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708A - 자동차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708A
KR20020036708A KR1020010068552A KR20010068552A KR20020036708A KR 20020036708 A KR20020036708 A KR 20020036708A KR 1020010068552 A KR1020010068552 A KR 1020010068552A KR 20010068552 A KR20010068552 A KR 20010068552A KR 20020036708 A KR20020036708 A KR 2002003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winding
opening
forc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렌베르거마리나
슐레히트베르너페.
질홀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634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367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3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pring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리장치는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차량 고정장치에 연결되고 도출된 보호위치 사이의 카세트 하우징에 위치한 감기 회전축 위에서 감아 올리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된 가요성 표면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감기 회전축은 재포착 스프링장치에 의해 감아 올리는 방향에서 가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포착 스프링장치는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과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comfort spring)의 직렬 또는 병렬 회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회로에 의해 상기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제1 도출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을 상기 제1 도출위치에서부터 시간적으로 제한하여, 설정된 보호위치로 이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이 발생하며, 감쇠부재가 상기 코일 스프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장치는 승용 및 배달 겸용 차량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분리장치{Separ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리장치는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차량 고정장치에 연결되고 도출된 보호위치 사이의 카세트 하우징에 위치한 회전축 위에 감아 올리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된 가요성 표면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은 재포착 스프링장치에 의해 감아 올리는 방향에서 가동된다.
이러한 분리장치는 WO 98/24660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분리장치는 분리망 형태의 가요성 표면 구조물을 구비하는데, 상기 가요성 표면 구조물은 카세트 하우징에 회전 가동하게 위치한 감기 회전축 위에서 감아 올리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분리망은 그의 전면에 외형이 단단한 분리 스트립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리 스트립에 의하여 상기 분리망은 수직으로 도출된 보호위치에서 자동차의지붕 영역 내의 차량 고정장치에 고정된다. 상기 감기 회전축에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분리망을 차량 고정장치로부터 떼어 낸 후에 자동적으로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 위치한 정지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설정된 수직의 보호위치에서 상기 감기 회전축은 상기 분리망을 팽팽하게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감기 회전축의 상대적으로 높은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분리망을 정지위치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차량 고정장치에 거는 것은 인간공학적으로 불리한 상황으로 인해 조작자에게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이 자동차의 짐칸 영역 내에 들어 있으므로, 상기 분리 스트립을 포착하고 상기 분리망을 빼내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분리망을 빼내기 위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짐칸에 몸을 기대야 한다. 인간공학적으로 유리한 레버를 얻기 위해서 상기 조작자는 거는 데에 필요한 분리 스트립을 얻을 때까지 상기 분리망을 우선, 약간 수평으로 끌어 당겨야 한다. 이어서, 상기 조작자는 상기 분리 스트립을 분리망과 함께 위로 흔들며 차량 고정장치에 건다. 상기 거는 동작중에 상기 분리망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자가 전면으로 뻗은 팔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재포착력에 대한 지탱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서, 상기 거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큰 힘이 발생되어야만 하는데, WO 98/24660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고정장치가 제안된다. 