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77B1 - 스프라이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라이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77B1
KR100485777B1 KR10-2003-0027050A KR20030027050A KR100485777B1 KR 100485777 B1 KR100485777 B1 KR 100485777B1 KR 20030027050 A KR20030027050 A KR 20030027050A KR 100485777 B1 KR100485777 B1 KR 10048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body
wires
copper wir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746A (ko
Inventor
한만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2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7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7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나 동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세레이션(1)을 형성한 제 1커넥터 본체(10A)의 측면 일측에 상기 제 1커넥터 본체(10A)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 2커넥터 본체(10B)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선과정에서 인접한 동선(W)과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수의 동선(W)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어 단선에 의한 전기적 특성저하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라이스 커넥터{Spric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선의 접속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기는 내측에 다수의 세레이션(serration)을 형성한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좌우 대칭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결선과정에서 동선과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수의 동선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동선으로 이루어진 모터의 스테이터용 코일간의 접속과 같이 협소한 공간의 접속수단으로서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stator)나 로테이터(rotator)에는 동선이 권취되는데, 이와 같은 동선의 표면에는 단락방지를 위해 에나멜과 같은 절연성 도료가 도포된다.
이때, 모터의 스테이터는 다수의 코일의 형태로 권취되어 하우징의 내벽과 코어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각 코일의 선단은 각각 일체로 접속됨으로써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코일의 선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경우에는 절연을 위해 동선의 표면에 도포된 에나멜층을 탈피시킨 상태에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각 동선을 일체로 접속시키에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은 통상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성이 저하되어 모터의 조립에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접속을 요하는 코일을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압착시켜 각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의 접속에 사용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프라이스 커넥터(30)는 내측에 다수의 세레이션(1)을 연속 형성한 금속편을 원호형상으로 절곡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프라이스 커넥터(30)는 동선(W)간의 접속시 각 동선(W)을 내측 저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수직부를 각각 절곡시켜 각 동선(W)의 표면을 통해 세레이션(21)이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라이스 커넥터(30)를 통해 각 동선(W)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 개발된 모터에서는 스테이터를 분할함에 따라 각 코일이 분기되는 한편, 이에 따라 다수의 동선(W)에 대한 접속이 요구되는데, 상기한 종래의 스프라이스 커넥터(30)는 내측에 3선을 초과하는 다수의 동선(W)이 투입될 경우 인접한 동선(W)에 의해 세레이션(21)과의 직접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거나 단선에 의해 모터의 동작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측에 다수의 세레이션을 형성한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좌우 대칭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결선과정에서 동선과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수의 동선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벽에 형성한 세레이션이 동선의 표면으로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있어서,
내측에 세레이션을 형성한 제 1커넥터 본체의 측면 일측에 상기 제 1커넥터 본체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커넥터 본체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라이스 커넥터(10)는, 코일을 구성하는 동선(W)의 외부에 결합되어 각 동선(W)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 본체(10A)의 측면 일측에 상기한 제 1커넥터 본체(10A)의 형상과 대칭된 형상을 갖는 제 2커넥터 본체(10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제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의 내벽면으로는 압착에 따라 코일의 표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절연을 파괴하는 세레이션(1)이 연속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각 커넥터 본체(10A,10B)를 통해 접속을 요하는 동선(W)을 분할하여 접속시킴으로써 각 동선(W)간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한 한편, 다수의 동선(W)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프라이스 커넥터(10)는 모터를 구성하는 코일의 동선과 같이 표면에 에나멜과 같은 절연도료가 도포된 동선(W)의 접속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호형상을 갖는 제 1커넥터 본체(10A)의 측면에 상기한 제 1커넥터 본체(10A)와 대칭된 형상을 갖는 제 2커넥터 본체(10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동선(W)의 접속시 분기된 각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에 접속을 요하는 동선(W)을 각각 위치시키기 되는데, 예로써 6선의 동선(W)을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6선의 동선(W)을 3선으로 각각 분할한 다음, 먼저 3선의 동선(W)을 좌측에 위치한 제 1커넥터 본체(10A)에 위치시키고, 이와 함께 우측에 위치한 제 2커넥터 본체(10B)의 내측에도 나머지 3선의 동선(W)을 각각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의 완료후에는 도시안된 압착기구나 자동화수단을 통해 제 1커넥터 본체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스프라이스 커넥터로부터 동선의 결선을 요하는 스프라이스 커넥터만을 분리시킨 다음, 도 5와 같이 제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를 각각 압착시켜 제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 내벽면의 세레이션(1)이 각각 동선(W)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동선(W)의 절연을 파괴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프라이스 커넥터(10)에 의해 6선의 동선(W) 모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달리 4선으로 분기된 동선(W)의 접속시에는 접속을 요하는 동선(W)을 3선이하로 각각 분기시켜 전술한 과정과 같이 제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의 압착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단선없이 각 동선(W)간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세레이션(1)과의 직접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의 저하나 단선에 의한 모터의 동작불량 등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에 세레이션(1)을 형성한 제 1커넥터 본체(10A) 및 제 2커넥터 본체(10B)를 통해 분기된 다수의 동선(W)을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모터의 코일을 구성하는 동선(W)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인접한 동선(W)과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수의 동선(W)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선없이 각 동선(W)간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세레이션(1)과의 직접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의 저하나 단선에 의한 모터의 동작불량 등을 방지하여 모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스프라이스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라이스에 의한 동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라이스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레이션 10A : 제 1커넥터 본체
10B : 제 2커넥터 본체 W : 동선

