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63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634A
KR20020039634A KR1020010072564A KR20010072564A KR20020039634A KR 20020039634 A KR20020039634 A KR 20020039634A KR 1020010072564 A KR1020010072564 A KR 1020010072564A KR 20010072564 A KR20010072564 A KR 20010072564A KR 20020039634 A KR20020039634 A KR 2002003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
liquid
fibers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219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2003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0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종래의 생리대 표면층 및 샘 방지 측벽은 소량의 액체가 남았을 때에, 장착자에게 습윤감을 부여하기 쉬웠다.
생리대(1)의 표면층(4)은 액 수용측에 소수성을 갖는 수지층(4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층(4a)의 이면에는 섬유층(4b)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수지층(4a)에는 복수의 개공(15)이 형성되고, 각 개공(15)의 개공 면적은 0.2∼1.13 ㎟이 되며, 상기 개공(15)에 의한 면적 점유율은 40∼70%가 된다. 또한 섬유층(4b)은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내부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분산되어 포함된다. 소량의 액체는 개공(15)을 통해 섬유층(4b)으로 이동하고,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에 유지된다. 따라서 표면층(4) 표면의 건조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주로 생리혈, 소변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 수용측 표면에 소량의 액이나 땀이 부착되었을 때, 습윤감을 쉽게 일으키지 않게 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소변 수거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액 불투과성의 이면층과, 액 투과성의 표면층 사이에 흡수층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 표면층의 구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7-500759호 공보에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표면층이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공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층을 사용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필름의 표면에 부여된 액이 구멍을 투과하여 그 아래의 흡수층에 흡수된다. 필름 그 자체는 비흡수성이기 때문에, 흡수층으로 흡수된 액체가 필름 표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대량의 액체가 부여되었을 때, 필름의 표면층에 부여된 액체가 개공을 통과하여 그 아래에 위치하는 흡수층으로 직접 접촉하고, 흡수층의 친수성 모세관 작용에 의해 표면층 표면의 액체가 흡수층으로 인입된다. 즉, 필름성의 표면층은 액체에 대한 습윤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량의 액체와 접촉했을 때에는 개공으로부터 신속하게 액체를 통과시켜 대부분의 액체가 흡수층내로 신속하게 인입된다.
그러나, 상기 표면층의 표면에 소량의 액체가 남았을 때, 또는 착용자의 땀이 상기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에는, 이들 소량의 액체에는 흡수층에 의한 인입력이 작용하지 않고서, 필름 표면에 그대로 남기 쉽다. 이들 소량의 액체는 그대로 장착자의 피부에 닿거나, 또는 증발하여 증기가 되어 머물게 되고, 착용자에게 습윤감이나 증기에 의한 증기에 의한 축축한 느낌을 부여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등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상기 필름성의 표면층은 피부로의 밀착감을 일으켜 상기 습윤감을 증강시키기 쉽다.
