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138B1 -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138B1
KR101420138B1 KR1020120134410A KR20120134410A KR101420138B1 KR 101420138 B1 KR101420138 B1 KR 101420138B1 KR 1020120134410 A KR1020120134410 A KR 1020120134410A KR 20120134410 A KR20120134410 A KR 20120134410A KR 101420138 B1 KR101420138 B1 KR 10142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oil
pouch
oil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324A (ko
Inventor
이근택
김종문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1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7/00Other apparatus or process specially adapted for the chocolate or confectionery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유과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탠드 파우치 내에 유과과 정량 포장되도록 하되, 유과가 공급되는 호퍼에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병목현상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기의 하단이 스탠드 파우치의 길이에 대응되어 선택된 토출봉이 구비되어 있어 스탠드 파우치를 토출봉 측에 삽입함으로써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한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는 상부에는 유과가 투입되며 격벽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된 호퍼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작업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호퍼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유과에 의해 병목현상이 발생 될 시에 상기 호퍼를 타격해 유과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호퍼의 양측 공간 하부에 전방을 향해 교호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유과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유과공급기와, 상기 유과공급기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과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유과가 정량 측정되며 도어가 교호적으로 개방되어 하측으로 유과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과측정기와, 상기 유과측정기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과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되 하측에는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15 내지 30cm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봉이 마련된 토출기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 유과공급기 및 유과측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CONSTANT YUKWA DELIVERY APPARATUS WITH EXTENSION PIPE}
본 발명은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유과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탠드 파우치 내에 유과과 정량 포장되도록 하되, 유과가 공급되는 호퍼에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병목현상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기의 하단이 스탠드 파우치의 길이에 대응되어 선택된 토출봉이 구비되어 있어 스탠드 파우치를 토출봉 측에 삽입함으로써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한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과란 찹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찐 다음 모양을 만들어 건조시킨 후에 기름에 튀겨낸 반대기를 조청이나 꿀을 입혀 다시 고물을 묻힌 전통 과자를 말하는 것으로 모양에 따라 강정류, 산자류, 빙사과류, 감사과류, 연사과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강정류는 모양에 따라 누에고치 모양의 것은 강정, 방울 모양의 것은 방울 강정이라고 한다. 산자는 찹쌀가루에 술을 넣어 반죽하여 쪄서 익힌 다음 꽈리가 일도록 저어서 네모모양으로 편편하게 만들어서 건조시켜 기름에 지져 꿀을 바르고 고물을 묻힌 것이다. 빙사과는 찹쌀가루에 술을 넣어 반죽하여 찐 후에 꽈리가 일도록 저어서 반죽을 팥알 만큼씩 썰어 건조시킨 다음 기름에 지져 꿀에 버무려 네모난 틀에 부어 굳혀 다시 작은 네모로 썬 것이다. 감사과는 찹쌀가루에 술을 넣어 반죽하여 찐 다음 꽈리가 일도록 저어서 직사각형의 모양을 끝을 엇비슷하게 썰어서 말려 기름에 지진 것이고, 연사과는 감사과와 같이 술을 넣어 반죽한 다음 꽈리가 일도록 반죽한 후에 얇게 밀어 사방 4-5cm 되게 네모 반듯하게 썰어 말려 기름에 지져 꿀을 바른 뒤 고물을 묻힌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과정류가 의례식품 및 기호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었고, 왕실이나 양반들 사이에 성행하여 세찬이나 제품, 각종 연회상에 빠질 수 없었던 행사식으로 사용되었는데, 유과 중 강정은 민간에서도 널리 유행하였고 특히 정월 초하룻날 만들어 먹었다.
