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588A - 슬롯 페이징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에서 슬립모드 다음에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슬롯 페이징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에서 슬립모드 다음에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588A
KR20020044588A KR1020027005666A KR20027005666A KR20020044588A KR 20020044588 A KR20020044588 A KR 20020044588A KR 1020027005666 A KR1020027005666 A KR 1020027005666A KR 20027005666 A KR20027005666 A KR 20027005666A KR 20020044588 A KR20020044588 A KR 20020044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lock
clock
sleep
time
cy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니콜라스케이
이스톤케네쓰디
산쿠라트리라구
Original Assignee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러 럿셀 비
Publication of KR2002004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having a sub-controller with a low clock frequency switching on and off a main controller with a high clock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reducing the clock frequency of the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이동국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이 슬립주기 동안에는 저전력, 저주파 슬립모드 클럭 (104) 를 이용하고, 논슬립주기 동안에는 보다 빠른 액티브모드 클럭 (102) 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이동국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고주파 클럭 (102) 을 액티베이팅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실시형태에서는, 슬립모드 클럭 (104) 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간을 추정하는 웨이크업 추정 유닛 (108), 및 슬립모드 클럭 (104) 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을 갖는 장치에 의해서 본 기술을 구현한다. 또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가능한 에러를 유발하는 저주파 슬립모드 클럭 (104) 의 정확성 부족을 보상하기 위하여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 (112) 이 제공된다. 정확성 부족은 슬립 주기의 시작에서 초기 타이밍 오프셋 에러, 및 슬립주기의 끝에서 최종 타이밍 오프셋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 (110) 과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은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고주파 전이모드 클럭을 이용한다. 액티브모드 클럭 (102) 과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는 전이모드 클럭 (106) 은, 슬립주기의 시작과 끝에서만 이용되고, 전력 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슬립주기 대부분동안에는 디액티베이팅된다.

Description

슬롯 페이징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에서 슬립모드 다음에 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HIGH FREQUENCY CLOCK FOLLOWING A SLEEP MODE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코드분할다중접속 (CDMA) 시스템 등의 종래 무선통신 시스템은, 이동국이 배터리 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롯 페이징을 이용한다. 슬롯 페이징 모드에서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격된 할당 페이징 슬롯내에서만, 페이징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이동국들로 송신한다. 따라서, 개별 이동국들은 페이징 신호를 놓치지 않고 일련의 페이징 슬롯사이의 시간주기 동안에 슬립모드로 있을 수 있다. 특정 이동국을 액티브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지 여부는, 현재 이동국이 이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처리하거나 이용자를 위해 통화를 처리하는 등 임의의 이용자 활동중에 있느냐에 달려있다. 현재 이동국이 이용자를 위한 임의의 처리중에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이동국은 일련의 슬롯들 사이의 시간주기동안에 선택된 내부 구성요소들의 전력을 낮춘다. 이런 슬롯 페이징 시스템의 일예가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Receiver" 이고 1995년 2월 21일 허여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번호 제 5,392,28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슬롯 페이징모드에서는, 이동국이 일련의 슬롯들 사이의 슬립주기동안에 선택된 내부구성요소로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인다. 그러나, 슬립주기 동안에도, 이동국은 경과시간을 신뢰성있게 추적함으로써, 이동국의 수신구성요소가 적시에 전력을 증가시켜 슬롯내에서 이동국에 송신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언제 다음 슬롯을 발생시킬지 결정해야한다. 이 문제점의 한가지 해결법은 슬립주기내내 고주파 클럭을 동작시키고, 그 고주파 클럭을 이용하여 경과시간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 해결법은 슬립주기를 매우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런 고주파 클럭을 동작시키는 데는 상당한 전력이 소비되므로, 슬립주기 동안에 최선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대신에,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저주파, 저전력 클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저주파, 저전력 클럭에 의해 제공된 클럭 신호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주파수 드리프트 (frequency drift) 를 겪게되므로, 저전력, 저주파 클럭의 사이클을 계산해서는 슬립주기동안의 경과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예를들어, 이동국내에 이동국 구성요소의 동작 또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기인한 열에 의한 온도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동국내의 주파수 드리프트는 특히 증가하게 된다. 예를들어, 장기간 전화통화시, 이동국의 내부구성요소는 섭씨 87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통화사이의 장기간의 비이용시간 동안, 내부구성요소는 섭씨 25 도 정도의 주변온도로 냉각된다. 또한, 이용자가 이동전화기를 매우 뜨겁거나 차가운 장소에 놓을 경우, 이동국에는 대응하는 온도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저전력, 저주파 클럭 신호 발생기는 사소한 온도변화에도 현저하게 영향을 받고, 이동전화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큰 온도변화에는 보다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실, 이동국에서 이용하는 일반적인 저전력, 저주파 클럭 신호내에서의 주파수 드리프트는, 슬립주기내의 경과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그 자체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다음 페이징 슬롯에서 송신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이동국이 구성요소의 전력을 높이도록 적시에 리액티베이팅되지 않는 중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을 만큼 큰 값일 수도 있다. 따라서, 중요한 페이징 신호를 놓쳐서, 통화 등을 놓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저주파, 저전력 클럭신호에 의해 제공되는 타이밍 정확도는 양호하지 않다.
슬립주기내의 경과시간을 추적하기 위하여 저주파 클럭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의 또다른 중요한 문제점은, 저주파 클럭에 의해 제공되는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정확성 부족은 슬립주기의 시작과 최초 카운트된 저주파 클럭 신호의 사이클사이에 상당한 오프셋을 유발하고, 최종 카운트된 저주파수 클럭의 사이클과 슬립주기의 실제 끝사이에도 상당한 오프셋을 유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슬립주기내의 경과시간을 추적하기 위하여 저주파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rising edge) 나 하강 에지 (falling edge) 를 계산하는 데 카운터를 이용하고, 슬립 주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저주파 클록의 사이클 개수가 카운트되면 고주파 클럭이 리액티베이팅된다. 그러나, 저주파 클럭의 거의 전체 사이클이 슬립주기의 시작과 카운터에 의해 검출된 저주파 클럭신호의 최초 에지사이에서 경과할 수 있다. 초기 오프셋은 0 부터 저주파 클록의 하나의 풀 사이클까지의 임의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고, 일부 시스템에서는 그 이상을 가질 수도 있다. 종래 시스템에서는 최초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의 불확실성은 슬립주기내에서 경과시간 결정시 오류를 증가시켜서, 다음 페이징 슬롯을 놓칠 수 있는 위험을 더 크게 한다. 고주파 클럭이 9.68 MHz 에서 동작하고, 슬립 클럭이 32 KHz 에서 동작하는 대표적인 시스템에서는, 슬립 클럭의 각각의 사이클내에 약 300 사이클의 고주파 클럭이 존재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신뢰성있게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할지라도, 필요한 것보다 300 사이클만큼 먼저 고주파로 액티베이팅해서 알려지지 않은 초기 오프셋의 지속기간을 해결해야 한다. 또한, 슬립주기의 끝에서의 고주파 클럭 리액티베이션은 저주파 클럭에서의 전이 (transition) 와 동기를 이루기 때문에, 고주파 클럭이 리액티베이팅되는 정확성은 저주파 클럭의 정확성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들어, 시스템이 슬립주기의 정확한 지속시간이 853.44 사이클의 슬립 클럭이라고 신뢰성있고 정확하게 결정할지라도, 시스템은 853 번째 사이클의 검출된 전이까지는 고주파를 리액티베이팅할 필요가 있으며 나머지 소수부분의 사이클 개수, 즉 나머지 .44 사이클을 적절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약 300 사이클의 고주파 클럭이 슬립 클럭의 각각의 사이클에서 발생하면, 예를들어, 고주파 클럭은 필요한 것보다 추가적으로 130 사이클 먼저 턴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립주기의정확한 지속시간이 853.99 사이클의 슬립모드 클럭인 경우, 고주파 클럭은 필요한 것보다 거의 300 사이클 먼저 턴온된다.
