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612A -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612A
KR20020043612A KR1020027004379A KR20027004379A KR20020043612A KR 20020043612 A KR20020043612 A KR 20020043612A KR 1020027004379 A KR1020027004379 A KR 1020027004379A KR 20027004379 A KR20027004379 A KR 20027004379A KR 20020043612 A KR20020043612 A KR 20020043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collection
cycle
call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398B1 (ko
Inventor
스다신이치로
도요마하야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에누.티.티. 코무웨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에누.티.티. 코무웨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4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3Billing soft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cross-charging network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3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using me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4Backing 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52General billing plans, rate plans, e.g. charge rates, numbering plans, rate centers, customer ac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64Billing record, e.g. Call Data Record [CDR], Toll Ticket[TT],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AMA], Call Line Identifier [CLI],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72Mediation, i.e. device or program to reformat CDRS from one or more switches in order to adapt to one or more billing programs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52Interconnection, inter-exchange, reseller billing, billing agreements between different operators, e.g. billing identifier added on the CDR in order to cross charge the other operator, inter-operator accounting, reconciliation, bill directly resellers custo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0Administration aspects, modify settings or limits or counter-check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0Administration aspects, modify settings or limits or counter-check correct charges
    • H04M2215/709Back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이 되면, 수집장치에서는 CDR 축적 장치에서 CDR이 수집되어, 가공 장치로 송신된다. CDR의 수집이 사이클 처리의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의 작업 기동 기능을 해제한다. 그리고 이번 사이클 처리에서의 수집이 종료한 후,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DEVICE FOR COLLECTING, PROCESSING, WORKING, AND MANAGING CALL DETAILS AND METHOD FOR COLLECTING, PROCESSING, WORKING, AND MANAGING CALL DETAILS}
전기 통신 서비스에서, 이용자가 전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호출 정보(call information)는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교환기에 의해 통화 명세 기록인 CDR(call detail record)로 가공되어진다. 그리고 전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통신 요금의 정산 처리는 이 CDR의 정보에 따라 산출되어진다.
CDR(또는 호출 정보)의 발생량은 도시, 교외 및 지방 도시 등과 같이 발생 영역에 따라 다른 영역 특성, 또는 인간의 활동 시간이나 경제 활동 시간과 연동하여 변화되는 시간 특성에 의해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CDR의 정보에 따라 통신 요금의 정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요금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영역 특성 또는 시간 특성을 고려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처리 효율이 악화된다.
또한 CDR의 정보에 따라 통신 요금의 정산 처리를 하고 있는 요금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CDR를 가공하고 있는 교환기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요금 시스템에서 정산 처리의 대상이 되는 CDR의 가공도 정지해 버린다. 그 후, 고장이 회복하면, 고장 중에 가공되어야 할 CDR이 한꺼번에 가공되어 요금 시스템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통신 요금의 정산 처리는 막대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환기 시스템의 가동 상황에 따라서 통신 요금의 정산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처리 효율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통화 명세 수집장치, 통화 명세 가공장치, 통화 명세 처리장치, 통화 명세 관리장치, 통화 명세 처리 시스템, 통화 명세 수집방법, 통화 명세 가공방법, 통화 명세 처리방법 및 통화 명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명세 기록의 수집 및 가공에 지연이 생긴 경우에 그 지연을 수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call detail record manipulating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집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CDR 처리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영역 특성, 시간 특성 또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동 상황에 따라서 통화 명세 기록의 수집 처리 및 가공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명세 수집장치, 통화 명세 가공장치, 통화 명세 처리장치, 통화 명세 관리장치, 통화 명세 처리 시스템, 통화 명세 수집방법, 통화 명세 가공방법, 통화 명세 처리방법 및 통화 명세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gathering unit),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startingunit),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start canceling unit),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해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conditional starting uni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receiving unit),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processing unit),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process suspending uni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처리장치는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부(gathering and processing unit), 미리 정해진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해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처리를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한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전회(前回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한다.
수집부는 1회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하는 통화 명세 기록을 제한하는 수집 제한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수집 제한부에 의하여 제외된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통화 명세 기록에 더하여 수집해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수집 제한부는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도, 제외된 통화 명세 기록을 1회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범위 내로 제한하여 수집한다.
바람직하게, 통화 명세 수집 장치는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부는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out of service)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부(dividing unit), 그리고 상기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가 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부(distributing unit)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한다.