현재에는 명절과 같은 특별한 날만 먹는 것이 아니라 사시사철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전통 과자로서 생산되고 있는데, 기름에 튀겨낸 유과 제조용 반대기 외부에 물엿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이 물엿 코팅층에 다양한 종류의 고물을 묻힌 뒤 포장하여 출하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공정을 자동화하여 대규모 공장을 통해 대량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된 유과는 소정의 포장장치를 이용해 정량 포장해서 출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장치의 경우 물엿이 사용되는 유과의 특성상 유과가 뭉쳐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왕왕 발생 되었고, 뿐만 아니라 유과 포장에 사용되는 스탠드 파우치의 경우 유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보통 작업자가 손을 넣거나 바람을 불어넣어 작업을 하게 되는바 위생적이지 못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유과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탠드 파우치 내에 유과과 정량 포장되도록 하되, 유과가 공급되는 호퍼에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병목현상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기의 하단이 스탠드 파우치의 길이에 대응되어 선택된 토출봉이 구비되어 있어 스탠드 파우치를 토출봉 측에 삽입함으로써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한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는 유과가 투입되며 격벽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된 호퍼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작업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호퍼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유과에 의해 병목현상이 발생 될 시에 상기 호퍼를 타격해 유과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호퍼의 양측 공간 하부에 전방을 향해 교호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유과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유과공급기와, 상기 유과공급기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과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유과가 정량 측정되며 도어가 교호적으로 개방되어 하측으로 유과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과측정기와, 상기 유과측정기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과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되 하측에는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15 내지 30cm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봉이 마련된 토출기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 유과공급기 및 유과측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격수단은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호퍼를 타격하는 에어컴프레셔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봉의 하단에는 삽입되는 스탠드 파우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덧대어져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봉은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토출기 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는 첫째, 공급되는 유과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탠드 파우치 내에 유과과 정량 포장되도록 하되, 유과가 공급되는 호퍼에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병목현상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토출기의 하단이 스탠드 파우치의 길이에 대응되어 선택된 토출봉이 구비되어 있어 스탠드 파우치를 토출봉 측에 삽입함으로써 위생적인 포장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측면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부분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정면 개략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측면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의 부분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1)는 상부에는 유과가 투입되며 격벽(12)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된 호퍼(1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설치공간(1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작업대(14)가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호퍼(11)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유과에 의해 병목현상이 발생 될 시에 상기 호퍼(11)를 타격해 유과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타격수단(20)과, 상기 호퍼(11)의 양측 공간 하부에 전방을 향해 교호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유과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유과공급기(30)와, 상기 유과공급기(30)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과공급기(30)로부터 공급된 유과가 정량 측정되며 도어(41)가 교호적으로 개방되어 하측으로 유과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과측정기(40)와, 상기 유과측정기(40)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14)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과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되 하측에는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7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15 내지 30cm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봉(51)이 마련된 토출기(5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20), 유과공급기(30) 및 유과측정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6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체(10)는 그 상부에 호퍼(1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될 설치공간(1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포장작업이 진행될 작업대(14)가 구비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호퍼(11)는 