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127A -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127A
KR20020047127A KR1020027002355A KR20027002355A KR20020047127A KR 20020047127 A KR20020047127 A KR 20020047127A KR 1020027002355 A KR1020027002355 A KR 1020027002355A KR 20027002355 A KR20027002355 A KR 20027002355A KR 20020047127 A KR20020047127 A KR 2002004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ree
composition
ethanol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로르 소비에
제라드 바통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02004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며 폴리애시드의 에스테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화된 폴리애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조성물은 향수 또는 화장수와 같은 향수 조성물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Non-ethanolic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fluoro ether}
향수 제품(향수, 화장수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향수 농축액에 대한 용해제로 사용되는 알콜(에탄올)은 당업자들에게는 수 많은 문제를 야기시켜왔다. 때문에 이미 수년전부터 알콜을 첨가하는 대신 다른 용해제로 대체하는 향수 제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예로서, WO 99/18925와 US 5,468,725에서 서술하고 있는 바를 살펴보면, 알콜이 없는 향수 조성물과 각각 실리콘을 용해제로 사용한 것과 마이크로에멀젼 기술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두되는 문제 중의 하나는 향수의 농축 조성물에 대한 후각적 보존과 특히 사용된 용해제의 후각적 중화이다.
게다가, WO 99/11225는 피부에 사용되는 조성물들의 항독성과 화장품의 감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장 필수적인 성분인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적어도 1% 정도는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WO 99/26600에서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시 방향족 조성물을 용해하기위하여 플루오르화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3페이지 21 ~ 25 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매를 첨가할 가능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에탄올과 물 즉 다시 말해, 실제적으로 수용성-알콜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문헌에 나타난 실시예들은필수 오일을 용해하기위해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만을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상기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는 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methoxynonafluorobutane)으로서 MNFB으로 약칭하며, 실시예 1과 2에서는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ethoxynonafluorobutane)을 말하는 것이며 약자는 ENFB이고, 또한 실시예 3 내지 8에서는 프로폭시언디카플루오로펜탄(propoxyundecafluoropentane)이다.
그러나, 향수 조성물 즉 그러한 향수 조성물에 있어서 모든 구성성분들이 반드시 용해되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유한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 주 구성요소로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다른 구성성분들을 포함하여 유화제 혹은 계면활성제, 지방 에스테르 혹은 셀룰로우즈 유도체과 같은 다양한 성분들과 더불어 필수오일을 포함한 향수 농축액이 있다.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들이 실시된 견지에서, 출원인은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 플루오르화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가 향수 농축액을 자체적으로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향수 농축액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거나 전문업체에서 제조할 수 있는 것들로서 스위스의 GIVAUDAN, 스위스의 FIRMENICH 또는 미국의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IFF)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나, 모든 실험결과, 얻어낸 액체는 투명하지 않았고 명백하게 두 개의 층으로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향수 농축액를 완벽하게 용해하여 투명한 액체를 얻어, 특히 향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용액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새로운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 목적은 특히 우수한 품질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향수 농축액의 후각적 특징들을 중화시키거나 대체로 중화시키는 용해제의 도움으로 상기 향수 농축액을 용해할 수 있는 용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 목적은 에탄올 혹은 알콜이 없으며, 그것의 보조용매로써 물, 에탄올 혹은 혼합액을 사용하지 않는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새로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비에탄올성 플루오르화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와, 물과 알콜보다는 폴리애시드 에스테르(polyacid ester)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매(co-solvent)와 그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향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없는 향수 조성물로서 그 안의 모든 성분이 잘 섞여서 그 외양이 투명한 액체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고 있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놀랍게도, 보조용매로써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와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하여 향수 농축액을 거의 완전히 혹은 완전히 용해시켜 투명한 용액을 제공함으로써 고 품질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은 이미 공지되어있다. 더욱이, 역시 놀랍게도,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와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한 경우, 논의되고 있는 향수에 대한 후각적 중화 또는 반드시 중화되는 용해제를 형성함 역시 이미 공지되어 있다.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된 성분이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WO 99/11225에서 실시예로 나타난 바 있으며, CnHmFp-O-CxHyFz의 일반식을 가지며, 여기서 n은 1-12의 범위로 한정되며, m은 1-25의 범위로 한정되며, p는 0-11의 범위로 한정되며, m+p = 2n +1이고, x는 1-12로 한정되며, y는 0-25로 한정되며, z는 0-11로 한정되며, y+z = 2x +1이다. 이 공식에서, 화학식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 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m과 y는 동시에 0 일 수 없으며, p와 z는 동시에 0 일 수 없다.
