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39B1 -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39B1
KR101492039B1 KR20130080336A KR20130080336A KR101492039B1 KR 101492039 B1 KR101492039 B1 KR 101492039B1 KR 20130080336 A KR20130080336 A KR 20130080336A KR 20130080336 A KR20130080336 A KR 20130080336A KR 101492039 B1 KR101492039 B1 KR 10149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s
image
song
search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654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2013008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0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의 재생 중에 콘텐츠 재생에 따른 이미지의 표시와 음성 인식에 따른 이미지의 표시를 구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곡들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상에서도 효율적으로 검색된 곡들을 표시하고 내비게이션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DISPLAYING RETRIEVED SONGS USING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텐츠의 재생 중에 콘텐츠 재생에 따른 이미지의 표시와 음성 인식에 따른 이미지의 표시를 구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곡들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음성 인식 기술은 널리 보편화되어 스마트 폰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고 보통 개인적인 환경하에서 일정 수준의 음성 인식율을 제공한다. 그러나 스마트 폰 외부에 잡음이 심한 경우에는 이 잡음과 음성 인식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구별하지 못해서 음성 인식 기술은 만족할만한 음성 인식률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편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노래방 환경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마이크를 다수 구비하여 음성 인식 기술이 자연스럽게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이다.
이에 따라 음성 인식 기술을 노래 반주 장치가 제공한다면 보다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음성 인식 기술을 노래 반주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먼저 노래 반주 장치를 이용하는 노래방의 디스플레이는, 음성 인식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 디스플레이는 검색 결과를 전용으로 출력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고 사용자가 선곡한 곡에 대한 가사 이미지 등과 같은 이미지를 선곡한 곡의 재생 중에 또는 다른 상황에서 또한 출력한다.
따라서, 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가 가사 이미지 등과 같은 다른 이미지와 같이 표시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그리고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검색 결과가 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성 인식 기술의 음성 인식률 자체가 노래방 환경 등에서 낮아질 수 밖에 없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곡들을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제공하기란 용이치 않다.
따라서 음성 인식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곡들을 음성 인식을 활용하여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노래방과 같은 환경하에서 다른 콘텐츠의 재생과 동시에 음성 인식에 따른 검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나아가 음성 인식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콘텐츠의 재생 등과 동시에 음성 인식에 따른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률이 낮은 환경하에서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타입에 따르는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효율적으로 검색 결과의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때 이 검색 결과의 표시 기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검색 결과의 순서 기준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은, (a)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곡을 검색하는 단계와 (c) 검색된 복수의 곡 중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음성 데이터의 수신 동안 또는 수신 후에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콘텐츠의 이미지는,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은, 단계 (c) 이후에, (d) 입력 키를 수신하는 단계와 (e) 입력 키가 지정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인 경우에, 선택된 곡들 중 하나 이상의 곡들을 변경하도록 검색된 복수의 곡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c)는, 단계 (e)에서 재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반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의 선택된 곡들과 재선택된 곡들은, 지정된 타입에 따라 순서화된 검색된 복수의 곡에서 연속적으로 선택된 곡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은,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고, 이 노래 반주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곡을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곡 중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음성 데이터의 수신 동안 또는 수신 후에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생성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콘텐츠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를 포함하고,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콘텐츠의 이미지는,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의 재생 등과 동시에 음성 인식에 따른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음성 인식률이 낮은 환경하에서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타입에 따르는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효율적으로 검색 결과의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때 이 검색 결과의 표시 기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검색 결과의 순서 기준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노래 반주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기 위해 노래 반주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곡 리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예시적인 이미지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이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은, 노래 반주 장치(100)와 하나 이상의 마이크(200)와 리모콘 전송 장치(300)와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그 외 다른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상에 포함되는 각 장치들을 살펴보면, 노래 반주 장치(100)는, 노래방 등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노래 반주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곡 번호에 따라 곡 번호에 대응하는 미디 파일이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미도시)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 노래 반주 장치(100)는, 디스플레이(400)에 연결되어 현재 재생중인 곡 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파일을 이용하여 가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이 노래 반주 장치(100)는, 게임 등에서 이용되는 게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게임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래 반주 장치(100)는, 가사 데이터의 이미지나 게임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00)의 일정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그리고 노래 반주 장치(10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된 음성 데이터를 마이크(200)나 리모콘 전송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고 재생할 수 있는 곡 DB(Database) 등에서, 음성 데이터에 유사한(또는 대응하는) 곡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곡들 중에서 선택된 일부(예를 들어 지정된 개수의 곡)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된 곡들로부터 선택된 곡들은 정형화된 형태로 포맷팅되어 선택 가능하도록 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가능하도록 하는 리스트의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노래 반주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마이크(20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연결되어, 재생 중인 곡에 대응하여 노래를 부르는 목소리를 송신하거나 곡 등의 재생 중에 특정 곡들을 검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의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한다.