또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 수용측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샘 방지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샘 방지 측벽은 소수성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는 액체의 투과 저항력이 강하고, 다량의 액체를 표면층측으로 되돌려, 액체가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소량의 액이나 땀이부착되었을 때에는 이들을 표면층으로 유도할 수 없고, 샘 방지 측벽과 피부 사이에 상기 액 또는 액이 증발한 증기가 남아 장착자에게 습윤감을 부여하기가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액 수용측 표면에서의 소량의 액 찌꺼기나 증기 찌꺼기를 적게 하고, 장착자의 피부에 습윤감을 쉽게 부여하지 않게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생리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표면층의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
도 5는 표면층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
도 6은 샘 방지 측벽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섬유층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의 (A), (B)는 친수성 섬유의 바람직한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대(흡수성 물품)
2 : 이면층
3 : 흡수층
4 : 표면층
4a : 수지층
4b, 4d, 4e : 섬유층
5 : 샘 방지 측벽
11 : 소수성 합성 섬유
12 :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
15 : 개공
25 : 구멍
30 : 샘 방지 측벽
본 발명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액 수용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이면측에 중첩되어 있는 섬유층을 가지며,
상기 섬유층은 소수성 섬유와 상기 소수성 섬유보다도 섬유 길이가 짧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집합체가 되어 상기 섬유층내로 분산되며,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수성 섬유의 표면과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층에서는, 상기 섬유층에도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가지며, 액 수용측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샘 방지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 측벽은 액 수용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의 이면측에 중첩되어 있는 섬유층을 가지며,
상기 섬유층은 소수성 섬유와 상기 소수성 섬유보다도 섬유 길이가 짧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집합체가 되어 상기 섬유층내로 분산되며,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수성 섬유의 표면과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에서는, 집합체가 된 친수성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기 집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란 친수성 섬유가 괴상 또는 권축 상태로 되어 섬유층내에서의 소수성 섬유 또는 집합체가 되지 않는 친수성 섬유가 분산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섬유층의 밀도보다도, 친수성 섬유의 밀도가 높아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섬유층은 상기 소수성 섬유를 70∼98 중량%, 상기 친수성 섬유를 2∼30 중량%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섬유 길이가 38∼64 ㎜, 상기 친수성 섬유는 섬유 길이가 5∼25 ㎜이다. 또한, 친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가 소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가 소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보다도 짧으면, 소수성 섬유끼리 결합된 부직포내에서, 친수성 섬유가 괴상 또는 권축 상태 등의 집합체로되어 소수성 섬유 사이에 개재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층은 액 수용측에 액체에 대한 습윤성을 갖지 않는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의 액체와 접촉했을 때에는 개공으로부터 신속하게 액체를 통과시킬 수 있어 표면에 액체가 체류하는 일이 없다. 또한 흡수층 측에 위치하는 섬유층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땀 등의 소량의 액체가 표면층에 접촉하거나 또는 그 증기가 머물렀을 때, 상기 액체나 증기가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에 흡수되어 표면층 표면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1)를 액 수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단면도, 도 4는 생리대의 표면층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모식도, 도 5는 생리대 표면층의 다른 실시 형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모식도, 도 6은 표면층과 동일한 복합 시트로 샘 방지 측벽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섬유층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생리대(1)는 주로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로 대면하는 이면층(2), 폭 방향(X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층(3), 흡수층(3)의 액 수용측 표면을 덮는 표면층(4)을 갖고 있다. 상기 표면층(4)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측단부(4c)는 흡수층(3)의 측방에서 상기 이면층(2)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생리대(1)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양측부에서는, 종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샘 방지 측벽(5, 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샘 방지 측벽(5)이 1장의 소수성 시트(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수성 시트(6)는 폭 방향으로 향하는 양측부에서 이면층(2) 위에 접합되어 상기 샘 방지 측벽(5)을 형성하고, 더욱이 흡수층(3)의 양측에서, 표면층(4)의 측단부(4c) 위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 측벽(5)에서는, 상기 소수성 시트(6)가 상단에서 절곡되고, 이 절곡 부분에 2개의 탄성 부재(7, 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7, 8)는 종방향(Y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상기 소수성 시트(6)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자유 상태의 생리대(1)에서는, 상기 샘 방지 측벽(5)의 상단에서 소수성 시트(6)에 종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생리대(1)의 종방향(Y 방향)의 전후 단부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 측벽(5)을 형성하는 소수성 시트(6)가 외측으로 절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7, 8)의 탄성 수축력이 샘 방지 측벽(5)의 상단에 작용함으로써, 자유 상태의 생리대(1)는 종방향으로 오목형으로 만곡되고, 상기 샘 방지 측벽(5, 5)이 흡수층(3)의 양측에서 착용자 측으로 기립된 상태가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층(4)은 수지층(4a)과 섬유층(4b)을 가지며, 상기 수지층(4a)이 액 수용측에 설치되어 있다. 수지층(4a)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필름형 시트로서,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가지거나 혹은 표면에 소수 처리 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액체 불투과성이며 또한 습윤성이 거의 없는 것이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지층(4a)에는 한 면측(상면)에서 다른 면측(하면)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개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공(15)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예컨대 지그재그형 등 기타 배열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개공(15)의 면적은 0.2∼1.