따라서, 슬립주기동안의 시간을 추적하기 위하여 저주파 클럭을 이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동국은 다음 예상 페이징 슬롯보다 먼저 액티브모드로 복귀하여, 저주파 클럭에서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타이밍 에러를 극복하고 저주파 클럭에서의 상대적인 정확성 부족을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들어, 페이징 슬롯이 26.67 msec 마다 발생하는 경우, 이동국은 고주파 클럭을 예를들어 단지 25 msec 의 슬립후에 액티베이팅하여 다음 슬롯을 놓치지 않도록 프로그램된다. 따라서, 최선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없다.
저주파, 저전력 클럭 신호 발생기 고유의 타이밍 에러를 보상하기 위해 제안된 한가지 기술은, 저전력 클럭 신호 발생기가 이전 슬립주기의 타이밍 정확도에 기초하여 각각의 슬립주기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슬립주기 내에서 이동전화기가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에는 너무 늦게 웨이크업되면, 이동국은 다음 슬립주기에서 보다 먼저 웨이크업되도록 조절된다. 슬립주기가 너무 긴지 너무 짧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동국은 할당된 슬롯의 시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프래앰블 (message preamble) 등의 수신 페이징 신호내의 고유 워드를 검출시도한다. 고유 워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국은 자신이 너무 늦게 웨이크업되었다고 결정하고, 따라서 슬립 지속시간을 다음 슬립주기에 대해서는 감소시킨다. 고유 워드가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았으면, 이동국은 적시에 또는 너무 일찍 웨이크업되었다고 결정하고, 슬립 지속시간을 다음 슬립주기에 대하여 다소 증가시킨다. 상기 기술의 문제점은 고유 워드 검출의 실패가 타이밍 에러의 결과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유 워드가 정확하게 수신되거나 복조되지 않는 슬립주기의 지속시간 이외에도 다른 이유, 즉 열악한 통신 채널 품질 환경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유 워드 검출의 실패가 다른 통신 에러가 아니라 타이밍 에러의 결과였을지라도, 시스템은 저전력, 저주파 클럭 신호의 상대적인 정확성 부족에 기인한 초기 및 최종 오프셋을 보상하지 않기 때문에 최선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없다.
관련개량기술이 발명의 명칭이 "Synchronization of a Low Power Oscillator with a Reference Oscillat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Slotted Paging" 이고 1998년 8월 14일 출원되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출원번호 제 09/134,80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는, 타이밍 에러가 송신 신호 일부분의 수신실패와는 상관없이 정정된다. 오히려, 시스템은 저전력, 저주파 클럭에서의 주파수 드리프트를 직접 추정하기 위한 주파수 에러 추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특허출원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고주파 클럭이 액티브 상태인 시간주기동안 고주파 클럭을 이용하여 저주파 클럭을 타이밍함으로써, 저주파 클럭의 주파수 드리프트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이동국의 고주파 클럭이 동작하는 각각의 페이징 슬롯 동안, 저주파 클럭의 주파수 에러는 고주파 클럭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시스템은 고주파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저주파 클럭 신호에서의 전이에 매우 정확하게 동기시킨다.
상기 특허출원의 시스템은 이동국에 송신되는 신호내의 고유 워드 검출에 의존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개량기술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이 있다. 예를들어, 상술한 초기 및 최종 오프셋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출원의 개량된 시스템에서도, 나머지 타이밍 에러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 예상 페이징 슬롯의 얼마 정도 앞에서 고주파 클럭신호가 액티베이팅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선으로 절력을 절감할 수 없다. 슬립주기 동안에 최선으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다음 페이징 슬롯에 가능한 근접하게 액티브 모드 고주파 클럭이 턴온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본 발명의 양태가 본질적으로 지향하는 목적이다. 특히, 저주파 클럭의 소수부분 (fractional portion) 에 기초하여 리액티베이팅될 고주파 클럭을 리액티베이팅하기 위하여 상술한 초기 및 최종 오프셋을 보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본 발명의 특정 양태가 지향하는 목적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슬립주기 다음에 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이점을 자세히 설명하며, 도면중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대상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성된,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내에서 이용하는,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 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장치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과 도 2 의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된 클럭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는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 신호를 액티베이팅하는, 도 1 과 도 2 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는 CDMA 용으로 구성된 도 1 과 도 2 의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이 슬립주기동안에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고 논슬립주기동안에는 보다 빠른 액티브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이동국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웨이크업을 추정하는 웨이크업 추정 유닛을 구비한다.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 사이의 정확성 차이로 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타이밍 오프셋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보상 유닛이 제공된다.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은 보상된 웨이크업 시간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여 슬립모드를 종료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국은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본 장치는 슬립모드 클럭에서 주파수 드리프트로 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을 구비한다. 주파수 드리프트와 타이밍 오프셋 양쪽을 보상함으로써, 액티브모드 클럭은 다음 페이징 슬롯과 근접하게 동기하여 웨이크업 시간에 액티베이팅되고, 가능한 타이밍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이 다음 페이징 슬롯에 충분히 앞서서 액티베이팅되어야하는 시스템과 비교할때, 상당히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타이밍 오프셋과 주파수 드리프트의 보상은 각각의 슬립주기의 시작과 끝 양쪽에서 전이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이모드 클럭은 슬립모드 클럭보다 상당히 큰 주파수를 갖는다. 전이모드 클럭은, 본 장치가 주파수 드리프트 에러와 타이밍 오프셋 에러를 편리하게 보상함으로써, 액티브 모드 클럭을 슬립주기에서 나중에 리액티베이팅할 수 있게 한다. 전이모드 클럭은 슬립주기가 시작한 후 바로 디액티베이팅되고 슬립주기가 종료하기 바로전에 리액티베이팅됨으로써, 전이모드에서는 거의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다. 또한, 전이 모드 클럭은 이동국의 구성요소가 슬립주기에서 나중에 리액티베이팅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전이모드 클럭을 동작시키는 데 요청되는 전력 증가는 더 긴 슬립주기를 가능하게 하여 얻은 전력절감에 의해 보상된 것보다 크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3 의 타이밍도와 함께 도 1 과 2 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 다음에, 도 4 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요약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도 5 와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이,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이동국 (미도시) 에서 슬립주기 다음에 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도록 구성된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장치 (100) 를 도시한다. 도 3 에는 고주파 클럭을 도시하고 도면부호 101 로 나타내었다. 고주파 클럭이 디액티베이팅되는 슬립주기는 도면부호 103 으로 나타내었다. 이동국이 적시에 웨이크업되어 슬롯내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된 임의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슬립 주기동안 전력절감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클럭 액티베이션 장치는 고주파 클럭을 다음 페이징 슬롯에 가능한 근접하게 액티베이팅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목적으로, 도 1 의 클럭 액티베이션 장치 (100) 는 슬립주기동안 이용한 저전력, 저주파 클럭내의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구성요소, 및 슬립 주기가 단지 저주파 클럭만을 이용하여 타이밍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최초 및 최종 타이밍 오프셋 클럭을 보상하여 고주파 클럭이 높은 정확도로 턴온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하, 논슬립 모드동안 이동국에서 이용하는 고주파 클럭은 액티브모드 클럭이라 하고, 슬립주기를 타이밍하는 데 이용하는 저주파 클럭은 슬립모드 클럭이라고 한다. 슬립모드 클럭은 슬립주기와 논슬립주기 양쪽에서 항상 액티브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액티브모드 클럭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제 3 클럭을 부분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드리프트와 타이밍 오프셋에 대한 보상을 행한다. 여기서, 제 3 클럭 신호는 전이모드 클럭이라하며, 각각의 슬립주기의 시작과 끝에서 이용된다. 도 3 에서, 전이모드 클럭 신호는 도면부호 105 로 나타내었고, 슬립모드 클럭은 도면부호 107 로 나타내었다. 보다시피, 전이모드 클럭은 액티브모드 클럭의 디액티베이션 다음에 적어도 몇 개의 사이클에 대하여 액티브 상태이고, 전이모드 클럭은 액티브모드 클럭의 리액티베이션 이전에 적어도 몇 개의 클럭 사이클에 대하여 리액티베이팅된다. 다음 실시예에서, 액티브모드 클럭과 전이모드 클럭 양쪽은 약 9.68 MHz 에서 동작하고, 슬립모드 클럭은 약 32 KHz 에서 동작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클럭 주파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에서, 액티브모드, 슬립모드, 및 전이모드 클럭 신호가 액티브모드 클럭 생성기 (102), 슬립모드 클럭 생성기 (104), 및 전이모드 클럭 생성기 (106) 에 의해 각각 생성된다.
