.5중량%와 락탐, ω-아미노카복실산 및/또는 디아민과 디카복실산과의 등몰량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 형성 단량체(b)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 조성물로서,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가 250℃ 및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가 5000Pa·s 이상이고, 0.1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와 100 1/s의 전단 속도에서의 용융 점도를 서로 비교하는 경우, 250℃에서의 점도비가 7 이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민이 덴드리머 또는 분지된 폴리에틸렌이민인 성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민-폴리아미드 공중합체가, 각각의 경우, 폴리아미드 형성 단량체(b)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디카복실산 0.01 내지 0.5mol% 및 트리카복실산 0.01 내지 0.2mol%로부터 선택된 올리고카복실산을 추가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성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비가 250℃에서 9 이상인 성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비가 250℃에서 12 이상인 성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의 취입 성형에서의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취입 성형이 통상적인 취입 성형, 3D 취입 성형 또는 순차적 취입 성형인 용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취입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로 전체적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2층 이상 중의 한 층으로서 당해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취입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연료 부품 차단층을 포함하는 취입 성형품.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취입 성형품.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재생재료를 개별층으로서 또는 블렌드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취입 성형품.
KR1020010082433A 2000-12-21 2001-12-21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KR100810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4338.8 2000-12-21
DE10064338A DE10064338A1 (de) 2000-12-21 2000-12-21 Formmasse mit guter Blasformbark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744A true KR20020050744A (ko) 2002-06-27
KR100810450B1 KR100810450B1 (ko) 2008-03-07

Family

ID=766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33A KR100810450B1 (ko) 2000-12-21 2001-12-21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77015B2 (ko)
EP (1) EP1217041B1 (ko)
JP (1) JP3819288B2 (ko)
KR (1) KR100810450B1 (ko)
CN (1) CN1200975C (ko)
AT (1) ATE258962T1 (ko)
AU (1) AU9730501A (ko)
BR (1) BR0106238B1 (ko)
CA (1) CA2365809A1 (ko)
DE (2) DE10064338A1 (ko)
ES (1) ES2211718T3 (ko)
NO (1) NO20016311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06B1 (ko) * 2003-12-12 2012-03-13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열가소성 다층 복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4333A1 (de) * 2000-12-21 2002-06-27 Degussa Mehrschichtverbund mit einer EVOH-Schicht
DE10065177A1 (de) * 2000-12-23 2002-06-27 Degussa Mehrschichtverbund auf Polyamid/Polyolefin-Basis
US6908015B2 (en) 2001-10-09 2005-06-21 Camelbak Products, Llc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US7073688B2 (en) 2001-10-09 2006-07-11 Camelbak Products, Llc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US20060231561A1 (en) * 2001-10-09 2006-10-19 Robert Choi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FR2833015B1 (fr) * 2001-11-30 2005-01-14 Rhodia Eng Plastics Srl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a proprietes mecaniques ameliorees
DE10161038A1 (de) * 2001-12-12 2003-06-26 Degussa pH-Wert geregeltes Polyamidpulver für Kosmetikanwendungen
US7829622B2 (en) * 2002-06-19 2010-11-0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ethods of making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ES2298532T5 (es) * 2002-07-05 2012-01-10 Evonik Goldschmidt Gmbh Composiciones poliméricas a base de polímeros y líquidos iónicos.
DE10248406A1 (de) * 2002-10-17 2004-04-29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Titandioxidpartikel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US20040091651A1 (en) * 2002-11-01 2004-05-13 Mark Rule Pet copolymer composition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tch ratio, articles made therewith, and methods
DE10251790A1 (de) 2002-11-07 2004-05-19 Degussa Ag Polyamidpulver mit dauerhafter, gleichbleibend guter Rieselfähigkeit
ATE320465T1 (de) * 2002-11-28 2006-04-15 Degussa Laser-sinter-pulver mit metallseif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DE10311437A1 (de) * 2003-03-15 2004-09-23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PMMI, PMMA und/oder PMMI-PMMA-Copolymer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EP1459871B1 (de) * 2003-03-15 2011-04-0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Objekten mittels Mikrowellenstrahlung sowie dadurch hergestellter Formkörper
MXPA05012925A (es) * 2003-06-18 2006-02-28 Coca Cola Co Composicion de poliester para aplicaciones de llenado en caliente, recipientes hechos con la misma, y metodos.