상기 일반식을 갖는 어떤 플루오르화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화합물, 즉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프로폭시언디카플루오로펜탄이 WO 99/26600에 기술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메톡시헵타플루오로프로판(methoxynonafluorobutane) 역시 사용 가능하다.
상기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수화성 또는 비수화성 폴리애시드의 에스테르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30의 탄소원자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1-12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성 선상 또는 분지상 알콜, 특히 에탄올, 이소프로파놀 또는 2-에틸헥사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애시드는 3-10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폴리애시드의 탄소사슬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불포화단위로 선상 혹은 분지상 및 포화 혹은 불포화될 수 있다.
더욱이, 폴리애시드의 탄소사슬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산기 그룹으로 대체될 수 있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 그룹은 아세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비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들은 폴리애시드의 일부 혹은 전체가 에스테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애시드의 모든 산(acid) 그룹은 에스테르화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긴 탄소사슬을 갖는 그룹이 포함된 곳에서, 이들 사슬들은 2-에틸헥실 그룹의 경우에서처럼,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분지상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그룹은 에틸, 이소프로필 및 2-에틸헥실 그룹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애시드는 편의상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음과 같은 포화 이산(saturated diacids):
- 말론산
- 숙신산
-- 글루타르산
- 아디프산
- 피메르산(pimelic acid)
- 코르크산(suberic acid)
- 아젤라산(azelaic acid)
→ 다음과 같은 단일불포화 이산(monounstaturated diacid):
- 푸마르산
- 말레산
- 시트라콘산(citraconic acid, 분지상의 이산)
- 이타콘산(itaconic acid)
- 메사콘산(mesaconic acid)
→ 다음과 같은 이중불포화 이산(diunsaturated diacid):
- 뮤콘산(muconic acid)
→ 다음과 같은 단일수소화 이산(monohydroxzylated acid0:
- 타트론산(tartronic acid)
- 말산(malic acid)
- 시트라말산(citramalic acid)
→다음과 같은 이중수소화 이산(di수화된 diacid):
- 디하이드록시말레산(dihydroxymaleic acid)
- 타타르산(tartaric acid)
→ 다음과 같은 삼중수소화 이산(tetra수화된 diacid):
- 디하이드록시타타르산(dihydroxytartaric acid)
- 갈락타르산(galactaric acid)
- 글루카르산(glucaric acid)
→ 다음과 같은 케토 이산(keto diacid):
- 메소옥살산(mesoxalic acid)
- 옥살아세트산(oxalacetic acid)
- 2-옥소글루타르산(2-oxoglutaric acid)
- 3-옥소글루타르산(3-oxoglutaric acid0
→ 다음과 같은 이중케토 이산(diketo diacid):
- 2,3-디케토아디프산(2,3-adipic acid)
→ 다음과 같은 포화 삼산(saturated triacid):
- 트리카발릴산(tricarballylic acid)
- 시트르산(단일수소화 삼산)
→ 다음과 같은 불포화 삼산(unsturated triacid):
- 아코니트산(aconitic acid)
바람직한 폴리애시드는 시트르산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이다.
