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307A - 가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307A
KR20020041307A KR1020010073865A KR20010073865A KR20020041307A KR 20020041307 A KR20020041307 A KR 20020041307A KR 1020010073865 A KR1020010073865 A KR 1020010073865A KR 20010073865 A KR20010073865 A KR 20010073865A KR 20020041307 A KR20020041307 A KR 2002004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product
flavoring
unfinished product
predetermin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789B1 (ko
Inventor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야스시 야쿠시가와
Original Assignee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야스시 야쿠시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0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592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70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719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37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9022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야스시 야쿠시가와 filed Critical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Publication of KR2002004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fectionery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어(fryer)로부터 취출된 포테이토 칩(potato chip) 등에 소금·양념 등의 조미료를 첨가하여 스낵 과자를 제조하는 제조라인에 있어 맛을 내는 가미(加味)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량으로 작게 나눈 후에 맛내기를 행하므로, 작게 나누기 위한 계량장치에는, 조미료가 부착하지 않으며, 맛을 바꾸는 데 수반하는 계량장치 등의 청소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청소를 위한 운전 휴지(休止)가 없게 되고,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미 시스템{A Seasoning System}
본 발명은 플라이어(fryer)로부터 취출된 포테이토 칩(potato chip) 등에 소금·양념, 때로는 향을 내는 향미료(香味料)를 함유한 조미료를 첨가하여 스낵 과자를 제조하는 제조라인에 있어 맛을 내는 가미(加味)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포테이토나 콘 등으로 성형되는 스낵 과자의 가미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공평 4-35132호 공보, 특허 제2689139호 공보, USP 5,090,593호, USP 5,846, 324호 등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가미장치에서는, 플라이어로부터 취출된 포테이토 칩 등(이하, 맛을 내지 않은 것을 미완성품이라 한다)을 회전 드럼 내에 공급하여, 그곳에 설정 비율의 조미료를 첨가하여 교반하지만, 이러한 가미장치는 통상 미완성품을 하나의 상품 단위(1봉지의 내용량)로 작게 나누는 계량장치의 상류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맛을 바꾸는 경우는 그 하류측 장치에 남아 있는 미완성품을 제거한 다음에, 하류측 장치를 청소하였다.
그렇지만, 하류측 장치의 청소에는 많은 인원과 시간을 요하고, 더욱이 그 사이에 하류측 장치를 정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생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청소할 때는 우선 상류측 장치를 멈추고 나서 하류측 장치에서 제품이 없어질 때까지 하류측 장치를 운전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그 사이에 제조되는팩(pack) 수는 하류측에서 체류하는 제품량에 좌우되기 때문에 생산 계획대로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것은 담는 개수가 어중간한 콘테이너를 박스포장장치 내에 남기는 원인도 되며, 그것이 제품의 수율을 나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부 공장에서는, 맛의 종류 마다 전용라인을 마련해서 맛을 고정시킨 경우도 있지만, 거기에는 설비비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기호가 변화하거나, 계절이 바뀌면, 역시 맛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그 때에는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미완성품의 가미장치 내에서의 체류시간은 미완성품 각각의 크기에 따라 틀리기 때문에 조미료의 첨가량을 미완성품의 유입량에 쫓아 하여도 각각의 제품에 대해 맛을 내는 것은 편차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런 종류의 조미료에는 염분이 함유되기 때문에 하류측 장치는 방청성이 높은 스테인레스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게다가 미완성품이 접촉하는 부분은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는 구조로 해야만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비싼 장치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맛을 바꾸는 데 수반되는 이제까지의 청소 작업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가미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맛이 다른 여러 종류의 상품을 생산 계획대로 제조할 수 있고, 따라서 맛을 바꾸는 것을 단시간에,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을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가미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른 맛을 낼 수 있는 새로운 가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맛이 다른 제품을 하나의 제조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가미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새로운 가미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가미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가미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3은 혼합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4a는 혼합장치의 평면도, 도4b는 드럼 자체의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5는 미완성품과 조미료의 혼합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6은 메모리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7은 가미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8은 도7의 F-F 선을 따른 주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9는 조미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제어 시스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반송장치200 ..... 계량장치
300 ..... 가미장치400 ..... 포장장치
500 ..... 진분장치600 ..... 박스포장장치
700 ..... 조작 제어장치
본 출원에 관련된 제1의 발명은,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의 발명은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3의 발명은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계량장치 등에서 소정량으로 작게 나눈 후에 맛을 내기 때문에, 계량장치에는 조미료가 부착하지 않으며, 맛을 바꾸는 데 수반하는 계량장치의 청소도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를 위한 운전 휴지(休止)가 없게 되며,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것을 맛내므로, 1봉지 분의 내용량에 따른 조미료가 부여되어, 맛의 품질을 균질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계량장치 등의 청소를 없앨 수 있으므로, 청소에 견딜 수 있는 탈착 용이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미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은 미완성품을 반송하는 반송장치, 200은 반송되어 오는 미완성품을 1봉지 분(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계량장치, 300은 작게 나눠진 미완성품에 설정 비율의 조미료를 첨가하는 가미장치, 400은 맛 내는 것이 종료된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 500은 계량 실수(miss)나 맛 내는 데 실수가 있는 상품을 라인 상으로부터 배제하는 진분(振分)장치, 600은 맛 내는 것이 종료된 상품을 상자에 채우는 박스포장장치, 700은 상기 각 장치 200, 300, 400, 500, 600을 각각 조작함과 더불어 각각을 연동시키는 조작 제어장치이다.