유과가 치우쳐 공급되지 않고 양측으로 골고루 나뉘어 투입될 수 있도록 격벽(12)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공장 설비의 규모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며 세척, 살균 등 위생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측에는 개방 가능한 개폐도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공간(13) 내부에는 추후에 설명될 컨트롤박스(60)와 이 컨트롤박스(60)에 의해 제어되는 타격수단(20), 유과공급기(30) 및 유과측정기(4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기배선(도시되지 않음)이 설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격벽(12)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된 호퍼(11)의 후면에는 타격수단(20)이 구비되는데, 이 타격수단(20)은 호퍼(11) 내부로 투입된 유과가 외부면에 형성된 물엿에 의해서 뭉쳐지는 병목현상이 발생 될 시에 호퍼(11)를 타격해 유과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타격수단(20)은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호퍼(11)를 타격하는 에어컴프레셔인 것으로 하되, 에어컴프레셔 외에도 진동발생장치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에어컴프레셔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컴프레셔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호퍼(11)의 하부에는 유과공급기(30)가 설치되는데, 이 유과공급기(30)는 추후에 설명될 유과측정기(40) 측으로 유과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과공급기(30)는 전술한 호퍼(11)의 양측 공간 하부에 전방을 향해 교호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유과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 유과공급기(30)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밀대가 구비된 실린더기구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일측 밀대와 타측 밀대가 교호적으로 이동되면서 호퍼(11)의 양측 공간 내로 투입된 유과를 하측으로 밀어내어 공급해 준다. 이와 같은 유과공급기(30)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유과공급기(30)의 하측에는 유과측정기(40)가 구비되는데, 이 유과측정기(40)는 유과공급기(30)로부터 공급된 유과의 무게를 정량측정해 설정된 무게에 해당 될 경우 도어(41)를 개방해 추후에 설명될 토출기(50) 측으로 유과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과측정기(40)는 상부 양측의 유과공급기(30) 하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교호적으로 공급도는 유과를 공급받아 마찬가지로 교호적으로 정량측정 후 도어(41)가 개방되도록 하여 작업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유과의 측정방법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과측정기(40) 일측에 구비되는 전자저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정되는 것으로 하며, 설정된 무게에 부합될 경우 도어(41)가 개방되도록 해 토출기(50) 측으로 유과가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유과 측정기의 하측에는 토출기(50)가 구비되는데, 이 토출기(50)는 전술한 유과측정기(40)로부터 정량 공급되는 유과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과측정기(40) 하측에 연결되고 전술한 작업대(14)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과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되, 하측에는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7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15 내지 30cm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봉(51)이 마련된다. 전술한 토출봉(51)은 스탠드 파우치(70) 내에 유과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스탠드 파우치(70) 내부를 확장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혀진 스탠드 파우치(70)의 입구를 토출봉(5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시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작업하며, 이 상태에서 스탠드 파우치(70)를 서서히 내리면서 공급되는 유과가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확장 후 토출봉(51) 하측으로 스탠드 파우치(70)를 위치시켜 공급되는 유과가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토출봉(51)의 하단에는 삽입되는 스탠드 파우치(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52)가 덧대어져 구비되며, 이 실링부재(52)는 유연한 재질의 테프론, 실리콘, PE, PP, EVA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토출봉(51)은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70)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토출기(50) 측에 나사방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60)가 구비되는데, 이 컨트롤박스(60)는 전술한 타격수단(20), 유과공급기(30) 및 유과측정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타격수단(20)의 타격여부, 유과공급기(30)의 공급속도, 유과측정기(40)의 측정무게 설정 및 도어(41)의 개방속도 등을 전체적으로 자동 제어하게 되며, 모든 구성부재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도 공급까지 제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치 내에 문제가 발생 되었을 경우 소정의 알람음이 발생되는 경보시스템과 전체 작동을 일시에 정지시키는 기능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명한다.
먼저, 호퍼(11)의 내부 양측에 골고루 유과를 공급해주면 양측의 유과공급기(30)가 교호적으로 유과를 하측의 유과측정기(40) 측으로 공급해준다. 이때 호퍼(11) 내에서 유과가 엉겨붙는 병목현상이 발생 될 경우 타격수단(20)을 이용해 호퍼(11)를 타격해 원활한 유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유과측정기(40)로 공급된 유과는 전자저울에 의해서 정량 측정되고, 설정된 무게에 부합될 경우 도어(41)가 개방되어 토출기(50) 측으로 토출 공급된다. 작업자는 스탠드 파우치(70)의 입구를 토출봉(5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시에 삽입해 유과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며, 유과 수용이 종료되면 입구를 밀봉해 출하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10 : 본체 11 : 호퍼
12 : 격벽 13 : 설치공간
14 : 작업대 20 : 타격수단
30 : 유과공급기 40 : 유과측정기
41 : 도어 50 : 토출기
51 : 토출봉 52 : 실링부재
60 : 컨트롤박스 70 : 스탠드 파우치

Claims (4)