도 1 의 클럭 액티베이션 장치 (100) 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카운트된 클럭 사이클, 즉 슬립 기간 (103) 동안 카운트된 도 3 의 클럭 (107) 의 사이클 개수에만 기초하여 슬립 기간의 끝을 추정하는 웨이크업 타입 추정 유닛 (108) 을 구비한다.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 (110) 은 슬립모드 클럭내에의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조절 인자를 계산하며 도 3 의 전이모드 클럭 신호 (105) 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조절을 행한다.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 (112) 은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여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된 클럭 사이클에 기초하여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제 1 카운트된 클럭 사이클사이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추가 조절 인자를 제공한다, 즉,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은 시간 (109) 에서 시작하는 도 3 의 슬립주기 (103) 의 시작과 시간 (111) 에서 카운트된 슬립모드 클럭의 제 1 상승 에지 (rising edge; 107) 사이에서 발생하는 오프셋을 보상한다. 도 1 의 유닛 (108) 에 의해 제공된 웨이크업 시간 추정치, 및 유닛 (110, 112) 에 의해 제공된 조절 인자 양쪽은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14) 에 보내지고, 유닛 (114) 은 액티브모드 클럭 생성기 (102) 를 제어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페이징 슬롯내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데 이용되는 CDMA 수신 유닛과 같은 이동국의 다른 구성요소에서 이용되는 액티브모드 클럭 신호의 출력을 시작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은, 다음 페이징 슬롯보다 충분히 앞서서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여 CDMA 수신 회로 등의 이동국 구성요소의 웜업 (warmup) 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도 1 의 클럭 액티베이션 장치 (100) 는 상대적으로 부정확한 슬립모드 클럭에 기초하여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지만, 슬립주기의 대부분동안 디액티베이팅되는 보다 빠른 전이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주파수 드리프트와 타이밍 오프셋 조절 인자에 기초하여 조절한다. 이런 방법으로, 종래 시스템에 비하여 전력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웨이크업 시간 추정 유닛,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 및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 등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다른 슬립주기 지속시간을 이용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26.67 msec 의 슬립 주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슬립 컨트롤러 (116) 는, 액티브모드 클럭 생성기 (102) 를 디액티베이팅하고 추정 유닛 (108) 과 보상 유닛 (110, 112) 이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슬립주기를 시작한다. 웨이크업 시간 추정 유닛 (108) 은, 슬립모드 클럭이 임의의 주파수 드리프트를 거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슬립모드 클럭의 제 1 상승 에지가 슬립주기의 시작 시간과 동기되었다고 가정하여, 슬립모드 클럭 (도 2 의 107) 의 클럭 사이클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을 슬립주기내에서 예상되는 클럭 신호의 예상 개수와 비교함으로써 슬립주기 끝의 추정값을 제공한다.이런 목적으로, 추정 유닛 (108) 은, 슬립주기의 클럭 사이클 예상 개수 마이너스 임의의 필요 웜업주기 마이너스 오프셋 에러와 주파수 드리프트 에러를 조절하는 데 필요한 최대 시간양을 저장하는 메모리 레지스터 (118) 를 구비한다. 웜업주기는 미리 정해진 값이다. 슬립주기의 시작에서 초기 오프셋을 보상하는 데 요구되는 최대 조절량은 슬립모드 클럭의 1½사이클이다. 주파수 드리프트 에러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최대 시간은 최대 예상 온도와 전력 변화에 기초한 최대 예상 드리프트양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소정값이다. 이들 값은, 과도한 실험이 없이도, 예를들어 예상온도변화를 거친 샘플구성요소를 이용하는 테스트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액티브모드 클럭이 9.83 MHz 에서 동작하며 슬립 모드 클럭이 30 KHz 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레지스터는 300 마이너스 웜업주기 마이너스 최대 예상 드리프트, 및 오프셋 값을 저장한다. 따라서, 메모리 레지스터는 시간편차를 보다 정확하게 보상하는 데 웝업주기와 전이모드 클럭을 이용할 수 있기에 충분한 양만큼의, 실제 예상 슬립모드 주기보다 적은 시간주기에 대한 슬립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 개수를 저장한다.