이러한 고정장치는 필요한 도출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감기 회전축의 회전을 포착하는 카운트 웜(count worm)을 경유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반대로, 상기 분리망을 상기 수직의 보호위치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감기회전축 위로 다시 완전 작동으로 감아 올리기 위해서는 또한 상기 고정장치가 다시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앞서 공개되지 않은 DE 199 27 384.7에는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리장치에서는 마찬가지로 조작에 편리하게 상기 분리망의 분리 스트립을 상기 힘이 약한 수직의 보호위치에서 그에 상응하는 차량 고정장치에 걸 수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 상기 재포착력은 두 개의 스프링 부재로 형성된 스프링장치에 의해 감소되며, 여기서, 제1 스프링부재는 강한 재포착력을 구비한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제2 스프링부재는 상대적으로 약한 스프링 힘을 구비한 콤포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해결안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은 직렬 또는 병렬로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스프링중에서 직렬 회로의 경우, 두 개의 스프링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소정의 도출길이에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이 제거되며 동시에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감소된 힘으로써 상기 분리망의 분리 스트립을 걸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콤포트 스프링만이 그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분리망을 새로 떼어내고 설치할 때 먼저 상기 콤포트 스프링이 작용한다. 이어서,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인 개폐장치를 경유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 위로 이전되어 상기 개폐장치는 또 다른 설치 및 제거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두 개 스프링의 병렬 회로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은 서로 반대의 의미를 갖는다. 상기 소정의 도출길이까지 상기 분리망을 상기 설정된 정지위치로부터 도출할 때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이 작동한다. 상기 전환 후에 상기 상대적으로강한 코일 스프링은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재포착력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 고정장치에 걸기 위해서 감소된 거는 힘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실질적으로 상대적으로 쾌적한 걸기가 해당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는 분리장치에서 이러한 경우를 편리하게 해결하지 않은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처음에 언급한 분리장치를 형성하여 조작자가 상기 표면 구조물을 상기 수직의 보호위치로 보다 편리하게 확실히 이전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장치를 확대, 부분적으로 조립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리장치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은 재포착 스프링장치의 감아 올리는 힘을 타이밍 부재에 의하여 상기 표면 구조물의 도출위치에서 시간적으로 제한하여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상기 타이밍 부재에 의해 정해진 시간 후에 다시 연결하는 회로가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출과정을 임의의 도출위치 또는 길이를 측정하여 소정의 도출위치에서 짧게 차단함으로써 상기 약한 또는 완전히 제거된 재포착력 또는 감아 올리는 힘으로의 전환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출과정은 여러 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타이밍 부재가 항상 다시 작동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이다. 상기 회로는, 또한 상기 타이밍 부재가 기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과 같이, 또한 전기적으로, 기압식으로 또는 수압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부터 힘이 없는 또는 힘이 약한 도출상태로의 전환이 경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는 달리, 힘이 없는 또는 힘이 약한 상태로부터 강한 감아 올리는 작동으로의 복귀전환은 시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포착 스프링장치는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과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의 직렬 또는 병렬 회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회로에 의해 상기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상기 도출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을 상기 도출위치에서부터 시간적으로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이 발생하며, 여기서 상기 타이밍 부재가 상기 회로에 부착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의 작용이 소정의 시간으로 제한되며 상기 시간 경과후에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 전환된다.