시트르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 2-에틸헥실 시트레이트(tri(2-ethylhexyl) citrate) 및 아세틸트리에틸(acetyltriethyl)이다. 상기 에스테르들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디프산 에스테르는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diisopropyl adipate, 주로 이소아디페이트로 불림)와 디 2-에틸헥실 아디페이트(di(2-ethylhexyl) adipate)이다. 이러한 에스테르들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과 관련한 폴리애시드 에스테르의 무게비는 향수의 후각적인 특징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키지 않는 한계의 범위 내에서는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의 무게당 0.1 - 30%를 차지할 수 있으며, 특히 1 - 20%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다른 어떤 보충성분, 특히 실리콘과 같은 이차 보조용매 혹은 피부상에 상기 조성물을 지속시켜주는 것과 같은 향수조성물의 특징들을 향상시켜주는 성분들 예를들어 디에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가 준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보조용매의 특성, 첨가물의 용해 및 지속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기때문에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의 비율은 최종 향수 조성물 무게에 따라 무게당 약 1 - 20%와 일치하도록 계산될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은 디메티콘(dimethicone) 또는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이며, 특히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펜타사이클로메티콘(pentacyclomethicone)이거나, 또는 WO 99/0601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오가노트리실릭산(organotrisilixane)으로서, 프랑스 로디아사에서 실라트라펜(SILATRAPHEN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휘발성 실리콘, 특히 미국 다우코닝사에 의하여 판매되는 DC200 Fluid 1 centiStockes 또는, 바람직하게는 DC200 Fluid 0.65 centiStocks과 같은 디메티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조성물은 또한 향수 또는 화장수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일반적인 첨가제 즉 예를들어 UV 필터, 항산화제,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충 첨가제들은 일반적으로 최종 조성물 무게의 2% 범위까지 첨가될 것이다.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는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을 무게당 퍼센트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65 - 85%
- 시트르산 트리에스테르(트리에틸 시트레이트와 같은)-----4 - 7%
- 이차 보조용매 혹은 용해제: 미국 다우코닝사의 DC200 Fluid 제품과 같은 실리콘 -----------------------------------------------8 - 16%
- 향수 농축액 -----------------------------------------5 - 20%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을 무게당 퍼센트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65 - 85%
- 향수 농축액 -----------------------------------------5 - 20%
- 이소-아디페이트(혹은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0 - 20%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나머지 부분을 만드는데 사용하지만, 후자는 상기 향수나 화장수의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다양한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이차 보조용매로 이소-아디페이트를 이용하거나 혹은 첨가제를 용해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시트레이트와 실리콘의 혼합물 혹은화합물을 이용하는 조성물보다 기름기가 덜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것은 당업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기술적으로 중요한 잇점인 것이다. 왜냐하면, 이소-아디페이트에 의한 조성물의 감촉이 화장수나 향수와 같은 종래의 알콜 향수 조성물보다 더 부드럽기 때문이다.
두번째 특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이, 특히 향수나 화장수와 같은 향수 조성물 제조시, 향수 농축액의 용해제로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폴리애시드 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함을 포함하고 있다.
세번째 특성에 따르면, 본원발명은 또한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로서 향수 농축액과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맑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향수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향수 조성물의 최종무게 중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 무게의 약 65% 내지 약85%를 포함할 것이다.
이 향수 조성물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향수 조성물의 최종무게 중 상기 폴리애시드 에스테르 무게의 약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를 포함할 것이다.
향수 조성물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향수 농축액 무게의 약 5% 내지 약 20%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화장수에 들어가는 향수 농축액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무게로 볼 때 화장수 최종무게 중 무게의 5%일 것이다. 향수에 들어가는 향수 농축액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최종 향수 조성물 무게의 10-20%일 것이다.
따라서, 향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수나 혹은 향수로 구성될 것이다.
물론, 두번째 특징을 적용하던지 혹은 세번째 특징을 적용하던지 간에, 첫번째 특징으로부터 여러가지 변형된 실시예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와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첫번째 특징의 구성안에서 정의된다. 이는 첫번째 특징의 구성 내에서 나타나거나 기술될 어떤 다른 보조성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의 구성에 있어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최종 조성물 무게중 향수 혹은 화장수와 같은 향수 조성물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첨가제, 예를들어 UV 필터, 항산화제, 염료 등을 무게의 2% 까지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공정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반 공정은 먼저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향수 농축액에 첨가하고나서, 어떠한 보조 화합물 특히 실리콘과 같은 이차 보조용매, 혹은 피부상에 조성물을 지속하도록 하는 등의 향수 조성물의 특징을 개선시키기 위한 성분,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한 프탈레이트, 어떠한 다른 첨가제, 특히 UV 필터, 항산화제 혹은 염료를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마지막으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첨가하여 제조법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양을 갖거나 혹은 순수한 용액으로 보이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와 화장수 조성물로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될 수 있겠다;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로써 간단하게 설명되므로 어떤식으로든 발명의범위를 한정지을 수는 없다. 만약 다른 방법으로 표시되지 않았다면, 실시예에 나와있는 퍼센트는 무게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본발명의 무에탄올이나 무알콜 향수 조성물
이 향수 조성물은 다음의 제조법을 가지고 있다.:
-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68%
-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8%
-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향수 농축액 ----------------20%
- 디에틸 프탈레이트 ------------------------------------4%
본 조성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향수 농축액에 첨가하고, 즉시 혼합한다.; 디에틸 프탈레이트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을 첨가한다.