카운터 (120) 는 슬립모드 컨트롤러 (116) 에 의해 트리거되어 슬립모드 클럭 신호의 상승에지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컨트롤러 (122) 는 그 카운트값을 수신하여 그 카운트 값을 메모리 레지스터내에 저장된 클럭 사이클의 예상 개수와 비교하며, 클럭이 메모리 레지스터내의 값과 동일할 경우 지시 신호를 출력하여 슬립주기의 예상 종료를 지시한다. 지시 신호는,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 (110) 과 오프셋 유닛 (112) 에 의해 제공된 조절인자를 거친 액티브모드 클럭의리액티베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14) 으로 송신된다. 지시 신호는 임의의 웜업주기와 임의의 최대 예상 조절주기를 참작하는 메모리내의 사이클 개수에 기초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지시 신호는 슬립주기의 실제 예상 끝을 식별하지 못한다. 반면, 지시 신호는 예상 슬립주기의 끝보다 충분히 앞서서 송신되어, 웜업과 슬립주기의 실제 끝이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과 오프셋 추정 유닛에 의해 제공된 조절 인자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주파수 드리프트 유닛 (110) 은 온도변화 등의 결과인 슬립모드 클럭내의 드리프트양, 예를들어 백만개당 부분개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 (124) 을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은 액티브모드 클럭 발생기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동작한다.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은 슬립모드 클럭 신호와 액티브모드 클럭 신호 양쪽을 수신하고, 슬립모드 클럭의 각 사이클내에서의 액티브모드 클럭 사이클 개수를 카운트하여 슬립모드 클럭의 실제 주파수의 실행평균 (running average) 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이동평균 윈도우 (MAW; moving average window)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은, 각각의 슬립모드 사이클내에서 확인된 액티브모드 클럭 사이클의 예상 개수를 카운트된 실제 개수와 비교하여 주파수 드리프트 인자를 계산한다. 예를들어, 액티브모드 클럭이 9.83 MHz 에서 동작하고 슬립모드 클럭이 30 KHz 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은 슬립모드 클럭의 각각의 사이클내에 약 300 사이클의 액티브모드 클럭을 예상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은 발명의 명칭이"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Drift in a Low Frequency Clock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이고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되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출원에 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추정 유닛 (124) 에 의해 발생한 추정 주파수 드리프트값은 예상 타이밍 에러 계산 유닛 (126) 으로 출력되고, 유닛 (126) 은 웨이크업 추정 유닛 (108) 에 의해 발생한 웨이크업 시간과 다음 페이징 슬롯 사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밀리세컨드내 타이밍 에러를 계산한다. 예를들어,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의 출력이 백만개당 부분개수로 표현되면, 예상 타이밍 에러 계산 유닛은 슬립주기의 알려진 길이에 기초하여 백만개당 부분개수값을 실제 시간값으로 변환한다. 예상 타이밍 에러는 타이밍 에러 조절 유닛 (128) 으로 송신되고, 유닛 (128) 은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14) 을 제어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추정 타이밍 에러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지연시킨다. 이런 목적으로, 타이밍 에러 조절 유닛은, 웨이크업 추정 유닛 (108) 에 의해 제공된 지시신호 수신시 전이모드 클럭 발생기 (106) 를 액티베이팅하는 전이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32) 을 구비한다. 그후, 카운터 (134) 는 전이모드 클럭내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즉, 카운터는, 도 3 과 같이, 전이모드 클럭 (105) 내의 클럭 사이클을 시간 (113) 에서 카운트한다. 컨트롤러 (136) 는 예상 타이밍 에러내의 전이모드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고, 카운터 (134) 에 의해 유지된 카운트가 전이모드 클럭 사이클의 계산된 개수와 동일할 경우, 제어신호를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으로 출력한다, 즉, 제어 신호를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115) 에서 출력한다.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14) 은, 인에이블링 제어 신호 (enabling control signal) 가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과 오프셋 시간 보상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만,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액티브모드 클럭은, 적어도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의 컨트롤러 (136) 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는, 지연된다.
오프셋 보상 유닛 (112) 은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상승 에지 사이의 오프셋을 계산하고 액티브모드 클럭 유닛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을 조절하도록 연동하는 초기 오프셋 시간 추정 유닛 (138) 과 오프셋 에러 조절 유닛 (140) 을 구비한다. 도 3 의 실시예에서, 전이모드 클럭은 슬립주기의 시작보다 다소 앞서서 액티베이팅되므로 슬립주기의 시작에서 동작가능하다. 슬립 컨트롤러 (116) 에 의해 액티베이팅된 카운터 (142) 는 슬립주기의 시작에서 전이 모드 클럭의 사이클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카운터 (142) 는 슬립모드 클럭의 제 1 상승에지가 검출유닛 (144) 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사이클을 계속하여 카운트한다, 즉, 카운터 (142)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109) 과 시간 (111)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105) 의 사이클을 카운트한다. 카운트 개수는 메모리 레지스터 (146) 내에 저장되고, 그후 전이모드 클럭은 전이모드 클럭 디액티베이션 유닛 (148) 에 의해 디액티베이팅된다. 전이모드 클럭은 리액티베이션 유닛 (150) 에 의해 리액티베이팅될 때까지 슬립주기의 나머지 부분에 걸쳐서는 인액티브 (inactive) 이다. 리액티베이션 유닛은, 웨이크업 추정 유닛 (108) 으로부터 지시 신호 수신시, 전이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한다. 그때, 컨트롤러 (152) 는 메모리 레지스터 (146) 내에 저장된 값을 판독하고 레지스터 (146) 내에 저장되었던 카운트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154) 를 액티베이팅한다. 카운터 만료시 (154),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 유닛 (152) 로부터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114) 으로 송신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웨이크업 시간 추정 유닛 (108) 은 슬립모드 클럭 발생기만을 이용하여 추정된 슬립주기의 끝보다 소정 시간 앞서서 지시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과 오프셋 보상 유닛은 지시 신호의 수신부터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지연하여 웜업주기의 지속시간을 해결하고, 슬립모드 클럭내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하며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사이의 임의의 오프셋을 보상한다. 이런 방법으로, 액티브 모드 클럭이 동기되어 그 이동국의 구성요소가 웜업주기의 시작에서 동작을 재시작하여 다음 페이징 슬롯 이전에 웜업할 만큼의 시간을 제공한다. 이런 방법으로,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하지 않거나 초기 오프셋주기를 보상하지 않는 장치들에 대해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 은, 슬립주기의 시작과 끝에서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주파수 드리프트와 초기 타이밍 오프셋 양쪽을 보상하면서, 슬립주기의 끝에서 고주파 클럭 신호를 리액티베이팅하도록 동작하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실시형태를 일괄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 4 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요약설명한다. 최초에, 단계 200 에서는 이동국이 슬립주기 이전에 전이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한다. 단계 202 에서는, 고주파 액티브모드 클럭을 디액티베이팅하여 슬립주기를 시작한다. 단계 204 에서는, 항상 액티브 상태인 장치가 액티브모드가 종결되는 시점에서부터 발생하는 전이모드 신호내의 상승 에지의 개수를, 슬립 모드 클럭의 다음 상승 에지까지 카운트한다. 단계 204 에서 결정된 카운트의 개수는 카운터에 저장된다. 단계 204 에서는, 전이모드 클럭을 디액티베이팅한다. 단계 208 에서는, 슬립주기동안 경과된 시간의 추정치를 저주파 슬립모드 클럭만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단계 210 에서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리액티베이팅한다. 리액티베이션 시간은 슬립모드 클럭 마이너스 최대 예상 주파수 드리프트와 타이밍 오프셋 에러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소정량의 시간을 이용하여 결정된 슬립 기간의 추정된 끝에 기초한다. 단계 212 동안에는, 카운트가 단계 204 다음에 기록된 카운트의 개수 플러스 계산된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데 필요한 카운트의 개수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전이모드 클럭 신호에서 발생하는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적절한 개수의 전이모드 클럭의 사이클이 경과하면, 단계 214 에서는, 고주파 액티브모드 클럭을 리액티베이팅하여, 이동국의 구성요소가 적시에 웜업되고 다음 페이징 슬롯에서 송신하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통신산업협회 (TIA) 에서 공표한 IS-95A 표준을 따르는 CDMA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IS-95A 표준에 따르면, 슬롯 모드에서 동작하는 CDMA "가입자국" 은 슬롯 사이클 인덱스 (SCI)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슬립상태가 됨으로써 대기시간을 최대화한다. 가입자국은 매 (1.28*2SCI) 초마다 웨이크업함으로써 할당된 80ms 슬롯이 페이지를 수신하도록 모니터한다. 예를들어, SCI = 0 일 경우, 이상적으로는 가입자국은 80ms 동안은 깨어있고, 1.2 sec 동안은 슬립한다. 실제로, 다음 슬롯 경계에 대해 충분한 시간 앞서서 웨이크업함으로써, RF 웜업, 동기화기 안정화 (synthesizer stabilization), 클럭 세틀링 (clock settling), CDMA 파일럿 서치와 획득, 핑거 재할당 및 디코더 웜업과 같은 이벤트를 관리한다.