기본적인 스프링 개폐기능 및 장점은 DE 199 27 384.7에 이미 개시된 해결안에 상응한다. 직렬 회로의 경우,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과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의미로 작용한다. 병렬 회로의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콤포트 스프링은 서로 반대의 의미로 작용하여 상기 콤포트 스프링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재포착력이 감소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직렬 회로의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은 간단히 제1 도출위치에서 제거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만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명세서에 설명된 해결안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경로에 따르는 것이 아닌 오히려 시간에 따른,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의 전환을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부재에 의해 상기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은 소정의 시간이상으로 지탱되는데, 이러한 시간은 상기 타이밍 부재의 형성과 상기 타이밍 부재를 상기 회로에 포함시키는 것에 좌우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상기 가요성 표면 구조물, 특히, 상기 분리망을 상기 제1 도출위치에서 상기 차량 고정장치에 걸기 위해 그 사이에 다시 증가된 재포착력을 가동시키지 않고 보다 긴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위치로의 거는 동작 이후 상기 시간의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 전환되어서 상기 정지위치로 새로이 걸 때 즉시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콤포트 스프링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치(齒)형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타이밍 부재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치(齒)형 연결부는 기어(gear)를 형성하는데, 원하는 시간을 정의하는 상기 기어의 변속비가 특성이며 상기 시간은 상기 쾌적한 걸기를 감소된 재포착력으로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부재는 피니언(pinion)을 구비하는 회전부재로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감기 회전축의 회전축과 편심방향으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타이밍 부재는 특히, 점도 브레이크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감기 회전축과 동축방향으로 제한되어 회전 가동하게 위치하며 그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단면은 주변 치(齒)형 연결부를 구비한다. 한편으로는, 상기 피니언의 치(齒)의 수 및반경,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주변 치(齒)형 연결부의 치(齒)의 수는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점도 브레이크, 즉, 상기 타이밍 부재 사이의 상기 변속비를 정의함으로써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의 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시간이 이에 상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부에서 나타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리장치는 가요성 표면 구조물로서 분리망(1)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리망(1)은 감기 회전축(3) 위에서 감아 올리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감기 회전축(3)은 카세트 하우징(2)에 회전 가동하게 위치한다. 상기 감기 회전축(3)은 중공축으로서 수행되는데, 상기 중공축에는 나사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코일 스프링(4)이 배치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은 외부 전면과 함께 허브(hub)(9) 위에 구비된 외부 나사(10)의 영역 내 개폐부재(13)의 상기 허브(9) 위에 고정된다. 상기 개폐부재(13)는 그의 허브(9)와 함께 상기 감기 회전축(3)과 동축방향으로 상기 감기 회전축(3)의 전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3)는 상기 감기 회전축(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허브(9)의 전면에 방사상의 링형 숄더(ring shoulder)를 구비하는데, 상기 링형 숄더는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플래카드 캠(14)을 구비한다. 상기 링형 숄더의 허브(9)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전면 위의 해당 중심 베어링 보링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13)는 중심 베어링 핀(12) 위에서 제한되어 회전 가동하게 상기 카세트 하우징(2)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측면부(5)에 위치한다. 상기 개폐부재(13)에상기 링형 숄더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부(5)는 컵 형태의 하우징 단면부(11)를 구비하는데, 상기 하우징 단면부(11)는 상기 플래카드 캠(14)의 영역 내에 리세스(recess)(15)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15)는 상기 컵 형태의 하우징 단면부(11)의 소정의 원호 위로 진행된다. 상기 리세스(1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리콘 브레이크로서 형성된 점도 브레이크(18) 형태의 타이밍 부재를 상기 개폐부재(13)에 가까이 삽입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개폐부재(13)의 링형 숄더에는 방사상으로 선형으로 움직이는 빗장(16)이 위치하는데, 상기 빗장(16)은 그의 외부 전면에서 상기 감기 회전축(3)과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카운트 핑거를 구비한다. 상기 빗장(16)은 압력 스프링에 의해 방사상으로 외부로 스프링을 움직이게 한다. 상기 빗장(16)과 상기 부착된 카운트 핑거와 함께 카운트 웜(6)이 작용하는데, 상기 카운트 웜(6)은 베어링 케이스(6)의 링형 숄더의 상기 개폐부재(13)로 향한 전면에 나선형의 연결 링크 안내부로서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케이스(6)는 꽂는 케이스 단면부와 함께 전면측으로 상기 감기 회전축(3)에 삽입할 수 있고 홈/스프링 장치(7,8)에 의하여 회전의 말단방향으로 상기 홈/스프링 장치(7,8)에 연결될 수 있다. 