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293A -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293A
KR20020038293A KR1020000068442A KR20000068442A KR20020038293A KR 20020038293 A KR20020038293 A KR 20020038293A KR 1020000068442 A KR1020000068442 A KR 1020000068442A KR 20000068442 A KR20000068442 A KR 20000068442A KR 20020038293 A KR20020038293 A KR 2002003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shell
egg
eggshell
shell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929B1 (ko
Inventor
유재흥
Original Assignee
유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흥 filed Critical 유재흥
Priority to KR10-2000-006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계란껍질의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분리장치는 파쇄된 난각과 난각막이 공급되며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저어줌으로써 수류를 발생시키는 수류발생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류에 의해 난각막이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떠오르게 되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ISOLATING SHELL AND MEMBRANE}
본 발명은 계란껍질 중의 난각 및 난각막을 분리 및 각각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난각 및 난각막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난각막은 물위에 떠오르게 하고 난각은 가라앉게 하여 난각막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칼슘을 별도로 섭취할 때가 있다. 이를 위해 공급되는 칼슘은 광물성의 탄산칼슘, 조개로부터 얻는 패각칼슘, 소의 뼈로부터 얻어지는 소뼈칼슘, 계란 껍질로부터 얻어지는 난각칼슘이 있다. 그 중에서도 계란껍질에서 얻어지는 난각칼슘은 흡수율과, 인체 뼈에 축적되는 비율에서 가장 우수하다.
광물성의 탄산칼슘은 흡수율 및 축적비율이 떨어져 섭취한 대부분이 인체 밖으로 배설된다. 조개칼슘이나 소뼈칼슘은 탄산칼슘보다는 흡수율 등이 우수하나 난각칼슘보다는 떨어진다. 특히, 연안해역의 오염으로 인하여 조개껍질에는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기 쉽다.
위와 같이, 난각칼슘이 우수하다는 사실이 알려졌음에도 난각칼슘이 보편화되지 못하였던 것은 그 제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난각칼슘 제조 공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는 것이다. 난각막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난각만을 분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 처리 시 사용한 (계란에 함유된 고유의 것이 아닌) 화학물질이 최종제품인 난각칼슘에 함유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난각으로부터 분리되는 난각막은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쳐 화장품 등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껍질로부터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고 각각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난각 및 난각막의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각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되, 화학반응 없이 물리적인 수단으로 난각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여 난각과 난각막을 각각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및 난각막을 분리, 회수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각-난각막 분리기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장치의 단면도
도4는 회전축과 날개의 사시도
도5는 날개판의 경사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날개의 아암과 회전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각 및 난각막 회수장치 12: 장치원심분리기 14: 파쇄기
16: 난각-난각막 분리기 18, 20: 컨베이어
22: 물 공급 시스템 24: 물-난각막 분리기
30: 수조 32: 수류발생장치 34: 구동장치
이러한 목적은 잘게 조각난 계란껍질에서 난각과 난각막의 물에 뜨는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과 그에 따르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계란껍질은 통상 3가지 층, 즉, 큐티클층, 난각, 및 난각막으로 이루어진다. 제일 밖에는 큐티클층(Cuticle)이 둘러싸고 있다. 그 안에 있는 칼슘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층이 난각이다. 난각 안쪽에 있으며 난각과 붙어있는 층이 단백질로 이루어진 난각막이다.
계란 껍질(난각)에 충격을 가하여 쪼개면, 난각이 쪼개지고 난각막도 찢어진다. 이때, 난각막은 대개 난각 조각의 크기와는 다르게 찢어진다. 대개의 경우에는 난각 조각의 크기보다 크게 찢어진다. 난각조각에 계속 충격을 가하여 그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면, (예를 들면, 난각의 크기가 1 mm x 1 mm 정도의 크기로 부술 경우) 대부분의 난각 조각은 난각막과 떨어진다.
파쇄한 후에는 난각막과 떨어져 나온 난각조각과 난각막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물에 넣는다. 물에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는 난각막과 난각이 모두 가라앉는다. 본 발명자는 물을 저어줌으로써 와류가 발생하면, 난각막은 떠오르고 난각조각은 가라앉은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한 분리장치 및 방법을 고안하였다. 물론,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난각막에 붙어 있는 난각조각이 떨어져 나오기도 한다.