각각의 슬립 사이클에서, 유닛은 "캐트냅 (catnaps)" 상태로 슬립하여, 가입자가 슬립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키를 누를 경우 양호한 응답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슬립 사이클 길이와 캐트냅 길이는 의사숫자 롤 (PN roll; 예를들어, 26.67 ms) 의 배수가 되도록 선택되어, 웨이크업시 국 (station) 에서 서치를 수행하여 동일 위치에서 파일럿을 발견할 수 있다. 각각의 캐트냅은 다시 (1) 전체 유닛이 슬립할 때, "슬립 시간", (2) RF 및 아날로그 유닛이 웜업 동안 턴온될 때, "웜업 시간" 으로 분류된다. 가입자국이 슬립상태일 때, 시스템 시간은 비정밀 타이밍 (coarse timing) 용 슬로우 클럭 (SC; Slow Clock; 1/60k 의 최대 분해능 = 1.67sec) 과 정밀 타이밍 (fine timing) 용 SLPCHIPX8 클럭 (1/(8*1.2288e6) 의 분해능 = 0.102sec) 의 조합으로 슬립 시간을 추정하는 카운터를 클럭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유지된다.
슬립 사이클을 이루는 이벤트들의 예를 도 5 에 나타낸다. 파형 E 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슬립 사이클에서 각각의 이벤트를 표시한다.
- t1 전에: 슬립할 시간이면, 가입자국의 소프트웨어는 액티브모드 클럭 CHIPX8 에 기초하는 CDMA 복조기 디코더 클럭 레짐 (regime), RXCHIPX8 (파형B) 을 제외한 모든 불필요한 레짐을 중단한다.
- 26.67ms의 배수는 슬립시간과 웨이크업 시간으로 분할되고 SLEEP_INTERVAL 과 WU_TIME 레지스터를 통하여 제 1 캐트냅 간격의 지속시간으로서 프로그래밍된다.
- 가입자국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SLEEP_CTL 레지스터의 ASIC_SLEEP_ARM 비트를 기록하여, 가입자국이 다음 PN 롤 (t1 으로 나타냄) 상에서 슬립할 수 있다고 지시한다.
- 처음부터, SLPCHIPX8 (파형 C), 즉 전이모드 클럭이 RXCHIPX8 과 동기상태에 있으며, 슬립 클럭 (SC; 파형 D) 은 CDMA 클럭 레짐 CHIPX8 과 비동기 상태이고 양쪽은 동일 소스인 CHIPX8 로부터 유도되었다.
- 시간 t1 에서는, 다음 PN 롤이 발생하는 경우, RXCHIPX8 클럭 레짐이 디스에이블되어 가입자국이 슬립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슬립 주기는 SC 를 런오프 (run off) 하는 카운터 SLEEP_INTERVAL 과 WU_TIME 를 이용하여 결정된 26.68ms 의 배수에 매우 근접해야한다. 비동기 SC 를 해결하기 위하여, CHIPX8_SLEEP_TIME 이라 불리는 카운터는 t1 으로부터 SC 의 다음 상승 에지까지 경과한 SLPCHIPX8 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 시간 t2 에서는, SLPCHIPX8 클럭 레짐이 디스에이블되는 SC 의 상승 에지가 발생하여, CHIPX8_SLEEP_TIME 을 동결시킴으로써 chipx8 유닛에서 지속시간 (t2-t1) 의 추정치를 제공한다.
- 시간 t3 에서는, SC 지속시간의 절반이후에, SLEEP_N 신호 (파형 A) 는 SC 의 하강 에지에서 낮아진다. 이는 가입자국의 다른 디지털, 아날로그, 및 RF 성분들을 저전력모드 상태가 되게 한다. SC 에 NSC chipx8 가 존재하는 경우, 이 시점에 경과한 전체 시간은 TA= (t2-t1) + (t3-t2) = {CHIPX8_SLEEP_TIME +1/2 NSC} chipx8 으로 주어진다. 이 정의로부터, TA는 1/2 - 1 ½ 슬로우 클럭 사이클의 범위에 있게 된다. 후속 캐트냅은 비동기 슬립 크리스탈 (asynchronous sleep crystal) 로 인하여 슬립하는 여분의 시간을 해결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SC 를 런오프하는 카운터 SLEEP_INTERVAL 은 카운트다운하기 시작한다.
- 시간 t4 에서, 카운터 SLEEP_INTERVAL 은, 제로 카운트에 도달할 때 웨이크업 인터럽트라고 가정한다. 가입자국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웨이크업되어, 하드웨어가 다음 슬롯에서 깨어나며 키 프레스 이벤트 (kep press event) 를 서비스할 필요가 있는 지 결정한다.
- 이들 상태중 어느것도 부합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는, 웜업 카운트 다운동안 (WU_TIME 카운터를 통하여) SLEEP_N 신호를 액티브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슬립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프트웨어는 다음 캐트냅 길이, 슬로우 클럭에서의 비동기 래그(asynchronous lag), PN 롤의 배수에 근접한 SC 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드리프트와 트렁케이션 에러 (drift and truncation error) 등의여러 인자들에 기초하여, 다음 캐트냅에서 슬립할 필요가 있는 SC 의 개수를 추정한다.
- 시간 t5 에서는, WU_TIME 카운터가 카운트를 만료할 때, 이전 단계에서 구한 새로운 값을 SLEEP_INTERVAL 카운터로 로딩한다. WU_TIME 카운터는 RF 하드웨어 웜업 조건에 의하여 명시된 미리 계산된 상수값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슬립상태로 돌아가서 다음 캐트냅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대기한다.
- 시간 t6 에서는, 서비스될 임의의 미해결 인터럽트가 존재하거나 이것이 이 슬립 사이클에서 허용된 최총 캐트냅일 경우, 하드웨어는 SLEEP_N 신호가 웨이크업 인터럽트에서 인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다음 슬롯에 대하여 웨이크업되어 다음 슬롯을 준비한다. WU_TIME 카운터가 카운트다운하는 동안, 아날로그와 RF 성분이 웜업된다.
- 시간 t7 에서는, WU_TIME 카운터는 마지막 캐트냅의 끝을 지시하면서 카운트를 만료하고, SLPCHIPX8 레짐은 시간 t8 에서 턴온된다. TB = t7-t3 로 나타내는 모든 캐트냅 동안 경과한 전체 시간은 SC 의 정수배에 근접하다. 일반적으로, 슬립 캘리브레이션 (sleep calibration) 된다고 앞에서 언급한 여러 인자들로 인하여, 가입자국이 계속 슬립상태일 필요가 있는 나머지 시간양 (SC 의 소수부분) 이 존재한다. 이 소수부분 SC (TC로 나타냄) 는, chipx8 유닛으로 변환되고 SLPCHIPX8 에 의해 클럭된 카운팅다운을 시작하는 CHIPX8_SLEEP_TIME 으로 프로그램된다.
