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494A -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494A
KR20020042494A KR1020010074934A KR20010074934A KR20020042494A KR 20020042494 A KR20020042494 A KR 20020042494A KR 1020010074934 A KR1020010074934 A KR 1020010074934A KR 20010074934 A KR20010074934 A KR 20010074934A KR 20020042494 A KR20020042494 A KR 2002004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mating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823B1 (ko
Inventor
키무라마키야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4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강제 와이핑을 수반한 삽입력이 낮은 감합이 가능하며, 커넥터끼리 록하고, 커넥터가 갑합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감합 완료 상태를 상기 록에 의해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1)는 하우징(2), 콘택트(28, 30), 축(8), 콘택트(28, 30)를 부세하는 축(8)의 본체(7), 상대방 커넥터(100)를 완전 감합 직전의 깊이로 유지하는 캠(44), 커넥터(100)와 점증적으로 록하는 열쇠형 부재(48), 레버(10) 및 커버 부재(12)를 갖는다.
커넥터들을 완전 감합 직전의 깊이까지 감합한 후, 레버(10)를 조작하여 캠(44)을 해제하고, 본체(7)에 의해 커넥터간의 전기적 접속을 하며, 열쇠형 부재(48)에 의해 커넥터끼리 한층 더 접근하게 함으로써, 와이핑을 행함과 동시에 커넥터들을 서로 록한다.

Description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low insertion force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 커넥터와 완전 감합 상태에 있어서 록(lock) 기능을 갖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에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콘택트가 많아 질수록, 이른바 다극 커넥터가 되는 만큼 커넥터의 감합에 필요한 삽입력이 커지고, 감합 조작이 곤란 또는 불가능해 진다.
그래서 LIF(삽입력이 낮음), 혹은 ZIF(삽입력이 제로) 커넥터라 칭해지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전기커넥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런 종류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로서는 일본 특개소 59-139583호 및 특개평 4-342974호에 개시된 전기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종래 기술은 삽입력이 제로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고정 접속단자와 플러그 단자를 접속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고정한 접촉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에 있어서는 우선 플러그 단자가 고정 접속단자와 이격한 상태로 삽입되고, 다음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에 고정된 접촉자를 회전하여 이 접촉자를 플러그 단자와 고정 접속단자의 양방에 접속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후자의 종래 기술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의 접촉편을 확대 개방시키는 확대 개방 수단을 갖는다. 접촉편을 확대 개방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감합시켜, 다른 편 커넥터의 접촉편을 받아들인 후, 확대 개방 수단을 해제하여 접촉편끼리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합한 커넥터들의 접촉편이 접촉한 상태에서 양 커넥터를 근소하게 이간시켜 접촉편의 와이핑(wiping:불식)을 행한다. 이 와이핑은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확대 개방 수단과 슬라이드 수단은 직선적으로 접동하는 캠 구동 부재에 의해 순차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어느 기술에 있어서도 커넥터끼리의 감합상태는 접촉하는 커넥터끼리의 마찰 계합력에 의존하여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가 받는 외부 힘에 따라서는 콘택트가 접촉불량이 되거나, 혹은 커넥터의 감합 상태가 풀릴 염려가 있다. 또한 후자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와이핑을 위해 양 커넥터의 감합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므로, 감합이 완전하게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관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회전축 외에 저삽입력을 위해 접촉자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후자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확대 개방수단 및 슬라이드 수단으로서 각각 복수의 부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강제 와이핑을 동반한 저삽입력의 감합이 가능하고, 커넥터끼리 록하여 커넥터의 감합 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감합 완료상태를 이 록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으며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5-5선에 따른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7은 상대방 커넥터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가 갑합한 커넥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14-14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16-16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7은 도 11의 14-14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14와 동일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15와 동일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9는 도 11의 16-16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16과 동일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2 하우징
7 제1캠 부재(콘택트 부세 수단)8 축
10 조작 부재(레버)28, 30 콘택트
44 제2캠 부재(이간(離間)수단) 48 열쇠형 부재(록 수단)
57 계합 캠면100 상대방 커넥터
104 단자112 돌기
122 갑합면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보호 유지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이 콘택트를 부세하여 휘게 하는 콘택트 부세 수단과, 통상적으로 하우징과 감합한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로 유지하는 이간 수단과, 상대방 커넥터와 점증적으로 록(Lock)하는 록 수단과, 콘택트 부세 수단, 이간 수단 및 록 수단을 일체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구동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세 수단이 콘택트와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를 접속시켜, 이간 수단이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의 유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록 수단이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에서 완전 감합 상태로 끌어 들이도록 상대방 커넥터와 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란 ZIF(삽입력이 제로)형 커넥터를 포함한 것을 말한다.
