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62A -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62A
KR20020042862A KR1020027004570A KR20027004570A KR20020042862A KR 20020042862 A KR20020042862 A KR 20020042862A KR 1020027004570 A KR1020027004570 A KR 1020027004570A KR 20027004570 A KR20027004570 A KR 20027004570A KR 20020042862 A KR20020042862 A KR 2002004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lutch mechanism
cover plate
belleville
auxilia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크다드아이만
드꿰스네라우렝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010615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2917A1/fr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2004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용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구(1)는, 반동 플레이트(5)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서 환상의 다이어프램(10)에 의해 클램핑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3)와, 반동 플레이트(5)에 고정되고 반동 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 가능한 압력 플레이트(7)와 회전시 일체가 되는 커버 플레이트(12)와, 다이어프램에 의해 압력 플레이트(7)상에 가해진 하중이 클러치 기구(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마찰 라이너(3)의 마모의 정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다이어프램(10)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빌 링(B)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수단(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벨빌 보조 링(B)이 다이어프램(10)상에 또는 전방 접촉부를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2)상에 지지되고, 벨빌 보조 링(B)이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약간 응력을 받도록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접촉부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DIAPHRAGM ASSIST SPRING FOR MOTOR VEHICLE ENGINE CLUTCH MECHANISM}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는, 특히,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서 클램핑 수단을 구성하는 환상 다이어프램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를 포함한다.
다이어프램은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력 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와 회전 결합되나 커버 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은 압력 플레이트상에서 지지되며, 반경방향 내측 부분은 축방향 직선 운동 가능한 클러치 해제 베어링과 같은 제어 부재와 협동한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특성 곡선(휨의 함수로서의 힘의 특성 곡선)은 대체로 사인 곡선 형태이고, 특히 FR-A-2 456 877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대값을 통과한다. 작동점(operating point)은 마찰 라이너의 마모의 함수로서 시간 경과에따라 변하며, 이로 인해 압력 플레이트상에 다이어프램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변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가 마모하기 시작할 때, 반동 플레이트에 대한 라이너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다이어프램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클러치 페달상의 부하가 증가한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마찰 라이너의 마모 정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보조 수단을 다이어프램에 결합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보조 수단은, 이상적으로는 다이어프램의 특성 곡선을 따르는 특성 곡선에 따라 다이어프램상에 대향하는 힘을 인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해결책은, 보조 수단을 매우 한정된 가용 공간만이 있는 환경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보조 수단은, 구성요소 사이의 접촉부 영역내의 노이즈와 마모를 피하기 위해, 모든 위치에서 간극 없이, 즉,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지고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한편으로는, 신뢰성 있고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보조 수단을 설계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단순한 방식으로 클러치 기구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수단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용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를 제안하며,상기 기구는, 반동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환상 다이어프램에 의해 클램핑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와,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반동 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 직선 운동할 수 있으며 압력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압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다이어프램에 의해 압력 플레이트상에 가해진 하중이 클러치 기구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마찰 라이너에서의 마모의 정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다이어프램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빌 링(Belleville ring)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수단을 구비하며, 클러치 기구는, 벨빌 보조 링이 다이어프램 또는 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상에 지지되고, 적어도 벨빌 보조 링이 클러치 기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약간의 응력 하에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접촉부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러치 기구는 다이어프램이 새로운 마찰 라이너와 함께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약간의 대향하는 힘이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기구는 특히 3개의 구성요소, 즉, 커버 플레이트, 벨빌 보조 링 및 다이어프램을 사용하며, 3개의 