리모콘 전송 장치(300)는, 무선의 리모콘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리모콘 전송 장치(300)는 버튼 등을 구비하여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여 감지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키의 리모콘 신호를 적외선 신호와 같은 무선 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리모콘 전송 장치(300)는, 마이크를 내부에 더 구비하고 이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혹은 이 적외선 신호와는 상이한 다른 무선 신호(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200)와 노래 반주 장치(100)와 리모콘 전송 장치(300) 중 하나 이상의 장치는, 방향 키(버튼)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키는, 바람직하게는 좌 방향과 우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들과 또한 상 방향과 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하나 이상의 장치는 방향 키에 따라 음성 인식으로 선택된 곡을 선곡이나 입력하기 위한 선택 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4 방향 키의 중간에 위치하는 키 일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키는,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곡의 검색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상에서 특정 곡을 선택하거나 내비게이션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방향 키를 이용하여 곡의 선택이나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방법 등은 도 3과 도 4를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디스플레이(40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연결되어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00)는 예를 들어 LCD나 LED나 PDP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40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제어하에 현재 재생 중인 곡의 가사 데이터나 게임 이미지를 콘텐츠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나아가 이 콘텐츠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는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음성 검색에 따란 생성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의해서, 곡의 재생 중이나 게임 콘텐츠의 재생 중에 다른 사용자에 방해함이 없이 편리하게 음성 검색에 따른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이 노래 반주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와 저장부(120)와 입력부(130)와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와 이미지 출력부(150)와 오디오 출력부(160)와 제어부(170)와 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필요나 기능의 구현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도 2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이 노래 반주 장치(100)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는, 마이크(200)나 리모콘 전송 장치(30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는, 아날로그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 아날로그의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고 이후 증폭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는, 블루투스나 와이 파이 등과 같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복조기와 안테나를 구비하여 해당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이 무선 신호를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후 제어부(170)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2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20)는, 미디 파일 등과 같은 복수의 곡 파일과 각 곡 파일의 재생시에 이용되는 가사 파일과 각 곡 파일의 재생시에 배경 영상으로 이용되는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이 저장부(120)는, 음성 데이터에 따른 곡을 검색하기 위한 곡 DB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곡 DB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곡을 검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정형화된 형태로 저장한다.