구동 수단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축과 이 축에 연결된 조작부재를 갖고, 콘택트 부세 수단, 이간 수단 및 록 수단이 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콘택트 부세 수단은 콘택트를 상기 단자와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캠 부재로서, 이간 수단은 완전 감합 직전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감합면과 당접하는 당접 위치와, 감합면과 당접하지 않는 비당접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캠 부재로서, 록 수단은 축의 회전에 동반하여 커넥터끼리가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상대방 커넥터의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 캠면을 갖는 열쇠형 부재가 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 커넥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1 커넥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1 커넥터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5-5선에 따른 커넥터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 커넥터의 확대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는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凹,4)를 갖는 직방체의 하우징(2)과, 요부(4) 내에 배치되는 콘택트 조립체(6)와, 상기 콘택트 조립체(6)를 구동하는 축(8) 및 상기 축(8)에 연결된 레버(조작부재)(10)와, 이들을 요부(4) 내에 보호 유지하는 커버 부재(12)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은 전자(電磁)쉴드(차폐)를 위해 금속 예를 들면 아연 다이캐스트(diecast)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저벽(14, 도 5)에는 하우징(2)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뻗는 2개의 사각형 개구(16)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16)의 내측 가장자리는 대향하여 내측에 돌출한 플런지(40:도 5, 도6)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6)의 양단부에는 하우징(2) 높이의 약 1/2 높이를 갖는 지지벽(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이 2개의 지지벽(17)을 연결하는 분리벽(18)이 개구(16, 16) 사이의 저벽(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개구(16) 양단부의 지지벽(17) 상면에는 후미 홈(20)과, 상기 후미 홈(20)을 하우징(2)의 긴 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후미 홈(20)의 양측에 인접하여 만곡한 지지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두 쌍의 지지 홈(22) 중, 한 쪽 측의 개구(16)에 대응하는 한 쌍만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벽(17)의 상면 중앙에는 2개의 후미 홈(20)의 사이에 너트(23)가 저벽(14)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양 지지벽(17)의 외측, 즉 하우징(2)의 단벽(26a, 26b) 내측에는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벽(26b)에는 요부(4)의 상측 가장자리(4a)에서 하방으로 뻗는 절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요부(4)에 배치되는 콘택트 조립체(6)에 대해 설명한다. 콘택트 조립체(6)는 형상이 다른 2종류의 콘택트(28, 30)가 각각 수지로 형성된 절연성 베이스 부재(26)에, 인서트 몰드에 의해 보호 유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26)는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콘택트(28, 30)는 용수철성 동합금판을 타발 가공 및 굴곡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본체(34)와 본체(34)에서 하방으로 뻗어 기판(미도시)에 취부되는 다인(dyne)(32)을 갖는다. 본체(34)는 외측으로 팽출(膨出)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부재(26)는 2개로 분할된 것에 각각 콘택트(28, 30)의 열을 배설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26)를 합체시켜 구성하고 있다. 2개의 베이스 부재(26)끼리의 위치 정합은 서로의 합치는 면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요철 계합에 의해 행해진다. 베이스부재(26)는 하우징(2)의 개구(16)에 압입에 의하여 취부되어진다. 베이스 부재(26)는 2개의 콘택트 열을 배치한 일체의 부재로 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나는 하우징(2)의 취부공(39)은 하우징(2)을 기판상에 재치하여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나듯이 콘택트 조립체(6)의 각 콘택트(28, 30)의 만곡한 본체(34)의 선단 부분은 내측으로 수납 결속하고, 나아가 직선으로 뻗는 접촉부(36)를 갖는다. 이 접촉부(36)의 선단은 더욱 내측으로 절곡된 계지 단부(38)를 갖는다. 콘택트 조립체(6)는 베이스 부재(26)를 개구(16)에 배치함으로써, 하우징(2)에 취부된다. 즉, 베이스 부재(26)는 개구(16) 내에 대향하여 내측으로 뻗어 나온 전술한 플런지(40) 상에 재치 된다. 이 때, 다인(32)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한다.