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개공(15)의 면적 점유율은 4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공(15)은 니들링 처리 등에 의해 그 개구단(15a)이 섬유층(4b)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층(4a)의 두께(부피: H1), 즉 수지층(4a)의 표면에서 상기 개구단(15a)까지의 두께는 0.2∼0.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4a)은 산화티탄을 함유한 백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을 수지층(4a)에 0.5∼10 중량% 함유시킴으로써 표면층(4)을 백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흡수층(3)에 흡수된 혈액을 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층(4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크고, 내부에 섬유 사이의 공극이 형성된 부직포로서, 소수성 합성 섬유(11),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를 갖고 있다.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는 섬유 길이가 38∼64 ㎜이고, 섬도가 2.2∼6.6 dtex이다. 친수성 섬유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면이나 레이온 등으로, 섬유 길이는 5∼25 ㎜이고 섬도는 1.1∼11 dtex이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섬유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단면 형상의 것이나, 도 8(B)에 도시된 중공 단면 형상의 천연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면이다. 여기서 이형 단면 형상이란 단면이 원이나 타원과 같이 섬유 표면이 매끄러운 것이 아니라, 섬유 표면에 홈이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면 형상의 친수성 섬유는 섬유의 표면적이 넓고, 액체를 유지 흡수하는 능력이 커진다. 또는 피브릴 모관(毛管)을 갖는 천연 셀룰로오스도 액체의 유지 흡수력이 높아 본 발명의 표면층(4)의 섬유층(4b)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 길이가 짧은 친수성 섬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괴상 또는 권축 상태 등의 집합체(12)로 되어 있다. 이 집합체(12)는 그 섬유 밀도가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섬유 밀도 및 집합체가 되지 않은 친수성 섬유가 분산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소수성 합성 섬유(11)와 친수성 섬유와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표면층(4)을 형성하는 섬유층(4b)내에서 분산되어 소수성 합성 섬유(11)내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란 부직포를 형성하는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밀도, 또는 집합체(12)가 되지 않는 친수성 섬유가 분산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소수성 합성 섬유(11)와 친수성 섬유와의 밀도보다도 밀도가 높게 되도록, 둥글게 되어 집합하거나 또는 얽히도록 권축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는 적어도 표면이 저융점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심부(芯部)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초부가 PE(폴리에틸렌)의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이다. 또는 PE 섬유이어도 좋지만, 섬유층(4b)내에 적절한 공극이 형성되도록, 심부가 PP나 PET로 형성된 강성이 높은 상기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로서, 표면 활성제로 피복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단, 다량의 액이 부여되면, 표면 활성제가 흘러 나와 소수성을 띠지 않게 된다. 단,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표면층(4)내의 미소한 액체를 집합체(12)에 흡수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섬유층(4b)은 써멀 본드 부직포로서, 바람직하게는 에어스루(エア-スル-) 방식으로 형성된 써멀 본드 부직포이고,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끼리 서로 열 융착되어 있으며, 또한 면 등의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소수성 합성 섬유(11) 표면의 용융 또는 반용융시의 융착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크게 형성되어 양호한 큐션성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확실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섬유 길이가 어느 정도 길고, 또한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표면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고착하기 쉬운 시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열 융착성의 단섬유를 이용한 포인트 본드 부직포에서는,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되지 않고서 탈락되기 쉽다. 수류에 의해 섬유 교락시킨 스펀 레이스 부직포, 또는 화학적 접합력을 이용한 케미컬 본드 부직포에서는, 부피가 작고 내부의 공극률이 낮아져서 다량의 액체가 소수성 합성 섬유 사이를 흡수층(3)으로 향하여 침투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스루 방식으로 형성된 써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는 히트 롤러로 가열한 써멀 본드 부직포이어도 좋고, 열 융착성의 장섬유를 이용한스펀 본드 부직포이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층(4)의 섬유층(4b)은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섬유 사이를 다량의 액체가 흡수층(3)으로 향하여 침투하기 쉽게 적절한 공극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층(4b)의 평량(目付)이 20∼60 g/㎡이며, 섬유층(4b)의 두께(부피: H2)는 0.2∼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 ㎜이다. 상기 평량 및 두께가 상기 범위내라면, 다량의 액체가 부여되었을 때,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를 침투하여 흡수층(3)으로 액체가 침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다량의 액체가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를 침투하여 흡수층(3)에 도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소수성 합성 섬유(11)내에서 적절히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4)을 형성하는 섬유층(4b)에 있어서, 소수성 합성 섬유(11)가 70∼98 중량%, 집합체(12)가 된 친수성 섬유 및 집합체가 되지 않는 친수성 섬유가 2∼3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의 비율이 2∼1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괴상 또는 권축 상태의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는 섬유층(4b)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균등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섬유층(4b)의 표면에서 이면까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지층(4a)의 표면에 부착된 미소한 액이나 땀, 또는 증기를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로 유효하게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섬유층(4b)의 수지층(4a)과의 접합측에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많이 분산되고, 흡수층(3) 측에 집합체(12)가 분산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층(4b)에는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5)을 형성함으로써, 섬유층(4b)에 흡수층(3)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모관이 형성되고, 다량의 액체가 수지층(4a)의 개공(15) 및 섬유층(4b)을 투과하여 흡수층(3)으로 흡수되기 쉬워진다.