바람직하게,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 수는 수집 사이클 처리가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는 범위 내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통화 명세 수집 장치는미리 정해진 수집 처리 사이클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부는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화 명세 기록을 축적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는 통화 명세 수집 시스템을 관리하는 통화 명세 관리 장치는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수집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평균 수집량을 산출하는 평균 수집량 산출부, 그리고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외부 장치의 할당을 평균 수집량에 따라 설정하는 할당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화 명세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그리고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화 명세서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는 전회(前回)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화 명세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가 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부, 미리 정해진 수집 처리 사이클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이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 단계에서의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 단계,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 단계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 단계,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 단계에서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 방법이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단계,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처리 방법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단계, 미리 정해진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 단계에서의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 단계,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 단계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 단계,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 단계에서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한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방법이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단계는 전회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 단계는 1회의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하는 통화 명세 기록을 제한하는 수집 제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제한 단계에서 제외된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통화 명세 기록에 더하여 수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은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 내에 발생한 상기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그리고 상기 분할 단계에서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가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단계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 단계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화 명세 기록을 축적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는 통화 명세 수집 시스템을 관리하는 통화 명세 관리 방법은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수집량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평균 수집량을 산출하는 평균 수집량 산출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상기 외부 장치의 할당을 평균 수집량에 따라 설정하는 할당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1] 제1 실시예
[1. 1] 제1 실시예의 구성
[1. 1. 1]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1)은 통화 명세 기록인 CDR(call detail record)을 외부 장치인 CDR 축적장치(CDR accumulating apparatus)(14)로부터 수집하는 수집장치(gathering apparatus)(10), 수집장치(10)에 의하여 수집된 CDR를 가공하는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11), 그리고 가공장치(11)에 의하여 가공된 CDR를 축적하는 축적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수집장치(10), 가공장치(11) 및 축적장치(12)는 서로 고속 LAN(local area network)인, 예를 들면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1. 1. 2]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
[1. 1. 2. 1]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수집장치(10)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장치(1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발생한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사이클 처리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작 시간마다, 수집 작업(gathering job)을 시작하도록 하는 수집 작업 기동 기능(101)과, 외부 장치인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CDR를 수집하는 수집기능(102)을 가지고 있다. 또, 수집장치(10)는 CDR의 수집이 미리 정해진 소정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수집 작업 기동 기능(101)을 해제하여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 시작 시간에 수집 작업이 자동적으로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job start canceling function)(l03)을 가지고 있다. 또, 수집장치(10)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103)에 의하여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현재 행하고 있는 CDR의 수집 처리를 종료한 후,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 CDR 수집 처리를 시작하도록 하는 조건 기동기능(104), 수집한 CDR를 가공장치(11)에 송신하는 수집 송신기능(105)을 가지고 있다.
[1. 1. 2. 2] 가공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가공장치(11)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장치(11)는 수집장치(10)로부터 CDR를 수신하는 수신기능(111), 수신한 CDR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작업을 제어하는 가공 작업제어기능(l12)을 가지고 있다. 또, 가공장치(11)는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에 의해 제어된 가공 작업에 따라 CDR를 가공하는 가공기능(113), 가공된 CDR를 축적장치(12)에 송신하는 가공 송신기능(114)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가공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 사업자 별도로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정산 정보(settlement information)를 CDR에 기억되어 있는 통화 정보에 따라 작성하는 처리가 있다.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은 CDR의 가공 처리를 시작할 때, 전회(前回) 이전의 사이클 처리에서 행해져야 되는 CDR의 가공 처리가 계속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공 작업 제어기능(l12)은 전번 이전의 사이클 처리에서 행해져야 되는 CDR의 가공 처리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계속중인 가공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이번 사이클 처리에서 행해져야 하는 CDR의 가공 처리를 대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1. 1. 2. 3] 축적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축적장치(12)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적장치(12)는 가공장치(11)로부터 CDR를 수신하는 수신 제어기능(121), 수신 제어기능(121)에 의해 수신된 CDR를 축적하는 축적기능(122)을 가지고 있다.
[1. 1. 3] 수집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수집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장치(10)는 연산 처리 및 제어 처리를 총괄하는 중앙처리장치(CPU)(31), 각종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 전용 기억장치(ROM)(33), 가동중인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주기억장치(RAM)(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집장치(10)는 작업 기동기능(101), 수집기능(102), 작업 기동 해제기능(l03), 조건 기동기능(104) 및 수집 송신기능(10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HDD)(3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수집장치(10)는 외부 장치인 CDR 축적장치(14), 가공장치(11) 및 축적장치(12)와 통신 회선을 사이에 두고 접속할 때, 접속용 인터페이스로 되는 통신제어장치(35),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36),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또, CPU(31), RAM(32), ROM(33), HDD(34), 통신제어장치(35), 키보드(36) 및 표시장치(37)는 버스(bus)(38)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가공장치(11) 및 축적장치(12)의 하드웨어 구성도 수집장치(10)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2] 제1 실시예의 동작
[1. 2. 1] 수집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수집장치(10)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수집장치(10)에서,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를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시작 시간이 되면, CPU(31)은 작업 기동기능(101)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HDD(34)에서 판독하여 RAM(1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CPU(31)는 작업 기동기능(101)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다음, CPU(31)는 수집기능(102)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HDD(34)로부터 판독하여 RAM(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CPU(31)는 수집기능(102)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통신제어장치(35)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한다.
다음, CPU(31)는 수집 송신기능(l0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HDD(34)로부터 판독하여 RAM(1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CPU(31)는 수집 송신기능(l0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통신제어장치(35)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공장치(11)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수집한 CDR를 송신한다.
또, CPU(31)는 CDR의 수집이 미리 정해진 소정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의 작업 기동기능(1O1)을 해제하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103)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HDD(34)로부터 판독하여 RAM(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CPU(31)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103)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음, CPU(31)는 조건 기동기능(104)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HDD(34)로부터 판독하여 RAM(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CPU(31)는 이번 사이클 처리로 행해지는 수집이 종료한 후,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로 행해지는 수집[수집기능(102)]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1. 2. 2] 지연이 생긴 경우의 동작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1)에서, CDR의 수집 및 가공에 지연이 생긴 경우의 동작 예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 예에서, "제N 사이클" 및 "제(N+3) 사이클"에서의 수집 작업 및 가공 작업은 이 사이클 처리에 할당된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 "제(N+1) 사이클"에서의 수집 작업 및 가공 작업은 이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N+2) 사이클"에서의 수집 작업은 상기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N+2) 사이클"에서의 가공 작업은 이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 중 하나의 사이클 처리인 "제N 사이클"의 수집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해 타이머 기동(timer-start)된다(단계 S1).