- 시간 t9 에서는, CHIPX8_SLEEP_TIME 이 만료하면, 하드웨어는 시간 t10 에서 RXCHIPX8 을 턴온한다. 해당 최종 지속시간은 TC= t9-t7 이다.
실시형태의 관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주로 설명하였다. 실제 시스템의 완전한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반드시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만 설명하였다. 실제 실시예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여기 정의된 기본원리는 창조력 없이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여기서 개시한 실시형태들에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 개시한 원리와 특징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Claims (23)

  1. 이동국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이 슬립주기동안에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고 논슬립주기동안에는 보다 빠른 액티브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이동국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장치로서,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간을 추정하는 수단;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의 정확성 차이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수단; 및
    그 보상한 웨이크업 시간에서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의 정확성 차이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상기 수단은,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 및
    슬립모드 클럭의 최종 카운트된 사이클과 슬립주기의 끝 사이에서 발생하는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추정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 클럭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상기 수단은,
    단일 슬립주기동안 발생하는 슬립모드 클럭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드리프트를 추정하는 수단;
    실제 슬립주기 지속시간과, 추정된 주파수 드리프트를 거친 슬립모드 클럭에 의해 카운트된 슬립주기 지속시간 사이의 예상 타이밍 에러를 계산하는 수단; 및
    그 예상 타이밍 에러에 기초하여, 액티브 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수단을 제어하여 액티베이션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밍 에러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에러 조절 수단은,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추정 웨이크업 시간 이전의 시작시간에 액티베이팅하는 수단;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
    예상 타이밍 에러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개수와 예상 타이밍 에러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합하여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를 산출하는 수단;
    전이모드 클럭내의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수단; 및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수단을 제어하여,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 이후의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가 경과할 때까지 지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초기 오프셋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상기 수단은,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다음 상승에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의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수단;
    그 카운트한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저장하는 수단;
    전이모드 클럭을 디액티베이팅하는 수단;
    추정 웨이크업 시간 이전의 시작 시간에서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리액티베이팅하는 수단; 및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수단을 제어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가 경과할 때까지 지연하는 지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국은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액티브모드 클럭이 다음 페이징 슬롯과 충분히 동기하는 웨이크업 시간에서 액티베이팅하도록, 슬립주기가 일련의 페이징 슬롯들사이의 시간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이동국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이 슬립주기동안에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고 논슬립주기동안에는 보다 빠른 액티브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이동국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장치로서,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간을 추정하는 웨이크업 시간 추정 유닛;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 사이의 정확성 차이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보상 유닛; 및
    그 보상한 웨이크업 시간에서 액티브 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유닛은,
    슬립 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초기 오프셋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초기 오프셋 보상 유닛; 및
    슬립모드 클럭의 최종 카운트된 사이클과 슬립주기의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최종 오프셋 보상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내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추정 유닛은,
    소정의 의도한 슬립모드 주파수로 동작하는 클럭에 대한 단일 슬립주기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소정의 개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슬립주기동안 슬립모드 클럭내의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언제 클럭 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가 클럭 사이클의 예상 개수와 동일한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에러 추정 유닛은,
    단일의 슬립주기동안 발생하는 슬립모드 클럭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드리프트를 추정하는 주파수 드리프트 추정 유닛;
    실제 슬립주기 지속시간과 추정 주파수 드리프트를 거친 슬립모드 클럭에 의해 카운트된 슬립주기의 지속기간사이의 예상 타이밍 에러를 계산하는 예상 타이밍 에러 계산 유닛; 및
    그 예상 타이밍 에러에 기초하여, 액티브 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수단을 제어하여 액티베이션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밍 에러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에러 조절 유닛은,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추정 웨이크업 시간 이전의 시작시간에 액티베이팅하는 전이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 유닛;
    예상 타이밍 에러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제 2 계산 유닛;
    전이모드 클럭 시작 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예상 타이밍 에러내에서 발생하는 클럭사이클의 개수와 합하여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를 산출하는 합산기;
    전이모드 클럭에서 경과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을 제어하여,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의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가 경과할 때까지 지연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슬립 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상기 초기 오프셋 보상 유닛은,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신호 발생기;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다음 상승에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내의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그 카운트한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및
    전이모드 클럭을 디액티베이팅하는 디액티베이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오프셋 에러 조절 유닛은,
    추정 웨이크업 시간 이전의 시작시간에서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리액티베이팅하는 리액티베이션 유닛; 및
    액티브모드 클럭 액티베이션 유닛을 제어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가 경과할 때까지 지연하는 지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이동국은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액티브모드 클럭이 다음 페이징 슬롯과 충분히 동기하는 웨이크업 시간에서 액티베이팅되도록, 슬립주기가 일련의 페이징 슬롯들사이의 시간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이동국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이 슬립주기동안에는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고논슬립주기동안에는 보다 빠른 액티브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이동국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슬립주기 다음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으로서,
    슬립모드 클럭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사이의 정확성 차이에 기인한 추정된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단계; 및
    그 보상한 웨이크업 시간에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과 액티브모드 클럭사이의 정확성 차이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상기 단계는,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모드 클럭의 최초 카운트된 사이클 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초기 오프셋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 및
    슬립모드 클럭의 최종 카운트된 사이클과 슬립주기의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을 결정하고, 그 최종 오프셋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추정 웨이크업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에서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시간을 추정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의도한 슬립모드 주파수로 동작하는 클럭에 대하여 단일의 슬립주기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소정의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
    슬립주기동안 슬립모드 클럭에서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언제 클럭 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가 클럭 사이클의 예상 개수와 동일한지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슬립모드 클럭에서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상기 단계는,
    단일의 슬립주기동안 발생하는 슬립모드 클럭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드리프트를 추정하는 단계;
    실제 슬립주기 지속시간과 추정 주파수 드리프트를 거친 슬립모드 클럭에 의해 카운트된 슬립주기의 지속기간사이의 예상 타이밍 에러를 계산하는 단계; 및
    그 예상 타이밍 에러에 기초하여,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팅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액티베이팅 시간을 조절하는 상기 단계는,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추정된 웨이크업 시간이전의 시작시간에 액티베이팅하는 단계;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