상기 구멍(25)을 형성할 때에는 구멍(25) 내면의 섬유가 흡수층(3) 측으로 돌출하도록 니들링 등에 의한 개공 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멍(25)을 형성함으로써, 섬유층(4b)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층(4a)의 개공(15)과 섬유층(4b)의 구멍(25)을 니들링 처리로 한꺼번에 형성하고, 상기 개공(15)과 상기 구멍(25)이 연결되어 통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단, 상기 개공(15)과 구멍(25)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상기 구멍(25)의 직경은 0.3∼20 ㎜, 섬유층(4b)에서의 구멍(25)의 면적 점유율은 5∼6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 직경 및 면적 점유율이 상기 값을 하회하면, 섬유층(4b)에 있어서의 투액성이 나빠지고, 상기 값을 초과하면, 흡수층(3)에 흡수된 액체가 장착자 측으로 되돌아가는 웨트 백이 생겨 장착자의 피부에 습윤감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상기 수지층(4a)과 섬유층(4b)은 적어도 일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 때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열 융착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된다. 또는, 수지층(4a)과 섬유층(4b)이 전면에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접합은 열 융착이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것이어도 좋지만, 상기 섬유층(4b) 표면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용융 적층되고, 수지층(4a)과 섬유층(4b)을 일체화하여도 좋다.
생리대(1)를 구성하는 이면층(2)은 불투액성의 시트로 형성된다. 이 이면층(2)은 통기성의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 또는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다. 또한, 이면층(2)의 이면에는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 등에 걸리게 하기 위한 점착층이 설치되고, 생리대의 사용시까지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층(3)은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고,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로 피복된 것이다.
상기 샘 방지 측벽(5)을 형성하는 소수성 시트(6)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이며, 멜트블로운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로운 부직포와 접합 복합 부직포 등이다. 또는, 수지 필름이나 부직포와 수지 필름과의 적층재이어도 좋다.
다음, 상기 생리대(1)의 표면층(4)의 액 투과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표면층(4)은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수지층(4a)과, 소수성 합성 섬유(11)를 주체로 한 비교적 공극률이 높은 부직포내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분산되어 혼재하고 있는 섬유층(4b)이 적층된 구조이다. 따라서 생리혈 등의 액체가 표면층(4)에 다량으로 부여되면, 이 다량의 액체는 개공(15) 및 구멍(25)을 통과하여 즉시 흡수층(3)에 접한다. 이 때의 흡수층(3)의 친수 모세관 작용에 의해 다량의 액체는 흡수층(3)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흡수된다. 또한, 이 때 소수성 합성섬유(11)의 표면은 액체의 투과 저항이 낮기 때문에, 액체는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를 신속하게 투과하여 흡수층(3)으로 흡수된다. 상기 집합체(12)는 표면층(4)내에서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는 집합체(12)의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를 투과하여 흡수층(3)으로 신속하게 흡수된다.