DE10333005A1 (de) * 2003-07-18 2005-02-03 Degussa Ag Formmasse auf Basis von Polyetheramiden
DE10334497A1 (de) * 2003-07-29 2005-02-24 Degussa Ag Polymerpulver mit phosphonatbasierendem Flammschutzmitt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Polymerpulver
DE10334496A1 (de) * 2003-07-29 2005-02-24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einem Metallsalz und einem Fettsäurederiv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DE10337707A1 (de) * 2003-08-16 2005-04-07 Degussa Ag Verfahren zur Erhöhung des Molekulargewichts bei Polyamiden
US20050136205A1 (en) * 2003-12-12 2005-06-23 Georg Stoppelmann Thermoplastic multilayer composite
US20050153084A1 (en) * 2004-01-09 2005-07-14 Yu Shi PET with stress cracking resistance, preform and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method
DE102004029217A1 (de) * 2004-06-16 2006-01-05 Degussa Ag Mehrschichtfolie
DE102004036179A1 (de) * 2004-07-26 2006-03-23 Degussa Ag Kühlmittelleitung
DE102004047876A1 (de) * 2004-10-01 2006-04-06 Degussa Ag Pulver mit verbesserten Recyclingeigenschaft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Pulvers in einem Verfahren zur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Objekte
DE102004048776A1 (de) * 2004-10-07 2006-04-13 Degussa Ag Mehrschichtverbund mit EVOH-Schicht und Schutzschicht
DE102004048777A1 (de) 2004-10-07 2006-04-13 Degussa Ag Mehrschichtverbund mit Polyesterschicht und Schutzschicht
DE102004049653A1 (de) * 2004-10-11 2006-04-20 Degussa Ag Leitungssystem für Fluide und Gase in einer Brennstoffzelle
DE102004049652A1 (de) * 2004-10-11 2006-04-20 Degussa Ag Leitungssystem für Fluide und Gase in einer Brennstoffzelle
DE102004062761A1 (de) * 2004-12-21 2006-06-22 Degussa Ag Verwendung von Polyarylenetherketonpulver in einem dreidimensionalen pulverbasierenden werkzeuglosen Herstellverfahren, sowie daraus hergestellte Formteile
DE102004063220A1 (de) * 2004-12-29 2006-07-13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n
DE102005002930A1 (de) * 2005-01-21 2006-07-27 Degussa Ag Polymerpulver mit Polyamid, Verwendung in einem formgebenden Verfahren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Polymerpulver
DE102005007035A1 (de) * 2005-02-15 2006-08-17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unter Erhöhung der Schmelzesteifigkeit
DE102005007034A1 (de) * 2005-02-15 2006-08-17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unter Erhöhung der Schmelzesteifigkeit
DE102005007663A1 (de) 2005-02-19 2006-08-24 Degussa Ag Transparente, dekorierbare mehrschichtige Folie
DE102005008044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Polymerpulver mit Blockpolyetheramid, Verwendung in einem formgebenden Verfahren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Polymerpulver
DE102005007664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5007665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Folie auf Basis eines Polyamidblends
US7572493B2 (en) 2005-05-11 2009-08-11 The Coca-Cola Company Low IV pet based copolymer preform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cycle time,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methods
US7820257B2 (en) 2005-05-11 2010-10-26 The Coca-Cola Company Preforms for preparing lightweight stretch blow molded PET copolymer containe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DE102005031491A1 (de) 2005-07-04 2007-01-11 Degussa Ag Verwendung einer Polyamidformmasse mit hoher Schmelzesteifigkeit zur Coextrusion mit einem hochschmelzenden Polymer
DE102005033379A1 (de) 2005-07-16 2007-01-18 Degussa Ag Verwendung von cyclischen Oligomeren in einem formgebenden Verfahren und Formkörper, hergestellt nach diesem Verfahren
DE102005051126A1 (de) * 2005-10-26 2007-05-03 Degussa Gmbh Folie mit Deckschicht aus einer Polyamidzusammensetzung
WO2008082426A1 (en) * 2006-02-13 2008-07-10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ethods of making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DE102006011493A1 (de) * 2006-03-14 2007-09-20 Degussa Gmbh Druckluftbremsleitung
DE102006021779A1 (de) * 2006-05-09 2007-11-15 Degussa Gmbh Hyperverzweigte Polyureth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102006038108A1 (de) 2006-08-14 2008-02-21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s Formteils aus einer Polyamidformmasse als Inliner für eine Rohrleitung
DE102007058320A1 (de) * 2006-12-23 2008-06-26 Evonik Degussa Gmbh Membranen zur Trennung von Gasen
US20090017244A1 (en) * 2007-07-10 2009-01-15 Nicola Martino Nylon tubing constructions
DE102007040683A1 (de) 2007-08-29 2009-03-05 Evonik Degussa Gmbh Umhüllte Rohrleitung
DE102008001678A1 (de) * 2007-10-17 2009-04-23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r Polyamidformmasse zur Auskleidung von Rohrleitungen
WO2009126592A2 (en) * 2008-04-07 2009-10-15 Vorbeck Materials Corp. Fuel system components
CN102203166B (zh) * 2008-09-26 2014-12-24 罗地亚经营管理公司 增强聚酰胺组合物
DE102008044225A1 (de) * 2008-12-01 2010-06-0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rmmasse oder eines Formteils mit erhöhter Schmelzesteifigkeit
DE102009001001A1 (de) 2009-02-19 2010-09-02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s Leitungsrohrs zur Herstellung einer im Wasser verlegten Rohrleitung
US9469742B2 (en) * 2013-02-13 2016-10-18 Basf Se Polyamide composites containing graphene
EP2998339B1 (de) 2014-08-26 2019-01-30 Evonik Degussa GmbH Metallisches rohr mit einer hydrolysestabilisierten schicht aus einer polyamidformmasse
CN113166401A (zh) * 2018-12-10 2021-07-23 日本曹达株式会社 聚亚烷基亚胺改性的聚酰胺4
USD995208S1 (en) 2021-05-13 2023-08-15 Hydrapak Llc Beverage containe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5863A (en) 1950-09-29 1952-10-28 Wingfoot Corp Polymers
US3442975A (en) 1967-01-11 1969-05-06 Allied Chem Polyimine/polycarbonamide graft polymers
GB1210790A (en) 1968-04-01 1970-10-28 Allied Chem Fibrillatable filaments and bulk yarn of improved dyeability
NL8900001A (nl) 1989-01-02 1990-08-01 Stamicarbon Acyllactam functionele verbindingen en daarvan afgeleide polylactamblokcopolymeren.