다음으로 콘택트(28, 30)의 열 사이에 배치되는 축(8)과 레버(10)에 대해 설명한다. 축(8)은 스텐레스강 등의 금속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듯이 두 쌍의 콘택트 열에 대응하여 2개가 있고, 콘택트(28, 30)의 열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5, 도 14, 도 15, 도 17 및 도 18의 각 단면도에 있어서, 축(8)은 생략되어 있다. 각 축(8) 상에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된 본체(7)(제1캠 부재, 즉 콘택트 부세 수단)는 단면 형상이 도 5에 나타나듯이 원추형 캠으로 이루어져 있고, 통상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나듯이 장경(長徑)을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7)의 양단에는 축경(縮俓)부(42)를 거쳐 캠(44)(제2캠 부재, 즉 이간 수단)이 형성되고, 나아가 그 외측에는 별도의 축경부(46)를 거쳐 열쇠형 부재(48)(록 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캠(4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경이 원형에 가까운 거의 삼각형의 형상으로 , 통상적으로 축심에서 가장 먼 부분(44a)(정지부, 도 14)이 상향, 즉 상대방 커넥터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축(8)의 본체(7)는도 5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이들 축(8)과 축(8) 상에 취부된 레버(10)를 구동 수단이라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캠(44)은 축(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별개의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열쇠형 부재(48)는 별개의 부재로 하여 축(8)의 단부에 취부되어 있다.
열쇠형 부재(48)는 본체(7)와 함께 회동하는 평판부(50)와, 상기 평판부(50)에서 뻗어 나와 거의 축(8) 주변의 회전 원호에 따른 형상의 발톱부(52)을 갖는다. 발톱부(52)는 통상적으로 2개의 축(8) 사이에서 발톱(52)의 선단(53)이 위를 향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열쇠형 부재(48)의 외측에는 열쇠형 부재(48)에 인접하여 기어(5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기어(54)는 각 축(8)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2개의 축(8)이 서로 조합하도록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54)의 이(56)는 부채꼴의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 레버(10)는 2개 축(8)의 한 쪽 단부에 취부되어 있고, 암(10a)과 조작부(10b)로 이루어져 있다.