다량의 액체가 표면층(4)을 투과할 때, 분산되어 있는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에도 액체가 부여되지만, 다량의 액체는 흡수층(3)의 친수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층(3) 측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에 유지되는 액체는 소량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는 괴상 또는 권축 상태로서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액체가 상기 집합체(12)로 확실하게 유지되고, 표면층(4)의 표면을 건조시켜 둘 수 있다. 즉, 표면층(4)에 매우 소량의 액체가 부여되거나, 또는 장착자의 피부로부터 약간의 땀이 부여되거나, 또는 장착자의 체온에 의해 땀이 증발하여 표면층(4)에 증기가 머문 경우에, 이들 소량의 액이나 증기는 개공(15)을 통과하여 섬유층(4b)내로 분산되어 있는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로 끌어 당겨져 유지된다.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는 밀도가 높은 괴상 또는 권축 상태로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로 끌어 당겨지기 쉽고, 끌어 당겨진 액체는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에서 유지된다.
또한 섬유층(4b)의 표면은 수지층(4a)으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에 유지된 액이 표면층(4)의 표면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표면층(4)의 표면은 건조 상태로 유지되어 장착자의 피부에 습윤감을 쉽게 부여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상기 표면층(4)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표면층(4)에서는, 개공(15)을 갖는 수지층(수지막; 4a)과, 섬유층(4e)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섬유층(4e)의 흡수층(3)과는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오목부(26)의 깊이 치수(H3)는 0.1∼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오목부(26)의 섬유층(4e)에 대한 면적 점유율은 3∼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층(4a)과 섬유층(4e)과의 접촉 면적이 저하됨으로써 액체의 투과 흡수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섬유층(4e)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소수성 합성 섬유(11)와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를 포함하는 에어스루 부직포 등이다. 이 부직포를 엠보스 롤로 가열·가압함으로써 상기 오목부(2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4e)에서는, 오목부(26)를 갖는 부분의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섬유 밀도가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층(4a)의 개공(15)을 통과한 액은 흡수층(3)의 모세관 작용으로 끌어 당겨져 밀도가 낮은 부분에서 섬유층(4e)을 투과하여 상기 흡수층(3)으로 흡수된다. 또한 수지층(4a)의 표면에 부착된 미소한 액이나 땀, 또는 증기는 집합체(12)에 끌어 당겨지지만, 이 때 수지층(4a)내에서는, 액이 오목부(26)가 형성된 밀도가 높은 부분으로 유도된다. 이 유도 도중의 액이 집합체(12)에서 흡수됨으로써 상기 미소한 액을 집합체(12)에서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도 섬유층(4e)에 구멍(25)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4e)을 2차 성형함으로써 통기성이나 쿠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액체에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액체의 흡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또는 도 5 등에 도시한 상기 표면층(4)을 이용한 생리대는 도 3에서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것에서는 흡수층(3)의 표면에 있어서, 표면층(4)이 폭 방향(X 방향)을 향해 산부와 계곡부를 반복하는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상의 꼭대기부에는 종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16)는 종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표면층(4)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6)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파형상의 상부가 흡수층(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기립하여 표면층(4)의 실질적인 부피가 커지게 된다.