가능한 수단, 즉 커버 플레이트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또는 다이어프램과 벨빌 보조 링 사이에서, 또는 커버 플레이트와 벨빌 보조 링 사이에서 중심 설정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2개의 중심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정역학적으로 결정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은 압력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다이어프램과 벨빌 보조 링 사이의 부착 수단은 보조 링에 의해 지지되고 다이어프램의 외주 둘레에 약간의 간극을 가지고 폐쇄되는 외부 후크, 또는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보조 링에 의해 지지되며 다이어프램의 외주에 형성된 노치내에 결합하는 외부 러그로 이루어진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은 커버 플레이트의 외부상에 장착되며,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 사이의 부착 수단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부착 수단과 유사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 다이어프램 및 벨빌 보조 링으로 이루어지는 소조립체를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히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실시예는 규격적으로 대량 생산된 커버 플레이트상에 설치될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일 뿐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명확하게 될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용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종래의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의 개략적인 축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수단을 구성하고 도 1의 클러치 기구의 다이어프램과 협동하는 벨빌 링의 직경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클러치 기구내에 설치되기 전에 서로 부착된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이 클러치 기구내에 일단 설치되고 클러치 기구의 결합 위치내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클러치 기구의 해제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서의 벨빌 링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벨빌 링과 다이어프램이 일단 부착되거나 또는 함께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원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2개의 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3은 벨빌 보조 링용의 후방 접촉부을 도시하는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구성하는 수단에 의해 서로 부착된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의 직경방향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8과 유사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다이어프램과 벨빌 링의 반경방향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벨빌 링의 3개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1)는, 공지된 방식으로, 반동 플레이트(5)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서 환상 다이어프램(10)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3)를 포함한다.
클러치 기구(1)는 또한 반동 플레이트(5)상에 고정된 커버 플레이트(12)를 구비하며, 압력 플레이트(7)는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반동 플레이트(5)에 대하여 축방향의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반동 플레이트(5)는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14)에 설치되며, 라이너(3)는 예컨대 변속기의 입력축인 피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피동축(16)에 설치된 디스크(15)에 의해 지지된다.
다이어프램(10)은 커버 플레이트상에서 선회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그 반경방향 최외측부 또는 외주부(10a)는 압력 플레이트(7)상에서 결합할 수 있으며, 다수의 견고한 반경방향 핑거(18)로 분할되는 반경방향 최내측부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예컨대 기계형인 T 링크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과 같은 제어 부재(19)와 협동한다.
클러치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마찰 라이너(3)는 반동 플레이트(5)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서 다이어프램(10)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 힘은 마찰 디스크(15)가 회전 구동되어 피동축(16)이 구동축(14)과 회전 결합되기에 충분한다.
한편, 클러치 해제 베어링(19)이 작동될 때, 클러치 해제 베어링은 소위 클러치해제(declutching) 운동을 수행하여 다이어프램에 힘을 인가하도록 다이어프램(10)의 반경방향 내측 핑거(18)상에서 지지되어 압력 플레이트(7)상에서 그 작용을 해제하여, 마찰 디스크(15)를 압력 플레이트(7)와 반동 플레이트(5)와의 회전으로부터 분리, 즉, 피동축(16)은 더 이상 구동축(14)에 회전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이유로, 한편으로는 라이너(3)내에 마모와 다른 한편으로는 다이어프램(10)의 힘-휨 특성 곡선은 보조 수단(20)을 제공하는 장점이 되며 다이어프램(10)에 의해 압력 프레이트(7)상에 인가된 힘은 라이너(3)의 마모의 정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또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단(20)은 2개의 기능, 즉 유지 기능과 구동 기능을 수행하는 특별한 연결 수단(22)에 의해 다이어프램(10)에 연결되는 벨빌 링(B)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벨빌 링(B)은 압력 플레이트(7)와 커버 플레이트(12), 즉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상에 또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외부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합한 연결 수단(22)을 갖는 2개 유형의 조립체가 실현될 수 있다.
벨빌 링(B)이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상에 놓이는 제 1 유형의 조립체를 갖는 제 1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연결 수단(22)은 벨빌 링(B)에 의해 제공되고 그 긴쪽 베이스를 넘어 연장되며 이 긴쪽 베이스 둘레에서 규칙적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반경방향 외측의 러그(23)로 이루어진다. 이들 외측 러그(24)는 다이어프램(10)과의 결합을 위한 후크(25)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벨빌 링(B)은 다이어프램(10)의 일 면에 부착되고, 그 후 그 외측 러그(24)는 다이어프램(10)의 외주를 둘러싸는 후크(25)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져 다이어프램의 다른 면을 향해 폐쇄된다.