난각과 난각막을 떼어내고 이를 가르는 것을 분리라고 한다. 한편, 분리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에는 어떤 곳에서는 난각과 난각막을 떼어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고, 서로 떼어냈으되 혼합된 것을 가르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분리라는 용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명세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란껍질의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쇄된 난각과 난각막이 공급되며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저어주기 위한 수류발생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류에 의해 난각막이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떠오르는 난각-난각막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로서,
계란껍질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난각-난각막 분리장치가
구비된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란껍질로부터 난각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계란껍질로부터 액란을 분리하는 단계와, (b) 상기 계란껍질의 난각과 난각막이 쪼개지면서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계란껍질에 충격을 주어 파쇄하는 단계와, (c) 상기 파쇄된 난각과 난각막을 수조에 넣는 단계와, (d) 상기 난각막이 떠오르도록 상기 수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수조 내의 바닥에 모인 난각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란껍질로부터 난각을 회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는 전체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전체시스템(10)은 원심분리기(12)와, 파쇄기(14), 난각-난각막 분리기(16)가 구비된다. 원심분리기(12)에서는 액란과 계란 껍질이 분리된다. 계란 껍질은 컨베이어(바람직하기로는 스크루 컨베이어)(18)에 의해 파쇄기(14)로 전달된다.
파쇄기(14) 내에는 해머가 있어 이 해머로 충격을 가하여 계란껍질을 파쇄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계란껍질에 충격을 주어 파쇄하면, 경질의 난각은 작은 조각으로 분할된다. 난각조각은 1 mm X 1mm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난각막은 난각조각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찢어진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난각과 난각막은 서로 떨어진다. 서로 떨어진 난각조각들과 난각막은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파쇄기는 통상 사용하는 햄머밀(Hammer Mill) 또는햄머크러셔(Hammer Crush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난각조각과 난각막(찢어진 조각)은 컨베이어(20)에 의해 난각-난각막 분리기(16)로 전달된다. 난각-난각막 분리기(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해낸다. 분리된 난각은 분쇄, 선별 등 후처리공정을 거쳐 난각칼슘이 된다. 분리된 난각막도 별도로 회수되어 후처리 공정을 거쳐 화장품 원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난각과 난각막의 분리 시스템(16)에는 물 공급 시스템(22)과 물-난각막 분리기(24)를 구비한다. 물-난각막 분리기(24)는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쇄기(14)로부터 나오는 물과, 난각-난각막 분리기(16)로부터 나오는 물로부터 난각막을 회수 분리한다. 물은 물 공급 시스템(22)으로 전달되어 다시 이용된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난각-난각막 분리기(16)에서 사용한 물은 다시 난각-난각막 분리기(16) 및 파쇄기(14)에서 사용한다. 파쇄기(14)에서 사용한 물은 파쇄기(14)로 공급되는 계란껍질을 세척하는 데에 사용한다. 사용완료한 물은 배출된다. 난각-난각막 분리기(16)에는 회수된 물이 공급되며, 보충수가 더 공급되기도 한다. 물-난각막 분리기(24)로는 망이 구비된 진동체(Vibrating Screen)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난각-난각막 분리기(16)를 설명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난각-난각막 분리기(16)는 수조(30)와, 수류발생장치(32)와, 구동장치(34)를 구비한다.
수조(30)는 대체로 난각의 이동방향과 나란히 연장되는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축선 상에 배치되며, 계란껍질이 공급되는 쪽에 위치하는 제1 측벽(36)과 난각이 배출되는 쪽에 위치하는 제2 측벽(38)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측벽(36)과 상기 제2 측벽(38)을 연결하며, 그 단면이 둥근 바닥(43)을 구비한다. 수조는 제1 측벽(36)과 상기 제2 측벽(38) 사이를 연결하며, 바닥(43)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3측벽(40)과 제4측벽(42)을 더 구비한다.
제1측벽(36)과 인접한 위치의 제3 측벽(40)에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내측의 물이 담기는 공간이 확장되는 확장돌출부(44)를 구비한다. 이 확장돌출부(44)의 벽에는 배출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48)에는 관이 결합된다. 이 확장돌출부(44)가 구비됨으로써, 배출되는 물에 난각 조각이 섞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측벽(40)과 제4측벽(42)에는 다리(50)가 부착되어 있어 수조 전체가 바닥에 지지된다.
수조(30)의 바닥(43)은 원통을 축방향으로 반을 잘라낸 둥그런 형태이다. 이 바닥(43)은 후술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측벽(38)에 가까운 바닥(43)에는 난각 배출통로(52)가 구비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난각 배출통로(52)는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다. 즉, 물을 공급하여 작업 분리작업 중에는 닫은 상태를 유지하고, 어느 정도분리작업이 이루어지면, 열어서 수조 아래쪽으로 모인 난각을 회수한다.
