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501Y1 - 전기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501Y1
KR200214501Y1 KR2019970011504U KR19970011504U KR200214501Y1 KR 200214501 Y1 KR200214501 Y1 KR 200214501Y1 KR 2019970011504 U KR2019970011504 U KR 2019970011504U KR 19970011504 U KR19970011504 U KR 19970011504U KR 200214501 Y1 KR200214501 Y1 KR 200214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wir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997U (ko
Inventor
장위덕
Original Assignee
장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위덕 filed Critical 장위덕
Priority to KR201997001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50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을 터미널 핀 등의 접속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에 있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전선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전선의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전선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되는 접속부와, 접속대상물에 끼워져 접속되는 것으로 전선과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진 전기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접하는 접속부의 접속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접속부의 절곡시 요철부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선과 접하는 접속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절곡시 요철부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전선의 이음부를 각각 맞대어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접속단자
본 고안은 전기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터미널 핀 등의 접속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에 있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전선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단자는 전선을 터미널 등의 접속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전선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선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전선의 도선과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속대상물에 끼워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 접속단자는 전선의 끝단에 고정하여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전선의 피복을 벗겨 내부의 도선을 노출시켜야만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성을 저하시켰고, 모터의 코일등과 같이 가는 전선의 경우에는 피복을 벗기는 과정에서 내부의 도선이 쉽게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선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함에 있어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지 않아도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의 중간부분이 단선될 때 피복을 벗기지 않고도 단선된 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전선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접속단자의 실시예 1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접속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접속단자의 실시예 2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70 : 고정부 20,50 : 접속부
21,51 : 접속면 22,52 : 요철부
30,47 : 홀더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의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전선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되는 접속부와, 접속대상물에 끼워져 접속되는 것으로 전선과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접하는 접속부의 접속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접속부의 절곡시 요철부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과 접하는 접속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절곡시 요철부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양단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전선의 이음부를 맞대어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부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에 형성한 요철부는 끝이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전기 접속단자는, 전선(1)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와, 전선(1) 내의 도선(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20)와, 터미널 핀 등의 접속대상물(4)에 연결되어 접속대상물(4)을 전선(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부(30)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선(1)과 접하는 접속부(20)의 접속면(21)에는 요철부(22)가 형성된 것으로, 이 요철부(22)는 접속부(20)의 절곡시 전선(1)의 피복(3)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2)과 맞닿게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2)의 형상은 전선(1)의 피복(3)을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끝이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의 피복(3)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1)의 끝단부를 접속부(20) 및 고정부(10)에 걸쳐 접하도록 놓은 다음, 고정부(10)를 절곡하여 전기 접속단자를 전선(1)에 고정한다.
이어서 접속부(20)를 절곡하게 되면, 접속부(20)의 접속면(21)에 형성된 요철부(22)가 전선(1)의 피복(3)을 뚫고 들어가 전선(1) 내부의 도선(2)과 맞닿게 되는 것이고, 이로써 전선(1)의 도선(2)과 전기 접속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홀더부(30)를 접속대상물(4)에 끼워 접속시킴으로써 전선(1)을 접속대상물(4)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작업이 전선(1)의 피복(3)을 벗기지 않고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제3도는 실시예 1에 따른 다른 형태의 전기 접속단자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10)와 접속부(20)는 전술한 형태의 것과 동일하고, 홀더부(40)의 형태를 고리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홀더부(40)의 형상을 상술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접속대상물(4)과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접속단자는, 전선(1) 내의 도선(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50)와, 이 접속부(50)의 양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전선(1a)(1b)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부(60)(7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전선(1a)(1b)과 접하는 접속부(50)의 접속면(51)에는 요철부(52)가 형성 된 것으로, 이 요철부(52)는 접속부(50)의 절곡시 전선(la)(1b)의 피복(3a)(3b)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2a)(2b)과 맞닿게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요철부(52)의 형상은 전선(la)(1b)의 피복(3a)(3b)을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끝이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a)(1b)의 중간부분이 단선된 경우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즉 단선된 전선(la)(1b)의 피복(3a)(3b)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전선(la)(1b)의 이음부를 각각 제 1, 2 고정부(60)(70) 및 접속부(50)에 걸쳐 마주하도록 놓은 다음, 양쪽의 제 1 및 제 2 고정부(67)(70)를 절곡하여 전기 접속단자를 전선(1a)(1b)의 양쪽 이음부에 고정한다.
이어서 중앙의 접속부(50)를 절곡하게 되면, 접속부(50)의 접속면(51)에 형성된 요철부(52)가 전선(1a)(1b)의 피복(3a)(3b)을 뚫고 들어가 전선(la)(1b) 내부의 도선(2a)(2b)과 맞닿게 되므로 양쪽 전선(la)(1b)의 도선(2a)(2b)과 전기 접속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로써 단선된 양쪽 전선(1a)(1b)을 전기적으로 다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이 전선(la)(1b)의 피복(3a)(3b)을 벗기지 않고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접속단자에 의하면, 전선을 접속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고, 전선의 단선시에도 피복을 벗기지 않고도 전선을 맞대어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선의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10)와, 전선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되는 접속부(20)와, 접속대상물에 끼워져 접속되는 것으로 전선과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부(30)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접하는 접속부(20)의 접속면(21)에 요철부(22)를 형성하여 접속부(20)의 절곡시 요철부(22)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에 형성한 요철부(22)는 끝이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
  3. 전선과 접하는 접속면(51)에 요철부(52)를 형성하여 절곡시 요철부(52)가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내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접속부(50)와, 상기 접속부(50)의 양단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전선의 이음부를 각각 맞대어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부(60)(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50)에 형성한 요철부(52)는 끝이 뾰족한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단자.
KR2019970011504U 1997-05-22 1997-05-22 전기 접속단자 KR200214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04U KR200214501Y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04U KR200214501Y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97U KR19980066997U (ko) 1998-12-05
KR200214501Y1 true KR200214501Y1 (ko) 2001-03-02

Family

ID=5389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504U KR200214501Y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97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21482A1 (fr) Conducteur electrique a contact d'extremite integre
US4458967A (en) Connector for shielded flat cable
US5085594A (en) Solder-free plug-cable connection system
US5133677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shielded cable to same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US4927378A (en) Lead wire connecting devic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US6247961B1 (en) Distribution wiring harness assembly
KR200214501Y1 (ko) 전기 접속단자
US6638118B2 (en) Distribution wiring harness assembly
US407128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ribbon type electrical cable
JP2593948Y2 (ja) ケーブル用金属スリーブ固定装置
JPH0750182A (ja) シールドされた電気コネクタにクランプする 導電シェル
JPH0334855Y2 (ko)
JPH0525137Y2 (ko)
US20020072278A1 (en) Electric jack
JPH0218533Y2 (ko)
JPH0621179U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接続部品
JPH0412593B2 (ko)
US3980932A (en) Electrical service center with panel-mounted circuit connectors
JPH11214056A (ja) 同軸フラット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1003244B1 (en) A shielded connector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JP3908377B2 (ja) 同軸フラット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061499U (ja) リボンケ―ブルコネクタ
JPH0128952Y2 (ko)
JP3127392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