또한, 벨빌 링(B)은 다이어프램(10)상에 결합점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반경방향 내측 러그(27)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내측 러그(27)는 링(B) 둘레에서 규칙적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다이어프램(10)은 커버 플레이트(10)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외주부(10a)는 다이어프램(10)이 변형할 때 벨빌 링의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다이어프램(10)은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환상 비드(29)와 예컨대 리벳(32)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하여 설치된 다수의 탄성 러그(30)의 단부상에 지지되고, 이들 2개의 결합점은 다이어프램(10)의 어느 한 측면 상에 놓이고 대체로 탄성의 관절 운동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10)이 지지되는 비드(29)는 불연속일 수 있으며, 벨빌 링(B)의 내측 러그(27)의 결합점은 결합 비드(29)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에서 놓일 수 있다.
벨빌 링(B)은 다이어프램(10)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벨빌 링을 구성하는 외주부(10a)를 향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러그(27)가 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10)상에 지지되고, 후크(25)의 만곡부(C)가 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벽(12a)상에 결합하지 않고, 벨빌 링(B)의 후크(25)가 다이어프램(10) 둘레에 폐쇄되는 방식으로 놓인다.
도 4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1)는 클러치가 결합되고 다이어프램(10)이 회전시 함께 결합되는 구동축(14)과 피동축(16)에 충분히 큰 압력 플레이트(7)상의 힘을 인가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10)의 초기 변형 또는 휨, 즉 그 축방향 압축이 충분하여, 압력 플레이트(7)상에 인가된 힘은 새로운 상태에 있고 일정 두께를 갖는 마찰 라이너(3)용으로 예정되고 산정된 값을 충족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마찰 라이너(3)내에 어떠한 마모도 나타나지 않는 한 보조 수단(20)이 다이어프램(10)상에서 능동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수단(20)은 약간의 대향하는 힘이 다이어프램(10)상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후크(25)에 의해 그 외측 림상에서 당겨짐으로써 다이어프램(10)이 벨빌 링(B)을 편향시키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한다.
마찰 라이너(3)가 마모됨에 따라, 다이어프램(10)은 후크(25)상에서 당겨짐으로써 점점 더 벨빌 링(B)상에서 작용하여, 압력 플레이트(7)상에 인가된 결과적인 힘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라이너(3)의 마모의 정도와 다이어프램(10)의 변형의 과정에 무관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해제 베어링(19)이 클러치 기구를 그 클러치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T 링크장치에 의해 작동될 때, 다이어프램(10)은 점진적으로 그 압력을 해제하고, 벨빌 링(B)은 후크(25)내의 만곡부의 레벨에서 커버 플레이트(12)상에서 다시 결합하고, 다이어프램(10)은 더 이상 링(B)의 후크(25)와 결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간극(j)이 그들 사이에 나타난다.
변형함에 따라, 다이어프램(10)은 벨빌 링을 약간의 응력하에서 유지하고 노이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진동을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규정된 후방 접촉부상에 벨빌 링(B)을 결합시켜 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러치의 결합 위치에 있어서, 벨빌 링(B)이 약간의 응력을 가지고 장착되는 다른 해결책은 벨빌 링을 후크(25)의 만곡부의 영역내의 커버 플레이트상에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후크(25)는 다이어프램(10)에 밀접해 있으며 따라서 후크는 마모가 마찰 라이너내에서 시작된 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도 벨빌 링(B)이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상에 놓이는 제 1 유형의 조립체이다.