이러한 곡 DB는, 예를 들어 특정 곡의 곡 번호와 특정 곡의 제목이나 가사나 가수, 타입(트롯트나 팝 등)이나 발매일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나아가 음성 데이터의 검색에 이용될 필드(제목이나 가사나 가수 등)의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추출되어 있는 특징 벡터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벡터는 시간 도메인 상이나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추출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LPCC(Linear Prediction Cepstral Coefficient) 나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벡터와 수신된 음성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의 비교로 음성 인식에 따른 그 대응관계나 유사 관계(유사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저장부(12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곡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 등에 의해서 제공되는 별도의 곡 리스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곡 리스트는, 예를 들어 매월 제공되는 신곡 리스트이거나 매월 제공되는 인기곡 리스트이거나 매월 또는 분기별로 제공되는 곡의 타입별(트롯트, 발라드, 팝 등) 인기곡 리스트이거나 인기 가수 리스트이거나 인기 작곡가 리스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의 타입뿐 아니라 다른 타입(가수 작곡가, 시기 등)에 따라 필터링되거나 분류된 이 타입별 리스트는, 음성 검색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타입별 리스트는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리스트이기에 음성 인식에 있어서의 곡 검색시에 이러한 리스트에 보다더 높은 우선 순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검색 결과를 구성한다면, 비록 음성 인식률이 낮은 환경하에서도 사용자가 원할 것으로 추정되는 곡들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키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버튼 등을 포함하여 이 버튼의 눌림에 따른 신호를 입력 키로서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입력부(130)는, 프런트 패널 상에서 설치된 방향 키를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방향 키는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일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키들은, 검색된 곡들에서 곡을 선별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는, 리모콘 전송 장치(300)에서 의해서 무선으로 전송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는, 적외선 수광부를 구비하여 적외선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는, 또한 음성 데이터를 리모콘 전송 장치(300)로부터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이미지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400)의 입력 비디오 포맷에 부합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하여,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생성된 디지털의 이미지를 비디오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이미지 출력부(150)는, 선곡된 곡의 재생 중에 이용되는 배경 영상 등을 출력하고, 나아가 이 배경 영상에 오브랩되는 콘텐츠 이미지와 검색된 곡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콘텐츠 이미지와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부(170)가 분리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용 DAC(Digital Analog Converter)나 미디 합성을 위한 미디 칩(chip) 등을 구비하여, 제어부(170) 등을 통해 출력된 디지털의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의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하거나 미디 포맷에 따른 디지털의 데이터로부터 미디 명령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도면 미도시) 등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60)는 또한 마이크(200) 등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등의 음성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와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2에 따른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나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를 통해서 수신된 입력 키에 따라서 각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선곡이나 게임 시작 요청에 따라 선곡된 곡의 음악 신호나 게임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60)를 이용하여 출력하고 나아가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서 선곡된 곡의 가사 데이터나 게임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미지로 출력한다.
또한 이 제어부(17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곡을 검색하고 검색된 곡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 입력부(130)나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를 통해서 음성 인식 요청을 위한 입력 키를 수신한 후에, 제어부(170)는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이 음성 데이터에 대한 특징 벡터(들)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벡터(들)를 저장부(120)의 곡 DB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벡터(들)와 비교하고 음성 데이터의 특징 벡터(들)와 곡 DB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벡터(들)와의 유사도에 따라서 곡 DB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곡들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복수의 곡들은 일목 요연하게 포맷팅되어 출력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이 복수의 곡들을 유사도에 따라 순서화하고 순서화되는 이 복수의 곡들 중에서 콘텐츠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표시될 곡들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곡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곡 리스트를 구성하고 구성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콘텐츠 이미지와 곡 리스트 이미지를 함께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이 콘텐츠 이미지와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중복되지 않도록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콘텐츠 이미지는, 음성 데이터의 수신 동안에 제어부(170)에 의해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이거나 음성 데이터의 수신 후에 제어부(170)에 의해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곡의 재생이나 게임의 재생과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곡들의 검색을 동시에 제어부(170)가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화되는 복수의 곡들은 제어부(170)에 의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기준에 의해서 재 순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복수의 곡들을 각 곡의 타입(발라드 팝 트롯트 등)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타입별 곡들에 