수조(30) 내에는 칸막이(54)가 설치되어 있다. 도3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칸막이(54)는 위에서 연장되어 바닥(43)으로부터 일정한 정도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 떨어진 사이로 물이 유동하고 난각조각이 지나갈 수 있다.
수조(30)는, 도3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측벽(38)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결국, 수조 바닥(43)은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정도의 각도(A)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난각 조각은 바닥의 경사를 따라 쉽게 내려갈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수류발생장치(32)는 회전축(58)과, 날개(60)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64)을 구비한다. 베어링(64)은 제1측벽(36)과 제2측벽(38)에 설치된다. 제1측벽(36)과 제2측벽(38)에는 회전축(58)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벽(36)과 제2측벽(38)과 회전축(58) 사이에는 실링부재(66)가 끼워진다. 회전축(58)은 칸막이(5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8)들을 지나 연장된다. 회전축(58)도 바닥과 나란히 경사져 있다. 회전축(58)은 바닥(43)이 이루는 원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회전축(58)에는 다수의 날개(60)가 장착되어 있다. 날개(60)는 회전축(58)의 정해지는 위치에 1열씩 배치된다. 도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칸막이(54)와 제1측벽(36) 사이의 공간은 2개의 날개열이 배치된다. 칸막이(54)와 제2측벽(38) 사이의 공간은 2개의 날개열이 배치된다. 칸막이(54) 사이의 공간에는 3개의 날개열이 배치되어 있다.
도4는 도3의 날개열을 상세히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열에는 4개의 날개(60)가 배치된다(도4 참조). 각 날개(60)는 동일한 각도의 간격(도4에서는 날개 사이의 각도는 90°)을 두고 방사상의 형태로 배치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날개열에 배치된 날개와 인접한 날개열에배치된 날개는 축의 원주방향으로 45°만큼 서로 어긋나 있다.
각각의 날개(60)는 아암(70)과 날개판(72)을 구비한다. 아암(70)의 한쪽 끝에는 날개판(72)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아암(70)의 다른 한쪽 끝은 회전축(58)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날개(60)는 물에 흐름(와류)을 일으키는 한편, 바닥(43)에 쌓인 작은 크기의 난각을 제2측벽(38) 쪽을 밀어내며, 모여있는 난각을 저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날개판(72)과 회전축(58)의 각도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축주위를 맴도는 화살표(A1)는 회전축(58)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 A2는 난각이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5의 (a)에서 (f)까지와 같이, 회전축(58)과 날개판(72)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다르다. (a)에서 (c)까지의 날개판(72)은 예각을 이룬다. 이러한, 날개판(72)은 난각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와 (e)의 날개판은 둔각을 이룬다. (d)와 (e)는 난각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와 (e)는 둔각을 이룬다. (f)의 날개판(72)은 회전축(58)과 나란히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날개판(72)의 각도는 1개의 열에서도 다양하게(즉, 어느 하나는 둔각으로 다른 하나는 예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날개판(72)의 각도들은 물의 흐름을 어느 정도 일으키면서도 난각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45°와 90° 사이의 예각의 날개판(72)과 90°와 135° 사이의 둔각의 날개판(72)이 섞여 있는 경우, 그 평균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날개판(72)의 조정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할수 있을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날개(60)의 아암(70)의 한쪽 끝은 축에 고정된다. 아암(70)의 끝에는 수나사(73)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58)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아암을 회전시켜 결합시킨 후 와셔(74)를 사이에 두고 너트(76)로 고정시킨다. 너트(76)의 위치를 조정하고 아암(70)을 결합함으로써, 날개판(7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날개(60)는 회전시 바닥에 닿지 않는 정도로 날개(60)의 끝이 바닥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도록 그 길이 및 고정높이가 정해진다.
수조(30), 축(58), 날개(60)는 내구성과 내식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내식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난각-난각막 분리기(16)는 구동장치(34)를 구비한다. 구동장치(34)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구동모터(80)와 동력전달기구(82)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기구(82)는 풀리(84)와 벨트(86)로 이루어진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여 전체 난각분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계란을 할란하여 액란을 수집한 후 계란껍질은 원심분리기(12)로 넣는다. 원심분리기에서 남아 있는 액란과 계란 껍질은 분리한다. 분리된 계란 껍질은 스크루 컨베이어(18)로 충격파쇄기(14)로 공급된다.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로 세척하여 남아 있는 액란을 씻어낸다. 파쇄기(14)에서 계란껍질에 충격을 가하여 작게 파쇄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때 난각과 난각막은 잘게 파쇄되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난각조각과 난각막 조각은 떨어지게 된다. 이들은 파쇄과정에서도 세척된다.