벨빌 링(B)과 다이어프램(10) 사이의 연결 수단(22)은 벨빌 링(B)의 외주에 놓이고 다이어프램 둘레에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35)로 이루어지나, 이들 러그는 다이어프램(10) 둘레에서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후크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측 러그(35)는 실질적으로 90°로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T 형태로 종결되어 그 단부에서 구동 풋(37)을 형성한다. 내측상에서, 벨빌 링(B)은 외측 부분(35)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링(B) 둘레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는 내측 러그(39)를 갖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측 러그(39)는 한편으로는 다이어프램(10)상에서 결합하는 기능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하여 벨빌 링(B)을 중심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이어프램(10)상의 벨빌 링(B)의 조립체는 2개의 설치 조작으로 실행될 수 있다.
클립핑(clipping) 형태인 제 1 설치 조작에 있어서, 벨빌 빌(B)은 다이어프램(10)의 일 면에 부착되어 그 외측 러그(35)는 다이어프램(10)의 외주에 형성된 노치(40)와 대향하는 관계에 놓이고, 그 후 탄성 변형에 의해 노치(40)의 내부로 재 도입되기 전에 외향으로 이동되어, 구동 풋(37)이 다이어프램의 다른 면에서의 레벨에 놓이게 된다. 즉, 러그의 만곡부와 구동 풋(37) 사이의 각 외측 러그(35)의 후방 만곡부의 깊이는 다이어프램(10)의 깊이보다 약간 크다.
총검(bayonet) 형태인 제 2 설치 조작에 있어서, 벨빌 링(B)은 여전히 다이어프램(10)의 일 면에 부착되나, 외측 러그(35)는 그들의 각각의 수용 노치(40)에 대하여 각으로 오프셋된다. 그 후 벨빌 링(B)과 다이어프램(10) 사이의 상대적 회전이 러그(35)가 그들의 각각의 노치(40)를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일단 벨빌 링(B)이 다이어프램(10)에 조립되면, 벨빌 링(B)의 내측 러그(39)는 커버 플레이트(120내의 기다란 개구(42)내에서 자유로이 놓이게 되며, 상기 내측 러그(39)의 만곡부(C)는 다이어프램(10)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중심설정용 개구(42)가 또한 벨빌 링(B)이 변형될 때 내측 러그(39)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7 및 도 8은 다이어프램(10)과 벨빌 링(B)이 일단 서로 조립된 것을 도시하며, 클러치 기구(1)는 클러치 결합 위치에 있는 것으로 상정된다.
클러치 기구(1)가 클러치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다이어프램(10)은 약간의 대향하는 힘이 다이어프램(10)상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벨빌 링(B)상에서 약간 끌린다. 한편,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다이어프램(10)은 벨빌 링(B)상에서 더 이상 끌리지 않으나, 벨빌 링(B)은 항상 그 내측 러그(39)를 통해 다이어프램(10)상에서 결합한다면 약간의 응력 하에서 벨빌 링(B)을 유지하고 벨빌 링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상에서 결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수단은 벨빌 링(B)에 대하여 커버 플레이트(12)를, 벨빌 링(B)에 대하여 다이어프램(10)을, 다이어프램에 대하여 커버 플레이트를 중심설정 하는 것이 가능하면, 3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다이어프램(10), 커버 플레이트(12) 및 벨빌 링(B)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이들 3개의 수단 중 2개가 정역학적으로 결정된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3개의 수단이 가능하다. 3개의 중심설정 수단이 모두 사용된다면, 그 결과는 중복되는 구조체가 될것이고, 따라서 추가적인 응력의 상승이 발생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벨빌 링(B)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용의 제 1 중심설정 수단이 사용되고 이 제 1 중심설정 수단은 커버 플레이트내의 개구(42)내에서 결합되는 내측 러그(39)로 이루어지며, 다이어프램(10)에 대하여 커버 플레이트(12)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제 2 수단은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10)의 관절 운동점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가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벨빌 링(B)은 다이어프램(10)을 관절 운동시키는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 러그(30)를 포함하며, 이들 러그(30)도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벨빌 링(B)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외부에 놓이는 제 2 유형의 장착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벨빌 링(B)과 다이어프램(10) 사이의 연결 수단(22)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이어프램(10)의 외주 둘레에서 폐쇄되도록, 커버 플레이트(12)내에 형성된 개구(47)를 통해 연장되는 후크(45)를 규정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로 이루어진다.
