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790A -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790A
KR20020033790A KR1020027003187A KR20027003187A KR20020033790A KR 20020033790 A KR20020033790 A KR 20020033790A KR 1020027003187 A KR1020027003187 A KR 1020027003187A KR 20027003187 A KR20027003187 A KR 20027003187A KR 20020033790 A KR20020033790 A KR 2002003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hange
priority
stat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113B1 (ko
Inventor
이바라키히사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제어부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및 종류를 판정하고,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에 자기의 전자기기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의 정보를 부여한다.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는 자기의 전자기기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 조작의 허가 또는 금지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에 설정한다.

Description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자기기{PRIORITY DETERMINATION APPARATUS, PRIORITY DETERMINATION METHOD, AND PRIORITY DETERMINATION PROGRAM}
최근, 음성 인식 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기능을 탑재한 전자기기로는, 텔레비전 수상기, VTR(Video Tape Recoder),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Digital Versatile Disc Player),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비디오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도 18은 음성 인식 장치를 탑재하는 종래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전자기기(900)는 음성 인식 장치(950), 전자기기 제어부(906) 및 전자기기 기능부(907)로 구성된다.
음성 인식 장치(950)는, 전자기기(900)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지령에 근거하여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906)로 출력한다. 또한, 전자기기(900)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인식 장치(950)는 음성에 의한 지령이 있었던 경우에도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906)로 출력하지 않는다.
음성 인식 장치(950)는 음성 명령 입력부(901), 음성 인식부(902), 통신 제어부(903),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 및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로 구성된다.
음성 명령 입력부(901)는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지며, 음성을 음성 신호로서 음성 인식부(902)에 입력한다.
음성 인식부(902)는 입력된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 사전을 검색해서, 음성 신호에 의한 지령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지령 신호로서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로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903)는 통신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900)가 음성 인식 조작을 동작시키지 않는 설정을 행하는 경우, 다른 전자기기의 통신 제어부(908)로부터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신호를 수취하여, 해당 신호를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로 출력한다.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는 수동 조작 또는 통신 제어부(903)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 조작의 금지 또는 허가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에 설정한다.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는 메모리 및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 및 음성 인식부(902),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에 의해 부여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에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는 음성 인식부(902)에 의해 부여된 지령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부(906)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904)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905)는 음성 인식부(902)에 의해 지령이 부여되어도 전자기기 제어부(906)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전자기기 제어부(906)는 수동 조작 또는 음성 인식 장치(950)의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지령 신호를 수취하고, 전자기기 기능부(907)를 제어한다.
전자기기 기능부(907)는 전자기기 제어부(906)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기(900) 본래의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전자기기(900)가 텔레비전 수상기인 경우, 전자기기(900) 본래의 기능이란 전원의 투입 및 절단, 텔레비전 신호의 수신, 수신 채널의 선국, 영상의 표시, 음성의 출력 등을 말한다. 따라서, 전자기기(900)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전자기기(900) 본래의 기능은 특정된다.
본 발명은 접속된 전자기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및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비한 4종류의 전자기기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통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접속 상태의 인식 및 우선 순위 판정에 대한 처리의 흐름 개요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4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4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9는 실시예 2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비한 4종류의 전자기기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통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전원 상태의 인식 및 우선 순위 판정에 대한 처리의 흐름 개요도,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4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각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4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각 전자기기의 전원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실시예 2에서의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15는 실시예 2에서의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을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16은 실시예 2에서의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 2에서의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
도 18은 실시예 2에서의 음성 인식 장치를 탑재하는 종래의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상태의 변화 시에, 접속된 전자기기 상호간에서의 우선 순위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및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상태의 변화 시에, 접속된 전자기기 상호간에서의 우선 순위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및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로서,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조작 허가 금지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장치에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가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自己)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다. 판별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판별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식별 수단은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판별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통신 수단에 의해, 자기의 식별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조작부는 기억 수단에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가져도 관계없다.
이 경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 수단과,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조작 허가 금지 수단을 더 구비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을 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가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다. 판별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판별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식별 수단은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판별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통신 수단에 의해, 자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조작부는 음성 인식 조작을 행하는 음성 인식 조작부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에 의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결정된 전자기기의 음성 인식 조작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 수단과,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판별 수단에 의해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조작 허가 금지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가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다. 판별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판별 수단에 의해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서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식별 수단은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며,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판별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통신 수단에 의해, 자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장치는,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조작부는 기억 수단에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조작부는 음성 인식 조작을 행하는 음성 인식 조작부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에 의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결정된 전자기기의 음성 인식 조작을 이용하여,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으로서,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가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서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식별하는 단계는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별하는 단계는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자기의 식별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조작부는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해도 관계없다.
이 경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으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단계를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가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식별하는 단계는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며,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자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은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조작부는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 내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와,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처리와,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와,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처리를,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가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식별하는 처리는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판별하는 처리는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해도 관계없다.
이 경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자기의 식별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처리를 더 구비하고, 조작부는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 내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으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와,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처리와,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와,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처리를,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검출되면,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가 식별된다.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조작부의 조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식별하는 처리는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며,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판별하는 처리는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 자기의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가 비교됨으로써, 자기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면, 식별 정보 및 전원 정보의 통신 및 비교에 의해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가 판별된다.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처리를 더 구비하고, 조작부는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가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화시킨 경우에,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다른 전자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태에서 소정의 기능에서의 우선 순위를정할 수 있는 고유 번호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태에서 고유 번호에 의해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상호의 존재가 인식되고, 또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가 판별되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이 허가되고,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부의 조작은 금지된다.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에 자동적으로 전자기기의 최고 우선 순위가 판별되므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번잡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비한 4종류의 전자기기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2종류의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4개의 전자기기는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에서, 제 1 전자기기 C(이하, 기기 C라고 칭함)는 음성 인식 장치(150),전자기기 제어부(106) 및 전자기기 기능부(107)로 구성된다.
