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321A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36321A KR20020036321A KR1020000066458A KR20000066458A KR20020036321A KR 20020036321 A KR20020036321 A KR 20020036321A KR 1020000066458 A KR1020000066458 A KR 1020000066458A KR 20000066458 A KR20000066458 A KR 20000066458A KR 20020036321 A KR20020036321 A KR 200200363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member
- leaf spring
- wheel suspension
- axle
- front whe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서 전방 판스프링부재와 후방 판스프링부재가 각각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 전1차축 내지 전2차축중 어느 한 곳으로만 집중적으로 차체의 하중 내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련부품의 내구성과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을 각각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상에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를 매개로 장착하는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0)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재(26)를 매개로 지지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를 각각 상호 교번적으로 연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 있어, 전방 판스프링부재와 후방 판스프링부재 사이를 연동되게 하여 주행중 전/후방 판스프링부재 사이의 높이차로 인해 발생되는 하중의 고른 분산과 지면에 대한 안정된 접지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아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상기 섀시 스프링은 승용차의 경우에는 대부분 코일스프링이지만, 중형 이상의 상용차에서는 주로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형 이상의 대형 상용차의 경우에 있어, 전륜 현가장치가 2축식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상에서 차체를 따라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가 각각 전/후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는 각각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상에 마운팅 브라켓(16)을 매개로 고정되는 데, 이 마운팅 브라켓(16)은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를 각각 사이드 프레임(10)상에 개별적으로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상에는 전1차축(18)이 결합되고,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상에는 전2차축(20)이 결합되며,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상에는 각각 타이어(도시안됨)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상에는 각각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10)과의 사이로 스테빌라이저 바아(22)와 쇽 업소버(2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2축식 전륜 현가장치는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이 각각 독립된 판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상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2축식 전륜 현가장치를 구비한 상용차가 주행중 노면이 요철진 부위나 함몰된 부위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전1차축(18)상에 장착되는 타이어가 먼저 노면상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전2차축(20)상에 장착되는 타이어는 노면과 이격되거나, 상기 전1차축(18)에 장착된 타이어에 비해 차체로부터 하중을 덜 받게 된다.
이는, 대형 상용차에 있어,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으로 이루어진 2축식 전륜 현가장치의 전 부위에 고르게 전달되지 않고, 하나의 차축에 집중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서 2개의 축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만이 상호간의 높이차로 인해 차체로부터 집중적인 하중을 받게 되면, 전륜 현가장치의 판스프링이 가지는 능력이상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결과가 되어, 차축이나 판스프링의 내구성이 단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륜 현가장치의 설계시 판스프링에 대한 하중용량을 과다하게 책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서 전1차축(18)과 전2차축(20)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용차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해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서 전방 판스프링부재와 후방 판스프링부재가 각각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 전1차축 내지 전2차축중 어느 한 곳으로만 집중적으로 차체의 하중 내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련부품의 내구성과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1차축과 전2차축을 각각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상에 전방 판스프링부재와 후방 판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장착하는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의 전방부위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재를 매개로 지지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의 전방부위를 각각 상호 교번적으로 연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2축식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축식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사이드프레임12-전방 판스프링부재
14-후방 판스프링부재16-마운팅 브라켓
18-전1차축20-전2차축
22-스테빌라이저 바아24-쇽 업소버
26-회동부재28-제1연결로드
30-제2연결로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축식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인 바, 종래 2축식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를 도시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현가장치가 2축식인 중형 이상의 대형 상용차에 해당되는 것인 바, 차량의 좌/우측에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가 각각 마운팅 브라켓(16)을 매개로 전/후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상에는 전1차축(18)이 결합되고,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상에는 전2차축(20)이 결합되며,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상에는 각각 타이어(도시안됨)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상에는 각각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10)과의 사이로 스테빌라이저 바아(22)와 쇽 업소버(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는 각각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에 대해 상하로 교번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 사이에는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6)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회동부재(26)는 이의 중앙부위가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상에 회동축(26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동부재(26)의 전방부위와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 사이에는 제1연결로드(28)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26)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 사이에는 제2연결로드(30)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회동부재(26)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는 각각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후방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26)의 