수집장치(10)에서는, 기동된 수집 작업에 따라서 기능하는 수집기능(102)에 의해,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의 수집이 행해진다. 그리고 수집된 CDR가 수집 송신기능(105)에 의해 수집장치(10)로부터 가공장치(11)로 송신된다(단계 S2).
가공장치(11)의 수신기능(111)에 의하여 수신된 CDR은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에 의해 제어되는 가공 작업에 따라서 기능하는 가공기능(113)에 의해 가공된다(단계 S3).
이 동작예에서는, "제N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작업 및 가공 작업은 "제N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단계 S4).
다음, "제(N+1) 사이클"의 수집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수집하기 위한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하여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5).
수집장치(10)에서는 기동된 수집 작업에 따라서 기능하는 수집기능(l02)에 의해,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CDR이 수집 송신기능(l05)에 의해 수집장치(10)로부터 가공장치(11)에 송신된다(단계 S6).
가공장치(11)의 수신기능(111)에 의해 수신된 CDR는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에 의해 제어되는 가공 작업에 따라서 기능하는 가공기능(l13)에 의해 가공된다(단계 S7).
이 동작예에서, "제(N+1)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작업은 "제(N+1)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에 종료할 수 없다. 따라서 수집장치(10)의 작업 기동 해제기능(103)은 "제(N+2) 사이클"의 수집 시작 시간에 타이머 기동되는 수집 작업을 해제한다(단계 S8).
다음에, "제(N+1)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작업이 종료하면, "제(N+2) 사이클"에서 행해지는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의 조건 기동기능(104)에 의해 조건 기동된다(단계 S9).
수집장치(10)에서는, 수집기능(102)에 따라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CDR가 수집 송신기능(105)에 의해 수집장치(10)로부터 가공장치(11)에 송신된다(단계 S10).
가공장치(11)의 수신기능(111)에 의하여 수신된 CDR는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에 의해 제어되는 가공 작업에 따라 기능하는 가공기능(113)에 의해가공된다(단계 S11). 여기에서, "제(N+2) 사이클"에서 실행된 가공 작업은 "제(N+1) 사이클"에서 실행된 가공 작업이 종료한 후 실행되기 때문에, "제(N+2) 사이클"에서 행해지는 가공 처리를 대기시키는 기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동작예에서, "제(N+2)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작업은 "제(N+2)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단계 S12).
다음, "제(N+3) 사이클"의 수집 시작 시간에, 수집장치(10)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하여 수집 작업이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13).
수집장치(10)에서는, 수집기능(102)에 따라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의 수집이 행해진다. 그리고 수집된 CDR이 수집송신기능(105)에 의하여 수집장치(10)로부터 가공장치(21)에 송신된다(단계 S14).
가공장치(11)의 가공 작업 제어기능(l12)은 단계 S11에서 실행된 "제(N+2) 사이클"에서의 가공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제(N+2) 사이클"에서 행해져야 하는 가공 처리를 대기한다. 그리고 "제(N+2) 사이클"에서의 가공 작업이 종료한 시점에, "제(N+3) 사이클"에서 행해져야 하는 가공 처리가 가공 작업 제어기능(112)의 제어에 따라 시작된다(단계 S15).
이 동작예에서, "제(N+3)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및 가공은 "제(N+3)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단계 S16).
[1. 3] 제1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CDR의 수집 및 가공이 한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작업 기동 해제기능(103)에 따라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수집 시작 시간에 기동되는 수집 작업이 해제되고, 조건 기동기능(104)에 따라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 행해지는 CDR의 수집 작업이 기동되기 때문에, 특정한 사이클 처리에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지연에 의한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1. 4]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CDR 축적장치(l4), 수집장치(10), 가공장치(11) 및 축적장치(12) 각각은 한대씩 구비되어 있지만, 각 장치는 각각 복수 대씩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CDR 축적장치(14)는 각 수집장치(10)에 1대 또는 복수 대 할당해도 된다.
[2] 제2 실시예
[2. 1] 제2 실시예의 구성
[2. 1. 1]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5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다른 점은 제1 실시예의 구성이 수집장치, 가공장치 그리고 축적장치를 포함하고 있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의 구성은 CDR의 수집, 가공 및 축적을 통괄하여 행하는 CDR 처리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수집 처리와 가공 처리를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수집 가공 처리로서 실행한다는 점도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2. 1. 2] CDR 처리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6을 참조하여 CDR 처리장치(20)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R 처리장치(2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발생한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작 시간마다 수집 가공 작업을 기동하는 작업 기동기능(21), 그리고 외부 장치인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기능(22)을 구비하고 있다. 또, CDR 처리장치(20)는 CDR의 수집 가공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작업 기동기능(21)을 해제하여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시작 시간에 수집 가공 작업이 자동적으로 기동되지 않도록 하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CDR 처리장치(20)는 작업 기동 해제기능(23)에 의해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기동이 해제된 경우, 현재 행해지고 있는 CDR의 수집 가공 처리가 종료한 후에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의 CDR 수집 가공 처리를 기동하는 조건 기동기능(24)을 구비하고 있다.
[2. 2] 제2 실시예의 동작
다음,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2)에서 CDR의 수집 및 가공에 지연이 생긴 경우의 동작 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예에서, "제N 사이클", "제(N+2) 사이클" 및 "제(N+3) 사이클"에서의 수집 가공 작업은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N+1) 사이클"에서의 수집 가공 작업은이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 중 하나의 사이클 처리인 "제N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기 위한 수집 가공 작업이 CDR 처리장치(20)의 작업 기동기능(21)에 의하여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21).
CDR 처리장치(20)에서는, 기동된 작업에 따라서 기동하는 수집 가공기능(22)에 따라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가 수집되고, 수집된 CDR의 가공이 행해진다(단계 S22).