음성 인식 장치(150)는, 기기 C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지령에 근거하여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또한, 해당 기기 C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인식 장치(150)는 음성에 의한 지령이 있었던 경우에도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로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 음성 인식 장치(15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시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상호간에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한다.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인식 장치(150)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음성 인식부(102), 통신 제어부(103),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 및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부(103)가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성한다.
음성 명령 입력부(101)는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음성을 음성 신호로서 음성 인식부(102)에 입력한다.
음성 인식부(102)는 입력된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 사전을 검색해서, 음성 신호에 의한 지령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지령 신호로서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103)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및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각종 동작을 행한다. 또, 여기서, 다른 전자기기란 제 2 전자기기 X, 제 3 전자기기 B 및제 4 전자기기 A이다. 통신 제어부(103)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해당 기기 C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의 정보를 부여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3)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시에 다른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부터 인가되는 지령 신호를, 다른 기기로 출력한다.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는 수동 조작 또는 통신 제어부(103)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 조작의 금지 또는 허가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에 설정한다.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는 메모리 및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는 통신 제어부(103)에 의해 인가되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 및 음성 인식부(102),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 및 통신 제어부(103)에 의해 부여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동작을 행한다. 이것으로부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는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자기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는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부여된 지령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부(106)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는,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부여된 지령에 근거하여 통신 제어부(103)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 통신 제어부(103)를 거쳐서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한다.
한편,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이 금지되어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는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지령이 부여되어도 전자기기 제어부(106)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전자기기 제어부(106)는 수동 조작 또는 음성 인식 장치(150)의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지령 신호를 수취하고, 전자기기 기능부(107)를 제어한다.
전자기기 기능부(107)는 전자기기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기기 C 본래의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기기 C가 텔레비전 수상기인 경우, 기기 C 본래의 기능이란, 전원의 투입 및 절단, 텔레비전 신호의 수신, 수신 채널의 선국, 영상의 표시, 음성의 출력 등을 말한다. 따라서, 해당 기기 C가 어떤 것인지에 의해 기기 C 본래의 기능은 특정된다.
도 2는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통신 제어부(103)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통신 제어부(1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2), 마이크로컴퓨터(803), 메모리(804) 및 비교 레지스터(805)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는 다른 전자기기(801)와 케이블, 적외선 통신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접속 또는 절단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803)로 출력한다. 여기서, 다른 전자기기(801)는 도 1의 제 2 전자기기 X, 제 3 전자기기 B 및 제 4 전자기기 A에 상당한다.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다른 전자기기(801)와의 접속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메모리에는, 도 6 내지 도 8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804)는 다른 전자기기(801)로부터 송신되는 ID(식별) 번호를 기억한다. 비교 레지스터(805)는 ID 번호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2 전자기기 X(이하, 기기 X라고 칭함)의 구성 및 동작은 기기 C의 구성 및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기기 X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은 기기 C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과 다르다. 예컨대, 기기 X 본래의 기능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인 경우에는, 전자기기 기능부(107)는 비디오 테이프의 녹화 및 재생 등의 기능을 갖는다.
제 3 전자기기 B(이하, 기기 B라고 칭함) 및 제 4 전자기기 A(이하, 기기 A라고 칭함)의 구성 및 동작도 기기 C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기기 B, A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은 기기 C, X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과 다르다.
여기서, 접속 상태의 인식 및 우선 순위 판정에 대한 처리의 흐름 개요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에서 접속 상태가 변화한 경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흐름의 개요는 전자기기 사이에서 모든 접속 상태의 변화에 적용된다.
우선, 접속 상태의 변화에 따라 서로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서 통신 처리가 자동적으로 개시된다(단계 SF1). 그에 따라, 음성 인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정보 및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하여 상호의 통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각 전자기기는 통신해야 하는 전자기기가 아직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2). 단계 SF1의 전자기기간 통신 처리 및 단계 SF2의 접속 기기 판정 처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각 전자기기가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음성 인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각 전자기기는 단계 SF1, SF2에서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 순위를 판정한다(단계 SF3). 여기서, 각 전자기기는 자기가 최고 우선 순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에 따라, 접속된 복수의 전자기기는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하나의 전자기기와, 그 밖의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로 나누어진다.
이어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는, 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F4). 이 경우, 통신 제어부(103)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최고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및 음성 인식부(102)에 의한 음성 인식 조작을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에 허가한다.