중앙부위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0)상에 회동축(26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2축식 전륜 현가장치는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이 각각 독립된 판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상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는 각각 회동부재(26)를 매개로 상호 연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2축식 전륜 현가장치를 구비한 상용차가 주행중 노면이 요철진 부위나 함몰된 부위를 통과할 경우에 있어, 상기 전1차축(18)상에 장착된 타이어가 돌출된 노면에 의해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에 인접한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가 상승하게 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1연결로드(28)가 상승하게 되고, 이 제1연결로드(28)의 상승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6)는 회동축(26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 회동부재(26)의 회동에 따라 제1연결로드(28)와 대향된 측에 설치된 제2연결로드(30)는 지면을 향해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이 제2연결로드(30)와 결합된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는 지면을 향한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에 각각 장착된 타이어는 노면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지면과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은 동시에 차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전달받아 이를 지지할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있어, 지면을 향해 하강하는 상기 제2연결로드(30)는 상대적으로 노면으로부터 하중을 덜 받는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에 가압력을 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는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동일하게 노면으로부터 하중을 동시에 받는 효과를 얻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는 각각 부재가 지닌 탄성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에 대한 감쇠작용을 보다 많이 할 수 있게 되어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에 의하면, 2축식 전륜 현가장치를 구비한 상용차에서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을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가 각각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6)와 제1연결로드(28)와 제2연결로드(30)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노면이 요철진 부위나 함몰된 부위를 통과할 때 상기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은 동시에 노면과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에는 차체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고,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도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가 동시에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2축식 전륜 현가장치가 구성되면, 차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축이나 판스프링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고, 상기 2축식 전륜 현가장치의 설계시 판스프링에 대한 하중용량을 과다하게 책정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2)
- 전1차축(18)과 전2차축(20)을 각각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상에 전방 판스프링부재(12)와 후방 판스프링부재(14)를 매개로 장착하는 2축식 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0)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재(26)를 매개로 지지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를 각각 상호 교번적으로 연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부재(26)는 회동축(26a)을 매개로 사이드프레임(10)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동부재(26)의 전방에는 제1연결로드(28)가 상기 전방 판스프링부재(12)의 후방부위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26)의 후방에는 제2연결로드(30)가 상기 후방 판스프링부재(14)의 전방부위와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6458A KR20020036321A (ko) | 2000-11-09 | 2000-11-09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6458A KR20020036321A (ko) | 2000-11-09 | 2000-11-09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6321A true KR20020036321A (ko) | 2002-05-16 |
Family
ID=1969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6458A KR20020036321A (ko) | 2000-11-09 | 2000-11-09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3632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3345A (ko) * | 2000-12-27 | 2002-07-05 | 이계안 | 차량의 링크식 평행장치 |
-
2000
- 2000-11-09 KR KR1020000066458A patent/KR200200363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3345A (ko) * | 2000-12-27 | 2002-07-05 | 이계안 | 차량의 링크식 평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08035B1 (en) | Tandem rear axle suspensions for trucks and truck-tractors | |
US8590909B2 (en) | Wheelie bar for leaf spring equipped cars | |
US4061361A (en) | Vehicle suspensions | |
EP1309461B1 (en) | Arrangement for wheel suspension | |
KR101529002B1 (ko) |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 |
JP3284494B2 (ja) |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 |
KR20020036321A (ko)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
JPH11151922A (ja) | 車軸の懸架装置 | |
KR100316892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 |
KR100211573B1 (ko) |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링크 | |
KR200300862Y1 (ko) |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 |
KR100211571B1 (ko) | 다이어프램을 갖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 |
KR200260362Y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KR200153093Y1 (ko) | 원터치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링크 | |
KR200153092Y1 (ko) |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컨넥팅 로드의 체결구조 | |
KR19980024176U (ko) |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 |
KR100192281B1 (ko) | 대형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구조 | |
KR19980038190U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20020030205A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 | |
KR19980054331U (ko) | 차축 현가 장치 | |
KR19980049070A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20030000865A (ko) |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 |
KR19980054484U (ko) | 뒤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 |
KR19980054485U (ko) | 뒤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 |
WO2006010274A1 (en) | Apparatus for mounting wheels to a vehicle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