Claims (1)

  1. 내벽에 형성한 세레이션이 동선(W)의 표면으로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프라이스 커넥터에 있어서,
    내측에 세레이션(1)을 형성한 제 1커넥터 본체(10A)의 측면 일측에 상기 제 1커넥터 본체(10A)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커넥터 본체(10B)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라이스 커넥터.
KR10-2003-0027050A 2003-04-29 2003-04-29 스프라이스 커넥터 KR10048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050A KR100485777B1 (ko) 2003-04-29 2003-04-29 스프라이스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050A KR100485777B1 (ko) 2003-04-29 2003-04-29 스프라이스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746A KR20040092746A (ko) 2004-11-04
KR100485777B1 true KR100485777B1 (ko) 2005-04-28

Family

ID=3737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050A KR100485777B1 (ko) 2003-04-29 2003-04-29 스프라이스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417A (ko) * 2006-05-23 2007-11-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터미널의 연결선 압착 연결구조
KR101407123B1 (ko) * 2013-02-18 2014-06-27 뉴모텍(주) 코일 결선 부위가 개선된 모터의 스테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10B1 (ko) * 2013-11-22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417A (ko) * 2006-05-23 2007-11-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터미널의 연결선 압착 연결구조
KR101407123B1 (ko) * 2013-02-18 2014-06-27 뉴모텍(주) 코일 결선 부위가 개선된 모터의 스테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746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008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EP1404007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a resolver
EP1289065B1 (en) Joint connector
JP2516089B2 (ja) コネクタの結線構造とその方法
JP2572527Y2 (ja) 分岐接続用コネクタ
KR100485777B1 (ko) 스프라이스 커넥터
EP1478078B1 (en) Electric motor
KR100494988B1 (ko) 스프라이스 커넥터
JP2005168176A (ja)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JP2010161055A (ja) オス端子への電線接続構造
KR100483704B1 (ko) 모터 결선용 커넥터
KR102428329B1 (ko) 열 보호기
KR200243612Y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퓨즈 및 릴레이 박스용 단자
KR200394072Y1 (ko) 전선 연결용 터미널
CN216488603U (zh) 电连接器
JP2007123135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410750Y1 (ko) 인라인 커넥터용 스프라이스팩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JP3051266B2 (ja) 絶縁ホルダーと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0224366Y1 (ko) 점검구를 갖는 터미널
US3980932A (en) Electrical service center with panel-mounted circuit connectors
KR200214501Y1 (ko) 전기 접속단자
JP2506817Y2 (ja) 成端用端子板
JP2000082340A (ja) ワイヤハーネス
JPH11214056A (ja) 同軸フラット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