이 동작 예에서, "제N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가공 작업은 "제N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
다음, "제(N+1)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의 수집 가공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집 가공 작업이 CDR 처리장치(20)의 작업 기동기능(21)에 의하여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23).
그리고 기동된 수집 가공 작업에 따라 기능하는 수집 가공기능(22)에 의하여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이 수집되는 동시에, 수집된 CDR이 가공된다.
이 동작 예에서는, "제(N+1)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가공 작업은 "제(N+1)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없다. 따라서, CDR 처리장치(20)의 작업 기동 해제기능(23)은 "제(N+2)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타이머 기동되는 수집 작업을 해제한다(단계 S24).
"제(N+1)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가공 작업이 종료하면, "제(N+2) 사이클"에서 행해지는 CDR 수집 가공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집 가공 작업이 CDR 처리장치(20)의 조건 기동기능(24)에 의해 조건 기동된다(단계 S25).
CDR 처리장치(20)에서는, 수집 가공기능(22)에 따라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이 수집되는 동시에, 수집된 CDR이 가공된다(단계 S26).
이 동작 예에서는, "제(N+2)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가공 작업은 "제(N+2)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
다음, "제(N+3)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 수집 가공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집 가공 작업이 CDR 처리장치(20)의 작업 기동기능(21)에 의하여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27).
CDR 처리장치(20)에서는, 수집 가공기능(22)에 따라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이 수집되는 동시에, 수집된 CDR이 가공된다(단계 S28).
이 동작 예에서, "제(N+3) 사이클"에서의 CDR 수집 가공 작업은 "제(N+3) 사이클"에 할당되어 있는 시간 내에 종료한다.
[2. 3] 제2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CDR의 수집 및 가공이 상기 사이클 처리에 할당된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없을 것 같은 경우에도, 작업 기동 해제기능(23)에 따라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처리 시작 시간에 기동되는 수집 가공 작업이 해제되고, 조건 기동기능(24)에 의해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서 행해지는 CDR의 수집 가공 작업이 기동되기 때문에, 특정 사이클 처리에 지연이 생긴 경우에도, 그 지연에 의한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3] 제3 실시예
[3. 1] 제3 실시예의 구성
[3. 1. 1]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본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 실시예에서는 한 사이클 처리에 대응한 시간 내에 생성되어 축적된 CDR만을 수집 또는 가공의 대상으로 삼는 데 비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한 사이클 처리에 대응한 시간이외에 생성되어 축적된 CDR에 관해서도 수집 또는 가공의 대상으로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CDR를 생성하고, 이 생성한 CDR를 CDR 축적장치(14)에 축적하는 교환기 시스템이 고장나 CDR를 축적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에, 교환기 시스템의 동작이 정상으로 회복된 후, 고장 중에 축적하고 있던 CDR이 일제히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되는 경우에 효율적이다.
[3. 1. 2]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a)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 8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a)의 기능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의 기능과 다른 점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a)는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서 처리할 수 있는 CDR 수를 미리 정해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CDR 제한기능(106),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대응한 시간이외의 시간동안 축적한 CDR에대해서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체류 CDR 분배기능(piled-up CDRs allotting function)(107)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여기에서, CDR 제한기능(106)은 이전의 모든(previous and all preceding cycle)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또한, 미수집된 체류 CDR를, 미리 설정된 1회의 사이클 처리에서 처리할 수 있는 CDR 수로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체류 CDR 분배기능(107)은, 미리 설정된 CDR 수에 CDR의 수를 제어하여, CDR 제한기능(106)에 의하여 제외된 CDR를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분배하는(dividing)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교환기 시스템의 고장이 장기화되어, 그 사이에 체류한(piles up) CDR가 많아지게 된 경우에도, 한 회의 사이클 처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로 분배된 후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장에 의한 일시적인 CDR의 대량 발생에도 대응할 수 있다.
[3. 2] 제3 실시예의 동작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3)에서 교환기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의 동작 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 예에서,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대한 처리 시간이 "TC"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 중 하나의 사이클 처리인 "제N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a)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해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31).
수집장치(10a)에서는, 기동된 수집 작업에 따라서 기능하는 수집기능(102)에 의해, CDR 축적장치(14)로부터 "제N 사이클"에서의 수집처리에 대응한 CDR 수집이 행해진다(단계 S32).
다음, "제(N+1)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a)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해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33).
이 동작 예에서, "제(N+1) 사이클"의 처리가 행해지기 직전의 시간 T1에서, 생성한 CDR를 CDR 축적장치(14)에 축적하는 교환기 시스템이 고장났기 때문에(단계 S34), CDR 축적장치(14)에는 "제(N+1) 사이클"에서의 수집 처리에 대응한 CDR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단계 S35). 따라서 수집기능(102)에 의해 CDR의 수집이 행해지지 않고 "제(N+1) 사이클"에서의 수집 작업이 종료된다(단계 S36).
또 "제(N+2)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도, 교환기 시스템이 회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제(N+1) 사이클"과 같이, 수집기능(102)에 의해 CDR의 수집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된다. 그리고 시간 T2에 교환기 시스템의 고장이 회복되면, 교환기 시스템은 고장 기간 동안 체류한 "제(N+1) 사이클"에서의 처리에 대응하는 CDR를 CDR 축적장치(14)에 축적시킨다(단계 S37).