    예상 타이밍 에러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의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과 슬립주기의 예상 끝 사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개수와 예상 타이밍 에러 내에서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의 개수를 합산하여,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전이모드 클럭의 경과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전이모드 클럭 시작시간 다음의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 사이클의 합한 개수가 경과할 때까지 지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초기 오프셋에 기인한 추정 웨이크업 시간의 에러를 보상하는 상기 단계는,
    슬립모드 클럭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큰 주파수를 갖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발생시키는 단계;
    슬립주기의 시작과 슬립 모드 클럭의 다음 상승 에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모드 클럭의 경과된 사이클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클럭 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전이모드 클럭을 디액티베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액티브모드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상기 단계는,
    전이모드 클럭 신호를 추정 웨이크업 시간 이전의 시작시간에 리액티베이팅하는 단계; 및
    액티브모드 클럭의 액티베이션을, 전이모드 클럭의 클럭사이클의 카운트한 개수가 경과할때까지 지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이동국은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액티브모드 클럭이 다음 페이징 슬롯과 충분히 동기하는 웨이크업 시간에서 액티베이팅되도록, 슬립 주기가 일련의 페이징 슬롯사이의 시간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05666A 1999-11-04 2000-11-03 슬롯 페이징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에서 슬립모드 다음에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44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34,869 1999-11-04
US09/434,869 US6735454B1 (en) 1999-11-04 199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high frequency clock following a sleep mode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PCT/US2000/030387 WO2001033870A2 (en) 1999-11-04 2000-11-03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tivating a mobile station following a sleep peri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88A true KR20020044588A (ko) 2002-06-15

Family

ID=2372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666A KR20020044588A (ko) 1999-11-04 2000-11-03 슬롯 페이징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에서 슬립모드 다음에고주파 클럭을 액티베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35454B1 (ko)
EP (1) EP1228655B1 (ko)
JP (1) JP4723146B2 (ko)
KR (1) KR20020044588A (ko)
CN (1) CN1451247A (ko)
AT (1) ATE429794T1 (ko)
AU (1) AU776533B2 (ko)
BR (1) BR0015247A (ko)
CA (1) CA2387676A1 (ko)
DE (1) DE60042080D1 (ko)
ES (1) ES2322792T3 (ko)
IL (1) IL149333A0 (ko)
MX (1) MXPA02004463A (ko)
RU (1) RU2255432C2 (ko)
WO (1) WO200103387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07B1 (ko) * 2002-10-15 2004-10-0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용 실시간 클럭 타이밍 보정 장치
KR100691952B1 (ko) * 2005-12-0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티베이션 타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제어국 장치 및 그액티베이션 타임 조절 방법
KR20180066491A (ko) * 2016-12-09 2018-06-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WO2023096067A1 (ko) * 2021-11-23 2023-06-01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무선 단말 장치의 웨이크업 시점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6709B2 (en) * 2000-11-29 2006-09-12 Telefonaktiebologet Lm Ericsson (Publ) Timing drift compensation in wireless packet-based systems
KR100350474B1 (ko) * 2000-12-30 200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무선 통신 단말 시스템에서 대기시 적응적 전력소모 감소 방법
US7197096B2 (en) * 2001-06-08 2007-03-27 Broadcom Corporation Compensation of reference frequency drift in system requiring critical upstream timing
US7403507B2 (en) * 2001-06-18 2008-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system time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JP2003110484A (ja) * 2001-09-27 2003-04-11 Sony Corp 携帯通信端末、該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977284B2 (en) 2001-10-04 2015-03-10 Traxcell Technologies, LLC Machine for providing a dynamic data base of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FI116702B (fi) * 2001-12-20 2006-01-31 Nokia Corp Dynaaminen tehonsäätö integroiduissa piireissä
US6980823B2 (en) * 2002-01-31 2005-12-27 Qualcomm Inc. Intermediate wake mode to track sleep clock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965763B2 (en) * 2002-02-11 2005-11-15 Motorola, Inc. Event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to reduce current drain
US6950684B2 (en) 2002-05-01 2005-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ower resources in wireless devices
CN1653733B (zh) 2002-05-06 2011-07-06 美商内数位科技公司 一种用于在无线发射/接收单元中使用的方法
US6822973B2 (en) * 2003-02-18 2004-11-2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educed slotted m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76147A1 (en) * 2003-03-06 2004-09-09 Wilberth Escalante Power conserv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variable reacquisition time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regime
US20050096060A1 (en) * 2003-11-05 200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use of reduced slot cycle mode of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594009B1 (ko) * 2003-09-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KR100686775B1 (ko) * 2003-11-07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 전송 방법
US7197341B2 (en) 2003-12-22 2007-03-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KR100678145B1 (ko) * 2004-03-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I20040418A (fi) * 2004-03-18 2005-09-19 Nokia Corp Digitaalijärjestelmän kellokontrolli
US7783277B2 (en) * 2004-03-24 2010-08-24 Somfy Sas Low power rf control system
US20050221870A1 (en) * 2004-04-06 2005-10-06 Integration Associates Inc. Method and circuit for determining a slow clock calibration factor
US7496774B2 (en) * 2004-06-04 2009-02-2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locks for standby mod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2874777B1 (fr) * 2004-09-02 2007-01-05 Sagem Telephone mobile et procede d'utilisation de ce telephone mobile
US20060056322A1 (en) * 2004-09-10 2006-03-16 Simpson Floyd D Method for updating a timer function in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0405863C (zh) * 2005-03-23 2008-07-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待机过程中校准睡眠处理器的方法
US7522941B2 (en) 2005-05-23 2009-04-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handheld communication system
US8385878B2 (en) * 2005-06-28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ivity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027373B2 (en) 2005-09-15 2011-09-27 Qualcomm Incorporated Quick detection of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94072B1 (ko) * 2006-02-15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오프라인 페이징 지시자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US8346313B2 (en) * 2006-08-01 2013-01-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warm-up time for a wireless device in idle mode
US7734264B2 (en) 2006-08-29 2010-06-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rame number (SFN) evaluator
JP4869879B2 (ja) * 2006-11-20 2012-02-08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7730339B2 (en) * 2006-11-20 2010-06-01 Ricoh Company, Ltd. Remote wake-up from an energy-saving mode
US8031024B1 (en) 2008-02-28 2011-10-04 Marvell International Ltd. Temperature-corrected frequency control with crystal oscillators
US8451740B2 (en) * 2008-04-01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Compensating for drifts occurring during sleep times in access terminals
US9237523B2 (en) * 2008-07-07 2016-01-12 Mediatek Inc. Method of establishing sleep mode operation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8625572B2 (en) * 2008-12-19 2014-01-07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indication in networks
US8258881B2 (en) * 2009-03-13 2012-09-0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rift reduction in a low power oscillator (LPO) utiliz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644203B2 (en) 2009-04-27 2014-02-04 Dialog Semiconductor B.V. Method of and device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synchronized systems
US20100303185A1 (en) * 2009-06-02 2010-12-02 Jacobus Cornelis Haartsen Methods of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Including Detecting Times of Receipt of Packets and Related Devices
JP5463165B2 (ja) * 2010-02-26 2014-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省電力化可能なponシステムにおける、onuのスリープ状態からの復旧方法
US8498240B2 (en) * 2010-11-11 2013-07-30 Mediatek Inc. Resynchronization method for recovering from sleep mode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8504889B2 (en) * 2010-11-1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GB2486880B (en) * 2010-12-22 2015-01-07 Toumaz Uk Ltd A TDMA-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8731119B2 (en) 2011-03-18 2014-05-20 Marvell World Trad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receiver frequency errors