BE1008134A3 (nl) 1994-03-16 1996-01-23 Dsm Nv Bereiding van stervormig vertakte polymeren.
WO1996035739A1 (en) 1995-05-03 1996-11-14 Dsm N.V. Star-shaped branched polyamide
CA2175609C (en) * 1995-05-12 2004-06-22 Hata, Nobuhiko Fuel tank
BE1010330A3 (nl) 1996-06-06 1998-06-02 Dsm Nv Vezels van sterk vertakt polyamide.
DE19654179A1 (de) 1996-12-23 1998-06-25 Basf Ag H-förmige Polyamide
US6077609A (en) * 1997-06-27 2000-06-20 Dyneon Llc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fluoropolymers and non-fluorinated polym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R2779730B1 (fr) 1998-06-11 2004-07-16 Nyltech Italia Polyamides a fluidite elev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comprenant ce copolyamide
DE19859929A1 (de) * 1998-12-23 2000-06-2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zweigten Polyamiden
EP1065048B1 (de) * 1999-06-29 2004-08-04 Degussa AG Mehrschichtverbu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06B1 (ko) * 2003-12-12 2012-03-13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열가소성 다층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12283A (ja) 2002-07-31
EP1217041B1 (de) 2004-02-04
NO20016311L (no) 2002-06-24
AU9730501A (en) 2002-06-27
US20020119267A1 (en) 2002-08-29
CN1200975C (zh) 2005-05-11
CN1359981A (zh) 2002-07-24
DE10064338A1 (de) 2002-06-27
BR0106238B1 (pt) 2010-08-24
ATE258962T1 (de) 2004-02-15
EP1217041A3 (de) 2002-07-10
KR100810450B1 (ko) 2008-03-07
DE50101434D1 (de) 2004-03-11
JP3819288B2 (ja) 2006-09-06
CA2365809A1 (en) 2002-06-21
US6677015B2 (en) 2004-01-13
NO20016311D0 (no) 2001-12-21
BR0106238A (pt) 2002-08-20
EP1217041A2 (de) 2002-06-26
ES2211718T3 (es) 200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450B1 (ko) 취입 성형능이 우수한 성형 조성물
KR100855888B1 (ko) Evoh 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합체
KR100818901B1 (ko) 자유 유동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US6783821B2 (en) Polyamide composite having two or more layers
EP1757636B1 (en) Polyamide resin and hinged molded articles
US6407182B1 (en) Free-flowing transparent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JP4595668B2 (ja) ポリアミド樹脂
JPWO2018003379A1 (ja) 熱溶解積層型3次元プリンタ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熱溶解積層型3次元プリンタ用フィラメント
EP2726537B1 (en) Branched polyamide with different blocks
KR102436751B1 (ko) 폴리아마이드 성형 조성물, 이로부터 수득되는 성형 부품, 및 이들의 용도
US6566486B1 (en) Method of producing branched polyamides
WO1988001283A1 (en) Aromatic polyamides and agents for imparting gas barrier properties to them
US20100282746A1 (en) Low Organic Vapor Permeation Resin Composition
CN109627756A (zh) 一种热水器内胆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96673A (ko) 높은 Tg를 가지는 MPMDT/XT 코폴리아미드를 기반으로 하는 배리어 구조
JP2004155994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H11514679A (ja) 分枝剤としてのポリ(メト)アクリル酸の使用
JPH1147569A (ja) ポリアミドからなるガス透過性材料
JPH0715062B2 (ja) ポリアミドフイルムまたは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