축(8)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면 각 축(8)의 축경부(42, 46)가 대응하는 지지 홈(22)에 재치되고, 캠(44)이 후미 홈(20)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기어(54)의 이(56)는 서로 조합하며, 레버(10)를 회동하면 레버(10)가 연결되어 있는 축(8)과 연동하여 기어(54)를 통해 다른 쪽의 축(8)도 회동된다. 이 때 회전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다음으로 절연성 커버 부재(12)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부재(12)는 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콘택트(28, 30)의 열에 대응하여 커버 부재(12)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2열의 유지부(60, 60)를 주면(62) 상에 갖는다. 각 유지부(60)는 주면(62)에서 돌출하여 커버 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양측에는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듯이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상하 방향으로 뻗는 슬롯(64)이 유지부(6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들 슬롯(64)에는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가 면하여,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지부(60)의 내측에는 격리벽(66)에 의해 중앙이 분할된 공간(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68)의 상부, 즉 유지부(60)의 평탄면(61) 근방에 계지 요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60)의 양 단부에는 커버 부재(12)의 폭 중앙에 구멍(72)(도 6)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구멍(72)에 인접하여 커버 부재(12)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개구(7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74)의 양측의 벽, 즉 커버 부재(12)의 긴 쪽 방향으로 이격한 벽(76)에는 전술한 지지 홈(22)에 대응하는 만곡 홈(7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74)에는 전술한 캠(44)이 배치된다. 또한 개구(74) 외측의 커버 부재(12)의 양단 근방에는 커버 부재(12)의 폭 방향에 걸친 개구(80)가 형성되고, 이 개구(80)에 열쇠형 부재(48)가 배치된다. 커버 부재(12)의 양단은 연결부(82)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의 연결부(82)의 단벽(84)에는 레버(10)에 연결되는 축(8)의 단부를 수용하는 만곡 요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버 부재(12)를 하우징(2)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의 요부(4)에 커버 부재(12)를 배치하며, 볼트(13)를 구멍(72)에 삽통하고, 나아가 하우징(2)의 너트(23)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나듯이 전술한 콘택트(28, 30)의 계지 단부(38)는 커버 부재(12)의 계지 요부(70)에 계지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28, 30)는 베이스 부재(26)와 계지 요부(70)와의 사이에서 횡방향, 즉 감합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술한 만곡 홈(78)과 지지 홈(22)에 의해 축(8)의 경축부(42, 46)가 보호 유지되고, 축(8)이 하우징 내에서 회동 가능토록 지지된다. 또한 레버(10)는 하우징(2)의 절결부(5)에서 외측에 돌출하고, 하우징(2)의 외부에서 레버(1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끼리 감합하기 전에, 축(8)은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즉 콘택트(28, 30)의 본체(34) 및 접촉부(36)는 가장 안쪽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커넥터(1)와 감합하는 상대방 커넥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커넥터(100)의 정면도, 도 8은 도 7 커넥터의 평면도, 도 9는 도 7 커넥터의 측면도, 도 10은 도 7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커넥터(100)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하우징(102)과 콘택트(104)를 갖는다. 하우징(102)도 하우징(2)와 마찬가지로, 전자 차폐를 위해 금속제 다이캐스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1)과 조합하는 감합부(106)의 양 단부에는 전술한 연결부(82)와 상호 보완적인 형상의 단부(段部)(10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108)의 외향 단면(110)에는 하우징(102)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돌기(112)가 전술한 2개의 축(8)에 대응하여 천설(穿設) 되어 있다. 커넥터(100)의 후부, 즉 도 7의 하측에는 콘택트(104)의 다인(114)이 돌출되어 있다. 감합부(106)에는 유지부(60)를 수용하는 감합 요부(116)가 유지부(60)에 대응하여 2줄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도 8) 또한 하우징(102)의 단면(118)에는 전술한 절결부(5)에 대응하는 위치에 열쇠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열쇠 돌기(120)는 커넥터끼리 갑합시에 커넥터(1) 하우징(2)의 절결부(5)에 감입하는 폭을 갖고 있다. 커넥터(100)의 다인(114)은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열로 배치되어 있고, 이것이 두 쌍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100)가 취부되는 2장의 기판의 각각(미도시)은 한 쌍의 다인(114) 사이에 배치되고, 기판 양측에 접속됨과 동시에 취부 탭(135)의 취부공(137)에 삽통되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커넥터(1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커넥터(1)와 커넥터(100)가 감합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1)와 상대방 커넥터(100)가 감합한 커넥터 조립체(190)(이하, 단순히 조립체라 한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 조립체(190)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에 따른 조립체(190)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조립체(190)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16-16선에 따른 조립체(19)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1, 도 12는 커넥터끼리 감합한 초기의 상태 즉, 커넥터(100)와 커넥터(1)의 완전 갑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양 커넥터(1, 100)는 완전하게 감합하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레버(10)는 도 12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작부(10b)가 도 12에 있어서 하우징(2)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에는 커넥터(100)의 열쇠형 돌기(120)가 커넥터(1)의 절결부(5)내에 진입해 있는 것이 명료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열쇠형 돌기(120)와 절결부(5)가 조합하는방향에서만 양 커넥터(1, 100)가 갑합할 수 있다.