대해서 음성 데이터의 특징 벡터와의 유사도에 따라 순서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타입 내에서는 해당 타입에서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곡이 해당 타입을 위한 곡 리스트의 첫 번째에 위치하도록 순서화할 수 있고 검색된 복수의 곡에 대한 필터링이 타입별로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170)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인기 리스트(전체 곡의 또는 곡의 타입별이나 가수나 작곡가)나 신곡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곡들과 검색된 복수의 곡들의 비교에 따라서 복수의 곡에서 해당 리스트에 있는 곡들을 선별하고 이 선별된 곡들 내에서 순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나 입력부(130)를 통해서 수신된 방향 키에 따라서 여러 형태로 순서화된 곡들을 선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최초로는 유사도에 따라 결정된 복수의 곡들을 이 유사도에 따라서 순서화하여(소위 '기본 타입'에 의해서) 순서화된 순위에 따라서 곡을 선택하여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생성 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 방향 키나 하 방향 키와 같은 지정된 입력 키를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나 입력부(130)나 혹은 마이크(200)를 통해서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현재 지정된 타입에 따라 순서화된 곡들 중에서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곡을 추가로 표시하고 특정 디스플레이된 곡을 표시하지 않도록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 방향 키나 하 방향 키에 대해서 이 제어부(170)는, 현재 지정된 타입에 따라 선택되어 있는 곡들 내에서 탐색(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스크롤이 이루어지도록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변경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이 상 방향 키나 하 방향 키와는 다른 방향 키(좌 또는 우 방향 키)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재 순서화된 곡들에 대해서 이용된 타입과는 다른 타입으로 복수의 곡들을 순서화하여 순서화된 곡들에서 일부를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타입은, 곡들을 순서화나 선택에 이용될 수 있는 유형을 나타내고, 이러한 유형은, 곡 DB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곡들에 대해서 순서화가 이루어지는지(기본 타입), 혹은 곡들의 타입(발라드 트롯트 등)에 따라 선택과 순서화가 이루어지는지, 혹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인기 리스트 타입에 따른 인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선택과 순서화가 이루어지는 지를 구분하기 위한 유형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를 수신함에 따라, 검색된 복수의 곡들에 대한 순서화를 달리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곡의 특정 타입 내에서 유사도에 따라 순서화를 하거나 특정 리스트 내에서의 곡과의 유사도 비교에 따른 순서화를 하고 이 중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곡들 중 지정된 개수의 곡을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순서화나 선택 기준을 알 수 있도록 이러한 타입에 대한 정보 또한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 키를 활용하여, 검색된 곡에서의 내비게이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록 음성 인식률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원하는 곡들을 체계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제어부(17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3을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연결부(180)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18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신호선, 복수의 선으로 구성된 버스(시리얼 혹은 병렬 버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기 위해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3의 제어 흐름은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인식 요청(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나 입력부(130) 등을 통해 지정된 특정 입력 키의 수신)에 따라 시작(S100)한다.
이후 단계 S101에서, 제어부(170)는 음성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아날로그나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수신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는 구(phrase)나 단어나 문장을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고, 가사나 제목을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단계 S103에서, 제어부(17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음성 데이터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벡터를 곡 DB에 저장되어 있는 가사나 제목과 비교하고 유사도에 따라서 이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일정 기준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가진 복수의 곡을 곡 DB의 모든 곡들에 대해서 검색한다.
이와 같이 검색된 복수의 곡들은 기본적으로 유사도에 따라 검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일정부분 낮은 기준 유사도를 활용하여 폭넓게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단계 S103에서, 검색된 복수의 곡들에 대해서 순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순서화는 유사도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곡이 첫 번째로 다음 높은 유사도를 가진 곡이 두 번째 등으로 순서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단계 S103에서의 순서화는 지정된 기본 타입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한 선택과 분류 없이 검색된 복수의 곡들 모두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단계 S105에서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순서화되는 복수의 곡들에 대해서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출력될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다른 콘텐츠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도록(분리되도록) 디스플레이(400)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정된 개수의 순서화된 곡들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후 단계 S107에서 제어부(170)는, 음성 검색 중에 동시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이미지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음성 데이터의 수신 동안에 재생 중이거나 이 수신 후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출력되고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09에서, 제어부(17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나 입력부(130)를 통해서 입력 키를 수신하고 단계 S111에서, 이 입력 키가 지정된 방향 키 인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S111에서의 결정이 상 방향 키나 하 방향 키와 같이 현재의 지정된 타입에서 순서화된 복수의 곡을 상하로 내비게이션하기(스크롤하기) 위한 입력 키인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전이한다.