<반송장치>
상기 반송장치(100)는 미도시된 라인으로부터 반출된 미완성품을 계량장치(200)로 반송하는 것으로서, 그 선단 부분에는 미완성품을 적재(stock)하는 진동 피더(feeder)(110)가 마련되며, 계량장치(200)에서 투입 요구신호(S1)가 입력되면 상기 진동 피더(110)는 소정 시간 구동하여 적재한 미완성품(M)을 계량장치(200)에 투입한다.
<계량장치>
상기 계량장치(200)는 진동 피더(110)로부터 투입되는 미완성품(M)을 1봉지분으로 계량하는 것으로, 상부 분산부(210)의 적재량이 적게 되면, 상기 진동 피더(110)에 투입 요구 신호(S1)가 출력된다.
한편, 계량장치(200)에 가미장치(300)로부터 배출 요구 신호(S2)가 입력되면, 계량장치(200)는 우선 타이밍 호퍼(220)을 개방하여 그곳에 축적되어 남아 있는 소정량의 미완성품(m)을 배출한다. 이어서, 계량장치(200)는 적재된 미완성품을 작게 나누면서 소정량의 미완성품으로 계량하며, 그것을 비어 있는 타이밍 호퍼(220)에 배출하여 다음의 배출 요구 신호(S2)를 준비한다.
이 계량장치(200)는 미완성품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어 배출하는 기능을 갖추면 좋으며, 중량으로 소정량 계량하거나, 부피로 소정량 계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좋다. 그러나, 스낵 과자와 같이, 개개의 제품 크기가 다르면, 1998년 5월 19일 발행한 USP 5,753,86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 계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조합 계량장치에 따르면, 중앙 상부에 투입된 미완성품(M)을 분산부(210)에서 복수의 계량 호퍼(미도시)로 작게 나누어, 각각의 호퍼에서 계량된 미완성품의 중량을 조합하여 소정량으로 되는 미완성품의 조합을 구하고, 구해진 조합과 관련되는 미완성품을 호퍼로부터 배출하여 소정량의 미완성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낵 과자와 같은 부정형이라도 정밀하게 계량할 수 있다.
한편, 계량장치(200)에서 계량 실수가 발생하면, 상기 장치(200)는 조작 제어장치(700)에 에러 신호(S3)를 보낸다. 조작 제어장치(700)는 이것에 기초하여 가미장치(300)에 정지 신호(S4)를 보내고, 맛을 내는 것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한 봉지 분이 안되는 제품이 발생하여도 이에 대하여 맛을 내는 것을 중지할 수 있기때문에 이것을 회수하면, 다른 맛을 내는 상품으로서 재생할 수 있다.
<가미장치>
상기 가미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미료를 배출하는 조미료 공급장치(310)와, 배출된 조미료와 타이밍 호퍼(220)로부터 배출된 미완성품(m)을 혼합하는 혼합장치(320)와, 이들의 장치(310)(3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30)로 구성된다.