한편,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는 비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F5). 이 경우, 통신 제어부(103)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비최고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및 음성 인식부(102)에 의한 음성 인식 조작을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에 금지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로 접속된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를 마스터라고 칭하고,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를 슬레이브라고 칭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낸 4 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기기 A, 기기 B 및 기기 C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기 X가 기기 C에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기기 A, 기기 B, 기기 C 및 기기 X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기 X가 비접속으로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접속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하에,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와 하나의 전자기기가 비접속으로 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여기서, 기기 A, B, C, X에는, 각각 ID 번호 IDa, IDb, IDc, IDx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ID 번호 IDa, IDb, IDc, IDx 값의 크기에 의해 기기 A, B, C, X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에서는, ID 번호의 값은 IDa>IDb>IDc>IDx의 관계를 갖고, 기기 A, B, C, X의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한다. 또, 각 기기의 우선 순위가 정해지는 방법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의 기기에 할당되어 있는 고유 번호의 일부를 사용하거나, 각 고유 번호의전부 또는 일부를 연산 등으로 처리한 결과에 근거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에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즉, 기기 A, B, C가 접속된 상태에서 새롭게 기기 X가 기기 C에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접속 상태가 변화하기 전에는 기기 A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다.
기기 C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02)에 다른 기기 X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의 마이크로컴퓨터(803)가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지한다(단계 S1).
그에 따라,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다른 기기 B, X로 송신한다(단계 S2). 여기서,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란, 각 기기의 통신 제어부(103) 내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셋하기 위한 신호이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를 설정한다(단계 S3). 기기 X의 접속 전에는, 기기 A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 IDa가 설정되어 있다.
그 후,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c를 다른 기기 B, X로 송신한다(단계 S4). 여기서, 순위 식별자는 우선 순위 부여를 위한 ID 번호를 송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기기 C는 기기 A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기 C는 기기 A로 직접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c를 송신할 수 없다.
그리고, 기기 C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5). 기기 X에서도, 단계 S1∼S5의 동작이 행해진다.
기기 C의 단계 S1∼S5의 동작 중에서의 기기 B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기기 B는 기기 C에 기기 X가 접속된 시점에서는,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지하지 않고(단계 S1), 통신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기기 B의 통신 처리는 기기 C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된다(단계 S11).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를 리셋한다.
또한,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수신한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A로 송신한다(단계 S12).
그 후,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b를 설정한다(단계(13)).
그리고,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순위 식별자 및 자기 ID 번호 IDb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A, C로 송신한다(단계 S14). 그 후, 기기 B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5). 기기 A에서도, 단계 S1, S1l 내지 S14, S5의 동작이 행해진다.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수신 대기 모드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B, X에서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b, IDx를 수신하면 (단계 S21), 메모리(804)에 수신한 다른 기기 B, X로부터의 ID 번호 IDb,IDx를 기억한다(단계 S22).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수신한 다른 기기 B, X로부터의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b, IDx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B, X에 송신한다(단계 S23).
상기 단계 S21∼S23을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한다(단계 S31). 이 경우, 기기 C는 직접 접속되지 않는 기기 A로부터의 ID 번호 IDa를 기기 B를 거쳐서 수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기 C의 메모리(804)에 다른 모든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가 기억된다.
기기 A, B, X에서도, 단계 S21∼S23의 동작이 반복된다. 그에 따라, 기기 A, B, X의 메모리(804)에 각각 다른 모든 기기의 ID 번호가 기억된다.
이상의 단계 S1∼S5, S21∼S23의 동작은 도 3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1의 전자기기간 통신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단계 S31은 도 3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2의 접속 기기 판정 처리에 상당한다.
또, 본 예에서는, 각 기기 A, B, C, X는, 우선,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단계 S2),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를 설정하며(단계 S3),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를 송신한(단계 S4) 후에, 다른 기기로부터의 ID 번호를 수신하고 있지만, 자기의 ID를 비교 레지스터에 설정하고 있을 때에 다른 기기로부터의 ID 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기기는 단계 S21∼S23의 동작을 행한 후에 단계 S3, S4의 동작을 행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ID번호와 메모리(804)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를 순차 비교한다(단계 S41). 최초의 상태에서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가 설정되어 있다.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가 비교 레지스터(805) 내의 ID 번호보다도 큰 경우에는,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를 설정한다(단계 S42). 본 예에서는,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4)에 ID 번호 IDc 대신에 ID 번호 IDa가 설정된다.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가 비교 레지스터(805) 내의 ID 번호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 레지스터(805)의 재설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ID 번호와 메모리(804)에 기억된 모든 ID 번호 IDa, IDb, IDx의 비교가 종료될 때까지, 단계 S41∼S42의 동작이 반복된다(단계 S43). 그 결과,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의 ID 번호가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기기 A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기기 A의 ID 번호 IDa가 설정된다.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ID 번호와 메모리(804)에 기억된 모든 ID 번호 IDa, IDb, IDx의 비교가 종료되면,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가 자기 ID 번호 IDc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4).
기기 A, B, X에서도, 단계 S41∼S44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에 따라, 기기 A, B,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기기 A의 ID 번호 IDa가 설정된다.
단계 S41∼S44의 동작이, 도 3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3의 우선 순위 판정 처리에 상당한다. 이 처리는 단계 S22에서 기억된 ID 번호의 메모리(804) 내에서의 검색 작업이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단계 S44에서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기를 슬레이브라고 인식하고, 슬레이브인 것을 기기 C 내의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로 출력한다(단계 S61).
이어서,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단계 S62).
한편,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단계 S44에서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를 마스터라고 인식하고, 마스터인 것을 기기 C 내의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로 출력한다(단계 S51).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단계 S52).
본 예에서는,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기기 A의 ID 번호 IDa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기 C는 슬레이브라고 인식된다.
기기 A, B, X에서도, 단계 S4l∼S44, S51, S52, S61, S62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에 따라, 기기 A는 마스터라고 인식되고, 기기 B, X는 슬레이브라고 인식된다.