카운트 웜으로 사용되는 나선 홈은 방사상의 외부 나선 경로에 스프링 탄력적으로 잘 휘어지는 플래카드 플랩(placard flap)(22)을 구비하는데, 상기 빗장 위의 압력이 그에 상응하는 저항력에 의해 제거된다면,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은 회전 측면에서 상기 빗장(16)의 카운트 핑거를 위한 제동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카운트 핑거를 위한 포인트(point)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적인 회전 측면에서, 상기 빗장(16)의 카운트 핑거는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을 탄력적인 커브를 통해 내부로 오버런(overrun)하게 한다. 상기 카운트 웜과 부착된 빗장(16) 및 상기 형성된 카운트 핑거는 DE 199 27 384.7에 설명된 실시예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3)는 상기 측면부(15)로 향한 그의 전면 위에서 상기 베어링 핀(12) 위에 꽂힐 수 있는 베어링 수용부와 편심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육각형 헤드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육각형 헤드부에는 회전의 말단방향으로 나선 스프링(17)의 육각형으로 형성된 내부 링형 말단이 형태말단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나선 스프링(17)의 외부 전면 말단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컵 형태의 상기 하우징 단면부(11)의 원통형 내벽 맞은 편에서 나선 형태로 계속해서 내부로 안내하는 커브 브릿지(23)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브릿지(23)는 상기 플래카드 캠(14)의 회전로를 제한하고, 이에 상응하는 상기 개폐부재(13)의 회전시 상기 카운트 핑거와 함께 상기 빗장(16)을 방사상으로 내부로 진입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개폐부재(13)의 회전로는 약 270°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상기 플래카드 캠(14)이 상기 제어 브릿지(23)의 전면 또는 후면의 말단과 함께 전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플래카드 캠(14)은 상기 나선 스프링(17)이 걸리게 되는 상기 제어 브릿지(23)의 한 말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맞은 편에 위치한 제어 브릿지(23)의 활형 경사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활형 경사부에는 상기 제어 브릿지(23)가 상기 하우징 단면부(11)의 원통형 내벽으로부터 점차 나선 형태로 내부로 휘어지면서 신장된다. 상기 제어 브릿지(23)는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단면부(11) 및 상기 측면부(5)와 함께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18)는 두 개의 고정 핀(19)을 통하여 상기 측면부(5)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18)는 상기 개폐부재(13)로 향한 그의 일측 위에 피니언(20)을 구비하는데, 상기 피니언(20)은 상기 개폐부재(13)의 주변 치(齒)형 연결부(21)로 다듬어진다. 상기 주변 치(齒)형 연결부(21)는 방사상으로 상기 플래카드 캠(14)의 작동로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개폐부재(13)의 링형 숄더의 전면 말단에 형성된다. 상기 주변 치(齒)형 연결부(21)는 상기 개폐부재(13)의 전체 범위를 초과해 신장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상기 개폐부재(13)가 완전한 회전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나선 스프링(17)은 본 발명에서 콤포트 스프링으로 사용된다.
이하, 상기 전술한 분리장치의 동작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기본적인 동작, 특히,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4)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17)으로의 전환은 DE 199 27 384.7에 개시된 해결안에 상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4)과, 콤포트 스프링으로 사용되는 나선 스프링(17)이 동일한 의미로 작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4)과 상기 나선 스프링(17)은 직렬 회로로서 형성된다.
상기 분리망(1)의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에서 상기 개폐부재(13)의 플래카드 캠(14)은 상기 코일 스프링(4)의 힘에 의해 상기 제어 브릿지(23)의 영역 내에 인접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4)은 상기 개폐부재(13)로 향한 그의 전면과 함께 상기 감기 회전축(3)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상기 플래카드 캠(14)을 구비한 개폐부재(13)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4)을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지탱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분리망(1)의 도출과정이 시작되는 동안에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적어도 한 번 상기 나선 홈에서 상기 카운트 핑거가 회전하는 것,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한 번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이 운반되는 소정의 도출길이로부터 상기 약한 또는 거의 사용할 수 없는 감아 올리는 힘으로의 전환이 상기 나선 스프링(17)의 형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선택된 도출길이에 따라, 상기 나선 안내부는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이 한 번 또는 여러 번 운반되면서 한 번 또는 여러 번 통과하게 된다. 매번 운반과정시 상기 나선 안내부에서 진행되는 카운트 핑거는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을 상기 나선 안내부로 밀어 놓으면서 운반된다. 