상기 조미료 공급장치(310)는 조미료를 적재하는 장입호퍼(311)와, 상기 호퍼(311) 내의 조미료를 조금씩 내놓으면서 선단부로 반송하는 진동 피더(312)와, 상기 피더(312)로부터 배출된 조미료(S)를 수취하여 계량하는 계량호퍼(313)와, 계량호퍼(313)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314)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330)는 중량센서(314)의 측정치를 감시하면서 진동피더(312)를 동작시키며, 계량호퍼(313)에 설정량의 조미료가 투입되면, 진동피더(312)를 정지시킨다. 또한, 장입호퍼(311)로부터의 유출이 나쁘게 되거나, 그 적재량이 불량하여 계량호퍼(313)에 소정량의 조미료가 일정 시간 내에 쌓이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330)는 조미료의 흐름이 나쁘게 된 것으로 판단하여 조작 제어장치(700)에 배출 이상신호(S5)를 출력한다. 조작 제어장치(700)는 이것에 기초하여 포장장치(400) 또는 진분(振分)장치(500)에 대하여 조미료가 적정하게 부여되지 않았던 제품의 배제를 지시한다.
상기 조미료 공급장치(310)는 소금 등과 같은 입체(粒體)를 상정한 것이지만, 그 공급기구는 조미료의 성상(性狀)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조미료가 액체이면, 소정량의 조미료를 공기로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트 상이면, 회전각에 따라 이송량이 제어될 수 있는 스크류 콘베이어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체나 입체에서는 부피에 따라 배출량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콘베이어를 이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조미료의 첨가를 확실히 하기 위해, 계량호퍼(313)의 중량으로부터 조미료의 배출 이상을 검출하도록 했지만, 공급기구가 바뀌면, 그에 따라 검출 방식도 변한다. 예를 들어, 액체 조미료의 경우에는 유량 센서로 배출 이상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압력 센서로 조미료의 분무 압력을 포착하여 배출 이상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조미료가 어떠한 종류라도 그 감소량은 중량 센서로 포착할 수 있으므로, 그 감소량으로부터 배출 이상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맛을 내는 데 잘못한 상품이 출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혼합장치(320)는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누어진 것을 교반하여 맛을 낼 뿐이므로, USP 5,090,593, USP 5,846,324에 나타난 종래 장치보다도 훨씬 소형이 될 수 있다.
도3에 나타난 것은 그 일 실시예로, 복수의 소형 드럼(T1~ Tm)을 회전축(O)의 주위에 공전시키면서 그 각각을 자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각 드럼(T1~ Tm)은 도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O)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펼쳐진 복수의 지지아암(321)의 선단부에 취부되어 회전축(O)이 회전하면, 그것에 따라 지지아암(321)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각 지지아암(321)의 선단부에는 그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부(321b)가 마련되고, 그 선회부(321b)에는 도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형상의 고정랙(rack)(323)과 맞물린 피니온(322)이 일체로 취부되어 지지아암(321)이 회전축(O)의 둘레를 수평으로 움직이면, 고정랙(323)과 맞물린 피니온(322)이 고정랙(323) 위를 구르며, 그 결과 피니온(322)과 일체로 연결된 선회부(321b)와 드럼(T1~ Tm)이 아암의 축 방향으로 자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드럼(T1~ Tm)은 수평면 위를 이동하면서 회전축(O)의 주위를 공전한다.
각 드럼(T1~ Tm)의 몸통부에는 개구(325)가 마련되고, 그 개구(325)에는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밀착된 슬라이드 게이트(32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어떤 드럼(T1~ Tm)이 미완성품(m)의 수취 위치[도3에서는 드럼(T1)의 위치]에 도달하면, 도5a와 같이, 개구(325)가 위로 향하게 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게이트(324)가 열리고, 동시에 배출 위치[도3에서는 드럼(Tm)의 위치]에 위치하는 드럼(Tm)도 도5c와 같이, 그 개구(325)가 하향하게 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게이트(324)가 열린다. 그 외의 위치에서는 도5b와 같이, 상기 게이트(324)가 닫혀 조미료(S)와 미완성품(m)을 가두어 둔다.
