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02B1 -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002B1
KR101529002B1 KR1020140017869A KR20140017869A KR101529002B1 KR 101529002 B1 KR101529002 B1 KR 101529002B1 KR 1020140017869 A KR1020140017869 A KR 1020140017869A KR 20140017869 A KR20140017869 A KR 20140017869A KR 101529002 B1 KR101529002 B1 KR 10152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spension system
members
present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계동
Original Assignee
손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계동 filed Critical 손계동
Priority to KR102014001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량 및 화물차량 등에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의 거동제어 특성을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시 진동에 의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여 뛰어난 승차감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중앙부와 양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동 부재; 상기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 각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체의 양측 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회동 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SUSPENSION SYSTEM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량 및 화물차량 등에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의 거동제어 특성을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시 진동에 의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여 뛰어난 승차감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suspension) 시스템('현가장치'라고도 함)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동차의 바퀴로부터 전달된 노면에서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크게 프런트 서스펜션(Front suspension)와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로 분류되며, 그 중 리어 서스펜션에는 보통 3 내지 5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액슬의 위치를 결정하는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이 차종에 따라 적용되기도 한다.
통상 차량에 있어서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본적인 서스펜션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요철 노면 주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데 한계가 따르며, 특히 상대적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량, 예를 들면 다인승 차량이나 SUV 차량의 경우에는 그 문제점은 가중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링크를 사용하여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과, 차체의 진동을 이상적인 기구학적 운동으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멀티 링크타입(Multi-Link Type) 서스펜션 시스템이 개발되어 양산 차량에 적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서스펜션시스템을 구조 또는 구성이 복잡해지고,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61306호(1998.10.07)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023호(2011.02.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거듭한 연구 결과 승용차량 및 화물차량 등 모든 차량 상태나 특성에 따라 달리하는 서스펜션시스템을 보조하도록 채용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의 거동제어 특성을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요철도로 주행시나 코너링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여 뛰어난 승차감을 제공하며,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의 안정적 지지를 도모하여 더욱 안정된 승차감과 주행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차량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중앙부와 양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동 부재; 상기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 각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체의 양측 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회동 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단면 'ㄷ'자형 몸체부와, 상기 U자형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판형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부재는 고정 브라켓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중앙 베어링과, 상기 중앙 베어링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베어링 및 상기 중앙 베어링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장방형 회동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차체에 연결 브라켓 부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베어링부, 및 일단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를 통해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2 이상의 다중 분할 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할 샤프트 부재 중 적어도 한 쌍의 이웃하는 분할 샤프트 부재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끼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간을 연결하는 보조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차량의 배면 측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 가장자리부에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회동 부재; 상기 좌우 회동 부재 각각의 일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 상기 좌우 회동 부재 각각의 타단부 간을 연결하면서 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 각각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회동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 부재는 고정 브라켓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중앙 베어링과, 상기 중앙 베어링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베어링 및 상기 중앙 베어링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장방형 회동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V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중앙 베어링을 기준으로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이 구비된 단부의 중심축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베어링부가 연결 브라켓 부재를 통해 상기 회동 부재와 장착 브라켓 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는 단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몸체부와,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 부재의 베어링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2 이상의 다중 분할 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할 샤프트 부재 중 적어도 한 쌍의 이웃하는 분할 샤프트 부재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 부재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상태나 특성이 다른 모든 서스펜션 시스템을 보조하도록 채용될 수 있으며, 서스펜션을 구비하지 않은 차량이라도 액슬 등을 포함한 차량이라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의 거동제어 특성을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차량 또는 요철도로 주행시나 코너링 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여 뛰어난 승차감을 제공하며,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의 안정적 지지를 도모하여 더욱 안정된 승차감과 주행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시제작하여 차량에 설치하여 설치 전후 상태를 비교해 본바, 차량의 코너링시 관성에 의한 밀리는 감을 줄여 부드러운 코너링을 제공할 수 있고, 제동 시 앞 쏠림 현상이 줄어들고,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착지 충격이 현저히 감소되며, 액슬 구비 차량의 경우 액슬 측(후륜 측)을 견고히 잡아줌으로써 후방 안정감을 증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차량의 기본적인 서스펜션시스템과 연동 됨으로써 차체의 충격 완화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차량에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 보조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는 액슬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화물차량이나 SUV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의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는, 차량의 서스펜션 측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100);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중앙부와 