난각조각과 난각막 조각은 스크루 컨베이어(18)를 통하여 난각-난각막 분리기(16)로 공급된다. 난각-난각막 분리기(16)에는 제2측벽(38) 쪽에서 물이 공급된다. 물은 칸막이(54) 아래를 통하여 제1측벽(36) 쪽으로 흘러가도록 공급된다. 회전축(58)이 회전하면, 날개(60)가 회전한다. 날개판(72)은 물을 저어주어 수류를 일으키기도 하고 아래에 모인 난각조각을 경사진 바닥을 따라 아래로 내려보낸다. 이 때, 제어구동모터(80)의 회전수는 당업자가 난각막이 떠오르는 정도를 관찰하여 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날개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떠오른 난각막은 배출구(48)를 통하여 물과 함께 배출된다. 수조가 칸막이로 나뉘어 있으므로 떠오른 난각막은 제1측벽 쪽으로는 이동하기가 어렵다. 배출된 난각막은 물-난각분리기(24)에서 회수된다. 난각은 차츰 제2측벽(38)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통로(52)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난각은 스크루 컨베이어(18)로 다음 후처리 공정으로 전달된다. 후처리 공정은 예를 들면, 건조공정, 멸균처리공정, 미세한 분말로 만드는 공정 등이다.
위의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날개가 열을 이루면서 1열에 4개씩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1열에 2, 3, 또는 5 이상의 날개를 부착할 수도 있다. 날개가 열을 이루지 않고 설치될 수도 있다. 날개사이의 각도, 날개판의 경사각도 상기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조가 바닥으로 연장되는 평면의 제1측벽과 제2 측벽을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바닥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벽으로 구성하여 전체 수조가 대체로 원통형을 이루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는 상기 구성에만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조와 수류를 일으켜, 난각막을 위쪽으로 부상시켜 난각막은 위쪽에서 회수하고, 난각은 바닥에서 회수할 수 있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 및 각각 회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난각-난각막 분리장치에서는 하나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두 개 이상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개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첫 번째 난각-난각막 분리기에서 회수된 난각조각들을 두 번째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로 보내 분리과정을 다시 거치게 한다.
두 개 이상의 난각-난각막 분리기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난각-난각막 분리기 사이에는 충격파쇄기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에 의해 파쇄된 계란 껍질이 더 파쇄될 수 있고, 충격에 의해 난각과 난각막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난각-난각막분리장치에 의해, 본 발명은 난각과 난각막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므로, 분리되어 각각 회수된 난각과 난각막에는 이물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분리된 난각으로부터는 우수한 품질의 난각칼슘을 얻을 수 있고, 분리 회수된 난각막 또한 화장품 원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계란껍질의 난각과 난각막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쇄된 난각과 난각막이 공급되며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저어줌으로써 수류를 발생시키는 수류발생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류에 의해 난각막이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떠오르는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대체로 난각의 이동방향과 나란히 연장되는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축선 상에 배치되며, 계란껍질이 공급되는 쪽에 위치하는 제1 측벽과 난각이 배출되는 쪽에 위치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며, 그 단면이 둥근 바닥을 구비하며,
    상기 수류발생장치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기 바닥은 제2측벽 쪽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경사진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제2측벽 쪽에서 물이 공급되어 상기 제1측벽 쪽으로 배출되는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껍질이 투입되는 쪽에 위치하며, 상측에 마련된 물-난각막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측벽 가까이의 바닥과 연결된 난각배출통로를 더 구비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가 마련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바닥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더 구비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벽은 제1 측벽과 인접한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한 확장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 물-난각막 배출구가 형성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말단에 결합된 날개판을 구비하는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다수개의 날개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날개열로 배열되는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날개열에 위치하는 날개의 날개판이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의 평균이 예각인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12.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로서,
    계란껍질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제1항부터 제11항까지의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난각-난각막 분리장치가 구비된,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충격을 주어 상기 계란껍질을 파쇄하는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각-난각막 분리장치가 적어도 2개 이상인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난각-난각막 분리장치 사이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파쇄기가 더 설치되는 계란껍질로부터 난각, 난각막, 또는 난각과 난각막 모두를 각각 회수하는 장치.