수집장치(10a)의 CDR 제한기능(106)은 "제(N+1) 사이클"에서 가공될 예정이던 체류 CDR가 "제(N+2)) 사이클"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미리 정해진 소정 CDR 수의 범위 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 결과, "제(N+2) 사이클"에서, 체류 CDR의 일부만이 처리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따라 체류 CDR은 "제(N+2) 사이클"에서 처리되는 CDR(단계 S38)과, "제(N+3) 사이클" 이후에 처리되는 CDR로 분배한다(단계 S41). 한편, "제(N+2) 사이클"에서, 체류 CDR 모두가 처리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따라 체류 CDR 모두가 "제(N+2) 사이클"에서 처리되는 CDR로서 배당된다(assign)(단계 S38).
수집장치(10a)의 수집기능(102)은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제(N+2) 사이클"에서의 처리에 대응한 CDR의 수집뿐만 아니라,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의해 "제(N+2) 사이클"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CDR로서 배당된 "제(N+1) 사이클"의 체류 CDR에 대한 수집이 이루어진다(단계 S39).
다음, "제(N+3) 사이클"의 처리 시작 시간에, CDR 축적장치(14)로부터 CDR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작업이 수집장치(10a)의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에 의해 타이머 기동된다(단계 S40).
여기에서, CDR 제한기능(106)은 체류 CDR 분배기능(l07)에 의하여 "제(N+3) 사이클" 이후에 처리가 행해지는 CDR로서 배당된 "제(N+1) 사이클"의 체류 CDR가 "제(N+3) 사이클"에서 처리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CDR 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 결과, "제(N+3) 사이클"에서, 체류 CDR의 일부만이 처리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따라 체류 CDR가 "제(N+3) 사이클"에서 처리되는 CDR와, "제(N+4) 사이클" 이후에 처리되는 CDR로 분배된다. 한편, "제(N+3) 사이클"에서, 체류 CDR 모두가 처리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따라 체류 CDR 모두가 "제(N+3)사이클"에서 처리되는 CDR로서 배당된다(단계 S41).
수집장치(10a)의 수집기능(102)은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제(N+3) 사이클"에서의 처리에 대응한 CDR 수집에 더하여, 체류 CDR 분배기능(107)은 "제(N+3) 사이클"에서 처리되는 CDR로서 배당된 "제(N+1) 사이클"의 체류 CDR을 수집한다(단계 S42).
[3. 3] 제3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CDR를 축적하는 교환기 시스템이 고장나 CDR가 체류한 경우에도, CDR 제한기능(l06)에 따라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적정한 CDR 수로 제한되어, 제한된 CDR가 체류 CDR 분배기능(107)에 의해 분배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처리에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체류한 CDR를 처리할 수 있다.
[3. 4] 제3 실시예의 변형 예
또한, 위에 설명한 제3 실시예에서는, 수집장치와 가공장치를 별개로 구성하였지만, 수집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기능과 가공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4] 제4 실시예
[4. 1] 제4 실시예의 구성
[4. 1. 1]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사이클 처리에 대응한 시간 내에 생성되어 축적된 CDR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하여, 제4 실시예에서는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생성되어 축적된 CDR에 관해서도 수집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4. 1. 2]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b)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1 실시예의 수집장치(10)와 동일의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b)의 기능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의 기능과 다른 점은,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축적된 CDR의 수를 제4 실시예의 수집장치(10b)가 미리 정한 상한 CDR 수의 범위 내로 분할하는 CDR 분할기능(CDR dividing function)(108)과, CDR 분할기능(108)에 의해서 분할된 CDR군을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운용이 재개된 후의 각 사이클 처리에 대해 분배하는 CDR 분배기능(CDR distributing function)(109)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대량의 CDR가 축적된 경우에도, 축적된 CDR를 복수의 CDR 군으로 분할하여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이클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DR 분할기능(108)을 구비한 것은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축적된 CDR의 수가 많아진 경우 하나의 사이클 처리로 동작이 멈춰져 있는 사이에 축적된 모든 CDR를 처리하도록 하면, 처리를 위해 막대한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음 번 이후의 사이클 처리에 영향을 주고, 시스템의 운용에 지연이 생기기 때문이다.
CDR 분배기능(109)을 구비함에 따라,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축적된 CDR에 관해서는 처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운용을 재개한 후의 사이클 처리에 대응한 시간에 축적된 CDR뿐만 아니라,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발생한 CDR에 관해서도 각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4. 2] 제4 실시예의 동작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에서, 운용을 재개하는 경우의 동작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집장치(10b)에서,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시동되어 처리가 시작된다(단계 S51).
다음에, 이 처리에서, 수집장치(10b)의 CDR 분할기능(108)은 미리 정한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는 상한 CDR 수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CDR를 분할한다(단계 S52).
그리고 수집장치(10b)의 CDR 분배기능(109)은 CDR 분할기능(108)에 의해 분할된 CDR군을 운용 재개 후의 각 사이클 처리에 분배한다(단계 S53).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진 동안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CDR가 "2,500" 레코드이며, 미리 정한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는 상한의 CDR 수가 "1,500" 레코드인 경우에, CDR 분할기능(108)은 동작이 멈춰진 사이에 축적된 "2,500" 레코드의 CDR를 "1,500" 레코드의 CDR 군과 "1,000" 레코더의 CDR군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CDR 분배기능(109)은 분할된 CDR군을 "제1 사이클" 및 "제2 사이클"에서 처리되도록 분배한다.
다음, 수집장치(10b)의 수집기능(102)은 "제1 사이클" 또는 "제2 사이클"에서 수집 처리를 행할 때, 원래의 처리 대상인 "제1 사이클" 또는 "제2 사이클"에서의 처리에 대응한 CDR과 CDR 분배기능(109)에 의해 "제1 사이클" 또는 "제2 사이클"에 분배된 CDR 군을 합쳐서 수집한다(단계 S54).
