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545B1 -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545B1
KR101246545B1 KR1020110095213A KR20110095213A KR101246545B1 KR 101246545 B1 KR101246545 B1 KR 101246545B1 KR 1020110095213 A KR1020110095213 A KR 1020110095213A KR 20110095213 A KR20110095213 A KR 20110095213A KR 101246545 B1 KR101246545 B1 KR 10124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song
search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48Miscellaneous comprising microphone or sp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5Mode selector switch, e.g. shift, or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유선 마이크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 상기 제1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 및, 상기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타 마이크를 이용해 가창중인 상태에서 음성검색을 사용중인 마이크의 입력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창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노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Apparatus for searching music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of karaoke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마이크에 음성검색버튼(여기서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을 구비하여 음성검색버튼이 눌러진 경우, 노래반주기에서 이를 감지, 셀렉터를 동작시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대신 음성검색엔진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타 마이크를 이용해 가창중인 상태에서 음성검색을 사용중인 마이크의 입력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창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노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의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음성인식을 통한 노래 검색을 제공하는 기술이 선 특허출원 제10-2010-0066798호(발명의 명칭, "노래방 환경에서 음성 인식기술을 이용한 곡목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등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과 프리 앰프부; 프리앰프를 통과한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특징 파라메타를 추출하는 음성 분석부, 미리 저장된 노래들에 대한 특징 파라메타들과 비교하는 음성 인식부, 인식된 특정 노래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기존 보관되어 있는 노래들의 데이터 저장부에서 일치되는 노래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를 선택할 수 있는 노래 데이터 저장부, 음성 인식 및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주 메모리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메뉴 및 검색된 노래들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외부 버튼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부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 반주기와 원격 제어 장치와의 음성 및 검색 정보 송수신을 위한 원격 송신부를 포함한 것으로, 노래방과 같이 노래와 반주기의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노래 제목을 검색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지된 선 특허출원 제10-2010-0066798호와 같이, 종래의 노래 반주기의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음성인식을 통한 노래 검색을 제공하는 기술은 노래방에 있어서 반주음 및 가창자의 목소리 등이 혼재되어 있어, 이런 상황에서 음성인식을 통한 노래검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요소가 발생되며, 특히 노래검색을 위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타 마이크를 이용해 가창중인 상태에서 음성검색을 사용중인 마이크의 입력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창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노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는,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유선 마이크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 상기 제1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 및, 상기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는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는,
무선 마이크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 컨버터, 상기 제2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2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로부터 온(ON)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는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은,
음성을 입력받는 유선 마이크와, 상기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선 마이크는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노래 반주기는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유선 마이크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 상기 제1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은,
음성을 입력받는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 마이크는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발생된 온(ON) 신호와, 입력 음성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무선 마이크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무선 송신부에서 송출한 온(ON)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 컨버터, 상기 제2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2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로부터 온(ON)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 마이크에 음성검색버튼(여기서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을 구비하여 음성검색버튼이 눌러진 경우, 노래반주기에서 이를 감지, 셀렉터를 동작시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대신 음성검색엔진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타 마이크를 이용해 가창중인 상태에서 음성검색을 사용중인 마이크의 입력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창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노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장치는 노래 반주기에 내장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구비된 유선 마이크(100)와, 상기 유선 마이크(1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래 반주기(200)는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201), 상기 유선 마이크(10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202), 상기 제1 A/D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203)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203)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음성 검색 엔진(201)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의 제어하에 상기 제1 A/D 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즉, 노래 검색을 위해 유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으로 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번호에 따라 노래를 검색하여 예약하거나, 음성으로 가수 이름이 입력된 경우 가수 이름에 매칭되는 노래 리스트를 검색한다.
제1 A/D 컨버터(202)는 유선 마이크(100)와 제1 I/S 셀렉터(203)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선 마이크(100)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1 I/S 셀렉터(203)로 입력하는 것이다.
제1 I/S 셀렉터(203)는 제1 A/D 컨버터(202)와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1 A/D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의 제어하에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노래 검색을 위해서는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의 제어하에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1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는 상기 유선 마이크(1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온(ON) 신호 즉, 음성인식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203)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마이크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한다.
이하,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가 유선 마이크(1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런 다음, 입력받은 온(ON) 신호 즉, 음성인식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203)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마이크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1 I/S 셀렉터(203)는 제1 A/D컨버터(20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검색 엔진(201)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의 제어하에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노래 검색을 위해서는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204)의 제어하에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즉, 노래를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1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장치는 노래 반주기에 내장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101)과,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에서 발생된 온(ON) 신호와 입력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신부(302)를 구비한 무선 마이크(300)와, 상기 무선 마이크(3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래 반주기(400)는 상기 무선 마이크(300)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401),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온(ON) 된 경우, 상기 무선 송신부(302)에서 송출한 온(ON)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402),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403),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40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 컨버터(404), 상기 제2 A/D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2 I/S 셀렉터(404)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402)로부터 온(ON)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I/S 셀렉터(404)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음성 신호 수신부(401)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내장한 것으로, 상기 무선 마이크(300)에서 사용자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사용해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2 A/D 컨버터(404)로 전달하는 것이다.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402)는 무선 마이크(300)에 장착된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온(ON) 된 경우, 상기 무선 송신부(302) 즉, 무선 마이크(300)로부터 송출된 온(ON) 신호 즉, 음성인식 동작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로 전달한다.
음성 검색 엔진(403)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의 제어하에 상기 제2 A/D 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즉, 노래 검색을 위해 유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으로 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번호에 따라 노래를 검색하여 예약하거나, 음성으로 가수 이름이 입력된 경우 가수 이름에 매칭되는 노래 리스트를 검색한다.