단계 S51, S52의 동작은 도 3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4의 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단계 S61, S62의 동작은 도 3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5의 비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에 상당한다.
이상으로부터,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에서, 하나의 전자기기가 비접속으로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즉, 기기 A, B, C, X가 접속된 상태로 기기 C에서 기기 X가 비접속으로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접속 상태가 변화하기 전에는 기기 A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다.
기기 X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02)가 기기 C에서 비접속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기기 X의 통신 제어부(103)의 마이크로컴퓨터(803)가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지한다(단계 S1).
그에 따라,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다른 기기로 송신하는 동작을 행한다(단계 S2).
다음에,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기기 X)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기기 X) ID 번호 IDx를 설정한다(단계 S3). 기기 C에서의 비접속 전에는, 기기 A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기기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 IDa가 설정되어 있다.
그 후,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x를 다른 기기로 송신하는 동작을 행한다(단계 S4).
그리고, 기기 X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5).
기기 X는 단독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계 S2 및 단계 S4에서는, 다른 기기로의 송신 동작을 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기 X의 실 동작으로는, 단계 S1, 단계 S3 및 단계 S5만이 행해지고 있다.
기기 X의 단계 S1∼S5의 동작 중에서의 기기 C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기기 C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02)가 기기 X에서 비접속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의 마이크로컴퓨터(803)가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지한다(단계 S1).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단계 S2∼S5와 마찬가지이다.
기기 X의 단계 S1∼S5의 동작 중 기기 A, B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단계 S1, 단계 S11∼S14 및 단계 S5와 마찬가지이다.
기기 X는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계 S5의 동작 후,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수신 대기 모드에서 순위 식별자 및 다른 기기의 ID 번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래서, 기기 X는 일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31).
이 때, 다른 기기 A, B, C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에 나타낸 단계 S21∼S23의 동작을 행하고, 일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31).
기기 X는 단계 S31에서의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우선 순위를 판정한다. 즉, 기기 X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자기 ID 번호와 메모리(804)에 기억된 ID 번호를 비교한다(단계 S41). 여기서, 순위 식별자 및 다른 기기의 ID 번호를 수신하지 않고 있는 기기 X의 메모리(804)에는, ID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비교 대상이 없는 상태에서 기기 X의 비교 동작은 종료한다(단계 S43).
이 때, 기기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단계 S3에서 설정된 자기 ID 번호 IDx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ID 번호가 자기 ID 번호 IDx와 동일하다고 판별한다(단계 S44).
이 때, 다른 기기 A, B, C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에 나타낸 단계 S41∼S44의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단계 S43에서, 기기 A, B, C의 각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기기 A의 ID 번호 IDa가 설정되어 있다.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단계 S44에서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x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를 마스터라고 인식하고, 마스터인 것을 기기 X 내의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로 출력한다(단계 S51).
이어서,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하는 동작을 행하지만, 여기서는 메모리(804) 내에 ID 번호가 존재하지 않고,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단계 S52).
다른 기기 A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에 나타낸 단계 S51∼S52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다른 기기 B, C는 상술한 새로운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에 나타낸 단계 S61∼S62의 동작을 행한다.
이상으로부터, 기기 X 및 기기 A가 마스터로 되고, 기기 B 및 기기 C가 슬레이브로 되며, 도 5에 나타내는 하나의 전자기기가 비접속으로 되는 경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는 종료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2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비한 4종류의 전자기기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두 가지의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4개의 전자기기는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실시예 2에서, 4개의 전자기기의 구성은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 1 전자기기 C에 대해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전자기기 제어부(106), 통신 제어부(103) 및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 대신에, 전자기기 제어부(106a), 통신 제어부(103a) 및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가 마련되어 있다.
음성 인식 장치(150)는, 기기 C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지령에 근거하여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a)로 출력한다. 또한, 해당 기기 C가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동작하지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인식 장치(150)는 음성에 의한 지령이 있었던 경우에도 지령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a)로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 음성 인식 장치(15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시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상호간에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한다.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인식 장치(150)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음성 인식부(102), 통신 제어부(103a),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 및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부(103a)가 우선 순위 결정 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 음성 인식 장치(150)에 포함되는 통신 제어부(103a)는 실시예 1에서의 통신 제어부(103)의 동작 외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및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각종 동작을 행한다. 또, 여기서, 다른 전자기기란 제 2 전자기기 X, 제 3 전자기기 B 및 제 4 전자기기 A 이다. 통신 제어부(103a)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해당 기기 C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의 정보를 부여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3a)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시에 다른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로부터 인가되는 지령 신호를 다른 기기로 출력한다.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메모리 및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메모리는 통신 제어부(103a)에 의해 인가되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 및 음성 인식부(102),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 및 통신 제어부(103a)에 의해 부여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동작을 행한다. 이것으로부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자기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부여되는 지령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부(106a)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부여된 지령에 근거하여 통신 제어부(103a)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 통신 제어부(103a)를 거쳐서 다른 전자기기를 조작한다. 한편,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음성 인식부(102)에 의해 지령이 부여되어도 전자기기 제어부(106a)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전자기기 제어부(106a)는 수동 조작 또는 음성 인식 장치(150)의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지령 신호를 수취하고, 전자기기 기능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전자기기 제어부(106a)는 수동 조작 또는 음성 인식 장치(150)의 음성 인식 조작에 의해,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에서 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상태로 하는 지령 신호를 수취한 경우, 통신 제어부(103a)로 기기 C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전원 오프란 전자기기 기능부 등에 공급하는 전원 오프이며, 통신 제어부 등의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원은 공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통신 제어부(103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의 통신 제어부(103a)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통신 제어부(103a)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2), 마이크로컴퓨터(803), 메모리(804) 및 비교 레지스터(805)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는 다른 전자기기(801)와 케이블, 적외선 통신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는,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에서의 전원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할 때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고, 마이크로컴퓨터(803)로 출력한다. 여기서, 다른 전자기기(801)는 도 9의 제 2 전자기기 X, 제 3 전자기기 B 및 제 4 전자기기 A에 상당한다.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다른 전자기기(801) 및 자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메모리에는, 도 14 내지 도 17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컴퓨터(803) 내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804)는 다른 전자기기(801)로부터 송신되는 ID(식별) 번호를 기억한다. 비교 레지스터(805)는 ID 번호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2 전자기기 X(이하, 기기 X라고 칭함)의 구성 및 동작은 기기 C의 구성및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기기 X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은 기기 C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과 다르다.
