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931B1 - 도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도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931B1
KR100389931B1 KR10-1999-0043221A KR19990043221A KR100389931B1 KR 100389931 B1 KR100389931 B1 KR 100389931B1 KR 19990043221 A KR19990043221 A KR 19990043221A KR 100389931 B1 KR100389931 B1 KR 10038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e
lead
inner diameter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278A (ko
Inventor
김규환
황철주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1999-004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9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입구가 삽입되는 제1 도선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선이 압입되도록 그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제1 도선 도입부와,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도선과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도선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제2 도선이 삽입되는 제2 도선 도입부를 구비하며, 금속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도선 도입부의 끝단이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도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도선에 미리 상기 도선연결장치를 고정시켜 놓기만 하면, 상기 제1 도선에 손이 닿는 한 상기 제1 도선을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에 압입시킴으로써 손쉽게 도선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의 제약을 받지 아니한다.

Description

도선 연결장치 {Device for connecting wires}
본 발명은 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손쉽게두 개의 도선을 연결할 수 있는 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장비내에서 도선을 외부 도선과 서로 연결하는 것은 그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손쉬운 일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지 도선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장비의 외장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손쉽게 두 개의 도선을 연결할 수 있는 도선연결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선연결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도선(10)은 선모양을 갖는 반면, 제2 도선(20)은 속이 빈 관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측벽에 볼트(30)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구멍을 가진다. 상기 제1 도선(10)의 직경은 상기 제2 도선(20)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도선(10)을 상기 제2 도선(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도선(10)을 상기 제2 도선(20)에 삽입한 후, 상기 제1 도선(10)과 상기 제2 도선(20)이 압착되도록 상기 볼트(30)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 도선(10)과 상기 제2 도선(20)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도선연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2 도선(20)이 상기 제1 도선(10)의 외측면을 완전히 감싸지 못하여 상기 제1 도선(10)의 일부 외측면만이 상기 제2 도선(20)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도선(10)과 제2 도선(20)의 접촉면적이 작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선(10)과 제2 도선(20)의 접촉 부분을 참조부호 A로 표시하였다. 또한, 열에 의한 상기 제1 도선(10) 및 제2 도선(20)의 수축/팽창 등으로 인해 상기 볼트(30)의 조임 상태가 쉽게 느슨해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볼트(30)를 조이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공간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손쉽게 효과적으로 두 개의 도선을 연결할 수 있는 도선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선연결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선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 110: 제1 도선 30: 볼트
20, 120: 제2 도선 130: 도선연결장치
130a: 제1 도선 도입부 130b: 접촉부
130c: 확장 직경부 130d: 축소 직경부
135: 금속 스트라이프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그 입구가 삽입되는 제1 도선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선이 압입되도록 그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제1 도선 도입부와,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도선과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도선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제2 도선이 삽입되는 제2 도선 도입부를 구비하며, 금속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선연결장치는 상기 제2 도선 삽입부가 그 끝단이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도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도선 도입부는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확장되는 확장 직경부와, 상기 확장 직경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줄어드는 축소 직경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선연결장치는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와 제2 도선 도입부를 잇는 금속 스트라이프가 나란히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도선에 미리 상기 도선연결장치를 고정시켜 놓기만 하면, 상기 제1 도선에 손이 닿는 한 상기 제1 도선을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에 압입시킴으로써 손쉽게 도선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의 제약을 받지 아니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 도선이 접촉되는 면적이 종래보다 넓기 때문에 고전류/고전압에서도 안전한 전력수송을 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한 도선의 수축/팽창 등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헐거워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선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2a는 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선연결장치에 의해 두 개의 도선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선연결장치(130)는 제1 도선 도입부(130a), 접촉부(130b), 확장 직경부(130c), 축소 직경부(130d)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선 도입부(130a)와 제2 도선 도입부(130d)를 잇는 금속 스트라이프(stripe, 135)가 나란히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어질 제1 도선(110)과 제2 도선(120)은 각각 선 모양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선 도입부(130a)는 그 입구가 삽입되어질 제1 도선(110)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선이 압입되도록 그 내경이 점차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30b)는 상기 제1 도선 도입부(130a)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도선(110)과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도선(110)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접촉부(130b)는 상기 제1 도선(110)을 완전히 둘러싸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그 접촉 부위(A)가 넓다.
또한, 상기 확장 직경부(130c)는 상기 접촉부(130b)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확장되어지고, 상기 축소 직경부(130d)는 상기 확장 직경부(130c)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줄어든다. 여기서, 상기 축소 직경부(130d)는 그 끝단이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도선(120)에 고정된다. 이 고정부위를 참조부호 C로 표시하였다.
상기 도선연결장치(130)를 이용하여 도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선연결장치(130)의 축소 직경부(130d)에 상기 제2 도선(120)을 삽입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 도선 도입부(130a)로 상기 제1 도선(110)을 상기 제2 도선(120)과 만날 때까지 압입시킨다. 이 때, 상기 접촉부(130b)가 상기 제1 도선(110)과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제1 도선(110)과 제2 도선(120)의 효과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도선(120)에 미리 상기 도선연결장치(130)를 고정시켜 놓기만 하면, 상기 제1 도선(110)에 손이 닿는 한 상기 제1 도선(110)을 상기 제1 도선 도입부(130a)에 단지 압입시킴으로써 손쉽게 도선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의 제약을 받지 아니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부(130b)와 상기 제1 도선(110)이 접촉되는 면적이종래보다 넓기 때문에 고전류/고전압에서도 안전한 전력수송을 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한 도선의 수축/팽창 등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헐거워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4)

