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643Y1 -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643Y1
KR200391643Y1 KR20-2005-0014022U KR20050014022U KR200391643Y1 KR 200391643 Y1 KR200391643 Y1 KR 200391643Y1 KR 20050014022 U KR20050014022 U KR 20050014022U KR 200391643 Y1 KR200391643 Y1 KR 200391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waste
sorting device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김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20-2005-001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파봉 파쇄 물론 이물질을 자동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진채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파봉,파쇄하고 선별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투입구와, 이물질를 하는 이물질배출구를 구비한 커버와, 하부에 상기 커버와 분리 결합되는 하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구경의 크기가 다르게 천공된 음식물배출공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 하부에 회전축과, 이 회전축상에 다수개의 현가날과, 상기 다수개의 현가날에 임의의 소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해머를 구비하여,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져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회전하는 파쇄선별수단에 구비된 다수개의 현가날과 이에 나선상으로 구비된 해머로 파봉 파쇄하되, 파쇄되지 않은 이물질은 회전하는 현가날과 해머에 의하여 선별되어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이물질을 별도로 선별 또는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CRUSH SORTING DEVICE OF A WASTE FOOD}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시 파봉 파쇄는 물론 이물질을 자동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경제 및 생활 환경이 윤택해지면서 가정은 물론, 각종 음식점에서 먹고 남은 음식물쓰레기가 급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변 환경은 물론 수질오염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쾌적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재활용, 즉 퇴비 및 사료화 할 수 있는 처리 장치가 마련되고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일반 가정 또는 음식점으로 부터 음식물쓰레기봉투(비닐제품)에 담겨진채 이송되어 처리되게 되므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음식물쓰레기봉투의 파봉 및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면서 처리하게 된다.
이때 음식물쓰레기에는 봉투 뿐만 아니라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선별 처리하지 않으면 재활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음식물쓰레기에 섞여져 있는 이물질 등을 파쇄처리에 앞서육안으로 분리 선별한 후 이어서 파봉 및 파쇄 처리하거나, 혹은 파봉 및 파쇄 처리한 후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로 부터 작업자가 이물질을 육안으로 걸러내는 것이 고작이었다.
최근들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에 강자성체(영구자석)을 장착하여 파쇄시 이물질(금속재)을 자력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으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물질의 경우 선별이 되지 않는 미흡한 점을 그대로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는 자체에서 이물질을 선별하거나 분리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의 파쇄시 음식물쓰레기 파쇄는 물론 파봉 및 이물질을 자동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진채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파봉,파쇄하고 선별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 하부에 상기 커버와 분리 결합되는 몸체로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구와, 타측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구경의 크기가 다르게 천공된 음식물배출공을 구비하며, 몸체의 중앙 하부에는 회전축상에 결합된 원통형의 축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환상 현가날과, 상기 다수의 환상의 현가날과 현가날사이에는 임의의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해머가 나선상으로 형성된 파쇄선별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정이나 음식점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져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회전하는 파쇄선별수단에 구비된 현가날과 나선상으로 구비된 해머에 의하여 파봉 파쇄가 이루어지고 이때 파쇄되지 않은 이물질은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해머에 의하여 선별되어 이물질배출구로 배출되게 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파봉 파쇄시 이물질을 별도로 선별 또는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10)와;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봉투가 투입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회전하면서 파봉 및 파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파봉,파쇄하여 선별하는 파쇄선별수단(50)으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10)는 원동기 엔진 또는 모터로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되는 회전동력은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부에 커버(30)와 하부의 몸체(40)로 분리 결합되게 구비되게 된다.
상기 커버(30)는 상부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봉투가 투입되는 투입구(31)가 구비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음식물쓰레기봉투가 파봉, 파쇄되어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구(32)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커버(30)와 결합되는 몸체(40)의 저면부에는 파쇄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구경을 점점 크게 형성한 배출공(41)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파쇄선별수단(50)은 중앙에 상기 동력발생부(10)로 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51)이 축착되는 원통형 축수부(52)와; 상기 원통형 축수부(52)에는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 현가날(53)이 축착되고, 상기 다수의 환상 현가날(53)과 현가날(53)사이에는 임의의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해머(54)가 축착되게 된다.
상기 다수의 해머(54)는 환상 현가날(53)과 현가날(53)사이에 적어도 12개 이상을 임의의 소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구비하되, 상기 해머(54)는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회동되게 구비 된다.
상기 다수의 해머(54)에는 선단에 비교적 두께가 두터운 칼날(55)이 구비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회전 평형을 유지하는 무게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동력발생수단(10)을 온 구동시켜서 동력을 벨트와 풀리를 통해서 하우징(20)의 몸체(40)내부에 장착된 회전축(51)에 전달하여 회전축(51)에 축착된 원통형 축수부(52), 환상 현가날(53), 해머(54)로 구성되는 파쇄선별수단(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파쇄선별수단(5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가정 및 음식점으로 부터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봉투내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커버(30)의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31)로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의 투입구(31)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봉투는 몸체(4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파쇄선별수단(50)에 의하여 파봉,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원통형축수부(52)에 소정의 간격으로 축착된 다수의 환상 현가날(53)에 나선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해머(54)의 회전력과 타격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봉투가 1차 파봉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파쇄 처리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파쇄 처리가 시작된 봉투와 음식물쓰레기는 다수의 환상 현가날(53)과 이 현가날(53)사이에 나선상으로 현가된 해머(54)의 회전에 의한 타격으로 계속해서 파쇄가 이루어지고, 이때 파쇄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된 액상의 슬러지는 몸체(40)의 저면부 일측에 천공된 비교적 작은 구경의 배출공(41)으로 바로 빠져나가 배출되게 된다.
반면에 비교적 수분이 적게 함유된 고형의 음식물쓰레기와 파봉된 음식물쓰레기봉투는 상기 몸체(40)의 하부에 작은 구경의 배출공(41)으로 쉽게 빠져나지 못하고 회전하는 파쇄선별수단(50)에 환상 현가날(53)과 나선상으로 구비된 해머(54)의 회전 타격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파쇄되면서 환상 현가날(53)과 해머(54)를 타고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몸체(40)의 비교적 큰 구경으로 갖는 배출공(41)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쇄가 이루어지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봉투 또는 이물질(금속성물질)은 환상 현가날(53)과 나선상으로 구비된 해머(54)를 타고 몸체(4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에 위치한 커버(30)의 타측에 형성된 이물질배출구(32)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해머(54)는 선단에 비교적 두께가 두터운 칼날(55)은 물론 환상 현가날(53)에 의하여 회동되게 구비되어 있어, 파쇄시 고형상태의 이물질 또는 금속성 이물질에 대하여도 쉽게 칼날(55)이 마모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파쇄선별수단(50)의 수명을 장구히 하면서 파쇄 선별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져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환상 현가날들과 나선상으로 형성된 해머가 구비된 파쇄선별수단에 의하여 파봉과 함께 파쇄하되, 파쇄시 발생된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와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는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크기가 다르게 천공된 음식물배출공으로 빠져 나가고, 파쇄되지 않은 비닐봉투나 이물질은 선별되어 이물질 배출구로 배출되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 파쇄후 작업자가 일일이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동력발생부 20; 하우징
30; 커버 31; 투입구
32; 이물질 배출구 40; 몸체
41; 배출공 50; 파쇄선별수단
51; 회전축 52; 원통형축수부
53; 환상 현가날 54; 해머
55; 칼날