상기 분리망(1) 부근의 도출력을 단시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감기 회전축(3)은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아직 사용가능한 복원력에 의해 다시 특정한 절대값으로 복귀되어 상기 카운트 핑거는 또한 상기 빗장(16)과 함께, 다시 상기 나선 홈에서 작은 통로를 역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카운트 핑거는 맞은 편에 위치한 일측으로부터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카드 플랩(22)은 그의 로킹작용을 시작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4)은 작동되지 않는데, 이는 상기 개폐부재(13)가 이제 상기 감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는 베어링 케이스(6)에서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감기 회전축(3)과 상기 분리망(1)이 감소된 힘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이제부터 상기 나선 스프링(17)만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나선 스프링(17)은 태엽으로 사용되고, 상기 개폐부재(13)가 새로이 상기 제어 브릿지(23)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작동할 때까지 상기 분리망(1)의 정지상태에서,즉, 또 다른 도출없이, 상기 개폐부재(13)를 상기 타이밍 부재, 다시 말해서,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20)의 제동력에 대해 서서히 역회전시킨다. 상기 플래카드 캠(14)이 상기 제어 브릿지(23)의 활형 경사부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상기 카운트 핑거와 상기 빗장(16)은 상기 활형 경사부와 상기 제어 브릿지(23)에 충돌한다. 따라서, 상기 카운트 핑거와 상기 빗장(16)은 그의 압력 스프링의 압력에 대해 상기 제어 브릿지(23)를 따라 미끄러질 때 방사상으로 내부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트 핑거는 포인트로서 형성된 상기 플래카드 플랩(22) 하부에서 상기 가장 가까운 내부의 나선 경로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4)의 로킹이 다시 중지된다. 태엽으로 사용되는 상기 나선 스프링(17)이 단지 강하게 설치되어 상기 나선 스프링(17)은 상기 개폐부재(13)를 상기 타이밍 부재(20)의 제동력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분리망에 대한 재포착 작동이 필요하진 않지만,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는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재포착력이 다시 제동받지 않고 투입되기 전에 조작자는 상기 분리망(1)을 최종적으로 상기 차량 고정장치에 걸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 스트립을 새로이 걸 때 상기 설정된 보호위치로부터 즉시 상기 강한 코일 스프링의 재포착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망(1)은 상기 설정된 정지위치로부터 제1 도출위치까지 도출되며, 상기 제1 도출위치에는 상기 분리망(1)의 도출길이가 상기 차량 고정장치에 거는 데에 필요한 도출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도출위치로터 거는 데에 필요한 도출길이까지의 또 다른 도출은, 상기 타이밍 부재가 작용하는 한, 단지상기 나선 스프링(17)의 재포착력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또한, 제1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분리망을 한번 더 적어도 나선 회전부 주위로 도출하면서 상기 타이밍 부재를 여러 번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전술한 개폐과정이 새로이 진행되고 상기 타이밍 부재 연결과 동시에 상기 강한 코일 스프링이 새로이 제거된다.
상기 분리망(1)을 상기 설정된 보호위치에서 새로이 떼어낼 때 즉시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4)이 삽입되는데, 이는 그 사이에 태엽으로 사용되는 상기 나선 스프링(17)이 상기 개폐부재(13)와 상기 플래카드 캠(14)을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20)의 제동력에 대해 다시 상기 제어 브릿지(23)의 시계바늘 방향에 있는 전면 플래카드로 안내하는데, 상기 플래카드에는 또한 상기 나선 스프링(17)이 걸려 있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실질적인 차이점은 상기 코일 스프링(4)의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을 제거하고 발생시키기 위한 개폐과정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진행되고, 또한 직렬 회로 대신에 상기 코일 스프링과 나선 스프링(17a)의 병렬 회로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보다 나은 명료성을 위해,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동작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제공되며 단지 알파벳 'a'가 부가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베어링 케이스(6a)는 마찬가지로 회전의 말단방향으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감기 회전축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된 카운트 핑거를 구비한 빗장(16a)은방사상으로 선형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베어링 케이스(6a)에 위치하며 카운트 웜(25)은 개폐부재(13a)에 제공된다. 상기 카운트 웜(25)은 나선 홈을 구비하는데, 상기 나선 홈은 방사상의 외부 영역에서 플래카드 저항기(26)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13a)의 회전축과 축방향으로 평행한 선형으로 움직이는 플래카드 핀(14a)에 대한 단지 암시된 축방향의 베어링 수용부(27)가 상기 플래카드 저항기(26)에 바로 인접하여 제공되는데,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6a)로부터 복귀된 축방향에서 스프링을 움직이게 한다. 상기 카운트 웜(25)을 구비한 개폐부재(13a)는 측면부(5a)의 베어링 핀(12a)으로 제한되어 하우징 단면부(11a)에서 회전 가동하게 위치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 가동성은 90°보다 작은 회전각으로 제한된다. 상기 개폐부재(13a)의 회전 가동성 제한은 상기 플래카드 핀(14a)에 의해 수행되는데,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개방되고 인접한 하우징 단면부(11a)의 맞은 편에 위치한 측면 모서리에 고정된다. 