  1. 그 입구가 삽입되는 제1 도선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선이 압입되도록 그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제1 도선 도입부;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도선과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도선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제2 도선이 삽입되는 제2 도선 도입부를 구비하며, 금속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선 삽입부가 그 끝단이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도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선 도입부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확장되는 확장 직경부와, 상기 확장 직경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점차 그 내경이 줄어드는 축소 직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연결장치는 상기 제1 도선 도입부와 제2 도선 도입부를 잇는 금속 스트라이프가 나란히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연결장치.
KR10-1999-0043221A 1999-10-07 1999-10-07 도선 연결장치 KR10038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21A KR100389931B1 (ko) 1999-10-07 1999-10-07 도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21A KR100389931B1 (ko) 1999-10-07 1999-10-07 도선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278A KR20010036278A (ko) 2001-05-07
KR100389931B1 true KR100389931B1 (ko) 2003-07-02

Family

ID=1961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221A KR100389931B1 (ko) 1999-10-07 1999-10-07 도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9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461A (ko) * 1988-03-29 1989-10-30 마르끄 디도뇽 전기단자 접속기
JPH02309571A (ja) * 1989-05-24 1990-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線と端子の接続装置
KR940004416U (ko) * 1992-07-28 1994-02-24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선 접속구
KR970011352U (ko) * 1995-08-21 1997-03-29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력케이블의 직선 접속장치
JPH09139238A (ja) * 1995-11-13 1997-05-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接続方法
KR19980066542A (ko) * 1997-01-25 1998-10-15 권문구 고전압 지중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5461A (ko) * 1988-03-29 1989-10-30 마르끄 디도뇽 전기단자 접속기
JPH02309571A (ja) * 1989-05-24 1990-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線と端子の接続装置
KR940004416U (ko) * 1992-07-28 1994-02-24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선 접속구
KR970011352U (ko) * 1995-08-21 1997-03-29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력케이블의 직선 접속장치
JPH09139238A (ja) * 1995-11-13 1997-05-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接続方法
KR19980066542A (ko) * 1997-01-25 1998-10-15 권문구 고전압 지중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278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2889B (fi) Koaksiaalikaapelin liitin, jossa on korrugoitu ulkojohdin
CN102341964A (zh) 包括柔性指状件的同轴电缆连接器和相关方法
US589092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crew-on or twist-on electrical contacts
KR100997928B1 (ko) 멀티탭 압축커넥터
KR100389931B1 (ko) 도선 연결장치
CA2443597A1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JP201124904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2911889B2 (ja) より線導体のための接続部を有する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
KR100791949B1 (ko)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US6264503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5897806A (en) Adaptor device for connecting sheathed heater with power supply terminal
RU2211512C2 (ru) Контакт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0485777B1 (ko) 스프라이스 커넥터
KR200303373Y1 (ko) 압축형 이질금속 분기스리브
CN214043315U (zh) 一种少油倒置式电流互感器
JP3006659U (ja) 断線を防止できるケ−ブル導体接続部の構造
JP2002093517A (ja) 高圧ケーブルの中間コネクタ
KR970002244Y1 (ko)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RU90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жил кабелей
KR200141576Y1 (ko)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r. f 케이블 접속장치
KR200218452Y1 (ko) 리듀서
JP2532214B2 (ja) 電力ケ−ブル用終端接続部の冷却方法
KR960008926Y1 (ko) 접지선의 링 터미날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US5662502A (en) Adaptor for A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