상기 표면층(4) 파형의 높이는 0.5∼5 m가 바람직하고, 더욱이 파형의 꼭대기부의 폭 방향에서의 배열 피치는 0.5∼1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층(4)의 폭 방향으로 향하는 양측 부분을 이면 시트(2)로부터 기립시켜 그 상단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18)를 부착하여 표면층(4)에 의해 측벽(17)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측벽(17)의 좌우 양측 표면에는 소수성 시트(6)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생리대에 이용되는 샘 방지 측벽(30)을 수지층(4a) 및 섬유층(4d)의 복합 시트로 형성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샘 방지 측벽(30)은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내에 상기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분산된 에어스루 등의 부직포의 섬유층(4d) 표면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개공(15)이 형성된 수지층(수지 필름; 4a)이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섬유층(4d)과 수지층(4a)이 적어도 일부에서 접합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섬유층(4d)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도 5에 도시된 오목부(26)는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샘 방지 측벽(30)은 그 표면이 수지층(4a)이며, 또한 섬유층(4d)도 소수성 합성 섬유(11)를 주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액의 침투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따라서 샘 방지 측벽(30)의 표면에 부여된 액은 수지층(4a)의 표면에서 막아지고, 생리대의 폭 방향으로 액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샘 방지 측벽(30)의 수지층(4a) 표면에 부착된 소량의 액 또는 땀 또는 증기는 수지층(4a)의 개공(15)을 통과하여 섬유층(4d)내의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로 흡수하도록 하고, 샘 방지 측벽(30) 표면의 습윤감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장착자에게 증기에 의한 축축한 느낌을 쉽게 부여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섬유층(4b, 4d, 4e)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제조 방법에서는, 카딩 장치(41)로 섬유 길이가 38∼64 ㎜의 소수성 합성 섬유(11)와 섬유 길이가 5∼25 ㎜의 친수성 섬유(면)를 공급하고, 회전 롤의 핀(42)에 의해 개섬시킨다. 상기 소수성 합성 섬유(11)는 섬유 길이가 길고, 또한 강성이 높기 때문에, 핀(42)의 개섬력에 의해 종방향을 향하여 정렬된다. 한편, 친수성 섬유는 짧고, 또한 면 등은 강성이 낮고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핀(42)의 개섬력을 받았을 때에, 종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지 않고서 그 대부분이 괴상 또는 권축형의 집합체(12)가 되어 핀(42)과 핀(42) 사이에 유지된다. 그 결과, 종방향으로 섬유가 정렬된 소수성 합성 섬유(11) 사이에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가 분산되어 혼재한 섬유 웨브가 형성된다. 이 섬유 웨브가 스루에어(スル-エア-) 방식의 가열실(43)로 보내지고, 이 가열실(43)내에서 섬유 웨브내의 소수성 합성 섬유(11)가 열 융착되며, 또한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12)는 소수성 합성 섬유(11)의 표면에 융착 고정되어 섬유층(4b, 4d, 4e)이 제조된다.
또한, 상기 가열실(43) 대신에 열 롤에 의해 섬유 웨브내의 소수성 합성 섬유(11)를 열 융착시켜도 좋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층에서는, 다량의 액체가 부여되었을 때에 액체가 표면층을 신속하게 투과하여 흡수층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더구나, 소량 또는 극소량의 액체가 부여되었을 때라도 수지층의 액체가 즉시 개공을 통해 섬유층으로 이동되고, 친수성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수분이 유지된다. 따라서, 표면층의 표면을 건조 상태로 할 수 있어 장착자에게 습윤감을 부여하지 않으며, 피부가 거칠어지는 등의 폐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샘 방지 측벽에서는 다량의 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샘 방지 측벽 표면에서 소량의 액이 남거나 증기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샘 방지 측벽과 피부와의 접촉부에서의 습윤감및 증기에 의한 축축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액 수용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의 이면측에 중첩되어 있는 섬유층을 가지며,
    상기 섬유층은 소수성 섬유와 상기 소수성 섬유보다도 섬유 길이가 짧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집합체가 되어 상기 섬유층내에 분산되며,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수성 섬유의 표면과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에도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가지며, 액 수용측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 측벽이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 측벽은 액 수용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의 이면측에 중첩되어 있는 섬유층을 가지며,
    상기 섬유층은 소수성 섬유와 상기 소수성 섬유보다도 섬유 길이가 짧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집합체가 되어 상기 섬유층내에 분산되며, 상기 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수성 섬유의 표면과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에서는, 집합체가 된 친수성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기 집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상기 소수성 섬유를 70∼98 중량%, 상기 친수성 섬유를 2∼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섬유 길이가 38∼64 ㎜, 상기 친수성 섬유는 섬유 길이가 5∼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10072564A 2000-11-21 2001-11-21 흡수성 물품 KR100765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4206 2000-11-21