  1. 상부에는 유과가 투입되며 격벽(12)에 의해 양측 공간으로 구획된 호퍼(1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설치공간(1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작업대(14)가 마련되는 본체(10);
    상기 호퍼(11)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유과에 의해 병목현상이 발생 될 시에 상기 호퍼(11)를 타격해 유과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타격수단(20);
    상기 호퍼(11)의 양측 공간 하부에 전방을 향해 교호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유과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유과공급기(30);
    상기 유과공급기(30)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과공급기(30)로부터 공급된 유과가 정량 측정되며 도어(41)가 교호적으로 개방되어 하측으로 유과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과측정기(40);
    상기 유과측정기(40)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14)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과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되 하측에는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7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15 내지 30cm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봉(51)이 마련된 토출기(50); 및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20), 유과공급기(30) 및 유과측정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20)은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호퍼(11)를 타격하는 에어컴프레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봉(51)의 하단에는 삽입되는 스탠드 파우치(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52)가 덧대어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봉(51)은 유과가 포장되는 스탠드 파우치(70)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토출기(50) 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KR1020120134410A 2012-11-26 2012-11-26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KR10142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10A KR101420138B1 (ko) 2012-11-26 2012-11-26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10A KR101420138B1 (ko) 2012-11-26 2012-11-26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24A KR20140067324A (ko) 2014-06-05
KR101420138B1 true KR101420138B1 (ko) 2014-07-17

Family

ID=5112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410A KR101420138B1 (ko) 2012-11-26 2012-11-26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1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307A (ko) * 2000-11-27 2002-06-01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가미 시스템
KR20050032568A (ko) * 2003-07-11 2005-04-07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조미 처리 시스템
KR100553386B1 (ko) 2003-10-29 2006-02-22 현미종합식품 주식회사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57259A (ja) 2009-09-10 2011-03-24 New Est:Kk 包装食品、及びその包装食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307A (ko) * 2000-11-27 2002-06-01 아드리언 매레디스 선터 가미 시스템
KR20050032568A (ko) * 2003-07-11 2005-04-07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조미 처리 시스템
KR100553386B1 (ko) 2003-10-29 2006-02-22 현미종합식품 주식회사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57259A (ja) 2009-09-10 2011-03-24 New Est:Kk 包装食品、及びその包装食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24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BO20070163A1 (it) Macchina e metodo per la produzione e l'erogazione di prodotti di consumo alimentari liquidi o semiliquidi.
NZ594670A (en)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coffee beverage system including same
US20160316800A1 (en) Metering the Disposition of a Food Product into Cavities Forming a Pellet
US9648898B2 (en) Metering the disposition of a food product into cavities forming a pellet
BR112013032383B1 (pt) Método para o processamento de uma massa de carne moída, e, instalação para o processamento de uma massa de material alimentício que pode ser bombeado
AR066321A1 (es) Relleno de un producto alimenticio en envase en un transportador de tablilla
EA025577B1 (ru) Съедобные емкости для заморожен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US20130084373A1 (en) Metering The Disposition Of A Food Product Into Cavities Forming A Pellet
CN104369886B (zh) 一种鱼仔包装的送料装置及其送料方法
KR101420138B1 (ko) 토출봉이 연장 형성된 유과 정량 토출장치
ITPI20060061A1 (it) Distributore per prodotto alimentare caldo
KR101248847B1 (ko) 혼합식품 제조장치
CN205886634U (zh) 定量配料设备
JP2023514691A (ja) スラック分離装置および方法
CN206433689U (zh) 一种冰淇淋机
CN206766457U (zh) 一种高效散装药定量出药装置
KR101248849B1 (ko) 식품 제조장치
CN206766757U (zh) 一种改进型散装药定量出药装置
JP3586352B2 (ja) 真空包装装置
CN206569297U (zh) 一种自动果肉称量灌装装置
RU64864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роженого
KR101248852B1 (ko) 혼합식품 제조방법
KR100925965B1 (ko) 스틱형 과자의 포장 방법
CN204070395U (zh) 米粉准确计量包装的生产设备
KR200166458Y1 (ko) 설탕을이용한사탕과자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