또한, 각 드럼(T1~ Tm)의 내부에는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326)가 마련되며, 그것이 드럼(T1~ Tm)의 자전에 따라 조미료(S)와 미완성품(m)을 교반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의 223은 타이밍 호퍼(220)의 개폐 게이트, 도4b의 327은 지지아암(321)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제어장치(330)는 포장장치(400)로부터 배출 요구 신호(S6)가 출력되면, 포장장치(400)의 투입 슈트(410)의 직상에서 드럼(Tm)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진행 방향 전방의 드럼(T1)은 타이밍 호퍼(220)의 직하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제어장치(330)는 각 드럼(T1)(Tm)의 슬라이드 게이트(324)를 열어 포장장치(400)에 배출 완료 신호(S7)를, 계량장치(200)에 배출 요구 신호(S2)를 각각 출력한다.
계량장치(200)는 이 배출 요구 신호(S2)를 수취하면, 타이밍 호퍼(220)을 열고, 이어서 배출 완료 신호(S8)를 제어장치(330)로 보낸다. 제어장치(330)는 이것에 기초하여 조미료 공급장치(310)를 제어하여 미완성품(m)의 중량에 따른 설정 비율의 조미료(S)를 배출시키고, 이어서 슬라이드 게이트(324)를 닫어 드럼(T1~ Tm)을 공전시킨다.
이에 따라 각 드럼(T1~ Tm)은 포장장치(400)의 직상에 도달할 때 정지하여 맛 내는 것이 끝난 제품을 포장장치(400)로 배출한다. 동시에 빈 드럼에는 타이밍 호퍼(220)로부터 새로운 미완성품(m)이 투입되며, 동시에 조미료 공급장치(310)로부터 설정 비율의 조미료(S)가 투입된다. 계속하여 제어장치(330)는 각 드럼(T1~ Tm)을 공전한다. 이에 따라 각 드럼(T1~ Tm)은 자전하면서 조미료(S)와 미완성품(m)을 교반해 간다.
<포장장치>
상기 포장장치(400)로는, 예를 들어 봉지 입구를 열고, 그 속에 제품을 충진하는 봉지 공급식 포장기나, 기다란 필름을 튜브 상으로 성형하면서 상기 튜브 내에 제품을 충진하여 충진된 봉지의 입구와 다음 봉지의 바닥을 동시에 밀봉하고,상하의 봉지 이음매를 절단하는 종형 파이로(pyro) 포장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종형 파이로 포장기에서는 그 동작 모드를 바꾸므로써 밀봉이나 절단없는 봉지를 일시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조작 제어장치(700)가 계량장치(200)로부터 에러 신호(S3)를 입력한 때나, 가미장치(300)로부터 조미료의 배출 이상 신호(S5)를 입력한 때는 포장장치(400)에 모드 변경 지령(S9)을 출력하여 그 포장형태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맛을 낸 양품과 그렇지 않은 불량품을 포장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진분장치>
상기 진분장치(500)는 반송 라인으로부터 불량품을 배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포장장치(40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경우는 진분 콘베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가미장치(300)와 포장장치(400)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는 배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요동(搖動) 슈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 제어장치(700)의 지시신호(S10)에 기초하여 계량 실수나 맛을 내는 데 실수가 있는 봉지(B)를 라인으로부터 배제한다. 이에 따라, 불량품을 제조라인으로부터 확실히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맛을 내는 데 실수하여도 그 출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박스포장장치>
상기 박스포장장치(600)는 상품이 되는 봉지(B)를 골판지 상자에 수납하여 출하하는 것으로, 상품을 1개 처리할 때에 그 개수를 계산한다. 그 값은, 조작 제어장치(700)에 보내져 후술하는 생산관리에 사용된다.
<조작 제어장치>
상기 조작 제어장치(700)는 각 장치(200)(300)(400)(500)(600)를 연동시켜 제어하는 것으로, 이들의 장치와 교신하여 이들 각각에 조작하는 조작 표시부(710)와, 각 상품의 생산정보를 상품 마다에 기억하는 메모리(720)를 갖고 있다. 이 메모리(720)에는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품 마다 조미료의 종류와 그 첨가 비율, 포장장치(400)의 운전속도, 1봉지 분의 중량, 생산 예정 개수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 표시부(710)를 조작하여 상품번호를 입력하면, 그 상품에 대응하는 각 정보를 읽어 내서, 이들이 대응하는 각 장치로 보내진다. 즉, 조미료의 종류와 그 첨가 비율은 가미장치(300)에, 운전속도는 포장장치(400)에, 1봉지 분의 중량은 계량장치(200)에 보내진다. 그리고, 생산 예정 개수는 마이크로 컴퓨터(730)에 설정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 표시부(710)에 표시된 시동키를 조작하면, 조작 제어장치(700)는 상류측 장치로부터 차례로 동작시키고 교신하여 각 장치(200)(300)(400)(500)(600)의 생산 실적(처리 개수)을 입력해 간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730)는 각각의 생산 실적으로부터 각 장치(200)(300)(400)(500)의 미처리 개수(생산 예정 개수- 생산 실적수)를 산출하여 그 값이 제로가 되면, 예정 개수의 생산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류측 장치로부터 차례로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도중에 에러 상품이 발생하여, 그것이 라인으로부터 배제된 경우는 그 부족분을 상류측 장치의 생산 예정 개수로 가산하여 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조정한다.