에탄올이나 알콜 없이,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향수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양을 갖거나 혹은 순수 용액으로 보이며, 향수 농축액의 후각적 특징들은 계속 지속됨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본 향수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한다.:
- 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71%
-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6%
- 다우코닝사의 DC200 Fluid 0.65 cs와 같은 실리콘 -------8%
-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향수 농축액 ----------------15%
본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실리콘은 시트레이트 다음에 첨가된다.
다시, 본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양을 갖거나 순수 용액으로 보이며 향수의 후각적 특징들이 계속 지속됨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본 향수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한다.:
- 메톡시헵타플루오로프로판 -----------------------------75%
-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6%
- 디에틸 프탈레이트와 다우코닝사의 DC200 Fluid 1 cs와 같은
실리콘을 50:50 무게로 혼합한 혼합물 ------------------9%
-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향수 농축액 ----------------10%
혼합물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양을 갖거나 혹은 순수 용액으로 보이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로서 향수의 후각적 특징들이 지속됨을 볼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화장수 조성물
본 화장수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 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82%
-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3%
- 펜타사이클로메티콘 -----------------------------------10%
-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향수 농축액 ----------------5%
본 조성물은 앞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본 향수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성분을 가지며, 무게의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적절한 향수 농축액 ---------10
- 적절한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77
- 적절한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3
보조용매로써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를 사용하는 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시트레이트와 실리콘 혼합물을 이용한 조성물보다 기름기 감촉이 덜하며, 기대치 않았던 중요한 기술적인 잇점을 제공하는데, 상기 조성물의 감촉이 화장수와 같은 종래의 알콜 향수 조성물보다 더 부드럽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향수 혹은 화장수와 같은 향수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다른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UV 필터, 항산화제, 염료 등의 혼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충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최종 조성물 무게의 2%까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초로 향수 조성물 제조와 관련된 모든 기술적인 문제들을 만족스럽고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하였으며 특히,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을 최상의 품질로 개발하고, 특히 향수와 화장수를 제공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및 화장품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은 플루오르화된 성분이며, 특히 일반식은 CnHmFp-O-CxHyFz이며, 여기서 n은 1-12의 범위로 한정되며, m은 1-25의 범위로 한정되며, p는 0-11의 범위로 한정하며, m+p = 2n +1이고, x는 1-12로 한정되며, y는 0-2로 한정되며, z는 0-11로 한정되며, y+z = 2x +1이며, 여기서 m과 y는 동시에 0 일 수 없으며, p와 z는 동시에 0 일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3.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은 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methoxynonafluorobutane), 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ethoxynonafluoro-butane), 프로폭시언디카플루오로펜탄(propoxyundecafluoropentane)과 메톡시헵타플루오로프로판(methoxyheptafluoropropane)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4. 상기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수화되거나또는 비수화된 폴리애시드의 에스테르이고, 바람직하게는 1-30의 탄소원자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1-12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혹은 불포화성, 선상 혹은 분지상 알콜, 특히 에탄올, 이소프로파놀 혹은 2-에틸헥사놀(2-ethylhexano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5.