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272A -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272A
KR20020040272A KR1020000070276A KR20000070276A KR20020040272A KR 20020040272 A KR20020040272 A KR 20020040272A KR 1020000070276 A KR1020000070276 A KR 1020000070276A KR 20000070276 A KR20000070276 A KR 20000070276A KR 20020040272 A KR20020040272 A KR 2002004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andle lever
outside
ro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진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272A/ko
Publication of KR2002004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로 승/하차하는 차종에서 어린이 보호용 잠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력을 래치로 전달하는 링크 구조에 잠금 장치나 전달 차단장치를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래치 레버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고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에는 각각 아웃사이드 로드와 인사이드 로드가 연결되며, 래치 레버에는 인사이드 로드가 연결되고 인사이드 핸들 레버에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잠김 레버가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고 잠김 레버에는 그 끝에 커넥터가 연결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가 작동하게 되면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가 작동하게 되어 그 힘이 래치로 전달되며, 상기 잠김 레버에는 상단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작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Tale gate link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로 승/하차하는 차종에서 어린이 보호용 잠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력을 래치로 전달하는 링크 구조에 잠금 장치나 전달 차단장치를 결합시킨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도어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는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도어에는 레버가 설치되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의 도어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12)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14)가 핀(1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12)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14)에는 각각 아웃사이드 로드(18)와 인사이드 로드(20)가 연결되며,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4)에는 케이블(22)이 연결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18)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1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18)가 작동하게 되면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12)에 의해 인사이드 핸들 레버(14)에 그 힘이 전달되고 다시 아웃사이드 로드(18)에 의해서 래치(24)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22)이 작동하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4)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4)가 작동되면 그 힘은 인사이드 로드(20)를 통하여 래치(24)로 연결되어 래치(24)를 오픈시키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링크 구조는, 작동 방향의 설정이나 작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는 가지고 있으나 그 링크 구조에 대한 잠금 장치나 전달차단 장치 등이 없어 주행중 차량의 뒷 좌석에 탑승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작동시키면 도어가 열리게 되는 등 주행중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링크 구조에서 그 전달력을 임의로 연결 및 차단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여 어린이들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고 자동차 법규사항을 만족시키는 구조의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래치 레버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고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에는 각각 아웃사이드 로드와 인사이드 로드가 연결되며, 래치 레버에는 인사이드 로드가 연결되고 인사이드 핸들 레버에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잠김 레버가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고 잠김 레버에는 그 끝에 커넥터가 연결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가 작동하게 되면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가 작동하게 되어 그 힘이 래치로 전달되며, 상기 잠김 레버에는 상단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작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베이스 플레이트 34 :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36 : 래치 레버 38 : 인사이드 핸들 레버
40,50 : 연결핀 42 : 케이블
44 : 아웃사이드 로드 46 : 인사이드 로드
48 : 잠김 레버 54 : 커넥터
60 : 래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링크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 래치 레버(36)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연결핀(40)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에는 각각 아웃사이드 로드(44)와 인사이드 로드(46)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 레버(36)에는 인사이드 로드(4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에는 케이블(4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잠김 레버(48)가 연결핀(5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잠김 레버(48)에는 그 끝에 커넥터(54)가 연결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44)가 작동하게 되면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작동하게 되어 그 힘(또는 전달력)이 래치(60)로 전달된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에 연결된 케이블(42)이 작동하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작동되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작동하게 되면 커넥터(54)가 작동되며, 상기 커넥터(54)가 작동하게 되면 래치 레버(36)가 연이어서 작동하게 되고, 상기 래치 레버(36)가 작동하게 되면 인사이드 로드(46)가 작동되어 래치(60)로 그 힘이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김 레버(60)는 도어를 록/언록(Lock/Unlock)시키게 되는데, 상기 잠김 레버(48)에는 상단에 커넥터(54)가 연결되어 있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의 작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54)의 연결 작동시는 작동축이 연결핀(40)과 일치되어 있어 래치 레버(36)와 같이 연결핀(40)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는 운전자가 테일게이트의 전달력을 임의로 연결/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뒷 좌석에 승차한 후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작동시키더라도 커넥터가 그 힘을 차단하게 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므로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 법규사항을 만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테일 게이트 링크구조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 래치 레버(36)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에는 각각 아웃사이드 로드(44)와 인사이드 로드(46)가 연결되며, 상기 래치 레버(36)에는 인사이드 로드(46)가 연결되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에는 케이블(42)이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는 잠김 레버(48)가 연결핀(5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잠김 레버(48)에는 그 끝에 커넥터(54)가 연결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로드(44)가 작동하게 되면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34)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8)가 작동하게 되어 그 힘(또는 전달력)이 래치(60)로 전달되며, 상기 잠김 레버(48)에는 상단에 커넥터(5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54)가 인사이드 핸들 레버(38)의 작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 구조.
KR1020000070276A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KR20020040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76A KR20020040272A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76A KR20020040272A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72A true KR20020040272A (ko) 2002-05-30

Family

ID=1970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276A KR20020040272A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2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62B1 (ko) * 2001-08-14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KR100853908B1 (ko) * 2006-12-28 2008-08-2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KR100980986B1 (ko) * 2004-10-29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누름식 오픈 스위치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62B1 (ko) * 2001-08-14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KR100980986B1 (ko) * 2004-10-29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누름식 오픈 스위치 구조
KR100853908B1 (ko) * 2006-12-28 2008-08-2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8004A (en) Motor vehicle door lock arrangement for a double rear hatch
KR20000011606A (ko) 자동차도어용잠금장치
EP0775793B1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CN105604411A (zh) 自吸式侧门门锁总成
JP2650000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カバーあるいはドアの鎖錠装置
US5154457A (en) Vehicular door lock device
KR20020040272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링크구조
ITRM990499A1 (it) Serratura di chiusura per portiera di autoveicolo ed autoveicolo munito di questa serratura.
KR20020050618A (ko) 테일게이트의 어린이 보호용 로크 장치
EP1138854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s
KR100394715B1 (ko) 자동차용 도어언록 시스템
CN2452789Y (zh) 汽车门锁控制机构
CN218375902U (zh) 车门自吸锁应急解锁机构
KR102228974B1 (ko) 전동차 비상핸들 차단장치
JP2001152719A5 (ko)
KR100392000B1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록킹 해제장치
KR0171782B1 (ko)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용 도아록크구조
CN207485161U (zh) 汽车电控门锁
KR100323149B1 (ko) 버스의 스윙도어 잠금구조
EP1070816B1 (en) Latch mechanism
KR200145737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9980055175U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JPH0784828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KR20010076484A (ko)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BR9900846A (pt) Dispositivo de travamento para uma porta de veìculo automó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