이에 따라, 손실이 생기지 않게 생산 계획대로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맛을 바꾸기>
본 발명에 관련된 가미장치는, 1봉지 분의 작게 나눈 것을 맛내는 것 뿐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대규모의 것은 필요치 않다. 따라서, 종류가 다른 조미료를 장진한 가미장치를 여러 대 준비해 두면, 이들을 적절히 바꾸므로써 맛 바꾸기를 단시간에 할 수 있다.
또한, 조미료의 종류 마다 조미료 공급장치(310)를 여러 대 준비하여 이들의 조미료 배출구를 혼합장치(320)의 개구(325)에 향하게 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므로써, 맛을 바꿀 수 있다. 이 경우는 혼합장치(320)의 각 드럼을 조미료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홀수 번호의 드럼에는 조미료 A를, 짝수 번호의 드럼에는 조미료 B를 각각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종류가 다른 조미료가 드럼 내에서 섞이지 않기 때문에 혼합장치(320)의 세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그 응용으로서, 종류가 다른 조미료를 1봉지씩 차례로 바꾸어 맛이 다른 상품이 차례로 생산되도록 하면, 이제까지와 다른, 일련의 다품종 팩 상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복수의 제조 라인을 구축하는 경우>
이상의 실시예는 하나의 라인에서 계량·맛내기·포장·박스포장을 하는 것이었지만, 이를 복수의 라인으로 설치할 때는, 상기 반송장치(100)의 상류측에, 특공평 4-3513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분배장치를 마련하여 미완성품을 복수의 라인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한다. 그리고, 라인 마다 조미료의 종류를 특정해두면, 종류가 다른 상품을 포장 직전에서 동시에 생산할 수 있고, 나머지 미완성품은 다른 제조 라인에 되돌려 환류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가미장치(300)는 복수의 회전 드럼을 사용하므로, 여러 성상의 조미료에 적합하지만, 다음에 도시되는 도7은 특히, 분체 조미료에 적합한 가미장치(30)의 일례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타이밍 호퍼(220)의 직하에는, 낙하 중의 미완성품을 대전시키는 대전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장치(20)는 한 쪽이 접지된 전극(22b)과, 다른 쪽이 고압전원(21)에 접속된 전극(22a)으로 구성되며, 미완성품이 상기 전극(22a)(22b) 사이를 통과하면, 그 사이에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된다.
다만, 계량장치(200)나 타이밍 호퍼(220) 등이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때는 미완성품은 모두 접지 레벨(ground level)로 유지되므로, 관련된 대전장치(20)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은 경우가 있다.
이 대전장치(20)의 하부에는 취입 슈트(31)와, 한 쌍의 정전관(33)(33)을 갖는 가미(加味) 슈트(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정전관(33)(33)은 분체 조미료를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시켜 분무하므로, 가미 슈트(32)의 벽면에 대향하는 모습으로 취부되며, 그 노즐 선단부에는 컴프레서(34)와 연결된 배관(35)이 분기관(35a)(35b)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관(35)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분기관(35c)에는 조미료 탱크(37)로부터 조미료를 긁어 내는 스크류 식의 조미료 공급장치(3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정전관(33)(33)의 노즐 선단부에는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팔상으로 확관된 디플렉터(deflecter)(33a)(33a)가 마련되어 분체 조미료를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미료 공급장치(36)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6a)의 출력축(36a')에 취부된 스크류(36b)와, 이를 수납하여 그 선단 개구부(36c')가 조미료 탱크(37) 내에 개방된 실린더(36c)를 갖고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36a)를 구동시켜 스크류(36b)를 회전시키면, 조미료 탱크(37) 내의 분체 조미료가 실린더(36c) 내에 취입되고, 이들이 스크류(36b)의 기단부에 안내되어 화살표 B로 나타난 바와 같이, 배관(35) 내에 배출된다. 또한, 스크류(36b)의 기단부에는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구(36d)가 마련되며, 그것이 압력 공기의 통로가 되는 분기관(35c)과 연결되어 정전관(33)의 노즐 선단부에 안내된다.