제 3 전자기기 B(이하, 기기 B라고 칭함) 및 제 4 전자기기 A(이하, 기기 A라고 칭함)의 구성 및 동작도 기기 C의 구성 및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기기 B, A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은 기기 C, X의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기능과 다르다.
여기서, 전원 상태의 인식 및 우선 순위 판정에 대한 처리의 흐름 개요를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9의 전자기기에서 전원 상태가 변화한 경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흐름의 개요는 전자기기 사이에서 모든 전원 상태의 변화에 적용된다.
우선,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서로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서 통신 처리가 자동적으로 개시된다(단계 SF6). 그에 따라, 음성 인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상호의 통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각 전자기기는 통신해야 하는 전자기기가 아직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7). 여기서, 단계 SF6의 전자기기간 통신 처리 및 단계 SF7의 접속 기기 판정 처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각 전자기기가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음성 인식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각 전자기기는 단계 SF6, SF7에서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 순위를 판정한다(단계 SF8). 여기서, 각 전자기기는 자기가 최고 우선 순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에 따라, 접속된 복수의 전자기기는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하나의 전자기기와, 그 밖의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로 나누어진다.
이어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는 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F9). 이 경우, 통신 제어부(103a)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최고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및 음성 인식부(102)에 의한 음성 인식 조작을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에 허가한다.
한편,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는, 비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F10). 이 경우, 통신 제어부(103a)는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에 비최고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는 음성 명령 입력부(101) 및 음성 인식부(102)에 의한 음성 인식 조작을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에 금지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로 접속된 전자기기 중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를 마스터라고 칭하고,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전자기기를 슬레이브라고 칭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4종류의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각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기기 A, 기기 B, 기기 C 및 기기 X가 접속되고, 또한 기기 B만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은 상태로부터, 기기 C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더 변화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은 기기 A, 기기 B, 기기 C 및 기기 X가 접속되고, 또한 기기 B 및 기기 C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기기 C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화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은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하에,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를,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원이 오프로 되는 경우와,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원이 온으로 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여기서, 기기 A, B, C, X에는, 각각 ID 번호 IDa, IDb, IDc, IDx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ID 번호 IDa, IDb, IDc, IDx 값의 크기에 의해 기기 A, B, C, X의 우선 순위가 결정된다. 이하의 예에서는, 모든 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 ID 번호의 값은 IDc>IDb>IDx>IDa의 관계를 갖고, 기기 C, B, X, A의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원이 오프로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즉, 기기 A, B, C, X가 접속되어, 기기 B만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기 C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더 변화한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기 전에는, 기기 C가 최고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 경우에 기기 B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 C, X, A의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기기 C는 자기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고 있고,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다. 기기 C의 음성 인식부(102)에 기기 C의 전원 오프라는 지령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음성 인식부(102)는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로 자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기기 C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a)를 거쳐서 통신 제어부(103a)의 마이크로컴퓨터(803)로 송신한다.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a)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기기 C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함으로써, 자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을 검지한다(단계 S101).
또, 단계 S101에서, 전자기기 제어부(106a)는 기기 C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 제어부(103a)의 마이크로컴퓨터(803)로 송신하는 동시에,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 기능부(107)는 기기 C 본래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다른 기기 B, X로 송신하고, 또한,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를 리셋한다(단계 S102). 여기서,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기기의 통신 제어부(103a)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셋하기 위한 신호이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는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103). 여기서, 기기 C의 전원은 오프 상태이다.
이 경우,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리셋된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를 설정하지 않고, 전원 오프 식별자 및 자기 ID 번호 IDc를 다른 기기 B, X로 송신한다(단계 S112).
또, 기기 C의 전원 오프 전에는, 기기 C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 IDc이 설정된다. 여기서, 전원 오프 식별자는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기기 C는 기기 A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기 C는 기기 A로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IDc를 송신할 수는 없다.
그리고, 기기 C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201). 순위 식별자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순위 식별자와 마찬가지이다.
기기 C의 단계 S101∼S103, 단계 S112 및 단계 S201의 동작 중 기기 B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기기 C의 전원이 오프로 된 시점에서는, 기기 B는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지하지 않고(단계 S101), 통신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기기 B의 통신 처리는 기기 C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된다(단계 S111).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더 수신한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다른 기기 A로 송신하고, 또한,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를 리셋한다(단계 S102).