도 13에는 축(8)의 축경부(42, 46)가 지지 홈(22) 내에 배치되고, 또 캠(44)이 후미 홈(2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명료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열쇠형 부재(48)와 기어(54)가 하우징(2)의 공간(24)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명료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상태, 즉 커넥터(100)와 커넥터(1)의 완전 감합 직전의 상태에 있는 양 커넥터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가 커넥터(1)에 삽입되면 커넥터(100)의 감합면(122)은 당접 위치에 있는 캠(44)의 정지부(44a)에 당접하고, 커넥터(1)의 갑합면(122)이 커넥터(1)의 커버 부재(12)와의 사이에 간극을 남긴 상태로 정지한다. 조립체(190)의 외부로부터는 커넥터(1)와 커넥터(100)의 사이에 갭(G)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도면 중의 (130)은 콘택트(104)를 보호 유지한 콘택트 보호 유지 부재를 나타낸다. 이 콘택트 보호 유지 부재(130)는 볼트(132)에 의해 하우징(102)에 고정되어 있다.
완전 감합 직전에는 축(8)의 본체(7)와 콘택트(28, 30)가 도 15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있다. 즉, 콘택트(28, 30)는 본체(7)의 장경(長徑)이 종방향에 있기 때문에 가장 내측으로 변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도 슬롯(64)의 외측에 부세되지 않고 슬롯(64)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한편, 삽입되는 커넥터(100) 단자의 선단 접촉부(126)는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와 근소하게 접촉하여 접압(接壓)이 낮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 때에 필요한 삽입력은 적어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접착압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하여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끼리는 단자(104)와 콘택트(28, 30)가 비접촉 상태로 갑합하여도 좋다는 것이다.
도 15에 나타나는 베이스 부재(27)는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즉, 베이스 부재(27)는 베이스 부재(27)의 양측 하단에 베이스 부재(27)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리브(27a)를 갖고, 상기 리브(27a)가 하우징(2)의 개구(19) 단부(段部)(19a)에 하방으로부터 당접하여 취부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에 있어서, 커넥터(1)는 상기 제2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27)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완전 감합 직전에 있어서의 열쇠형 부재(48)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열쇠형 부재(48)는 발톱부(52) 부분에서 서로 겹쳐지고, 선단(53)이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열쇠형 부재(48)의 평판부(50)와 발톱부(5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계합 공간(55)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때, 커넥터(100)의 돌기(112)가 열쇠형 부재(48)를 회동시킨 때, 전술한 계합 공간(55) 내에 수용되는 위치에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리고 도면 중에 평판부(50)의 중심부에 있는 뿔모양 구멍(50a)은, 축(8) 단부의 형상이 상기 뿔모양 구멍(50a)과 상호 보완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들이 서로 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뿔모양 구멍(50a)의 외측에 있는 단면 원형 부재는 2개의 열쇠형 부재(48)를 지면(紙面)과 직교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한 스페이서(59)이다. 그리고 축(8)은 일단의 기어(5)에서 다른 단의 기어(5)까지 일관하여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축(8)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육각형 등의 사각형 이외의 형상도 좋다.