상기 개폐부재(13a) 맞은 편에 위치하는 일측과 축방향으로 상기 플래카드 핀(14a)의 후면방향의 전면에는 제어 윤곽부(23a)가 부착되는데, 상기 제어 윤곽부(23a)는 상기 플래카드 핀(14a)의 축방향 가동성과 관련하여, 축방향에서 수행되는 경사를 갖는다.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개폐부재(13a)의 방사상으로 구부러진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단면부(11a) 내벽의 측면 모서리 높이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개폐부재(13a)의 회전시 각각의 측면 모서리에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제어 윤곽부(23a)를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그의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축방향으로 상기 나선 홈의 베어링수용부(27)로부터 제거되거나 상기 베어링 수용부(27)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a)에는 타이밍 부재로서 실리콘 브레이크(18a)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18a)는 고정 받침대(19a)를 경유하여 상기 측면부(5a)에 고정된다.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18a)는 피니언(20a)을 구비하는데, 상기 피니언(20a)은 상기 개폐부재(13a)의 주변 치(齒)형 연결부(21a)로 다듬어진다. 상기 주변 치(齒)형 연결부(21a)는 상기 개폐부재(13a)의 제한된 회전 가동성에 상응하게 단지 상기 개폐부재(13a) 주변의 부분 영역만을 경유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따른 분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망의 설정된 정지위치에서 상기 감기 회전축은 도시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시작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실시예에서 그의 측면부 방향으로 맞은 편에 위치한 일측 위에 하우징에 고정되어 지탱되며 상기 다른 전면과 함께 상기 감기 회전축에 고정된다. 상기 개폐부재(13a)는 마찬가지로 상기 플래카드 핀(14a)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최종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망의 도출이 시작될 때 상기 빗장(16a)의 카운트 핑거가 상기 플래카드 저항기(26)에 설치될 때까지 상기 카운트 핑거는 상기 카운트 웜(25)에서 점차 방사상으로 외부로 순환한다. 상기 플래카드 핀(14a)는 상기 플래카드 저항기(26)에 연결되는 나선 경로를 차단하는 그의 로킹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분리망을 단시간 릴리스함으로써 상기 감기 회전축과 상기 카운트 핑거는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복귀되며 상기 카운트 핑거는 상기 플래카드 핀(14a)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힘은 상기 개폐부재(13a) 위로 이전된다. 상기 개폐부재(13a)에는 상기나선 스프링(17a)이 부착되는데, 상기 나선 스프링(17a)은 그의 다른 말단과 함께 상기 측면부(5a)에 지탱된다. 상기 나선 스프링(17a)은 전술한 해결안과는 달리 상기 코일 스프링과 반대로 작용하여,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병렬 회로와, 콤포트 스프링으로 사용되는 나선 스프링(17a)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 스프링(17a)의 스프링 힘은 반대로 작용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감는 힘보다 약하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감아 올리는 힘은 상기 전환과정에서부터 상기 나선 스프링(17a)의 저항력에 의해 감소되어 단지 현저하게 감소된 재포착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재포착력은 타이밍 부재로 작동하는 실리콘 브레이크(18a)의 제동력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13a)의 회전에 대한 구동력으로 사용되며, 상기 실리콘 브레이크(18a)는 반대적인 회전 측면에서 볼 때 자유 회전한다. 또한, 상기 분리망(1a)에 대한 재포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3a)의 회전중에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상기 회전방향에서 낙하하는 제어 윤곽부(23a)를 따라 작동함으로써 상기 플래카드 핀(14a)은 점차 상기 카운트 웜 내부의 베어링 수용부(17)로부터 뒤로 제어된다. 상기 컵 형태의 하우징 단면부(11a)내의 상기 돌출부의 후면 말단에는 시계바늘 반대방향에서 상기 플래카드 핀(14a)이 상기 하우징 단면부(11a)의 내벽 측면 모서리에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베어링 수용부(27) 영역내의 나선 홈으로부터 완전히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빗장(16a)의 카운트 핑거와 상기 코일 스프링은 다시 릴리스된다. 이와는 달리, 태엽으로서 상기 나선 스프링(17a)은 상기 개폐부재(13a)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다시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은 상기 분리망을 다시 감아올리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며, 이와는 달리, 상기 개폐부재(13a)의 고정에 의해 상기 타이밍 부재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a)의 카운트 웜(25)이 작동하여 상기 카운트 핑거가 외부 나선 경로에서 여러 번 회전할 수 있으며, 특히, 젖혀진 등받이에서 유리한데, 이는 여기서 매우 큰 망의 도출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운트 웜(25)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으며 휘어지는, 상기 카운트 핑거를 내부에 위치한 나선 경로로 계속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플랩 포인트(flap point)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와 관련이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분리장치를 형성하여 조작자가 상기 표면 구조물을 상기 수직의 보호위치로 보다 편리하게 확실히 이전할 수 있다.

