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603A -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 Google Patents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603A
KR20020046603A KR1020000076858A KR20000076858A KR20020046603A KR 20020046603 A KR20020046603 A KR 20020046603A KR 1020000076858 A KR1020000076858 A KR 1020000076858A KR 20000076858 A KR20000076858 A KR 20000076858A KR 20020046603 A KR20020046603 A KR 2002004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device
electric
support pa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073B1 (ko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0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제품의 본체 내부로 진입되는 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은 전기제품의 본체에 고정되며 전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 둘레에서 상기 전선의 진입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전선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지지부가 소정의 탄성의 구비하고 외면과 내면이 전체적으로 원추형으로 마련되며, 내경이 작아지는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ELECTRIC APPLIANCE HAVING A FIXING DEVICE FOR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로 진입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통상 전기제품 본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진입되어 본체 내부에 마련된 전기단자와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제품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전선이나 본체가 유동을 할 경우 전선이 전기단자로부터 분리되거나 전선연결부의 접촉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기제품에는 통상 전기단자와 인접하는 전선의 일단을 본체에 고정하는 전선고정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선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2)의 외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전선(2)의 외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벤딩되어 전선 수용홈(3a)을 이루는 지지부(3)와, 이 지지부(3)의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고정부(4)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4)에는 전선고정장치(1)를 본체의 설치면(7)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6)가 체결되는 나사공(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전선고정장치(1)로 전선을 고정할 때는 지지부(3)의 수용홈(3a)에 전선(2)을 진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부(4)의 하면이 전선(2)을 고정할 본체의 설치면(7)에 밀착되도록 한 후, 고정부(4)의 나사공(5)에 고정나사(6)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선고정장치(1)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전선이 당겨질 경우 전선의 외면이 수용홈(3a)의 내부에서 미끄러져 이동되는 등 전선의 고정이불안정한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전기단자와 전선연결부의 접속불량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전선고정장치는 전선(2)이 수용되는 수용홈(3a)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2)의 굵기가 수용홈(3a)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선(2)의 굵기에 따라 각각 수용홈(3a)의 크기가 다른 것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전기제품에 공동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용자재로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선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굵기가 다른 다양한 규격의 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용자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제품용 전선고정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제품용 전선고정장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제품용 전선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제품용 전선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제품용 전선고정장치의 단면도로, 전선이 역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동작을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선고정장치,21: 고정부,
22: 관통공,23: 고정나사,
30: 전선지지부,31: 절개홈,
32: 가압면,33: 요철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은, 전기제품의 본체에 고정되며 전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 둘레에서 상기 전선의 진입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전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는 소정의 탄성의 구비하고 외면과 내면이 전체적으로 원추형이거나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경이 작아지는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의 단부에는 내면이 상기 전선의 외면과 대체로 평행한 가압면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면이 요철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본체(10) 내부로 진입되어 전기단자(11)와 연결되는 전선(12)을 고정하는 것으로 전선(12)이 진입되는 쪽의 본체(10)의 내면(13)에 고정된다.
이러한 전선고정장치(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면(13)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중앙에서 전선(12)이 진입되는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돌출된 전선지지부(30)를 포함한다.
고정부(21)는 중앙에 전선(12)의 진입을 위한 관통공(22)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며, 외측으로 고정부(21)를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나사(23)가 체결되는 나사공(24)이 형성된다.
전선지지부(30)는 고정부(21)의 관통공(22) 둘레에서 고정부(21)의 일면에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내면과 외면이 원추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부(21)의 관통공(22)으로부터 전선지지부(30)의 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또 전선지지부(30)에는 내부로 전선이 진입되었을 때 전선지지부(30)의내경이 커지면서 전선(12)의 외면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31)이 형성된다. 다수의 절개홈(31)은 상호 등 간격을 이루며 전선지지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전선지지부(30)의 구성이 원추형으로 된 예를 보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선지지부(30)의 내면과 외면이 전체적으로 다각형 뿔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선지지부(30)는 소정의 탄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전선(12) 진입시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두께(t)가 고정부(21) 쪽에서 전선(12)을 지지하는 단부 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지지부(30)의 단부에는 전선(12)이 끼워졌을 때 전선(12)의 지지면적이 커지도록 내면이 전선(12)의 외면과 대체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가압면(32)이 형성된다.
또 가압면(32)에는 전선(12)의 외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커져서 전선(12)이 고정부(21) 쪽(도 5의 B방향)으로 당겨질 때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턱(33)이 형성되며, 이 요철턱(33)이 전선의 진입방향(A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선(12)이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커질수록 전선의 결속력이 더욱 커지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선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선(12)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나사(23)를 체결하여 전선진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의 내면(13)에 전선고정장치(20)의 고정부(21)를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고정할 전선(12)을 본체(10)의 외측에서 전선진입공(14)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전선(12)이 전선고정장치(20)의 전선지지부(30) 내부로 진입된다.