다음으로 레버(10)를 회동시켜 커넥터 끼리를 완전 감합 시킨 때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도 11의 14-14선에 따른 축(8)을 약 90°회동시킨 상태, 즉 완전 감합 상태의 도 14와 동일한 조립체(19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축(8)을 약 90°회동시킨 때의 도 15와 동일한 조립체(19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축(8)을 약 90°회동시켜 열쇠형 부재(48)와 돌기(112)를 계합시킨 상태의 도 16과 동일한 16-16선에 따른 조립체(190)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버(10)를 약 90°회동시키면 축(8)과 연동하여 캠(44)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커넥터(100)의 감합면(122)과 당접하고 있던 캠(44)의 정지부(44a)가 감합면(122)으로부터 떨어져, 후미 홈(20) 내에서 횡방향으로 된다. 즉 캠(44a)은 비당접 위치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100)는 커넥터(1)에 대해 한층 더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레버(10)는 회동된 결과 그 위치가 도 14에 나타내는 위치와 반대쪽이 되어 있으며, 도 17의 커넥터(100)는 완전 감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콘택트(28, 30)와 단자(104)의 관계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8)의 본체(7)가 약 90°회동하면 본체(7)의 장경이 횡방향이 되고, 콘택트(28, 30)의 본체(34)를 외측으로 압압(押壓)한다. 이에 따라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도 외측으로 변위하고, 커넥터(100)의 단자(104) 방향으로 부세되어 단자(104)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단자(104)와 콘택트(28, 3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커넥터끼리의 록(錠止)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8)의 회동에 동반하여 열쇠형 부재(48)의 계합 공간(55)에 커넥터(100)의 돌기(112)가 진입하기 시작하면, 발톱부(52)의 내측, 즉 계합 공간(55)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계합 캠면(57)과 돌기(112)가 계합한다. 계합 캠면(57)은 슬롯(55)의 내측 방향이 됨에 따라 평판부(50)의 중심, 즉 축(8)의 축심에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 캠면(57)은 점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쇠형 부재(48)를 회동시킴에 따라 돌기(112)는 커넥터(1) 쪽으로 끌려 들어간다. 즉, 커넥터(100)는 커넥터(1)에 끌려 들어가 단자(104)와 콘택트(28, 30)의 사이에 와이핑이 행해짐과 동시에, 이로 인해 커넥터끼리 완전 감합 위치에서 록된다. 레버(10)를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고 록이 걸리면 이에 따라 커넥터끼리 완전 감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커넥터간의 갭(G)이 없어지므로, 외관에서도 커넥터끼리 완전하게 감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하우징(2, 102)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콘택트 부세 수단에 관해서는 다른 구성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즉 콘택트 부세 수단을 콘택트 열의 외측에 배치하고, 콘택트를 미리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콘택트는 콘택트 부세 수단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콘택트를 부세한 때에만 콘택트가 내측 방향으로 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의 감합시에 콘택트 부세 수단이 작용하여 콘택트는 내측으로 휘어지고, 감합 후는 콘택트 부세 수단이 해제되어 콘택트가 외측으로 복귀하여 커넥터 끼리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하우징(2)은 전기적 차폐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지제라도 좋다.
본 발명의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는 하우징이 콘택트를 부세하여 휘게 하는 콘택트 부세 수단과, 통상적으로 하우징과 감합한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로 유지하는 이간 수단과, 상대방 커넥터와 점증적으로 록하는 록 수단과, 콘택트 부세 수단, 이간 수단 및 록 수단을 일체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구동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세 수단이 콘택트와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를 접속시켜, 이간 수단이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의 유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록 수단이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에서 완전 감합 상태로 끌어들이도록 상대방 커넥터와 록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록 수단이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에서 끌어들임으로써, 강제 와이핑을 동반한 저삽입력의 감합이 가능하다. 나아가 커넥터들을 록함으로써, 감합이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감합 완료상태를 상기 록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감합한 상태의 커넥터간에 간극이 없으므로, 커넥터가 완전 감합해 있는 것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축과 이 축에 연결된 조작부재를 갖고, 콘택트 부세 수단, 이간 수단 및 록 수단이 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해져 부품수가 적어진다.