그 짧은쪽 기부를 향해, 벨빌 링(B)은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 벽(12b)상의 비드(48)를 통해 지지되며, 전방 접촉부를 구성한다. 후크(45)의 일부는 커버 플레이트(12)내의 통로 개구(47)의 레벨에서 놓이는 외부 유지 핑거(52)를 갖는다. 이들 핑거(52)의 기능은 후크(45)가 커버 플레이트(12)의 고속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작용 하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47)의 벽상에서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벨빌 링(B)은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2개의 설치 조작으로 다이어프램(10)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 1 설치 조작에 있어서, 벨빌 링(B)은 외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2)상에 부착되고, 그 후 후크(45)에 의해 형성된 외측 러그는 벨빌 링(B)의 외주부에 후크를 고정하도록 부착되며, 후크(45)는 커버 플레이트내의 개구(52)를 관통하고 다이어프램(10)의 외주부를 둘러싸게 된다. 체결 수단은 원주방향 위치 수단을 갖는 클립핑 형태, 또는 총검 형태의 고정이 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설치 조작에 있어서, 벨빌 링은 외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2)상에 다시 부착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후크(45)는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환성 크라운을 구성하며, 이 크라운은 내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후 클리핑 또는 총검 형태의 설치에 의해 벨빌 링에 체결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전방 접촉부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 벽(12b)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이 외측 벽(12b)에 대하여 고정되며, 클러치 기구(1)가 클러치해제 위치에 있을 때 벨빌 보조 링(B)이 지지되는 후방 접촉부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12a)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 내측 벽(12a)에 대하여 고정딘다.
따라서, 도 10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B)에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12a)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플레이트(12)의 후방 벽과 협동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55)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1)가 클러치해제 위치에 있을 때 약간의 응력 하에서 벨빌 링(B)을 유지하기 위해, 벨빌 링(B)에 의해 제공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55)가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되는 접촉부(56)상에서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벨빌 링(B)은 또한 커버 플레이트(12)내의 개구(60)내로 관통하는 제 2 반경방향 내측 러그(59)(도 12 참조)를 제공하며, 이것의 기능은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하여 벨빌 링(B)을 중심설정 하는 것이다.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하여 다이어프램(10)을 중심설정하는 제 2 수단은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는 다이어프램(10)의 관절 운동점으로 이루어진다.
본 제 2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10)과 벨빌 보조 링(B) 사이의 부착 수단을 구성하는 후크(45)는,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풋(37)에 의해 종결되는 러그(35)로 교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다이어프램 및 벨빌 보조 링 사이의 중심설정을 위한 3개의 가능한 수단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중심설정 수단이 제공된다. 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B)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커버 플레이트내의 개구(60)내에서 결합되는 내측 러그(59)로 이루어지는 제 1 중심설정 수단이 있으며, 다이어프램(10)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는 다이어프램(10)의 관절 운동점으로 구성되는 제 2 중심설정 수단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구성하는 수단에 의해 서로 부착된 다이어프램(10)과 벨빌 보조 링(B)을 도시한다.
이들 부착 수단은 벨빌 보조 링(B)의 실질적인 축방향 연장부(62)를 포함하며, 이들의 각각에 아이렛(eyelet)(64)이 형성된다.
아이렛(64)은 벨빌 보조 링(B)의 외주에 걸쳐 이격되어 있고,다이어프램(10)의 외주 둘레에 연장되는 반경방향 러그(66)용의 안착부를 구성한다.