다음에,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는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103). 여기서, 기기 B의 전원은 오프의 상태이다.
그래서, 기기 B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리셋된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c를 설정하지 않고, 전원 오프 식별자 및 자기 ID 번호 IDb를 다른 기기 A, C로 송신한다(단계 S112).
기기 C의 전원 오프 전에도, 기기 B의 전원은 오프되어 있고, 기기 B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기기 B는 기기 X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기 B는 기기 X로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IDb를 송신할 수는 없다.
그리고, 기기 B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201).
기기 C의 단계 S101∼S103, 단계 S112 및 단계 S201의 동작 중 기기 X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기기 C의 전원이 오프로 된 시점에서는, 기기 X는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지하지 않고(단계 S101), 통신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기기 X의 통신 처리는 기기 C로부터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함으로써개시된다(단계 S111).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더 수신한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다른 기기 A로 송신하고, 또한,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를 리셋한다(단계 S102).
다음에,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전원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103). 여기서, 기기 X의 전원은 오프 상태이다.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 IDx를 설정한다(단계 S104). 또, 기기 C의 전원 오프 전에는, 기기 C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기기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 IDc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순위 식별자 및 자기 ID 번호 IDx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C로 송신한다(단계 S105). 그 후, 기기 X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순위 식별자의 수신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단계 S201).
기기 C의 단계 S101∼S103, 단계 S112 및 단계S201의 동작 중 기기 A의 동작은 상기 기기 X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수신 대기 모드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B, X로부터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IDb 및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x를 수신한다(단계 S202). 이에 따라,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기기 B, X로부터 수신한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IDb 및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x를 메모리(804)에 기억한다(단계 S203). 이 때, 메모리(804)에는,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및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의 조합에 대해서도 기억된다.
그리고,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기기 B, X로부터 수신한 전원 오프 식별자 및 ID 번호 IDb 및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 IDx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다른 기기 B, X에 송신한다(단계 S204).
기기 C에서의 상기 단계 S202∼S204의 동작은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된다(단계 S301). 이 경우, 기기 C는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 A로부터의 ID 번호 IDa를 순위 식별자와 함께 기기 B를 거쳐서 수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기 C의 메모리(804)에 다른 모든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 및 각 기기 A, B, X에서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식별자(전원 오프 식별자 및 순위 식별자)가 기억된다.
기기 A, B, X에서도, 단계 S202∼S204 및 단계 S301의 동작이 반복된다. 그에 따라, 기기 A, B, X의 메모리(804)에 각각 다른 모든 기기의 ID 번호가 기억된다.
이상의 단계 S101∼S105, S201∼S204, S111, S112의 동작은 도 11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6의 전자기기간 통신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단계 S301은 도 11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7의 접속 기기 판정 처리에 상당한다.
또, 각 기기 A, B, C, X는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비교 레지스터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단계 S102),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를 설정하며(단계S104), 순위 식별자 및 ID 번호를 송신한(단계 S105) 후에, 다른 기기로부터의 ID 번호를 수신하고 있지만, 자기의 ID를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하고 있을 때에 다른 기기로부터의 식별자 및 ID 번호를 수신할 때도 있다. 이 경우, 해당 기기는 단계 S202∼S204의 동작을 행한 후에 단계 S104, S105의 동작을 행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메모리(804)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에 조합된 식별자가 순위 식별자인지 전원 오프 식별자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401).
전원 온 상태에 있는 기기 A, X에 대해서는, ID 번호 IDa, IDx에 순위 식별자가 조합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ID 번호에 순위 식별자가 조합되어 있는 경우, 해당 ID 번호를 비교 대상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기기 B에 대해서는, ID 번호 IDb에 전원 오프 식별자가 조합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ID 번호에 전원 오프 식별자가 조합되어 있는 경우, 해당 ID 번호를 비교 대상이 아니라고 판별한다.
다음에,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 ID 번호와 메모리(804)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를 순차 비교한다(단계 S402). 여기서, 기기 B에 대해서는, 상기 단계 S401에서 ID 번호 IDb에 전원 오프 식별자가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 대상 외로 되어 있다. 또한, 기기 C가 전원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단계 S102 및 단계 S112의 동작에 의해 ID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나타내는 비교 동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메모리(804) 내의 비교 대상으로 되어 있는 ID 번호가 비교 레지스터(805) 내의 ID 번호보다도 큰 경우에는,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가 우선 순위가 높다고 판별한다. 또, 메모리(804) 내의 ID 번호가 비교 레지스터(805) 내의 ID 번호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 레지스터(805)의 재설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기 C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메모리(804) 내에서 우선 순위가 높다고 판단된 ID 번호를 설정한다(단계S403).
이 동작은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비교 대상으로 되는 ID 번호 전부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모든 비교 대상으로 되는 ID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비교 동작은 종료한다(단계 S404).
기기 C에서는,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메모리(804) 내에 비교 대상으로 되는 ID 번호가 존재한 경우, 그 ID 번호가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된다.
본 예에서, 기기 C의 메모리(804) 내에는, 기기 A의 ID 번호 IDa 및 기기 X의 ID 번호 IDx가 설정되어 있다. 이들 ID 번호 IDa, IDx는 비교 레지스터(805)의 ID 번호와 순차 비교된다. 여기서, 전원 온 상태에서 기기 X의 우선 순위가 기기 A의 우선 순위보다도 높다. 그러므로, 기기 C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최종적으로 기기 X의 ID 번호 IDx가 설정된다.