이때 전선지지부(30)는 가압면(32)이 마련된 자유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절개홈(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2)이 진입되는 힘에 의해 내경이 확장되면서 전선(12)의 진입을 허용한다. 그리고 전선(12)이 진입된 후에는 전선(12)의 외면이 가압면(32)을 통해 조여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가압면(32)의 표면이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선외면과의 마찰력이 커 전선(12)의 역방향(도 5의 B방향) 밀림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전선이 진입될 때 원추형으로 마련되는 전선지지부(30)의 특성상 전선지지부(30)의 내경이 확장되기 때문에 전선(12)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전선(12)이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질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30)의 내경이 축소되려는 힘이 발생하면서 전선(12)의 결속력이 더욱 커진다. 이러한 현상은 전선(12)이 역방향으로 당겨질 때 가압면(32)과 전선 외면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전선지지부(30)가 중앙으로 모이려하기 때문에 전선외면을 조여서 결속하는 힘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20)는 전선지지부(30)의 내경이 평소 작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선(12)이 진입될 때 전선(12)을 조여주는 탄성을 구비한 상태로 내경이 확장되기 때문에 굵기가 큰 전선과 작은 전선 모두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선고정장치를 통해 굵기가 다른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은 전선고정장치를 본체의 내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선을 끼우기만 하면 전선의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고정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지지부가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전선이 본체의 외측으로 당겨질 때 내경이 작아지면서 전선의 외면을 강하게 조여주기 때문에 전선의 결속력이 커서 전선을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지지부의 내경이 가변되기 때문에 다양한 굵기의 전선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공용자재로서 이용이 가능하여 원가 측면에서도 대단히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기제품의 본체에 고정되며 전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 둘레에서 상기 전선의 진입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전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는 내경이 작아지는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전선지지부의 내면이 요철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의 단부에는 내면이 상기 전선의 외면과 대체로 평행한 가압면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면이 요철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는 탄성의 구비하며 외면과 내면이 전체적으로 원추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는 외면과 내면이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KR10-2000-0076858A 2000-12-15 2000-12-15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KR100373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58A KR100373073B1 (ko) 2000-12-15 2000-12-15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58A KR100373073B1 (ko) 2000-12-15 2000-12-15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03A true KR20020046603A (ko) 2002-06-21
KR100373073B1 KR100373073B1 (ko) 2003-02-25

Family

ID=2768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58A KR100373073B1 (ko) 2000-12-15 2000-12-15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02B1 (ko) * 2001-07-26 2003-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피씨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38B1 (ko) 2012-02-09 2013-08-08 손인혁 전선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23A (ja) * 1989-06-14 1991-01-28 Mazda Motor Corp 吸気3弁エンジンの燃焼室
KR940008705Y1 (ko) * 1991-12-30 1994-12-27 주식회사 금성사 Tv의 agc 보상회로
JP2704921B2 (ja) * 1992-04-20 1998-01-26 英樹 熊谷 ケーブル挿通固定具
KR950022276U (ko) * 1993-12-28 1995-07-28 전자제품의 와이어 고정장치
KR100201284B1 (ko) * 1995-05-10 1999-06-15 윤종용 전기기기의 케이블 고정 접속장치
KR19980054207U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전원 케이블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02B1 (ko) * 2001-07-26 2003-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피씨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073B1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9056A (en) Cable connector with stress relief assembly
US465732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0005608A (ko) 케이블 연결 장치
JPS6018105B2 (ja) ケ−ブル接続素子
KR100373073B1 (ko)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US10312606B1 (en) Cable fastening terminal block
JPH04264373A (ja) 拘束ねじ端子および端子板
EP0429136B1 (en) Connector assembly
JP3801669B2 (ja) 急速作動式自動剥離接続装置
US20050155783A1 (en) Cable clamp with an extended clamping range and terminal block equipped with a cable clamp of this type
KR20170129869A (ko) 동축 케이블과 비납땜식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JPH0896899A (ja) 電気コネクタ
JPH06251816A (ja) 電機機器用端子台及び電力変換装置
JPH08130041A (ja) 端子装置
JP2004186030A (ja) アンテナコードプラグ構造
JPS5913158B2 (ja) 同軸ケ−ブルのコネクタ−
KR200141576Y1 (ko)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r. f 케이블 접속장치
KR100193937B1 (ko) 전원 케이블 고정구
KR100217588B1 (ko) 자동차용 안테나의 잭과 플러그의 구조
JP2001006766A (ja) ターミナル
JPH03260411A (ja) 電線固定用座金
KR100389931B1 (ko) 도선 연결장치
JPH11283432A (ja) 電源線固定具
JPH037887Y2 (ko)
KR19990034596A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