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02B1 - 피씨 카메라 - Google Patents

피씨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02B1
KR100396502B1 KR10-2001-0045248A KR20010045248A KR100396502B1 KR 100396502 B1 KR100396502 B1 KR 100396502B1 KR 20010045248 A KR20010045248 A KR 20010045248A KR 100396502 B1 KR100396502 B1 KR 10039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able
projection
main bod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343A (ko
Inventor
윤남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5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과; 화상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렌즈부와; 각편 돌기가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되며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그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줄여 주는 체결부와, 상기 렌즈부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화상이미지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체결기능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케이블과 체결시키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본체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케이블의 완전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 유연부로 이루어진 체결구;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를 포함하는 PC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케이블의 체결 구조 단순화 및 조립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씨 카메라{PC camera}
본 발명은 PC 카메라의 케이블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 카메라 본체와 케이블간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와 케이블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PC 카메라는 최근 급격히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이유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상의 발달과 이를 위한 인프라(infra)의 구축에 의해 일반대중들이 그 필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서로가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실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화상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인 PC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증가로 인해 젊은 층 사이에서 PC 카메라는 그 수요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초고속 통신의 가세로 인해 상기 PC 카메라의 증가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는데, 현재 많은 국내외의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고속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서비스에 첨단기술을 도입,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던 인터넷 무료전화의 경우가 그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는 크게 CCD 방식과 CMOS 방식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CCD(Charge Coupled Device)는 전형적으로 아날로그 적인 회로에 기반하고 있는 광학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빛이 여러 집광 장치(Cell)에 쏘이게 되면 각 셀에서 이에 대한 전하를 저장하고 이 전하의 크기로서 명암의 정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보내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CMOS(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 센서는 CMOS 반도체 공정과 완전히 동일하게 System-on-chip의 개념으로 반도체 다이에 아날로그 신호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를 한 곳에 집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CMOS 이미지 센서는 일반적인 CMOS 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생산에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고 수율이 낮은 CCD에 비해서 생산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으나 CMOS의 경우 영상 신호의 처리에 있어 영역이 작기 때문에 CCD 만큼의 미세한 표현과 섬세한 색상 구분이 미흡한, 전체적으로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CMOS 이미지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그동안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 분야에서 외면을 받아 왔는데 최근 CMOS 이미지 센서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대부분의 응용 기기에서 CCD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CCD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부분에 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상기와 같은 PC 카메라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PC 카메라의 케이블 체결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PC 카메라 케이블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PC 카메라는 내부에 렌즈군 및 인식부등 하드웨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구형 또는 계란형의 본체(10)와,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며, 굽힘이 자유롭도록 금속으로 형성된 벨로우즈(20)와, 상기 벨로우즈의 양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 케이스와 지지체(50)에 링을 개재한 채 결합되며, 벨로우즈의 가변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30)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의 회로기판과 외부의 PC를 연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되는 컨넥터(40)를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벨로우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삽입 설치되어 외부의 PC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가 컨넥터(40), 중공부(21), 스톱퍼(30) 및 E-링(31)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 준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과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케이블을 삽입하고 여기에 고무 재질로 된 E-Ring등을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많은 보조 부품들이 필요하며, 조립상의 공정이 복잡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생산시간 및 단가의 상승이 이어졌으며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해 품질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와 케이블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PC 카메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PC 카메라의 케이블 체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PC 카메라의 케이블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카메라의 케이블 체결을 위한 체결구(5)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PC 카메라의 케이블 체결을 위한 체결구(5)의 삽입부(5a) 및 본체 케이스 체결부(3a)가 결합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2 : 렌즈부
3 : 본체 케이스 3a : 체결부
4 : 스탠드 5 : 체결구
5a : 삽입부 5b : 십자형 띠홈
5c : 걸림턱 5d : 유연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과; 화상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렌즈부와; 각편 돌기가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되며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그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줄여 주는 체결부와, 상기 렌즈부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화상이미지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체결기능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케이블과 체결시키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본체 내로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케이블의 완전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 유연부로 이루어진 체결구;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를 포함하는 PC 카메라를 개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C 카메라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PC 카메라의 케이블 연결을 위한 체결구(5)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PC 카메라의 케이블 연결을 위한 체결구(5)의 삽입부(5a) 및 본체 케이스 체결부(3a)가 결합되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카메라는 PC와 연결하기 위한 USB케이블(1), 화상 이미지를 읽어들이기 위한 렌즈부(2), 본체 케이스(3), 스탠드(4) 및 상기 본체 케이스(3)에 상기 케이블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5)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체결구(5)에 체결되는 본체 케이스(3)의 중공부에는 각편 돌기가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되며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그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줄여 주는 체결부(3a)가 설치된다. 이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또한 도4의 참조번호 5로 나타낸 체결구는 다시 삽입부(5a), 걸림턱(5c) 및 유연부(5d)로 나뉘어지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삽입부(5a)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홈(5b)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부(3a)와 함께 체결기능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케이블과 체결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걸림턱(5c)은 상기 본체 케이스(3)내로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유연부(5d)는 상기 케이블(1)의 완전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4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는 삽입부(5a)가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 홈(5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부(5a) 돌기가 상기 케이스 본체(3) 내로 일단 삽입되면 상기 본체내의 체결부(3a)에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된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별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단번에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유연부(5d)와 인접하는 걸림턱(5c)에 의해 상기 케이블과 본체는 체결부위를 경계로 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내의 체결부 주위를 둘러싸게 되어 기존의 고무재로 된 E-Ring 등의 역할을 겸하게 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 주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PC 카메라와 같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체결구 및 본체 케이스의 체결부는 일반적인 전기기구등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직접적으로 도시 및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할지라도,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케이블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케이블 체결부위의 단순화 및 조립성 향상이 기대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블과;
    화상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렌즈부와;
    각편 돌기가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되며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그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줄여 주는 체결부와, 상기 렌즈부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화상이미지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체결기능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케이블과 체결시키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본체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케이블의 완전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 유연부로 이루어진 체결구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를 포함하는 PC 카메라.
  2. 케이블과;
    표면 원주상의 체결부에 각편 돌기가 방사상으로 분리 설치되며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그 원주상의 크기를 신축적으로 줄여 주는 체결부와;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상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십자형의 띠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체결기능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케이블과 체결시키기 위한 삽입부;
    를 포함하는 전기기구에서의 체결구.
KR10-2001-0045248A 2001-07-26 2001-07-26 피씨 카메라 KR10039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48A KR100396502B1 (ko) 2001-07-26 2001-07-26 피씨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48A KR100396502B1 (ko) 2001-07-26 2001-07-26 피씨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343A KR20030010343A (ko) 2003-02-05
KR100396502B1 true KR100396502B1 (ko) 2003-09-02