JP2000354206A JP3987684B2 (ja) 2000-11-21 2000-11-2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634A true KR20020039634A (ko) 2002-05-27
KR100765219B1 KR100765219B1 (ko) 2007-10-10

Family

ID=1882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564A KR100765219B1 (ko) 2000-11-21 2001-11-2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49807B2 (ko)
EP (1) EP1208828B1 (ko)
JP (1) JP3987684B2 (ko)
KR (1) KR100765219B1 (ko)
CN (1) CN1180755C (ko)
BR (1) BR0105361B1 (ko)
CA (1) CA2361862C (ko)
DE (1) DE60112221T2 (ko)
MY (1) MY124532A (ko)
SG (1) SG97217A1 (ko)
TW (1) TW5279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270A (ko) * 2015-12-28 2018-09-0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외장 시트용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외장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210755B1 (ko) * 2020-03-24 2021-02-02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하이브리드 친환경 소재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892B2 (ja) * 1999-12-22 2005-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孔表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部品
JP2002000653A (ja) *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3922877B2 (ja) * 2000-11-27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64685B2 (ja) 2002-01-24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臭を低減する吸収性物品
JP4246446B2 (ja) * 2002-06-07 2009-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0314445B1 (pt) * 2002-09-17 2013-06-11 produto interlabial e folha lateral do mesmo capaz de se desintegrar na Água; corpo envoltàrio; fibra de fibrila e mÉtodo para melhorar a estabilidade de uma fibra hidrofÍlica.
JP4093844B2 (ja) * 2002-11-11 2008-06-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0331115D1 (de)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EP1982678B1 (en)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JP3886466B2 (ja) * 2003-03-13 2007-02-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410022B2 (ja) 2004-04-27 2010-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60264861A1 (en) 2005-05-20 2006-11-23 Lavon Gary 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flaps
BRPI0520752A2 (pt) * 2005-12-16 2009-05-26 Sca Hygiene Prod Ab produto absorvente
GB2454301B (en) 2007-06-18 2012-03-28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CA2782533C (en) 2007-06-18 201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US7994387B2 (en) * 2007-10-17 2011-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having zoned apertured overwrap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EP2582868B1 (en) 2010-06-17 2018-03-28 Washington University Biomedical patches with aligned fibers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MX2013014596A (es) 2011-06-10 2014-01-24 Procter & Gamble Centro de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PL2717823T5 (pl) 2011-06-10 2019-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N103607989B (zh) 2011-06-10 2017-05-24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KR20140139075A (ko) 2012-03-26 2014-12-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개구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EP2897561B1 (en) 2012-09-21 2020-11-04 Washington University Biomedical patches with spatially arranged fibers
JP6193391B2 (ja) 2012-11-13 2017-09-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CN110013386B (zh) 2013-08-27 2021-10-01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US10371954B2 (en) 2014-06-10 2019-08-06 Ams Sensors Singapore Pte. Ltd. Optoelectronic modules including hybrid arrangements of beam shaping elements, and imaging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JP5677611B1 (ja) * 2014-06-30 2015-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804103A (zh) 2014-09-12 2017-06-06 宝洁公司 具有带有基部粘结到附加层的宽基部开口的离散的三维变形部的非织造材料
MX2017003322A (es) 2014-09-12 2017-11-22 Procter & Gamble Metodo para fabricar materiales de tela no tejida que tienen deformaciones tridimensionales distintas con aberturas de base amplia que se unen a una capa adicional.