US9289422B2 (en) 2011-03-24 2016-03-22 Marvell World Trade Ltd. Initial acquisition using crystal oscillator
US8488506B2 (en) * 2011-06-28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Oscillator settling time allowance
US9226241B2 (en) * 2011-09-02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medium access
US8552804B1 (en) * 2011-09-30 2013-10-08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Frequency synthesizers with dynamic calibration intervals
GB2500563B (en) * 2012-01-23 2016-08-17 Nvidia Corp Timing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943352B1 (en) * 2012-05-07 2015-01-27 Dust Networks, Inc. Low power timing, configuring, and scheduling
CN103327587B (zh) * 2013-05-29 2016-12-07 北京创毅讯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睡眠周期控制方法和装置
US9271171B1 (en) * 2013-06-10 2016-02-23 Google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tracking techniques for user devices in a MIMO network
US9461684B2 (en) * 2014-07-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Fast system recovery in multi-radio-access-technology devices
CN105703749B (zh) * 2014-11-24 2018-07-20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低功耗精确的休眠定时器电路及方法
JP2016115991A (ja) * 2014-12-11 2016-06-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機、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機の制御方法
US9872335B2 (en) 2015-03-06 2018-01-16 Marvell International Ltd. Iterative receiver wake-up for long DRX periods
US9483129B1 (en) 2015-05-12 2016-11-01 Atmel Corporation Active stylus with fractional clock-cycle timing
CN106304317B (zh) * 2015-06-24 2019-05-21 辰芯科技有限公司 睡眠唤醒定时偏差的补偿方法及电子设备
US10172092B1 (en) * 2015-07-24 2019-0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leep clock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0333525B1 (en) 2015-12-07 2019-06-25 Marvell International Ltd. Digitally-based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crystal oscillator
KR101939379B1 (ko) * 2017-05-24 2019-01-16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무선통신 장치 및 방법
US10788883B2 (en) * 2017-05-26 2020-09-29 Arm Ltd Timer for low-power communications systems
US10588087B2 (en) 2017-05-26 2020-03-10 Arm Limited Timer for low-power communications systems
CN109976501A (zh) * 2017-12-28 2019-07-05 中移物联网有限公司 一种低功耗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9765985B (zh) * 2018-12-25 2022-11-22 赛特威尔电子股份有限公司 单片机间隙性工作控制方法、系统及装置
FR3094540B1 (fr) * 2019-03-27 2021-02-19 Continental Automotive Procédé de contrôle d’une activation d’une fonction par un module de commande d’une unité roue
CN110324810A (zh) * 2019-06-20 2019-10-11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一种低功耗蓝牙数据包扫描窗口自动调整的方法
CN110488911B (zh) * 2019-07-17 2023-04-28 晶晨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数字频率生成器及其状态切换方法
FR3100628B1 (fr) * 2019-09-10 2023-04-14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Communication par bus CAN
EP3866019A1 (en) * 2020-02-17 2021-08-18 Be Spoon Clock-error estimation for two-clock electronic device
CN111669812B (zh) * 2020-05-29 2023-03-21 上海橙群微电子有限公司 低功耗蓝牙芯片、设备及其休眠唤醒控制方法和通信系统
FR3116167B1 (fr) * 2020-11-12 2024-04-19 St Microelectronics Rousset Ajustement d’un instant d’activation d’un circuit
CN113038445B (zh) * 2021-03-26 2022-11-18 上海磐启微电子有限公司 一种蓝牙休眠时钟的校准方法
CN113392063B (zh) * 2021-06-11 2022-11-25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时间同步方法、装置及系统
FR3124867A1 (fr) * 2021-06-30 2023-01-06 STMicroelectronics (Grand Ouest) SAS Procédé de communication d’une base de temps de référence dans un microcontrôleur, et circuit intégré de microcontrôleur correspondant.
CN113645683B (zh) * 2021-10-14 2021-12-24 昂科信息技术(上海)股份有限公司 晶振自适应时钟同步方法及系统
CN114025421B (zh) * 2021-11-11 2024-04-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天通卫星物联网终端低功耗唤醒时钟预补偿装置及方法
CN114860323A (zh) * 2022-05-20 2022-08-05 重庆御芯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低功耗精确定时唤醒方法和装置
CN116546615B (zh) * 2023-07-07 2023-09-12 芯迈微半导体(上海)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终端在连接态下的重新同步方法、装置
CN117150988B (zh) * 2023-11-01 2024-04-02 成都北中网芯科技有限公司 一种验证环境的高精度时钟产生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252B2 (ja) * 1995-06-30 2004-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間欠受信制御装置
GB2315194B (en) 1996-07-11 2000-11-15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two system clocks
US5953648A (en) * 1996-08-13 1999-09-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lock error in a remote communication device
GB2320398B (en) 1996-12-12 2001-11-14 Nec Technologies Time base alignment for digital mobile phones
JPH10190568A (ja) * 1996-12-27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
US6016312A (en) * 1997-02-28 2000-01-18 Motorola, Inc. Radiotelephone and method for clock calibration for slotted paging mode in a CDMA radiotelephone system
JPH10257004A (ja) * 1997-03-06 1998-09-25 Asahi Kasei Micro Syst Kk 通信装置
US5995820A (en) 1997-06-17 1999-11-30 Lsi Log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sleep mode c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s mobile station
EP0924947A1 (en) 1997-12-22 1999-06-23 The Technology Partnership Public Limited Company Power saving in a digital cellular system terminal
JP3555435B2 (ja) * 1998-03-31 2004-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通信端末
US6333939B1 (en) 1998-08-14 2001-12-25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f a low power oscillator with a reference oscillat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slotted paging
US6212398B1 (en) * 1998-12-03 2001-04-03 Ericsson Inc. Wireless telephone that rapidly reacquires a timing reference from a wireless network after a sleep mode
JP2000278752A (ja) * 1999-03-24 2000-10-06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JP3389140B2 (ja) * 1999-04-20 2003-03-24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間欠受信装置
JP2001053668A (ja) * 1999-08-06 2001-02-23 Denso Corp Phs通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07B1 (ko) * 2002-10-15 2004-10-0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용 실시간 클럭 타이밍 보정 장치
KR100691952B1 (ko) * 2005-12-0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티베이션 타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제어국 장치 및 그액티베이션 타임 조절 방법
KR20180066491A (ko) * 2016-12-09 2018-06-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WO2023096067A1 (ko) * 2021-11-23 2023-06-01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무선 단말 장치의 웨이크업 시점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3870A2 (en) 2001-05-10
DE60042080D1 (de) 2009-06-04
ES2322792T3 (es) 2009-06-29
US6735454B1 (en) 2004-05-11
ATE429794T1 (de) 2009-05-15
RU2255432C2 (ru) 2005-06-27
EP1228655B1 (en) 2009-04-22
RU2002114547A (ru) 2004-03-27
EP1228655A2 (en) 2002-08-07
JP4723146B2 (ja) 2011-07-13
WO2001033870A3 (en) 2001-11-22
MXPA02004463A (es) 2002-10-23
CN1451247A (zh) 2003-10-22
AU1756701A (en) 2001-05-14
CA2387676A1 (en) 2001-05-10
AU776533B2 (en) 2004-09-16
JP2003527788A (ja) 2003-09-16
IL149333A0 (en) 2002-11-10
BR0015247A (pt)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4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high frequency clock following a sleep mode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US64531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drift in a low frequency sleep clock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EP1702421B1 (e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US67250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arting a reference clock of a mobile station after a sleep period with a zero mean time error
US6804503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elf-calibrating sleep timer
JP4387473B2 (ja) Cdma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話およびスロット化ページング・モードに関してクロック較正を行う方法
KR100675450B1 (ko) 슬롯화된 페이징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국 내의 저주파수 휴면 클록의 주파수 드리프트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010072500A (ko) 무선통신장치에서 저전력 클록을 동기시키기 위한 방법
TWI504207B (zh) 通訊裝置及頻偏校正方法
US6807408B2 (en) Method for interrupting an idle state of a communication uni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13167A1 (en) Low power RC clock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W200950541A (e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MXPA06007169A (e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