아이렛(64)이 형성되는 연장부(62)는 벨빌 링(B)의 열처리 도중 거의 변형되지 않는 비교적 강성의 폐쇄된 고리를 구성한다. 또한, 러그(66)는 비교적 큰 반경의 외형부분을 통해 다이어프램(10)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되며, 따라서 다이어프램(10)과 러그(66)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의 응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클러치 기구의 주요 요소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B)은 클러치 기구(1)의 위치에 관계없이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후방 접촉부상에 지지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벨빌 보조 링(B)은 벨빌 링(B)을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하는 접촉 요소를 통해 후방 접촉부상에 지지된다. 이들 접촉 요소는, 3개가 바람직하고, 벨빌 링(B)의 외주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각 접촉 요소는, 종래의 수단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는 단부(68A)와, 벨빌 보조 링(B)상에서 탄성 결합하는 자유 단부(68B)를 갖는 탄성 텅(68)으로 이루어진다.
각 탄성 텅(68)은 커버 플레이트(12)내의 개구(70)를 통하여, 이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벽(12a)과 외측 벽(12b)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도 17을 참조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1)의 위치가 결합 또는 해제 중 어느 것이든지, 벨빌 보조 링(B)은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탄성 텅(68)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텅(68)은, 벨빌 링이 특히 기구의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이동되는 동안 노이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진동을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클러치 기구의 모든 위치(결합 또는 해제 위치)에서 벨빌 링(B)상에 약간의 응력을 유지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벨빌 링(B)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 접촉 요소는 벨빌 보조 링(B)과 일체이다.
도 18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각 접촉 요소는 벨빌 보조 링(B)의 외측 연장부(72)를 구성하는 러그를 포함한다. 이 외측 연장부(72)에는 외측 연장부가 벨빌 링(B)에 연결되는 단부(72A)와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에 의해 구성된 후방 접촉부상에서 탄성 결합하는 자유 단부(72B)가 제공된다.
자유 단부(72B)는 연결 단부(72A)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정렬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외측 연장부(72)는 연결 단부(72A)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자유 단부(72B)를 구비한다.
도 20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외측 연장부(72)는 대체로 T자 형상이고, 연결 단부(72A)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는 2개의 자유 단부(72B1, 72B2)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제어형이든지 비제어형 이든지, 당김해제형(pull-to-release type) 또는 밀림해제형(push-to-release type)의 클러치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32)

  1. 자동차 엔진용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에 있어서,
    반동 플레이트(5)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서 환상의 다이어프램(10)에 의해서 클램핑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3)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5)에 고정되고 상기 반동 플레이트(5)에 대하여 축방향 직선 운동 가능하면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압력 플레이트(7)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클러치 기구(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라이너(3)에서의 마모의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압력 플레이트(7)상에 가해진 하중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10)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빌 링(B)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다이어프램(10) 또는 전방 접촉부를 구성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적어도 상기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응력 하에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접촉부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1)가 새로운 마찰 라이너(3)와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다이어프램(10)상에 약간의 힘을 인가하거나 또는 힘을 인가하지 않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다이어프램(10)상에 힘을 전혀 인가하지 않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의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다이어프램(10) 사이에서,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10)과 상기 벨빌 보조 링(B) 사이에서,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벨빌 보조 링(B) 사이에서의 중심설정을 위한 수단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중심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압력 플레이트(7)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후방으로 구부러져 상기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간극을 두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부(10a)를 둘러싸는 후크(25)를 규정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이 상기 압력 플레이트(7)와 상기 다이어프램(10)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7. 