다른 기기 A, B, X에서도, 단계 S401∼S404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에 따라, 기기 A, B,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기기 X의 ID 번호 IDx가 설정된다.
이상의 동작 작업이 종료된 후, 기기 C가 마스터인지 슬레이브인지의 판별동작을 행하게 한다.
비교 동작의 종료 시에, 기기 B, C, A,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전원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재인식한다(단계 S405). 본 예에서는, 기기 B, C의 전원이 오프이며, 기기 A, X의 전원이 온이다.
다음에, 자기의 전원이 온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설정되어 있는 ID 번호가 자기 ID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06). 본 예에서는, 기기 A, X에서 해당 판별 동작이 행해진다.
단계 S401∼406의 동작이 도 11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8의 우선 순위 판정 처리에 상당한다. 이 처리는 단계 S202에서 기억된 ID 번호의 메모리(804) 내에서의 검색 작업이다.
단계 S405에서 자기의 전원이 오프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를 슬레이브라고 인식하고, 슬레이브인 것을 기기 C 내의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로 출력한다(단계 S601).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X의 ID 번호 IDa, IDb, IDx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단계 S602). 본 예에서는, 전원이 오프 상태에 있는 기기 B 및 기기 C가 각각 슬레이브로 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기기 A, X의 전원이 온의 상태이다. 이 경우, 기기 A, X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ID 번호 IDx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기기 X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단계 S405에서 비교 레지스터(805)에 자기 ID 번호IDx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자기를 마스터라고 인식하고, 마스터인 것을 기기 X 내의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로 출력한다(단계 S501).
이어서, 기기 X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메모리(804) 내에 기억된 다른 기기 A, B, C의 ID 번호 IDa, IDb, IDc를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로 출력한다(단계 S502).
본 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기 X는 자기의 비교 레지스터(805)에 ID 번호 IDx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마스터가 된다. 여기서, 기기 A에 대해서는, 기기 A의 비교 레지스터(805)에는 자기 ID 번호 IDa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기기 A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자기를 슬레이브라고 인식한다. 그리고, 기기 C 및 기기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S601, S602의 동작을 행한다.
단계 S501, S502의 동작은 도 11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9의 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단계 S601, S602의 동작은 도 11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에서의 단계 SF10의 비최고 우선 순위시 설정 처리에 상당한다.
이상으로부터, 도 12에서,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한 경우의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원이 온으로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즉, 기기 A, B, C, X가 접속되고, 또한 기기 B, 기기 C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기 C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화한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변화하기 전에는, 기기 X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 경우, 기기 B 및 기기 C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 X, A의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기기 C는 자기가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고 있고,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 또, 이 경우에는 기기 X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고 있고 음성 인식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기기 X의 음성 인식부(102)에 기기 C의 전원 온이라는 지령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음성 인식부(102)는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에 기기 C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는 기기 C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자기기 제어부(106a)를 거쳐서 통신 제어부(103a)로 송신한다. 기기 X의 통신 제어부(103a)는 수취한 기기 C로의 지령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02)를 거쳐 기기 C로 송신한다. 지령 신호를 수취한 기기 C는 외부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각종 동작을 개시한다.
기기 C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는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a)로부터 음성 인식 조작 판정부(105a)를 거쳐서 전자기기 제어부(106a)로 출력된다. 그래서, 기기 C의 전자기기 제어부(106a)는 전자기기 기능부(107)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한다.
한편, 기기 C의 통신 제어부(103a)의 마이크로컴퓨터(803)는 기기 C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함으로써, 자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검지한다(단계 S101).
이후, 접속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는, 상술한 단계 S101∼S105, S111, S112, S201∼S204, S301, S405, S406, S501, S502, S601, S602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상기 우선 순위 결정 처리의 결과, 본 예에서는, 기기 C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기기 C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기 이전에, 최고 우선 순위를 갖고 있었던 기기 X는 비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부(103)가 접속 상태 검출 수단, 제 1 식별 수단 및 제 1 판별 수단에 상당한다. 통신 제어부(103a)가 접속 상태 검출 수단, 전원 상태 검출 수단, 제 1 식별 수단, 제 2 식별 수단, 식별 수단, 제 1 판별 수단, 제 2 판별 수단 및 판별 수단에 상당한다. 음성 인식 조작 금지 설정부(104)가 제 1 및 제 2 조작 허가 금지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3) 내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02)가 제 1 통신 수단에 상당하고, 통신 제어부(103) 내의 비교 레지스터(805)가 제 1 비교 수단에 상당한다. 통신 제어부(103a) 내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02)가 제 1 통신 수단 및 제 2 통신 수단에 상당하고, 통신 제어부(103a) 내의 비교 레지스터(805)가 제 1 비교 수단 및 제 2 비교 수단에 상당한다. 통신 제어부(103) 및 통신 제어부(103a) 내의 메모리(804)가 기억 수단에 상당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복수의 전자기기 상호간에서 음성 인식 조작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및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장치를 갖는 전자기기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전자기기 상호간에서 다른 기능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제 1 식별 수단과,
    상기 제 1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제 1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제 1 조작 허가 금지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 1 식별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自己)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제 2 식별 수단과,
    상기 제 2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판별 수단과,
    상기 제 2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제 2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제 2 조작 허가 금지 수단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수단은,
    상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제 2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판별 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음성 인식 조작을 행하는 음성 인식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7.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조작 허가 금지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전원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음성 인식 조작을 행하는 음성 인식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4.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으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에 의해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7.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 내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와,
    상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처리와,
    상기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와,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처리
    를 상기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식별하는 처리는,
    상기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하는 처리는,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자기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처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20. 서로 접속할 수 있고 각각 우선 순위가 부여되며 또한 소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 내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으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와,
    상기 전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처리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 중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처리와,
    상기 식별된 각 전자기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와,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허가하고,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금지하는 처리
    를 상기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식별하는 처리는,
    상기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또한 접속 상태의 변화 후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 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자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하는 처리는,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정보 및 자기의 전원 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전원이 온 상태인 전자기기 중 상기 하나의 전자기기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른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기기 접속 정보를 기억하는 처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억된 기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 결정 프로그램.