양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 부재(제1 내지 제3 회동 부재)(200);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회동 부재(제1 및 제3 회동부재)(200)의 일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체의 양측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300); 및 일단부는 상기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200)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는 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양단부가 액슬(A)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단면 'ㄷ'자형이나 U자형 몸체부(110)와, 상기 U자형 몸체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판형 고정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몸체부(110)가 U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기어어셈블리를 수용한 액슬의 디퍼렌셜 하우징이 액슬 샤프트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볼록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액슬의 배치 공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 부재(200)는 고정 브라켓 부재(100)에 연결 고정되는 중앙 베어링과, 상기 중앙 베어링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베어링 및 상기 중앙 베어링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장방형 회동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300)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의 각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브라켓 부재(미도시)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베어링부(310), 및 일단부는 상기 베어링부(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330)를 통해 회동 부재(20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샤프트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양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나란히 배치되는 회동 부재(20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33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단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몸체부와,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 부재(200)의 베어링(하부 베어링)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330)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300)는 2 이상의 다중 분할 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할 샤프트 부재 중 적어도 한 쌍의 이웃하는 분할 샤프트 부재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나사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설치될 차량의 차폭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최적의 긴장/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400)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400)는 일단부가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 중 하나의 회동 부재(2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1 완충 부재, 및 일단부가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 중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2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 부재(400)가 회동 부재(200)에 연결됨에 있어 상기한 연결 브라켓 부재(330)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완충 부재(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를 중심으로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200) 각각에 연결됨에 있어 하나의 완충부재는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와 일측 가장자리 회동 부재(200)의 동일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완충부재는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와 타측 가장자리 회동 부재(200)의 다른 단부(대각선으로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는, 보조 완충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변형 예는, 차량의 서스펜션 측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100);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중앙부와 양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 부재(제1 내지 제3 회동 부재)(200);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00)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회동 부재(제1 및 제3 회동부재)(200)의 일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체의 양측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300); 일단부는 상기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200)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회동 부재(20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400); 및 상기 회동 부재(200)가 위치되는 반대쪽의 고정 브라켓 이면 측에 위치되고,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끼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간을 연결하는 보조 완충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완충 부재(50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완충 부재(400)의 구성과 사이즈에서만 다를 뿐 기본적으로 그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동작을 보면, 차량 운행 시 요철 도로나 코너링에 의하여 예를 들어 우쏠림이나 좌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우측과 좌측에 위치하는 완충 부재는 신축 및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 부재가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연결 샤프트 부재는 이와 연동하면서 이들의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한다.
이때, 완충 부재 각각은 완충 동작과 연결 브라켓 부재의 회동 동작에 의한 충격 흡수를 동시에 발휘하여 뛰어난 완충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400)의 수축과 인장은 회동 부재(200)가 그의 중심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회동 부재(200)의 회동 동작은 차체의 쏠림에 따라 각각의 회동 방향으로 완충 부재(400)와 연동하여 작용하고, 또한 이에 더하여 양 가장자리에서 대칭되게 배치되는 연결되는 샤프트 부재(300)를 통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완충 부재의 완충 동작의 완충 부하는 경감되고 좌우 균형있는 동작 특성을 제공하게 되어 더욱 뛰어나고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예의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에서는 보조 완충부재(500)가 구비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보조적으로 더욱 완충시키고, 앞서 설명한 회동 부재(200)와 연결 샤프트 부재(300) 그리고 완충 부재(400)의 연동 동작을 신뢰성 있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 보조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차량에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는, 차량의 배면 측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600);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600)의 양 가장자리부에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회동 부재(좌우 회동 부재)(700); 상기 좌우 회동 부재(700) 각각의 일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800); 상기 좌우 회동 부재(700) 각각의 타단부 간을 연결하면서 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완충 부재(900); 및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800) 각각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 부재(10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600)는 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략 "ㄱ"자형태로 형성되는, 즉 상부 측이 차체(구체적으로, 차체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610), 및 상기 고정부(610)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회동부재 고정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부재(700)는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600)에 연결 고정되는 중앙 베어링과, 상기 중앙 베어링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베어링 및 상기 중앙 베어링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장방형 회동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 부재(700)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V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동 부재(700)는 중앙 베어링을 기준으로 해서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이 구비된 단부의 중심축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800)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800)는 