Claims (4)

  1.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겨진채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파봉,파쇄하고 선별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 하부에 상기 커버와 분리 결합되는 몸체로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몸체의 중앙 하부에는 회전축상에 결합된 원통형의 축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환상 현가날과, 상기 다수의 환상 현가날과 현가날사이에는 임의의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해머가 나선상으로 형성된 파쇄선별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커버에는 상부 일측에 투입구와, 타측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는 저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구경의 크기가 다르게 천공된 음식물배출공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해머는 환상 현가날과 현가날사이에 적어도 12개 이상을 임의의 소정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구비하되, 상기 해머는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회동되게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해머에는 선단에 비교적 두께가 두터운 칼날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KR20-2005-0014022U 2005-05-18 2005-05-18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KR200391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22U KR200391643Y1 (ko) 2005-05-18 2005-05-18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22U KR200391643Y1 (ko) 2005-05-18 2005-05-18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643Y1 true KR200391643Y1 (ko) 2005-08-05

Family

ID=4369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022U KR200391643Y1 (ko) 2005-05-18 2005-05-18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6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65A (ko) * 2015-03-04 2016-09-19 신동열 폐 레일을 이용한 크러셔
KR102467668B1 (ko) * 2022-04-13 2022-11-16 박만수 파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65A (ko) * 2015-03-04 2016-09-19 신동열 폐 레일을 이용한 크러셔
KR101688309B1 (ko) * 2015-03-04 2016-12-22 신동열 폐 레일을 이용한 크러셔
KR102467668B1 (ko) * 2022-04-13 2022-11-16 박만수 파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5070A (en) Materials size reduction systems and process
KR101135104B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US43669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inuting solid materials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JP5576254B2 (ja) 破砕選別装置
US4493459A (en) Multi-purpose centrifugal mill
JP5187772B2 (ja) 廃棄物分離の方法ならびに装置
KR102017478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KR101825846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200391643Y1 (ko) 음식물쓰레기의 파쇄 선별장치
KR102530033B1 (ko)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102234951B1 (ko) 음식물 폐기물의 미세 파쇄 및 선별 장치
CN210410956U (zh) 一种城市生活垃圾自动化筛分装置
JPH08309214A (ja) 竪型破砕機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JP2939143B2 (ja) 竪型破砕機
KR100458935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JP4994339B2 (ja) バイオマス資源の回収システム
KR200262463Y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분리장치
CN1898023B (zh) 用于预处理源头分离的湿状有机废物的方法和设备
KR20010097737A (ko) 음식물 쓰레기의 전처리장치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JP2002282831A (ja) 生ゴミ等混合物の異質混入物分離装置
KR200382019Y1 (ko) 음식물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