더욱이 콘택트 부세 수단이 콘택트를 상기 단자와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캠 부재로서, 이간 수단이 완전 감합 직전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감합면과 당접하는 당접 위치와, 감합면과 당접하지 않는 비당접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캠 부재로서, 록 수단이 축의 회전에 동반하여 커넥터끼리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상대방 커넥터의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 캠면을 갖는 열쇠형 부재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부품수가 적어진다.

Claims (3)

  1.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보호 유지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를 부세(付勢)하여 휘게 하는 콘택트 부세 수단과,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감합한 상기 상대방 커넥터를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로 유지하는 이간(離間) 수단과,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점증적으로 록(Lock)하는 록 수단과, 상기 콘택트 부세 수단, 상기 이간 수단 및 상기 록 수단을 일체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구동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콘택트 부세 수단이 상기 콘택트와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단자를 접속시켜, 상기 이간 수단이 상기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의 유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록 수단이 상기 상대방 커넥터를 상기 완전 감합 직전의 감합 깊이로부터 완전 감합 상태로 끌어들이도록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축과 상기 축에 연결된 조작부재를 갖고, 상기 콘택트 부세 수단, 상기 이간 수단 및 상기 록 수단이 상기 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세 수단이 상기 콘택트를 상기 단자와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캠 부재로서, 상기 이간 수단이 상기 완전 감합 직전에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감합면과 당접하는 당접 위치와, 상기 감합면과 당접하지 않는 비당접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캠 부재로서, 상기 록 수단이 상기 축의 회전에 동반하여 상기 커넥터끼리가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 캠면을 갖는 열쇠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KR1020010074934A 2000-11-30 2001-11-29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KR100852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4517 2000-11-30
JP2000364517A JP3710705B2 (ja) 2000-11-30 2000-11-30 低挿入力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94A true KR20020042494A (ko) 2002-06-05
KR100852823B1 KR100852823B1 (ko) 2008-08-18

Family

ID=1883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934A KR100852823B1 (ko) 2000-11-30 2001-11-29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9714B2 (ko)
EP (1) EP1211752B1 (ko)
JP (1) JP3710705B2 (ko)
KR (1) KR100852823B1 (ko)
CN (1) CN1251361C (ko)
DE (1) DE60117350T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0B1 (ko) * 2008-08-05 2009-05-21 (주)퓨쳐하이테크 프로브카드 접속용 헤드소켓과 인터페이스 및 이를포함하는 웨이퍼 테스트장치
KR20180055238A (ko) * 2016-11-16 2018-05-25 (주)케미텍 커넥터
WO2018190633A1 (ko) * 2017-04-12 2018-10-18 주식회사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및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KR20180115193A (ko) 2017-04-12 2018-10-22 (주)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05520A (ko) 2017-07-07 2019-01-16 (주)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61102B1 (ko) 2018-03-14 2019-03-22 (주)케미텍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7889B1 (en) 2003-09-26 2005-0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to chassis connection and method
US7291031B2 (en) * 2004-07-13 2007-11-06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Zero insertion force cable interface
US7316579B2 (en) * 2005-09-16 2008-01-08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Zero insertion force cable interface
US20080242137A1 (en) * 2007-03-30 200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ingle step operation connector assembly
KR20090012539A (ko) * 2007-07-30 2009-02-04 이창학 프로브카드 접속용 헤드소켓 및 웨이퍼 테스트장치
US7731516B2 (en) * 2008-09-09 2010-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nector system for engaging a portion of a plug within a receptacle
CN103199355B (zh) * 2012-01-06 2015-04-22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4044800A (ja) * 2012-08-24 2014-03-13 Tyco Electronics Japan Kk 低挿入力型コネクタ
JP2014086187A (ja) * 2012-10-19 2014-05-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コネクタ
JP6000811B2 (ja) 2012-11-08 2016-10-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6220753B2 (ja) * 2014-01-30 2017-10-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092045A (zh) * 2014-07-22 2014-10-08 埃梯梯科能电子(深圳)有限公司 连接器
JP2018037285A (ja) * 2016-08-31 2018-03-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CN108429033A (zh) * 2017-12-15 2018-08-2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头座组件及其插座
JP6753589B1 (ja) * 2019-05-13 2020-09-0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接触子回転式コネクタ
CN114614311A (zh) * 2022-03-17 2022-06-1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插拔力的连接器插头、插座及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4872A (en) * 1951-09-21 1953-10-06 Raytheon Mfg Co Electrical connector
DE1127416B (de) * 1960-08-16 1962-04-12 Siemens Ag Steckerleiste fuer Fernmelde-, insbesondere Fernsprechanlagen
NL8003442A (nl) 1980-06-13 1982-01-04 Derckx Henricus A J M Inpakmachine.