베어링부가 연결 브라켓 부재(810)를 통해 각각 회동 부재(700)와 장착 브라켓 부재(100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81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단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몸체부와,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 부재(700)의 베어링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810)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800)는 2 이상의 다중 분할 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설치될 차량의 차폭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최적의 긴장/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0)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80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의 각 타단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결합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 부재(1000)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8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차량 운행시 요철 도로나 코너링에 의하여 예를 들어 우쏠림이나 좌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하는 완충 부재는 수축 및 신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연결 샤프트 부재는 이와 연동하면서 동작하게 되며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완충 부재 각각은 완충 동작과 연결 브라켓 부재의 회동 동작에 의한 충격 흡수를 동시에 발휘하여 뛰어난 완충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900)의 수축과 인장은 회동 부재(700)가 그의 중심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회동 부재(700)의 회동 동작은 차체의 쏠림에 따라 각각의 회동 방향으로 완충 부재(900)와 연동하여 작용하고, 또한 이에 더하여 양 가장자리에서 대칭되게 배치되는 연결되는 샤프트 부재(800)를 통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완충 부재의 완충 동작의 완충 부하는 경감되고 좌우 균형있는 동작 특성을 제공하게 되어 더욱 뛰어나고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상태나 특성이 다른 모든 서스펜션 시스템을 보조하도록 채용될 수 있으며, 서스펜션을 구비하지 않은 차량이라도 액슬 등을 포함한 차량이라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의 거동제어 특성을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차량 또는 요철도로 주행시나 코너링 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여 뛰어난 승차감을 제공하며,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의 안정적 지지를 도모하여 더욱 안정된 승차감과 주행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 보조 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600: 고정 브라켓 부재
200, 700: 회동 부재
300, 800: 연결 샤프트 부재
330, 810: 연결 브라켓 부재
400, 900: 완충 부재
500: 보조 완충 부재
1000: 장착 브라켓 부재

Claims (12)

  1. 차량 자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중앙부와 양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동 부재;
    상기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 각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체의 양측 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양 가장자리의 회동 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회동 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양 가장자리부의 회동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끼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간을 연결하는 보조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단면 'U'자형 몸체부와, 상기 U자형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판형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부재는 고정 브라켓 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중앙 베어링과, 상기 중앙 베어링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베어링 및 상기 중앙 베어링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장방형 회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차체에 연결 브라켓 부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베어링부, 및 일단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 부재를 통해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 부재는 2 이상의 다중 분할 샤프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할 샤프트 부재 중 적어도 한 쌍의 이웃하는 분할 샤프트 부재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17869A 2014-02-17 2014-02-17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KR10152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69A KR101529002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69A KR101529002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002B1 true KR101529002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69A KR101529002B1 (ko) 2014-02-17 2014-02-17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0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430B1 (ko) 2018-01-06 2019-04-18 손계동 상하 및 코너링 승차감을 향상시킨 차량 서스펜션 보조장치
KR20200004624A (ko) * 2018-07-04 2020-01-14 알앤더스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언더 브레이스 바
KR102240958B1 (ko) 2019-12-23 2021-04-15 손계동 주행안정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한 차량 로어암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106U (ko) * 1988-01-26 1989-07-27
JPH1178455A (ja) * 1997-09-17 1999-03-23 Yamakawa Ind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
JP2006306329A (ja) * 2005-04-28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331413A (ja) * 2006-06-12 2007-12-27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106U (ko) * 1988-01-26 1989-07-27
JPH1178455A (ja) * 1997-09-17 1999-03-23 Yamakawa Ind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
JP2006306329A (ja) * 2005-04-28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331413A (ja) * 2006-06-12 2007-12-27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430B1 (ko) 2018-01-06 2019-04-18 손계동 상하 및 코너링 승차감을 향상시킨 차량 서스펜션 보조장치
KR20200004624A (ko) * 2018-07-04 2020-01-14 알앤더스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언더 브레이스 바
KR102113145B1 (ko) 2018-07-04 2020-05-21 알앤더스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언더 브레이스 바
KR102240958B1 (ko) 2019-12-23 2021-04-15 손계동 주행안정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한 차량 로어암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999B2 (en) Vehicular torsion bar suspension device
KR101529002B1 (ko)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KR101640680B1 (ko)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KR20170116912A (ko) 차량 서스펜션 보조장치
JP3284494B2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KR20090051499A (ko) 분리형 커플드 토션 빔 타입 차량용 현가 장치
CN101941468A (zh) 一种驾驶室悬浮装置
JP4887235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アクスルユニット構造
KR100947386B1 (ko) 차량용 가변 롤 제어 장치
KR101970430B1 (ko) 상하 및 코너링 승차감을 향상시킨 차량 서스펜션 보조장치
KR102673718B1 (ko) 판스프링 구비의 서스펜션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
KR20170121730A (ko) 차량 서스펜션 보조장치
KR102240958B1 (ko) 주행안정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한 차량 로어암 제어 장치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KR20070032591A (ko) 리프 스프링 장치
JPH1142917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0316889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1689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100957161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50665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100507470B1 (ko) 차량용 안티 롤 장치
JP2006232160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
JP2002538046A (ja) 自動車用後車軸
KR20020036321A (ko)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