제2 A/D 컨버터(404)는 음성 신호 수신부(401)와 제2 I/S 셀렉터(405)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401)가 수신한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2 I/S 셀렉터(405)로 입력하는 것이다.
제2 I/S 셀렉터(405)는 제2 A/D 컨버터(404)와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2 A/D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의 제어하에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노래 검색을 위해서는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의 제어하에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1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는 상기 무선 마이크(3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402)에서 수신한 온(ON)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온(ON) 신호 즉, 음성인식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S 셀렉터(405)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마이크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한다.
이하, 도 4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가 무선 마이크(300)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101)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를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402)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런 다음, 입력받은 온(ON) 신호 즉, 음성인식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S 셀렉터(405)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마이크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2 I/S 셀렉터(405)는 제2 A/D컨버터(404)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 검색 엔진(403)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의 제어하에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노래 검색을 위해서는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406)의 제어하에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즉, 노래를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1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마이크에 음성검색버튼(여기서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을 구비하여 음성검색버튼이 눌러진 경우, 노래반주기에서 이를 감지, 셀렉터를 동작시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대신 음성검색엔진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타 마이크를 이용해 가창중인 상태에서 음성검색을 사용중인 마이크의 입력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창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노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선 마이크 200 : 노래 반주기
101 : 음성인식 동작버튼 201 : 음성 검색 엔진
202 : 제1 A/D 컨버터 203 : 제1 I/S 셀렉터
204 : 제1 음성 검색 제어부 300 : 무선 마이크
400 : 노래 반주기 302 : 무선 송신부
401 : 음성신호 수신부 402 :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
403 : 음성 검색 엔진 404 : 제2 A/D 컨버터
405 : 제2 I/S 셀렉터 406 : 제2 음성 검색 제어부

Claims (6)

  1.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유선 마이크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
    상기 제1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 및
    상기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는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3. 무선 마이크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 컨버터;
    상기 제2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2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로부터 온(ON)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는
    복수의 유선 마이크 각각의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온(ON) 신호가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I/S 셀렉터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나머지는 대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5. 음성을 입력받는 유선 마이크와, 상기 유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선 마이크는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노래 반주기는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유선 마이크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A/D 컨버터;
    상기 제1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1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출력하는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1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
  6. 음성을 입력받는 무선 마이크와,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 마이크는
    입력 음성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도록 온(ON) 시키는 음성인식 동작버튼;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에서 발생된 온(ON) 신호와, 입력 음성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무선 마이크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상기 음성인식 동작버튼이 온(ON) 된 경우, 상기 무선 송신부에서 송출한 온(ON)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
    입력 음성 신호에 따라 노래 검색을 수행하는 음성 검색 엔진;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A/D 컨버터;
    상기 제2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신호 출력 경로와,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는 제2 I/S 셀렉터; 및
    상기 음성인식 동작신호 수신부로부터 온(ON)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I/S 셀렉터가 상기 제2 신호 출력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2 음성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시스템.
KR1020110095213A 2011-09-21 2011-09-21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24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13A KR101246545B1 (ko) 2011-09-21 2011-09-21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13A KR101246545B1 (ko) 2011-09-21 2011-09-21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545B1 true KR101246545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13A KR101246545B1 (ko) 2011-09-21 2011-09-21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5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096A (ja) * 1992-09-08 1994-03-29 Clarion Co Ltd 音声制御機能付カラオケ装置
KR20000007534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폰을 장착 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KR20000017559U (ko) * 1999-02-27 2000-09-25 전주범 다기능 리모트 콘트롤러의 음성 써치장치
JP2002116787A (ja) * 2000-07-10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優先順位決定装置、優先順位決定方法及び優先順位決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096A (ja) * 1992-09-08 1994-03-29 Clarion Co Ltd 音声制御機能付カラオケ装置
KR20000007534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폰을 장착 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KR20000017559U (ko) * 1999-02-27 2000-09-25 전주범 다기능 리모트 콘트롤러의 음성 써치장치
JP2002116787A (ja) * 2000-07-10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優先順位決定装置、優先順位決定方法及び優先順位決定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4448A1 (en) Audio playback device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6364B1 (ko)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센서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EP3214842B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teractiv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CN108630204A (zh) 在多装置系统中执行语音命令
JP2014089437A (ja)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JP2004507936A (ja) ダウンロード可能な音声命令の集合による音声制御型遠隔制御装置
JP2001197379A (ja) 機器設定装置、機器設定システムおよび機器設定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6080536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2004208171A (ja) 無線音響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音声取得方法
JP4916005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70063393A (ko)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KR101246545B1 (ko) 노래 반주기의 음성 인식에 따른 노래 검색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23501536A (ja) 人工知能型マルチメディア装置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CN106775570B (zh) 音频设备、包括所述音频设备的音频采集播放系统和方法
KR100928152B1 (ko)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KR101249228B1 (ko) 노래 반주기와 노래 반주기 시스템의 노래검색 작동방법 및 노래 반주기 시스템
KR100914510B1 (ko)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의사용방법
JP6559051B2 (ja) 発声機能を備えたロボット装置、発声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9171B2 (ja) 演奏条件設定機能付きカラオケシステム
JP6651729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227158A (ja) 歌詞テロップ表示サイズ制御システム
KR10171538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92039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266276Y1 (ko) 노래방기능을 갖춘 휴대폰
JP6543155B2 (ja) 操作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