제 1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부상에 장착되고, 상기 벨빌 보조 링은 상기 다이어프램(10)과 결합하게 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이트를 통해 형성된 개구(47)를 통해 연장되는 후크(45)를 규정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접촉 비드(48)를 통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 벽상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짧은쪽 베이스와 긴쪽 베이스를 갖는 절두원추형 형상이고, 상기 짧은쪽 베이스는 상기 다이어프램(10)의 관절 운동점의 부근에 위치한 점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상에서 영구적 접촉부를 하고, 상기 긴쪽 베이스는 상기 클러치 기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외주부(10a)가 벨빌 링(B)을 구성할 수 있는 상기 다이어프램(10)의 관절 운동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비드(29)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하여 고정된 탄성 러그(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 운동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어느 한 측면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압력 플레이트(7)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실질적으로 90°로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그 각각이 구동 풋(37)으로 종결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35)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러그(35)는 상기 다이어프램(10)의 외주에 형성된 노치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상기 외측 러그(35)는 T자 형상 단부로 종결되고, 상기 T자 형상의 기부가 상기 구동 풋(37)을 구성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상기 외측 러그(35)는 상기 다이어프램(10)의 노치(40)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외측 러그(35)는 상기 벨빌 보조 링(B)과 상기 다이어프램(10) 사이에서의 상대적 회전 후 상기 다이어프램(10)의 노치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반경방향 외측 러그(35)의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반경방향 내측 러그(39)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러그(39)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를 통해 형성된 기다란 반경방향 개구(42)내에서 자유로이 결합되고, 상기 내측 러그(39)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벨빌 보조 링(B)을 중심설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0)은,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접촉 비드(29)에 고정되는 상기 다이어프램(10)의 관절운동 러그(30)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하여 중심설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0)의 외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구부러지기에 적합한 상기 후크(45)가 상기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간극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상기 후크(45)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회전에 기인한 원심력의 효과 하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상기 후크(4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구(47)의 내측 벽과 상기 후크(45)가 관통하는 커버 플레이트(12)상에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접촉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 벽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외측 벽에 고정되고, 상기 벨빌 보조 링(B)이 상기 클러치 기구(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지지되는 상기 후방 접촉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측 벽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내측 벽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후방 접촉부와 협동하는 반경방향 외측 러그(5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를 중심설정 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반경방향 내측 러그(59)로 이루어지고, 상기 러그(59)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내의 개구(60)내로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에는 그 외주에 걸쳐 이격되어 있고 상기 다이어프램(10)의 외주의 연장부인 반경방향 러그(66)의 안착부를 구성하는 아이렛(6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64)의 각각은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실질적인 축방향 연장부(62)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클러치 기구(1)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접촉부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벨빌 보조 링(B)은 상기 벨빌 보조 링(B)을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결합하는 접촉 요소(68, 72)를 통해 상기 후방 접촉부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각 접촉 요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된 일 단부(68A)와 상기 벨빌 보조 링(B)상에서 탄성 결합하는 자유 단부(68B)를 갖는 탄성 텅(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텅(68)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내의 개구(70)를 통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 벽(12b)과 내측 벽(12a)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72)는 상기 벨빌 보조 링(B)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의 각각은 상기 벨빌 보조 링(B)의 외측 연장부(72)를 구성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는 상기 러그를 상기 벨빌 보조 링(B)에 연결하는 단부(72A)와 상기 벨빌 보조 링(B)상에서 탄성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단부(7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부(72)는 상기 연결 단부(72A)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정렬되는 자유 단부(7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부(72)는 상기 연결 단부(72A)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 자유 단부(7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부(72)는 대체로 T자 형상이고 상기 연결 단부(72A)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자유 단부(72B1, 72B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KR1020027004570A 2000-08-11 2001-08-10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KR20020042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0615A FR2812917A1 (fr) 2000-08-11 2000-08-11 Perfectionnement a un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pour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FR0010615 2000-08-11