  16. 계란껍질로부터 난각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계란껍질로부터 액란을 분리하는 단계와, (b) 상기 계란껍질의 난각과 난각막을 파쇄하면서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계란껍질에 충격을 주어 파쇄하는 단계와, (c) 상기 파쇄된 난각과 난각막을 수조에 넣는 단계와, (d) 상기 난각막이 떠오르도록 상기 수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수조 내의 바닥에 모인 난각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란껍질로부터 난각을 회수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f) 상기 수집된 난각 중에 섞여 있을 수 있는 난각막이 붙은 난각으로부터 난각막을 떼어내도록 상기 수집된 난각에 대하여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는 단계와, (g) 충격을 가한 수집된 난각 조각들을 다시 수조에 공급하는 단계와, (h) 상기 난각막이 떠오르도록 상기 수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i) 상기 수조 내의 바닥에 모인 난각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란껍질로부터 난각을 회수하는 방법.
KR10-2000-0068442A 2000-11-17 2000-11-17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KR10040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42A KR100406929B1 (ko) 2000-11-17 2000-11-17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42A KR100406929B1 (ko) 2000-11-17 2000-11-17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293A true KR20020038293A (ko) 2002-05-23
KR100406929B1 KR100406929B1 (ko) 2003-11-21

Family

ID=1969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442A KR100406929B1 (ko) 2000-11-17 2000-11-17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7087A1 (es) * 2007-06-28 2009-10-23 Bdn Ingenieria De Alimentacion, S.L. Metodo para separar la membrana interna de la cascara del huevo.
CN105685845A (zh) * 2016-01-22 2016-06-22 黑龙江兴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禽蛋壳膜分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59B1 (ko) * 2016-01-26 2018-03-05 주식회사 재상플랜트 계란껍질 연속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란껍질 연속 건조방법
KR102137246B1 (ko) 2020-01-20 2020-07-23 박종걸 난각 분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605A (ja) * 1993-12-27 1995-07-25 Shokuhin Sangyo Eco Process Gijutsu Kenkyu Kumiai 卵殻の処理方法
JPH07227551A (ja) * 1994-02-18 1995-08-29 Shokuhin Sangyo Eco Process Gijutsu Kenkyu Kumiai 卵殻の処理方法
JP3305538B2 (ja) * 1994-10-25 2002-07-22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卵殻と卵殻膜と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HUP0001754A3 (en) * 1997-03-18 2001-03-28 Univ Penn State Res Found Waste egg shell components recov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7087A1 (es) * 2007-06-28 2009-10-23 Bdn Ingenieria De Alimentacion, S.L. Metodo para separar la membrana interna de la cascara del huevo.
CN105685845A (zh) * 2016-01-22 2016-06-22 黑龙江兴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禽蛋壳膜分离装置
CN105685845B (zh) * 2016-01-22 2019-04-23 黑龙江中农兴和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禽蛋壳膜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929B1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80516B (zh) 一种餐厨垃圾机械预处理系统及其预处理工艺
KR101845457B1 (ko) 음폐수 처리시스템
EP33708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KR100406929B1 (ko) 난각 및 난각막의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JP7349643B1 (ja) バッテリ材料の回収装置
EP39397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egg shell and egg shell membrane from each other
JPH05230784A (ja) セルロースパルプ解砕用パルパーの改善
KR10035262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전처리장치
JPS58189006A (ja) 消泡装置
JP4362771B2 (ja) 貝殻洗浄粉砕装置
KR100521228B1 (ko) 습식비중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세척과폴리올레핀계(pe, pp) 및 고비중 물질(abs, ps, pet,pvc)을 선별하는 장치
JP2002263629A (ja) 鶏卵の殻処理方法
KR101169378B1 (ko) 혐기성 소화조의 슬러지 분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감량장치
CN217962823U (zh) 一种厨余垃圾预处理分选制浆一体化设备
KR200391643Y1 (ko)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JP2006095401A (ja) し渣処理装置
JPH07213951A (ja) 生ごみ処理装置
CN114405985B (zh) 一种电催化喷淋旋压污染土壤破碎修复设备
CN218796243U (zh) 一种厨余垃圾的精分设备
KR0140771Y1 (ko) 오.폐수 정화장치의 기액혼합기용 기포생성장치
CN219400413U (zh) 一种污泥处理器的送料结构
CN213112798U (zh) 一种食品厂用污水处理装置
CN210646703U (zh) 破碎型精分选机
KR100361964B1 (ko) 음식물쓰레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RU2158187C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