Family

ID=277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248A KR100396502B1 (ko) 2001-07-26 2001-07-26 피씨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5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989U (ko) * 1985-11-21 1987-06-15 금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고정장치
JPH02134670A (ja) * 1988-11-15 1990-05-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920001498U (ko) * 1990-06-30 1992-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케이블용 접속기구
JPH0630518A (ja) * 1992-04-20 1994-02-04 Hideki Kumagai ケーブル挿通固定具
JPH077180U (ja) * 1993-06-30 1995-01-31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コネクタ差し込み口構造
KR960043362A (ko) * 1995-05-10 1996-12-23 김광호 전기기기의 케이블 고정 접속장치
KR20020046603A (ko) * 2000-12-15 2002-06-21 윤종용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989U (ko) * 1985-11-21 1987-06-15 금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고정장치
JPH02134670A (ja) * 1988-11-15 1990-05-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920001498U (ko) * 1990-06-30 1992-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케이블용 접속기구
JPH0630518A (ja) * 1992-04-20 1994-02-04 Hideki Kumagai ケーブル挿通固定具
JPH077180U (ja) * 1993-06-30 1995-01-31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コネクタ差し込み口構造
KR960043362A (ko) * 1995-05-10 1996-12-23 김광호 전기기기의 케이블 고정 접속장치
KR20020046603A (ko) * 2000-12-15 2002-06-21 윤종용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343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3318C (zh) 照相机组件
US8179438B2 (en) Vehicle camera system
WO2016129977A1 (en) Camer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87610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8712597B (zh) 镜头、镜头加工工艺、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2002090603A (ja) 防水カメラ
EP1246250A3 (en) Photodetecting device, radiation detecting device,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EP1130905A3 (en) Image pickup device
KR20080040236A (ko) 카메라 모듈
KR100396502B1 (ko) 피씨 카메라
KR20040041930A (ko) 카메라모듈의 렌즈어셈블리
JP2004140497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55474B1 (ko) 카메라모듈
KR100832616B1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KR100401108B1 (ko) 피씨 카메라
CN111405148B (zh) 镜头模组及电子装置
WO2019244571A1 (ja) レンズバレル、及び撮像装置
KR20030073515A (ko) Pc 카메라
KR100797671B1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KR200178302Y1 (ko)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경통 장착구조
CN219999487U (zh) 一种小型化定焦模组结构及终端
KR20030010034A (ko) 피씨 카메라
KR100722618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9002175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WO2020159160A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며 색수차 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 기기 및 영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