또, 배관(35)의 도중에는 절환 밸브(38)가 마련되어 공기를 함유한 분체 조미료의 유량이 여기에서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분체 조미료 회수장치(40)는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미 슈트(32)의 하부를 덮고, 포장장치(400)에 이르는 배출 슈트(41)를 구비한다. 이 배출 슈트(41)의 상부에는 한 쌍의 흡인구(41a)(41a)가 마련되며, 그 흡인구(41a)(41a)와, 여분의 분체 조미료를 회수하는 싸이클론(42)이 배관(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싸이클론(42)은 진공 펌프(42a)에 의해 배기되고, 또한 상기 배관(43)의 도중에는 분체 조미료의 회수를 억제하는 절환 밸브(4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도10을 통해 이 가미장치(3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타이밍 호퍼(220)로부터 소정량으로 계량된 미완성품이 배출되면, 물품 센서(17a)(17b)에 의해 그 통과가 검출된다. 가미장치(300)의 제어부(39)는 그 검출신호를 입력하면, 정전관(33)(33)을 작동시킨다.
대전장치(20)를 통과한 미완성품은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되어 취입 슈트(31)로부터 맛내기 슈트(32)에 낙하한다.
한편, 조미료 공급장치(36)에 의해 조미료 탱크(37)로부터 단위 시간당 일정량의 분체 조미료가 나오고, 그것이 분기관(35c)을 통해 배관(35)에 안내되면, 압축공기에 의해 정전관(33)(33)의 노즐 선단부에서 가미 슈트(32) 내로 분무된다. 그 때, 분체 조미료는 미완성품과는 반대 극성으로 대전되므로, 미완성품의 낙하 경로에서, 부유하는 조미료와 그 사이를 낙하하는 미완성품과는 정전 작용에 의해 서로 끌어 부착한다. 이에 따라, 분체 조미료는 미완성품의 표면에 확실히 순간적으로 부착한다.
이때, 제어부(39)에서 스크류(36b)의 회전수를 제어하면, 분체 조미료의 공급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절환 밸브(38)를 개폐 제어하면, 공기의 공급 시간이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체 조미료의 분무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전관(33)(33)을 균등한 간격으로 대향시켰기 때문에 하나의 정전관(33)을 취부한 경우에 비하여 치우치지 않는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전관(33)(33)의 노즐 선단부에 각각 디플렉터(33a)(33b)를 구비했기 때문에 분체 조미료는 미완성품의 낙하 경로와 직교하지 않는 방향으로 분무된다. 이에 따라, 분무된 분체 조미료가 미완성품의 원활한 낙하를 저해하지 않게 되며, 고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조작 제어장치(700)에 의해 분체 조미료의 분무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미완성품의 중량에 대응한 분무량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가미 슈트(32) 내에 산포되어 부착되지 않았던 분체 조미료는 절환 밸브(44)를 열므로써, 화살표 D(도7 참조)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슈트(41)를 통하여 싸이클론(42)으로 회수되기 때문에 분체 조미료의 낭비가 방지됨은 물론, 배출 슈트(41)의 하방에 배설된 포장장치(400)에 있어, 여분의 조미료에 의해 밀봉 불량이 발생한다는 불합리를 피할 수 있다. 더욱이, 회수된 분체 조미료의 재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정전관(33)(33)을 이용했으나, 더 다수의 정전관(33)(...)(33)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므로써, 낙하 중의 미완성품에 대하여 분체 조미료를 보다 한층 균등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정전 방식에 있어서도, 조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조미료 공급장치(36)을 복수조 마련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전용 정전관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종류가 다른 조미료를 분출시키도록 하면, 맛을 바꾸는 것이 순간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품 센서(17a)(17b)에서 미완성품의 통과를 검출하도록 했지만, 타이밍 호퍼(220)의 개폐 신호를 이용하여 미완성품의 통과 신호를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품 센서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량으로 작게 나눈 후에 맛내기를 행하므로, 작게 나누기 위한 계량장치에는, 조미료가 부착하지 않으며, 맛을 바꾸는 데 수반하는 계량장치 등의 청소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청소를 위한 운전 휴지(休止)가 없게 되고,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것을 맛내므로, 1봉지 분의 내용량에 따른 조미료가 부여될 수 있고, 맛의 품질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계량장치 등의 청소를 없앨 수 있으므로, 청소에 견딜 수 있는 착탈 용이한 구조가 필요가 없고, 저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맛이 다른 여러 상품을 생산 계획대로 제조할 수 있으며, 게다가 맛을 바꾸는 데도 단시간에,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을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높은 가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착시켜 완성품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를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눈 제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2.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착시켜 완성품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 내기 시스템.