Claims (7)

  1.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차량 고정장치에 연결되고 도출된 보호위치 사이의 카세트 하우징에 위치한 감기 회전축 위에서 감아 올리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된 가요성 표면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감기 회전축은 재포착 스프링장치에 의해 감아 올리는 방향에서 가동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포착 스프링장치(4, 17; 17a)의 감아 올리는 힘을 타이밍 부재(18, 18a)에 의하여 상기 표면 구조물(1, 1a)의 도출위치에서 시간적으로 제한하여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상기 타이밍 부재(18, 18a)에 의해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다시 연결하는 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포착 스프링장치(4, 17; 17a)는 상대적으로 강한 코일 스프링(4)과 상대적으로 약한 콤포트 스프링(comfort spring)(17, 17a)의 직렬 또는 병렬 회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회로에 의해 상기 감아 올려진 정지위치와 상기 도출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을 상기 도출위치에서부터 시간적으로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이 발생하며, 여기서 상기 타이밍 부재(18, 18a)가 상기 회로에 부착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약한 감아 올리는 힘의 작용이 소정의 시간으로 제한되며 상기 시간 경과후에 상기 상대적으로 강한 감아 올리는 힘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부재(18)는 상기 감아 올리는 방향에 반하여 프리 휠(free whee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점도 브레이크, 특히, 실리콘 브레이크(18)가 타이밍 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4)과 상기 콤포트 스프링(17)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장치(13, 6, 16, 22)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장치는 개폐부재(13, 13a)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치(齒)형 연결부(21)에 의하여 상기 타이밍 부재(18, 20)와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부재(18, 20)는 피니언(pinion)을 구비하는 회전부재로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감기 회전축(3)의 회전축과 편심방향으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3)는 상기 감기 회전축과 동축방향으로 제한되어 회전 가동하게 위치하며 그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단면은 주변 치(齒)형 연결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분리장치.
KR1020010068552A 2000-11-09 2001-11-05 자동차의 분리장치 KR20020036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6671.5 2000-11-09
DE10056671A DE10056671C1 (de) 2000-11-09 2000-11-09 Tren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708A true KR20020036708A (ko) 2002-05-16

Family

ID=766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552A KR20020036708A (ko) 2000-11-09 2001-11-05 자동차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15525B2 (ko)
EP (1) EP1205361B1 (ko)
JP (1) JP3895585B2 (ko)
KR (1) KR20020036708A (ko)
CN (1) CN1227123C (ko)
DE (2) DE1005667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526B1 (en) * 1996-12-06 2002-05-21 Baumeister & Ostler Gmbh & Co. Easy-to-use safety net device
US9702188B2 (en) * 2005-09-07 2017-07-11 Irvin Automotive Products, LLC Fixed motor spring shade
US8770256B2 (en) * 2005-09-07 2014-07-08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Fixed motor spring shade
DE102006001029B3 (de) * 2006-01-02 2007-05-3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24538A1 (de) * 2006-05-23 2007-11-29 Bos Gmbh & Co. Kg Rollo mit geräuschfreiem Spiralfederantrieb
US7779887B2 (en) * 2007-01-10 2010-08-24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Rotating end cap
US8672016B2 (en) * 2007-01-10 2014-03-18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Folding end cap
US7931177B2 (en) * 2007-08-14 2011-04-26 Bos Gmbh & Co. Kg Storage container for use in a boot
DE102007045037A1 (de) * 2007-09-13 2009-04-02 Bo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Kraftfahrzeug
US7591296B2 (en) * 2007-10-17 2009-09-22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Two piece removable end cap
DE102007058255B3 (de) * 2007-11-26 2009-07-02 Bos Gmbh & Co. Kg Staufach mit Tragrahmen und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Tragrahmen