US20160074248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layer laminate
US10064766B2 (en) 2014-09-12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that are configured to collapse in a controlled manner
CN107405223B (zh) 2015-03-16 2021-03-02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A2985807A1 (en) 2015-05-12 2016-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WO2016196069A1 (en) 2015-05-29 2016-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MY176762A (en) * 2015-12-31 2020-08-21 Sj Circle Sdn Bhd Diaper core with triple leak guard
KR101811704B1 (ko) 2016-01-11 2017-12-22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역류방지형 기저귀
EP3216434A1 (en)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web laminate
US20170259550A1 (en) * 2016-03-11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Holes In Selected Portions Of The Protrusions
EP3426213B1 (en) * 2016-03-11 2020-11-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improved protrusion dimensions after compression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US10632228B2 (en) 2016-05-12 2020-04-28 Acera Surgical, Inc. Tissue substitute materials and methods for tissue repair
JP6404259B2 (ja) * 2016-05-13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04260B2 (ja) * 2016-05-13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161288A1 (en) 2017-03-09 2018-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materials having apertures and voids
CN108754868B (zh) * 2018-06-14 2022-01-14 3M创新有限公司 保温絮片材料、其制备方法及保温制品
CN110179592A (zh) * 2019-05-31 2019-08-30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3d记忆芯体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677A (en) * 1979-05-11 1980-09-23 Scott Paper Company Absorbent fibrous structure and disposable diaper including same
US4624666A (en) * 1984-07-20 1986-11-25 Personal Products Company Channeled napkin with dry cover
US4695278A (en) * 1985-10-11 1987-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JPH0614946B2 (ja) * 1986-01-20 1994-03-02 ユニ・チヤ−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材およびその製法
JPH0696028B2 (ja) * 1986-07-28 1994-11-3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フエ−シング材
JPH082363B2 (ja) * 1987-12-16 1996-01-17 花王株式会社 衛生用品の表面材
AU7491291A (en) 1990-03-21 1991-10-21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Nonwoven fabric for diaper top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91149A (en) * 1992-10-07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meltblown components
JPH07500759A (ja) 1991-11-11 1995-01-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迅速に流体を配分するストリップを有する吸収材
JP2580566Y2 (ja) * 1992-01-20 1998-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BR9204863A (pt) * 1992-11-25 1994-03-01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intimo feminino descartavel
SE503112C2 (sv) * 1994-05-16 1996-03-25 Moelnlycke Ab För engångsanvändning avsett vätskeabsorberande alster,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ess framställning
MY124298A (en) 1994-12-28 2006-06-30 Kao Corp Absorbent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WO1998042289A1 (en) 1997-03-21 1998-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zoned absorbent webs
JP3587677B2 (ja) * 1998-03-26 2004-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JP3719892B2 (ja) 1999-12-22 2005-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孔表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部品
JP3734407B2 (ja) 2000-06-19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270A (ko) * 2015-12-28 2018-09-0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외장 시트용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외장 시트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210755B1 (ko) * 2020-03-24 2021-02-02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하이브리드 친환경 소재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97217A1 (en) 2003-07-18
CN1363261A (zh) 2002-08-14
CN1180755C (zh) 2004-12-22
DE60112221T2 (de) 2006-06-01
CA2361862C (en) 2006-01-03
MY124532A (en) 2006-06-30
BR0105361B1 (pt) 2008-11-18
CA2361862A1 (en) 2002-05-21
EP1208828A3 (en) 2003-06-11
TW527915U (en) 2003-04-11
US6649807B2 (en) 2003-11-18
JP2002153510A (ja) 2002-05-28
KR100765219B1 (ko) 2007-10-10
EP1208828B1 (en) 2005-07-27
JP3987684B2 (ja) 2007-10-10
BR0105361A (pt) 2002-08-06
EP1208828A2 (en) 2002-05-29
DE60112221D1 (de) 2005-09-01
US20020062112A1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219B1 (ko) 흡수성 물품
KR100831634B1 (ko) 흡수성 물품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JP5868110B2 (ja) 吸収性物品
KR100887692B1 (ko) 흡수성 물품
KR100667713B1 (ko) 쿠숀층을 갖는 흡수 물품
AU721362B2 (en) An apertured covering sheet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covering sheet
KR100453788B1 (ko) 일회용체액흡수성물품
JP2514294B2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KR100536763B1 (ko) 체액처리용흡수성물품
KR20020034933A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직포제 표면 시트
KR20010095119A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778723B1 (ko) 흡수성 물품
KR100584691B1 (ko) 1회용체액흡수성착용물품
KR20020052984A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20020033838A (ko) 섬유상의 주름진 직물
KR20010021423A (ko) 흡수성 물품
AU782499B2 (en) Absorbent article
JPH0650624U (ja) 使い捨ておむつ等の衛生材料の表面材
JP2018166946A (ja) 複合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MXPA99007227A (en) Liquid-pervious cover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