  3.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착시켜 완성품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미완성품을 수취하여 이를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작게 나눠진 미완성품에 조미료를 부여하는 가미장치와, 맛을 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맛을 내는 시스템이 미완성품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가미장치를 연동시키는 조작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가미장치와 포장장치를 연동시키는 조작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미완성품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와 가미장치와 포장장치를 연동시키는 조작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미완성품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가, 소정량으로 되어 있지 않은 미완성품을 배출한 경우, 상기 조작 제어장치가 상기 가미장치에 대하여 소정량으로 되어 있지 않는 미완성품에 대하여 맛을 내는 것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장치가 소정량으로 된 미완성품에 대하여 설정 비율의 조미료를 공급하는 조미료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장치가 조미료의 배출을 감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조미료의 배출 이상을 검출함과 함께, 상기 포장장치의 하류측 장치가 그 배출 이상이 있던 제품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 시스템에는 조미료의 종류가 다른 복수의 가미장치가 구비되고, 이들을 번갈아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장치가, 종류가 다른 조미료를 미완성품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조미료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장치가, 입상 또는 분말상의 조미료를 대전시키는 장치와, 대전된 조미료를 미완성품에 대해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장치가, 조미료와 1봉지 분으로 작게 나눈 미완성품을 교반하는 혼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완성품을 소정량으로 작게 나누는 장치가, 복수의 계량 호퍼에 미완성품을 작게 나누어, 각각의 호퍼에서 계량된 미완성품의 중량에 기초하여 소정량이 되는 조합을 구하고, 구해진 조합과 관련된 미완성품을 수집하여 소정량 작게 나눈 미완성품으로 하는 조합 계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장치가, 긴 필림을 튜브 상으로 성형하면서 상기 튜브 상의 봉지 내에 제품을 충진하여 충진된 봉지의 입구와 다음 봉지의 바닥을 동시에 밀봉하고, 상하의 봉지의 이음매를 절단하는 종형 파이로 포장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 시스템이 복수 라인 마련되어 각 라인에는 분배장치를 통해 동일한 미완성품이 공급됨과 함께, 라인 마다 조미료의 종류가 특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미 시스템.
KR1020010073865A 2000-11-27 2001-11-26 가미 시스템 KR100566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0063 2000-11-27
JP2000360063A JP2002159277A (ja) 2000-11-27 2000-11-27 商品の味付け処理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用いた処理ライン、並びに商品の味付け処理方法
JP2000370991A JP2002171913A (ja) 2000-12-06 2000-12-06 商品の味付け装置及び商品の味付け処理システム
JPJP-P-2000-00370991 2000-12-06
JPJP-P-2001-00137010 2001-05-08
JP2001137010A JP4529022B2 (ja) 2001-05-08 2001-05-08 計量味付け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307A true KR20020041307A (ko) 2002-06-01
KR100566789B1 KR100566789B1 (ko) 2006-04-03

Family

ID=2734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865A KR100566789B1 (ko) 2000-11-27 2001-11-26 가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37164B1 (ko)
KR (1) KR100566789B1 (ko)
CN (1) CN100496767C (ko)
DE (1) DE60114445T2 (ko)
ES (1) ES2251528T3 (ko)
HK (1) HK1044732A1 (ko)
WO (1) WO200204171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8B1 (ko) * 2012-11-26 2014-07-1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022B2 (ja) * 2001-05-08 2010-08-25 株式会社イシダ 計量味付けシステム
CN100456945C (zh) * 2002-05-29 2009-02-04 株式会社石田 调味装置及配备该调味装置的商品生产系统
US20060032382A1 (en) * 2002-06-07 2006-02-16 Nothum Robert G Jr Integrated compact food process line and process
US7886657B2 (en) 2002-06-07 2011-02-15 Nothum Jr Robert G Integrated compact food process line and process