US4512621A (en) * 1980-08-13 1985-04-23 Thomas & Betts Corporation Flat cable pitch transition connector
US4407555A (en) * 1981-03-19 1983-10-04 Amp Incorporated Cam actuated DIP test socket
JPS59139583A (ja) 1983-01-28 1984-08-10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US4744768A (en) * 1987-02-10 1988-05-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upling connector
JPH0433669Y2 (ko) * 1988-04-19 1992-08-12
JP2767503B2 (ja) 1991-05-20 1998-06-1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低挿入力型電気コネクタ
JP2593430Y2 (ja) * 1993-09-09 1999-04-1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Fpc/ffc用コネクタ
GB9508690D0 (en) * 1995-04-28 1995-06-14 Amp Gmbh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with wiping action
US5908323A (en) * 1997-02-26 1999-06-01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JP3372191B2 (ja) 1997-07-24 2003-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装置
JP4048004B2 (ja) * 1999-07-23 2008-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0B1 (ko) * 2008-08-05 2009-05-21 (주)퓨쳐하이테크 프로브카드 접속용 헤드소켓과 인터페이스 및 이를포함하는 웨이퍼 테스트장치
KR20180055238A (ko) * 2016-11-16 2018-05-25 (주)케미텍 커넥터
WO2018190633A1 (ko) * 2017-04-12 2018-10-18 주식회사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및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KR20180115193A (ko) 2017-04-12 2018-10-22 (주)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US11112448B2 (en) 2017-04-12 2021-09-07 Kemitec Inc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US11525855B2 (en) 2017-04-12 2022-12-13 Kemitec Inc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KR20190005520A (ko) 2017-07-07 2019-01-16 (주)케미텍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61102B1 (ko) 2018-03-14 2019-03-22 (주)케미텍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79714B2 (en) 2004-01-20
DE60117350D1 (de) 2006-04-27
EP1211752A3 (en) 2003-07-30
KR100852823B1 (ko) 2008-08-18
EP1211752A2 (en) 2002-06-05
US20020064987A1 (en) 2002-05-30
DE60117350T2 (de) 2006-10-12
CN1359171A (zh) 2002-07-17
CN1251361C (zh) 2006-04-12
JP3710705B2 (ja) 2005-10-26
EP1211752B1 (en) 2006-02-22
JP2002170642A (ja)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823B1 (ko)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US6585536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EP1981128B1 (en) A lever-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401323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EP2454785B1 (en) Plug-and-socket connector with a blocking element
JP2011515820A (ja) 低背の端子位置保証部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00063070A (ko) 압접 조인트 커넥터
US20010053621A1 (en) Connector-with-lever
JP3308860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EP3764480B1 (en) Lever-type connector
JPH11354191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カバーとの誤組防止構造
EP0660451B1 (en) Connector
JPH02247993A (ja) 分路コネクタ
JP3442661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634111B2 (ja) 雌型コネクタ
JP3919137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12238405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0906644B1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 mating assurance device
JPH10199615A (ja) Lifコネクタ
JP2592652Y2 (ja) レバー式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2801774B2 (ja) 固定手段を有するレセプタクル端子
EP099453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8084553A (ja) コネクタ
JP4205524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