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애시드는 3-10의 원자를 가지며 선상 혹은 분지상, 포화 혹은 불포화 탄소사슬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사슬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수산기 그룹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케톤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수산기 그룹은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6.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애시드는 제 4항에 기재된 알콜로 전체적으로 에스테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7.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애시드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메르산, 코르크산(suberic acid) 혹은 아젤라산과 같은 포화 이산(saturated diacid)이며, 푸마르산, 말레산, 시트라콘산(citraconic acid), 이타콘산 혹은 메사콘산과 같은 단일불포화 이산(monounsaturated diacid)이며, 뮤콘산과 같은 이중불포화 이산(diunsaturated diacid)이며, 타트론산, 말산 혹은 시트라말산과 같은 단일수소화 이산(monohydroxylated diacid)이며, 디하이드록시말레산 혹은 타타르산과 같은 이중수소화 이산(dihydroxylated diacid)이며, 디하이드록시타타르산, 갈락타르산 혹은 글루카르산과 같은 삼중수소화 이산(tetrahydroxylated diacid)이며, 메소옥살산, 옥살아세트산, 2-옥소글루타르산 또는 3-옥소글루타르산과 같은 케토 이산(keto diacid)이며, 2,3-디케토아디프산과 같은 이중케토 이산(diketo diacid)이며, 트리카발릴산 혹은 시트르산과 같은 포화 삼산(saturated triacid)이며 또는 아코니트산과 같은 불포화 삼산(unsaturated tri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폴리애시드는 시트르산 혹은 아디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비극성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10.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 2-에틸헥실 시트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및 디 2-에틸헥실 아디페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11.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 무게의 0.1-30%를 차지하며, 특히 1-20%의 무게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12.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충 성분 특히 실리콘과 같은 이차 보조용매 또는 피부상에서 상기 조성물을 지속시키는 것과 같은 향수 조성물의 특징들을 개선하기위한 성분, 예를 들어 디에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13.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휘발성 실리콘,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특히 펜타사이클로메티콘 및 오가노트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 실리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은 조성물 무게의 1-20%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조성물.
  14. 특히 향수 혹은 화장수와 같은 향수 조성물의 제조시, 향수 농축액의 용해제로써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애시드 에스테르의 용도.
  15. 적어도 하나의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고 있어 상기 조성물을 외관상 투명하게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농축액와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성분은 향수 조성물의 최종 무게의 약 65% 내지 약 85%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17. 제 15항과 16항에 있어서, 향수 조성물의 최종 무게 중 약 1% 내지 약 20%의 무게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무게로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18. 제 15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5% 내지 약 20% 무게의 향수 농축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19. 제 15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수의 최종 무게 중 5%의 향수 농축액의 농도를 포함하는 화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20. 제 15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향수 조성물의 무게중 10-20%의 향수 농축액의 농도를 포함하는 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21. 제 15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 및/또는 폴리애시드 에스테르는 제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22. 제 15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충 성분, 특히 실리콘과 같은 이차 보조용매, 혹은 피부상에 상기 조성물을 지속시키는 것과 같은 향수 조성물의 특징들을 개선시키기위한 성분, 예를 들어 디에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23. 제 15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의 보충 첨가제, 예를 들어 UV 필터, 항산화제 혹은 염료를 2%까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에탄올 혹은 무알콜 향수 조성물.