[4. 3] 제4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져 있는 기간에 CDR이 축적된 경우에도, CDR 분할기능(108)에 따라 통화 명세 기록 시스템의 동작이 멈춰져 있는 사이에 축적된 CDR이 미리 정해진 하나의 사이클 처리에 할당되는 상한 CDR 수의 범위 내로 분할되는 동시에, 분할된 CDR군이 CDR 분배기능(109)에 의해 분배된 후에 수집되기 때문에, 통상의 처리로 지연을 초래하는 일없이 동작이 멈춰짐에 따라 축적된 CDR를 처리할 수 있다.
[4. 4] 제4 실시예의 변형예
또한, 이미 설명한 제4 실시예에서는, 수집 장치와 가공 장치를 별개로 구성하고 있지만, 수집 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기능과 가공 장치에 구성되어 있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5] 제5 실시예
[5. 1] 제5 실시예의 구성
[5. 1. 1]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5)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5)은 통화 명세 기록인 CDR를 외부 장치인 복수의 CDR 축적장치(14)로부터 수집하는 수집장치(10c), 복수의 수집장치(10c)에 의해 수집된 CDR를 가공하는 가공장치(11), 복수의 가공장치(11)에 의해 가공된 CDR를 축적하는 복수의 축적장치(12), 그리고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5)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수집장치(10c), 가공장치(11), 축적장치(12) 및 관리장치(15)는 상호간에 고속 LAN인, 예를 들면 FDDI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집장치(10c), 가공장치(11), 축적장치(12) 및 관리장치(15)의 각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집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과 동일하다.
[5. 1. 2]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
가공장치(11) 및 축적장치(12)의 각 기능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가공장치(11)와 축적장치(12)의 각 기능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5. 1. 2. 1] 수집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13을 참조하여 수집장치(10c)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장치(10c)는 CDR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수집 작업을 기동하는 수집 작업 기동기능(101), 외부 장치인 미리 정해진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된 CDR를 수집하는 수집기능(110), 그리고 수집한 CDR를 가공장치(11)에 송신하는 수집 송신기능(105)을 구비하고 있다.
[5. 1. 2. 2] 관리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도 14를 참조하여 관리장치(15)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장치(15)는 복수의 수집장치(10c)에서 수집된 CDR의 수집량에 따라 수집장치(10c) 한 대당 수집량을 산출하는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에 의하여 산출된 CDR의 평균 수집량에 따라 각 수집장치(10c)의 수집량을 균일하게 하도록, 수집처로 되는 CDR 축적장치(14)를 할당하는 수집처 할당기능(target allotting function)(15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집처 할당기능(152)은 CDR 축적장치(14)의 조합에 의해 산출되는 각 수집장치(10c)의 합계 수집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각 수집장치(10c)에 CDR 축적장치(14)를 할당한다.
[5. 2] 제5 실시예의 동작
다음,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5)에서, 각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되는 CDR의 축적량이 크게 변한 경우의 동작 예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시되어 있는 원주 높이는 CDR 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고,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CDR 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5는 통화 명세 기록 처리 시스템(5)에서, 현재 각 수집장치(10)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CDR 축적장치(14)의 상태를 설정된 시점의 상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장치(10cA)는 CDR 축적장치(14a 및 14b)에서 CDR를 수집하고, 수집장치(10cB)는 CDR 축적장치(14c 및 14d)에서 CDR를 수집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R 축적장치(14a 및 14b)에 축적되어 있는 CDR(14a' 및 14b)'의 합계 수집량은 "6,000" 레코드이다. 한편, CDR 축적장치(14c 및14d)에 축적되는 CDR(14c' 및 14d')의 합계 수집량은 "6,0000" 레코드이다. 즉, 수집장치(10cA 및 10cB)에서 수집되는 CDR의 평균 수집량은 "6,000" 레코드로 된다. 이런 점에서, 수집장치(10cA)와 수집장치(10cB)에 의해 수집되어 있는 CDR는 평균 수집량과 같은 수이기 때문에, 설정 당시에는 최적의 조합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6은 각 CDR 축적장치에 축적되는 CDR이 변동한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R 축적장치(14a 및 14b)에 축적되는 CDR(14a' 및14b')의 합계 수집량은 "9,000" 레코드이다. 한편, CDR 축적장치(14c 및 14d)에 축적되는 CDR(14c' 및 14d')의 합계 수집량은 "3,000" 레코드이다. 따라서, 수집장치(10cA)에서 수집되는 CDR이 수집장치(10cB)에서 수집되는 CDR를 크게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관리장치(15)의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은 수집장치(10cA 및 10cB)에 수집되어 있는 CDR의 합계 수집량으로서 "12,000" 레코드를 산출한다. 그리고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은 수집장치(10cA 및 10cB)에 수집되어 있는 CDR의 한 대 당 평균 수집량으로서 "6,000" 레코드를 산출한다.
다음에, 관리장치(15)의 수집처 할당기능(152)은 수집장치(10cA 및 10cB)에서의 CDR 평균 수집량으로 되는 "6,000" 레코드에 가장 근접하게 되는 CDR 축적장치의 조합을 추출한다. 이 동작 예에서는, CDR 축적장치(14a 및 14c)와 CDR 축적장치(14b 및14d)의 조합이 추출된다.