CZ2008558A3 (cs) * 2008-09-11 2010-03-24 Škoda Auto a. s. Zádržný systém pro automobil
US8869870B2 (en) * 2010-03-01 2014-10-28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Sun shade motor spring assembly
KR101775155B1 (ko) * 2010-12-0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CN102606059B (zh) * 2011-01-24 2015-06-24 皇田工业股份有限公司 卷帘动力装置
US8302655B2 (en) * 2011-03-16 2012-11-06 Macauto Industrial Co., Ltd. Spring drive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8707595B2 (en) 2012-09-14 2014-04-29 Beau Steven Beemsterboer Retractor safety device
DE102013219416B3 (de) * 2013-09-26 2014-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deraumabdeckung
CN103978947A (zh) * 2014-04-24 2014-08-13 昆山皇田汽车配件工业有限公司 一种卷收物料展开定位的安全机构
CN104827980A (zh) * 2014-12-19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遮挡帘和车辆
DE102016116775C5 (de) * 2016-09-07 2023-07-13 Macauto Industrial Co., Ltd. Laderaumtrennnetz mit Auszugsbegrenz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324A (en) * 1994-01-19 1995-08-01 Newell Operating Company Shade with variable load braking and lift assist
DE19643691C2 (de) * 1996-10-23 2000-03-23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US6390526B1 (en) * 1996-12-06 2002-05-21 Baumeister & Ostler Gmbh & Co. Easy-to-use safety net device
DE19708192C5 (de) * 1997-02-28 2006-08-03 Bos Gmbh & Co. Kg Laderaum-Trennvorrichtung für Kraftwagen, insbesondere für Kombinations-Personenkraftwagen
EP0914989B1 (de) * 1997-11-10 2004-01-02 BOS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Laderaumtrennvorrichtung für Kombinations-Personenkraftwagen od. dgl
US6086133A (en) * 1998-04-06 2000-07-11 Alonso; Miguel Vehicle window shade arrangement
DE19927384C1 (de) * 1999-06-16 2000-12-07 Bos Gmbh Trenneinrichtung mit variabler Rückzugsk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5361A2 (de) 2002-05-15
EP1205361A3 (de) 2003-11-19
DE50114330D1 (de) 2008-10-30
DE10056671C1 (de) 2002-06-06
CN1353059A (zh) 2002-06-12
US6715525B2 (en) 2004-04-06
JP2002193041A (ja) 2002-07-10
EP1205361B1 (de) 2008-09-17
US20020053407A1 (en) 2002-05-09
CN1227123C (zh) 2005-11-16
JP3895585B2 (ja)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6708A (ko) 자동차의 분리장치
CN111295494B (zh) 用于机动车门的把手装置
US5769345A (en) Seat belt retractor
US6598921B2 (en) Protective device for securing the storage space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JP2008081110A (ja) ばねモータ及び減少された駆動力を有する巻上げシェード駆動部
JP2001010410A (ja) 自動車荷物室用分離装置
WO2007030514A2 (en) Multifunction sea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H0396500A (ja) 開拡可能な太陽電池装置用のロック装置
US20070164581A1 (en) Prot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EP0046949B1 (en) A torque-adjusting device for use in a roller blind
US10734169B2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circuit breaker
WO1998032635A1 (en) A safety device in a motor vehicle
JP464163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4006664B2 (ja) 速度調整式ぜんまいユニット
JP4817033B2 (ja) 切換え可能なばね装置を有するベルト巻き付けローラ
JPH09226518A (ja) リトラクタ噛み合い機構
JPH0558208A (ja) ウオークイン機構付シート
KR20150115892A (ko) 2-스프링 컴포트 기능을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EP1886869A1 (en) Holder for utensils and holding segment for a holder of this type
JPH03279059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CN219548689U (zh) 一种翻转机构
JP2000108846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46131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EP1491713A1 (fr) Engrenage à roue et vis sans fin tangente pour volet roulant
GB2199065A (en) Roller bli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