KR1020027002355A 1999-08-26 2000-08-25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 KR20020047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0821 1999-08-26
FR9910821A FR2797764B1 (fr) 1999-08-26 1999-08-26 Composition non ethanolique comprenant un hydrofluoroether perfluore et au moins un co-solvant autre que l'eau et l'ethanol comprenant un ester d'un polyacide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parfumantes
PCT/FR2000/002384 WO2001013875A1 (fr) 1999-08-26 2000-08-25 Composition non ethanolique comprenant un hydrofluoroet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127A true KR20020047127A (ko) 2002-06-21

Family

ID=954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355A KR20020047127A (ko) 1999-08-26 2000-08-25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425529B1 (ko)
EP (1) EP1206240B1 (ko)
JP (1) JP2003507403A (ko)
KR (1) KR20020047127A (ko)
AT (1) ATE279908T1 (ko)
CA (1) CA2382794A1 (ko)
DE (1) DE60015150T2 (ko)
ES (1) ES2231248T3 (ko)
FR (1) FR2797764B1 (ko)
HK (1) HK1048587A1 (ko)
WO (1) WO2001013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2339A1 (en) * 2001-06-14 2002-12-27 Firmenich S.A. Stable transparent perfuming emulsion
CA2448496C (en) 2001-06-11 2007-07-17 Firmenich Sa Stable transparent perfuming emulsion
US7728163B2 (en) * 2007-08-06 2010-06-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xed fluoroalkyl-alkyl surfactants
US8337870B2 (en) * 2009-12-15 2012-12-25 Young Pharmaceuticals, Inc. Low toxicity topical active agent delivery system
EP3559179A1 (de) * 2016-12-21 2019-10-30 Symrise AG Riechstoffmischung
FR3107649B1 (fr) * 2020-02-27 2022-03-11 Sensient Cosmetic Tech Composition permettant de disperser un composé liposoluble dans une phase aqueu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4433A (en) * 1976-01-30 1977-08-09 Shiseido Co Ltd Perfume blender
JP3287359B2 (ja) * 1990-05-11 2002-06-04 株式会社資生堂 ハス様香料組成物
US5234689A (en) * 1990-11-08 1993-08-10 La Parfumerie, Inc. Multi-purpose fragrance composition
AU5178193A (en) * 1992-11-09 1994-06-08 Quest International B.V. Solubilizing agents
EP0845523A3 (en) * 1996-11-28 1999-01-27 Givaudan-Roure (International) S.A. Ingredient preventing the viscosity problem encountered in a perfumed concentrated fabric softener
JP3211740B2 (ja) * 1997-08-28 2001-09-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化粧料
FR2771290B1 (fr) * 1997-11-26 2000-02-11 Archimex Pibs Utilisation des hydrofluoroethers en tant qu'agents de dissolution de composes aromatiques pour la realis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AU5303199A (en) * 1999-03-26 2000-10-16 Nippon Mitsubishi Oil Corporation Refrigerating machine oi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7403A (ja) 2003-02-25
ES2231248T3 (es) 2005-05-16
FR2797764B1 (fr) 2001-11-16
FR2797764A1 (fr) 2001-03-02
ATE279908T1 (de) 2004-11-15
HK1048587A1 (en) 2003-04-11
US7425529B1 (en) 2008-09-16
CA2382794A1 (en) 2001-03-01
DE60015150T2 (de) 2005-11-10
EP1206240B1 (fr) 2004-10-20
DE60015150D1 (de) 2004-11-25
EP1206240A1 (fr) 2002-05-22
WO2001013875A1 (fr) 200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4472A (en) Clear lemon-flavored mouthwash
US5283056A (en) Transparent oil-in-water microemulsion flavor or fragrance concentrate, process for preparing same, mouthwash or perfume composition containing said transparent microemulsion concentrat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4132770A (en) Oral product
JP5557991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KR20020047127A (ko) 플루오르화수소산 에테르를 포함한 비에탄올 조성물
JP2011190222A (ja) 乳化物及び水性化粧料
EP0560322B1 (en) Detergent composition
JPH08157862A (ja) 香料組成物
JP3560628B2 (ja) セルフタンニング化粧料
KR970002606B1 (ko) 탈지방지형 무취 네일 에나멜 리무버 조성물
JPH05310543A (ja) 染毛剤組成物
JP7203522B2 (ja) D-chiro-イノシトールを含む組成物
JP2013139411A (ja) 透明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3220968B2 (ja) 透明な液状整髪剤組成物
EP0644750B1 (de) Haarbehandlungsmittel
JP2936086B2 (ja) 香料組成物
JP3630186B2 (ja) 石鹸組成物
JP4304394B2 (ja) 育毛剤組成物
KR19980701843A (ko) 산화 방지제로서 4-삼차-부틸-1-사이클로헥사놀의 용도
JP2799600B2 (ja) 皮膚用油性化粧料
JPS63179817A (ja) 水性クレンジング料
KR102655771B1 (ko) 수성 향료
JPH09111297A (ja) 透明固形洗浄剤組成物
JP3446173B2 (ja) 白濁化粧料
JPH0338508A (ja) 水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