이 경우에, CDR 축적장치(14a 및 14c)의 CDR 합계 수집량은 "6,000" 레코드로 되고, CDR 축적장치(14b 및 14d)의 CDR의 합계 수집량은 "6,000" 레코드가 된다. 따라서, 수집처 할당기능(152)은 각각의 조합에 의해 CDR의 합계 수집량이 CDR의 평균 수집량인 "6,000"레코드와 같은 수이기 때문에, 이 조합이 최적의 조합이라고 판단하여 이 조합을 추출한다.
그 결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처 할당기능(152)은 수집장치(10cA)가 수집하는 CDR 축적장치(14)로서 CDR 축적장치(14a 및 14c)를 할당하고, 수집장치(10cB)가 수집하는 CDR 축적장치(14)로서 CDR 축적장치(14b 및 14d)를 할당한다.
[5. 3] 제5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CDR 축적장치(14)에 축적되는 CDR이 영역 특성의 변화에 의하는 변동하는 경우에도,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에 의해 복수인 수집장치(10c)의 한 대 당 평균 수집량이 산출되고, 수집처 할당기능(152)에 따라 각 수집장치(10c)에 대하여 최적의 CDR 축적장치(14)가 할당되기 때문에, 각 수집장치(10c)의 수집 처리를 거의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된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5. 4] 제5 실시예의 변형예
역시, 이미 설명한 제5 실시예에서는, 조합에 의해 구해진 CDR의 합계 수집량을 비교함으로써, CDR의 평균 수집량에 가장 근접한 CDR 축적장치(14)의 조합을 추출하여, 각 수집장치(10c)에 할당하고 있지만, 이러한 할당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와 같이 할당해도 된다.
먼저, 각 수집장치(10c)에 대하여, 수집되는 CDR 수가 큰 값에서부터 순차로 감소하는 순서로 CDR 축적장치(14)가 할당되어, 첫 번째 장치에 대한 할당을 종료한다. 다음에, 각 수집장치(10c)에 대하여, 첫 번 째 장치의 할당 순서와는 반대로, 수집되는 CDR 수가 큰 값에서부터 순차로 감소하는 순서로 CDR 축적장치(14)가 할당된다. 단, 2번째 장치 이후에 할당되는 경우에는, 평균 수집량 산출기능(151)에 의하여 산출된 평균 수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할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실시예의 변형예
또한, 이미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수집 대상을 통화 명세 기록인 CDR로 하고 있지만, 통신 요금에 관한 데이터이면 다른 형식의 데이터도 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call detail gathering apparatus)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gathering unit),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starting unit),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start canceling unit),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해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conditional starting unit)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2.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receiving unit),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processing unit),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process suspending unit)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
  3.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처리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부(gathering and processing unit),
    미리 정해진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해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처리장치.
  4.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한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전회(前回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5. 제4항에서,
    수집부는 1회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하는 통화 명세 기록을 제한하는 수집 제한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수집 제한부에 의하여 제외된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통화 명세 기록에 더하여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수집 제한부는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도, 제외된 통화 명세 기록을 1회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범위 내로 제한하여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7. 제4항에서,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수집부는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
  9.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out of service)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부(dividing unit), 그리고
    상기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장치가 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부(distributing unit)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10. 제9항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 수는 수집 사이클 처리가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는 범위 내로 설정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11. 제9항에서,
    미리 정해진 수집 처리 사이클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12. 제9항에서,
    상기 수집부는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13. 통화 명세 기록을 축적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는 통화 명세 수집 시스템을 관리하는 통화 명세 관리 장치로서,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수집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평균 수집량을 산출하는 평균 수집량 산출부, 그리고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외부 장치의 할당을 평균 수집량에 따라 설정하는 할당 설정부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관리장치.
  14.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그리고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수집 장치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처리 시스템.
  15.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는 전회(前回)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처리 시스템.
  16.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부를 구비한 통화 명세 가공장치,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가 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부, 미리 정해진 수집 처리 사이클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부에 의한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부,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부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부, 상기 기동 해제부에 의하여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부, 수집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가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장치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처리 시스템.
  17.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으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
    미리 정해진 수집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 단계에서의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 단계,
    수집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 단계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 단계,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 단계에서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수집 방법.
  18.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하여, 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가공 방법으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
    수신된 통화 명세 기록을 가공하는 가공 단계, 그리고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는 가공 대기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가공 방법.
  19.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처리 방법으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가공하는 수집 가공 단계,
    미리 정해진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시작 시간마다 상기 수집 단계에서의 수집을 기동하는 기동 단계,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 기간 내에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기동 단계에 의한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의 기동을 해제하는 기동 해제 단계, 그리고
    상기 기동 해제 단계에서 기동이 해제된 경우에, 다음 번 이후의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를 상기 수집 가공 사이클 처리가 종료한 후에 기동하는 조건 기동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처리 방법.
  20.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발생 기간 내에 대응한 일정한 수집 기간 내에 수집하는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 방법으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단계는 전회 이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발생하고,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
  21. 제18항에서,
    상기 수집 단계는 1회의 상기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하는 통화 명세 기록을 제한하는 수집 제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제한 단계에서 제외된 미수집된 통화 명세 기록을 다음 번 이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에서 수집되는 통화 명세 기록에 더하여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
  22. 미리 정해진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사이클 처리를 반복하는 통화 명세 수집방법으로서,
    통화 명세 기록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의 동작이 멈춰진 정지 기간 내에 발생한 상기 통화 명세 기록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통화 명세 기록수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그리고
    상기 분할 단계에서 분할된 통화 명세 기록을 상기 통화 명세 기록 수집 장치가운용을 재개한 후의 수집 사이클 처리로 분배하는 분배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단계는 발생 기간 내에 발생한 통화 명세 기록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 단계에 의하여 분배된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통화 명세 수집 방법.