  23. 다른 전자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다른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태에서 소정 기능에서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는 고유 번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2-7003187A 2000-07-10 2001-07-09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전자기기 KR100449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8092 2000-07-10
JPJP-P-2000-00208092 2000-07-10
JPJP-P-2001-00203753 2001-07-04
JP2001203753A JP2002116787A (ja) 2000-07-10 2001-07-04 優先順位決定装置、優先順位決定方法及び優先順位決定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790A true KR20020033790A (ko) 2002-05-07
KR100449113B1 KR100449113B1 (ko) 2004-09-16

Family

ID=2659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187A KR100449113B1 (ko) 2000-07-10 2001-07-09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9020B2 (ko)
EP (1) EP1300830B1 (ko)
JP (1) JP2002116787A (ko)
KR (1) KR100449113B1 (ko)
CN (1) CN1223988C (ko)
DE (1) DE60134142D1 (ko)
WO (1) WO20020052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794A (ko) * 2015-08-19 2021-11-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서버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252A (ja) * 2004-06-01 2005-12-15 Nec Corp 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達方法
JP4515895B2 (ja) * 2004-12-08 2010-08-04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装置
KR101246545B1 (ko) * 2011-09-21 2013-03-25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CN102883285B (zh) * 2012-09-13 2018-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处理即时通讯信息、设置终端优先级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882944B (zh) * 2012-09-13 2018-02-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的处理方法、优先级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KR20140060040A (ko)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US9721566B2 (en) *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JP6905115B2 (ja) * 2015-12-08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71493B1 (ko) 2017-10-17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CN111312250A (zh) * 2020-02-21 2020-06-19 珠海荣邦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语音的多设备适配控制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9820A (ja) 1982-06-14 1983-12-21 Pioneer Electronic Corp 回路機器の制御システム
US4809164A (en) 1986-03-26 1989-02-28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Processor controlled modifying of tabled input/output priority
US5247580A (en) * 1989-12-29 1993-09-2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system
JPH05300507A (ja) * 1992-04-07 1993-11-12 Nec Corp 自動コントロール・カメラ式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H07177579A (ja) * 1993-12-17 1995-07-14 Kenwood Corp 車載用機器制御システム
US5526496A (en) * 1994-04-22 1996-06-11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arbitration among devices in a computer system
JPH08320757A (ja) * 1995-05-24 1996-12-03 Alps Electric Co Ltd データ転送システム
DE69712485T2 (de) 1997-10-23 2002-12-12 Sony Int Europe Gmbh Sprachschnittstelle für ein Hausnetzwerk
JP4201869B2 (ja) * 1998-02-24 2008-12-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声認識による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音声認識による制御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794A (ko) * 2015-08-19 2021-11-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서버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113B1 (ko) 2004-09-16
WO2002005265A1 (fr) 2002-01-17
EP1300830A1 (en) 2003-04-09
EP1300830B1 (en) 2008-05-21
CN1223988C (zh) 2005-10-19
JP2002116787A (ja) 2002-04-19
CN1386264A (zh) 2002-12-18
DE60134142D1 (de) 2008-07-03
EP1300830A4 (en) 2005-10-19
US20020174213A1 (en) 2002-11-21
US7159020B2 (en)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113B1 (ko) 우선 순위 결정 장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기록 매체 및전자기기
US8026789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5351041A (en)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on automobile
EP1630640A1 (en) Start time re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60259649A1 (en) Interfac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92855A1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KR100381390B1 (ko) 외부 연결기기에 대한 영상기기의 메뉴 원격제어방법
EP2196914A1 (en) Network system,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nection state discrimination method
JP4655756B2 (ja) 遠隔操作装置、機器制御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
US20080104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audio/visual data
US20060161958A1 (en) Method of increasing setup speed of Anynet device using Anynet communication protocol
KR100342020B1 (ko) 고유번호를 구비한 원격제어컴퓨터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20020048960A (ko) 음성 명령을 통한 원격 제어기 및 무선 전화기를 결합한시스템 및 방법
US5856789A (en) Power supply switching of a computer system by a remote controller
JP2007282044A (ja) 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68172A1 (en) Combination system using set-up value commonly, and method for setting up value of the same
JP4509771B2 (ja) データバス上の装置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JP4716093B2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21863A1 (en) Device control
CN101552889A (zh) 连接目标设备信息显示装置和连接目标设备信息显示方法
CN102109992A (zh) 程序使用系统、程序使用方法及程序
JP3249449B2 (ja) 複数機器の集中制御システム
JP2001238275A (ja) 複数機器の集中制御システム
JPH0652664A (ja) 制御装置
JPH1175270A (ja) Av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