FR0106945A FR2812918B1 (fr) 2000-08-11 2001-05-28 Perfectionnement a un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pour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FR0106945 2001-05-28
PCT/FR2001/002598 WO2002014704A1 (fr) 2000-08-11 2001-08-10 Ressort d'assistance au diaphragm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pour moteur de ve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62A true KR20020042862A (ko) 2002-06-07

Family

ID=2621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570A KR20020042862A (ko) 2000-08-11 2001-08-10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79398A1 (ko)
KR (1) KR20020042862A (ko)
BR (1) BR0107093A (ko)
DE (1) DE10193441T1 (ko)
FR (1) FR2812918B1 (ko)
WO (1) WO2002014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336B2 (ja) * 2001-02-27 2012-02-08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摩擦クラッチ
DE10235709A1 (de) * 2002-08-03 2004-02-19 Zf Sachs Ag Reibungskupplung
DE10249046A1 (de) * 2002-08-10 2004-05-06 Zf Sachs Ag Kraftbeaufschlagungselement für eine Reibungskupplung
FR2847317B1 (fr) 2002-11-14 2005-10-07 Renault Sa Ressort diaphragme pour mecanisme d'embrayage a disque de friction de vehicule automobile
US7082661B2 (en) * 2002-12-04 2006-08-01 Ace Manufacturing & Parts Company Centrifugally assisted clutch
DE112006001622A5 (de) * 2005-07-15 2008-03-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Heb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sowie Reibungskupplung mit einer solchen Hebelanordnung
DE112012002709A5 (de) * 2011-06-30 2014-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asskupplung für ein Kraftrad
CN104620006B (zh) * 2012-08-03 2018-04-24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双离合器
DE102013214372A1 (de) * 2013-07-23 2015-01-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US10272510B2 (en) * 2016-01-14 2019-04-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6877A1 (fr) 1979-05-18 1980-12-12 Ferodo Sa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JPS58157030U (ja) * 1982-04-15 1983-10-20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クラツチカバ−組立体
FR2606476B1 (fr) * 1986-11-12 1990-12-14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element de progressivite
WO1989001096A1 (en) * 1987-08-03 1989-02-09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Clutch cover assembly
JP2564900Y2 (ja) * 1992-08-07 1998-03-1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ES2109849B1 (es) * 1993-07-16 1998-08-16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curva caracteristica plana.
DE19510905A1 (de) * 1994-03-29 1995-10-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ES2119667B1 (es) * 1994-12-24 1999-04-01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muelle auxiliar para asistir a la fuerza de desembragado.
US5967283A (en) * 1996-12-04 1999-10-19 Kemper; Yves J. Clutch spring assembly
FR2764020B1 (fr) * 1997-05-30 1999-08-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FR2764015B1 (fr) * 1997-05-30 1999-08-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FR2767167B1 (fr) * 1997-08-04 2003-10-03 Luk Lamellen & Kupplungsbau Embrayage a fri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93441T1 (de) 2003-03-13
FR2812918B1 (fr) 2003-03-07
WO2002014704A1 (fr) 2002-02-21
FR2812918A1 (fr) 2002-02-15
US20020179398A1 (en) 2002-12-05
BR0107093A (pt) 200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6847B2 (ja) クラッチ解除力を補助するための補助ばね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JP3086848B2 (ja) クラッチ解除力を補助するための補助バネ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KR100326408B1 (ko) 마찰클러치
US5758756A (en) Friction clutch in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US4696384A (en) Clutch cover assembly and clutch incorporating same
US4332314A (en) Spring clutch
KR20020042862A (ko) 다이어프램 클러치 기구
US4300669A (en) Cushion finger diaphragm spring clutch
KR100301974B1 (ko) 차량용마찰클러치
US4844226A (en) Clutch cover assembly
GB2087002A (en) Multi-disc with positive release and simplified assembly
JP2000205297A (ja) 過度調節保護の付いた自動調節摩擦クラッチ
US6260684B1 (en) Clutch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KR100613538B1 (ko)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JP3020173B2 (ja) 摩擦クラッチ装置
GB2073341A (en) Friction clutch unit
JPH0882331A (ja) ダイヤフラムスプリングクラッチ
US5826691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diaphragm spring and a secondary biasing spring working in tandem
JPS5861334A (ja) クラツチ装置
US4946017A (en) Angled release clutch system
US3868006A (en) Self-adjusting release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es
US5647468A (en) Clutch mechanism, notably for a motor vehicle
US5168974A (en) Clutch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GB2296541A (en) Friction clutch
EP0640772B1 (en) Clutch releas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