  23. 통화 명세 기록을 축적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화 명세 기록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는 통화 명세 수집 시스템을 관리하는 통화 명세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수집장치에서의 수집량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평균 수집량을 산출하는 평균 수집량 산출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장치에 대한 상기 외부 장치의 할당을 평균 수집량에 따라 설정하는 할당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명세 관리 방법.
KR10-2002-7004379A 1999-10-13 2000-09-06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KR10049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45799A JP3274441B2 (ja) 1999-10-13 1999-10-13 通話明細収集装置、通話明細加工装置、通話明細処理装置、通話明細管理装置、通話明細処理システム、通話明細収集方法、通話明細加工方法、通話明細処理方法および通話明細管理方法
JPJP-P-1999-00291457 1999-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612A true KR20020043612A (ko) 2002-06-10
KR100496398B1 KR100496398B1 (ko) 2005-06-17

Family

ID=1776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79A KR100496398B1 (ko) 1999-10-13 2000-09-06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7710B1 (ko)
EP (1) EP1223736A4 (ko)
JP (1) JP3274441B2 (ko)
KR (1) KR100496398B1 (ko)
CN (1) CN1193580C (ko)
WO (1) WO20010282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85B1 (ko) * 2009-07-31 2011-05-06 주식회사 경신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연결장치
KR101032783B1 (ko) * 2009-07-31 2011-05-06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8048B2 (en) * 2002-12-20 2005-11-22 Tekelec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record creation system and method
US7003080B1 (en) * 2004-09-23 2006-02-21 Verizon Servic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capture and storage requirements for call and transaction related message monitoring and fraud detection
US8346208B2 (en) * 2005-06-23 2013-01-01 Groundho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mobile user cluster by call detail recor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6666A (ja) * 1989-03-20 1990-10-02 Toshiba Corp 通話課金システム
JP2721261B2 (ja) * 1990-03-08 1998-03-04 株式会社東芝 未収集データ収集装置
KR970002740B1 (ko) * 1993-12-21 1997-03-08 양승택 계층 구조를 갖는 분산 교환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 과부하 제어 방법
US5854834A (en) * 1995-04-21 1998-12-29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Network information concentrator
US5606600A (en) * 1995-05-10 1997-02-25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Generalized statistics engine for telephone network employing a network information concentrator
US5875238A (en) * 1995-12-21 1999-02-23 Ericsson Inc. Transport mechanism for accounting messag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907603A (en) * 1996-05-17 1999-05-25 Alcatel Usa, Inc. Database-driven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system and method
DE19644024C2 (de) * 1996-10-31 2000-03-09 Deutsche Telekom Mobi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s richtigen und vollständigen Anlegens von Kommunikationsdatensätzen in Telekommunikationsanlagen
US6615258B1 (en) * 1997-09-26 2003-09-02 Worldcom, Inc. Integrated customer interface for web based data management
JPH11178020A (ja) * 1997-12-16 1999-07-02 Fujitsu Ltd 情報転送制御システム
GB2341045B (en) * 1998-02-06 2000-06-14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Telecommunications
US5999604A (en) * 1998-03-03 1999-12-07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by determining service impact
US6385301B1 (en) * 1998-03-26 2002-05-07 Bell Atlantic Services Network, Inc. Data preparation for traffic track usage measur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85B1 (ko) * 2009-07-31 2011-05-06 주식회사 경신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연결장치
KR101032783B1 (ko) * 2009-07-31 2011-05-06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11728A (ja) 2001-04-20
CN1379948A (zh) 2002-11-13
WO2001028218A1 (fr) 2001-04-19
EP1223736A4 (en) 2006-01-25
EP1223736A1 (en) 2002-07-17
KR100496398B1 (ko) 2005-06-17
JP3274441B2 (ja) 2002-04-15
CN1193580C (zh) 2005-03-16
US6847710B1 (en) 200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410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リソースを動的に割り当て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76554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mparting reserve resource to logical partition and logical partitioned computer system
US7072968B2 (en) Bandwidth control service management apparatus
JP3812236B2 (ja) イベント制御手段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5889956A (en) Hierarchical resource management with maximum allowable allocation boundaries
CN108667654A (zh) 服务器集群自动扩容方法及相关设备
KR20000036178A (ko) 금전비용을 최적화하는 로드 분산 제어기
CN103530189A (zh) 一种面向流式数据的自动伸缩及迁移的方法及装置
KR100496398B1 (ko) 통화 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장치, 및 통화명세의 수집, 가공, 처리 및 관리방법
US5901334A (en) System for calculating expected length of time in transient queue by a formula in the event items cannot be allocated to the buffer
CN106383668A (zh) 一种信息存储方法、存储管理设备及客户端
US5511214A (en) On-line processing system and overload suppressing method
EP08636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 control scheduling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dissimilar call processors
CN102811154B (zh) 资源获取方法与网络服务器系统
JPH0883257A (ja) 並列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プロセス実行最適化方法
KR100279712B1 (ko) 교환기에서과금데이터유실방지방법
JP2002259836A (ja) 課金システム
JPH1168949A (ja) 負荷分散方式
CN101183320A (zh) 资源管理装置和无线电网络控制器
JPH07248986A (ja) 分散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格納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格納方法
JPS62175832A (ja) 電子計算機システムの資源管理方式
JP2642576B2 (ja) 複数ページサイズ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ページ数管理方式
JP2944509B2 (ja) 資源割り当て解放方法
JP2912362B1 (ja) 多段階判定処理方法および装置、多段階判定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tdma方式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tdma方式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方法に使用するため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17013A (ja) マルチプロセッサ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