EP1424284B1 (en) * 2002-11-29 2007-08-15 Ishida Co., Ltd. Weighing and flavoring system, and packaging apparatus
JP4334936B2 (ja) * 2003-07-11 2009-09-30 株式会社イシダ 味付け処理システム
US8051795B2 (en) * 2006-04-28 2011-11-08 Restaurant Technology, Inc. Storage and packaging of bulk food items and method
ATE499842T1 (de) * 2008-03-12 2011-03-15 Soremartec Sa Überziehmaschine
PL2491788T3 (pl) 2011-02-25 2016-07-29 Kraft Foods R & D Inc Wyrób spożywczy z formowanym korpusem
CN103053636A (zh) * 2011-10-24 2013-04-24 皇家威尔卡德股份有限公司 用于食品调味的装置和方法
CN104068364B (zh) * 2014-07-01 2016-07-06 中国包装和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薯片调味机
CN104688097B (zh) * 2015-03-27 2017-07-18 欧阳亮 一种调料投料控制系统及投料装置
CN106072736A (zh) * 2016-08-26 2016-11-09 湖南飘香食品有限公司 一种自动上味机
GB2556096B (en) * 2016-11-18 2019-02-13 Ishida Europe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product
CN108910097A (zh) * 2018-04-18 2018-11-30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包装机用放料装置
GB201915763D0 (en) * 2019-10-30 2019-12-11 Ishida Europe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avouring
CN110679975A (zh) * 2019-11-08 2020-01-14 西安天使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可定量加料的薯片调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1152A (it) * 1970-10-15 1972-11-30 Meccaniche Cosmec Di Pighin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istantanea di gelati ad uno o più sapori
US5353959A (en) * 1992-12-11 1994-10-11 Recot,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seasoning materials
IE80607B1 (en) * 1994-09-21 1998-10-21 Profeed Ltd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imal feed supplements
US5728216A (en) * 1996-03-20 1998-03-17 Stein, Inc. Continuous tumble coating and breading apparatus
GB9810249D0 (en) * 1998-05-13 1998-07-08 Rospen Ind Limited Materials handling and treatment apparatus
US6685976B2 (en) * 2000-01-19 2004-02-03 The Quaker Oats Company Modified oat and corn grit products and method
GB0009888D0 (en) * 2000-04-20 2000-06-07 United Biscui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processing and packaging of food i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8B1 (ko) * 2012-11-26 2014-07-1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7164A2 (en) 2003-08-27
DE60114445D1 (de) 2005-12-01
KR100566789B1 (ko) 2006-04-03
CN1356180A (zh) 2002-07-03
WO2002041715A2 (en) 2002-05-30
DE60114445T2 (de) 2006-07-27
ES2251528T3 (es) 2006-05-01
HK1044732A1 (zh) 2002-11-01
EP1337164B1 (en) 2005-10-26
CN100496767C (zh) 2009-06-10
WO2002041715A3 (en)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789B1 (ko) 가미 시스템
EP24909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ng product
US7117653B2 (en) Flavoring system and method
US6588363B1 (en) Seasoning system and method
CN100400380C (zh) 干燥食物材料的袋包装装置
US20020022072A1 (en) Seasoning system and method
CN100409772C (zh) 调味处理系统
KR100580366B1 (ko) 혼합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07845A1 (en) Weighing and flavoring system, and packaging apparatus
JP3764910B2 (ja) 味付けシステム
JP3902569B2 (ja) 充填包装装置
JP3965428B2 (ja) 混合システムおよび混合方法
AU2002301940B9 (en) Flavouring system and method
JP4275779B2 (ja) 微量添加装置を有する粉粒体の充填包装機
WO2004106165A1 (ja) 充填包装装置
AU2002301865B2 (en) Mixing System and Method
JP3683579B2 (ja) 計量味付けシステム
JP4231608B2 (ja) 組合わせ計量装置
EP1147714A2 (en) Coating of food products with a particulate flavouring composition
JP2005280772A (ja) 商品の生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