단계 S113에서, 제어부(170)는 현재 지정된 타입에서 순서화된 복수의 곡에서 내비게이션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서, 곡 리스트의 이미지에 선택된 곡들 중 하나를 삭제하고 하나를 추가하도록, 곡 리스트의 이미지에 연속적으로 선택된 곡들을 변경하여 다시 재선택한다.
이에 따라, 이 단계 S113은 단계 S105로 전이하여, 내비게이션(스크롤)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재선택된 곡들이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생성되어 이후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이 단계 S113은, 현재 선택 가능한 곡을 나타내는 하일라이트(강조) 된 곡의 위치가 곡 리스트 중 첫 번째(도 4의 (a)의 곡 'A', 도 4의 (b)의 곡 'C' 참조)이고 상 방향 키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하일라이트 된 곡의 위치가 곡 리스트 중 마지막(도 4의 (a)의 'E', 도 4의 (b)의 'I' 참조)이고 하 방향 키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곡들에 대해서 하일라이트 되는 곡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선택되는 곡들은, 순서화된 복수의 곡들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곡들로서 상하의 방향 키에 따라서 현재 선택된 곡들보다 더 높은 유사도를 혹은 더 낮은 유사도를 가지는 지정된 개수의 연속적인 곡들이다.
만일 단계 S111에서의 결정이 지정된 방향 키가 아닌 경우에는 이 입력 키가 단계 S111에서의 지정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의 입력 키인지를 단계 S115에서 결정하고 만일 이 상이한 방향의 입력 키인 경우에는 단계 S117로 전이한다.
여기서 이러한 상이한 방향의 입력 키는, 예를 들어 좌 방향 키이거나 우 방향 키일 수 있다. 이러한 좌 방향이나 우 방향의 키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의 선택된 곡들에 대한 순서화에 적용된 타입을 변경하고 변경된 타입에서 순서화된 복수의 곡들에서 선택된 곡들이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117에서 현재 지정되어 있는 타입과는 상이한 타입으로 단계 S103에서 검색된 복수의 곡에 대해서 재 순서화한다.
여기서는 단계 S117에서 재 순서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S103에서 검색된 복수의 곡에 대해서 순서화에 이용될 각 타입별로 미리 순서화하고 이 단계 S117에서는 미리 순서화된 복수의 곡을 선택하도록 구성하면 충분할 것이다.
이후 단계 S119에서, 변경된 타입에 따라 재순서화된 복수의 곡에서 곡 리스트의 이미지에 표시될 곡들을 선택하고 이후 단계 S105로 전이하여 재선택된 곡들이 곡 리스트의 이미지로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7에서 복수의 곡을 순서화하기 위한 타입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색된 복수의 곡 전체에 대한 유사도로 순서화(기본 타입)하거나, 검색된 복수의 곡을 곡 타입으로 분류(선택)하고 분류된 특정 곡 타입에 대해서 음성 데이터와의 유사도로 순서화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기 리스트(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를 복수의 곡과 비교하여 인기 리스트와 복수의 곡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곡들에 대해서 음성 데이터와의 유사도로 순서화하는 등 여러 가지 타입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타입도 또한 미리 지정된 순서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에 의해서 미리 지정된 순서로 각 타입이 선택되고 각 타입에 대해서 순서화된 복수의 곡에서 연속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타입에 대한 이미지는 또한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함께(또는 포함되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어떠한 기준(타입)으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순서화와 유사도 판단이 이루어졌는 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방향 키(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에 따라서 이 타입에 대한 이미지는 변경되고 변경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400)로 출력된다.
이러한 타입에 대한 이미지는, 단계 S105 등에서 곡 리스트의 이미지의 생성과 함께 생성될 수 있다.
만일 단계 S115에서의 결정이 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 등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21로 전이하고 입력 키가 지정되어 있는 종료 키 인지를 결정하여 만일 종료 키인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전이하여 본 제어 흐름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1나 단계 S109로 전이하여 반복할 수 있다.
이상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기 위해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제어 흐름은, 음성 인식에 따라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나아가 이 제어 흐름은 디스플레이(400)의 제한된 영역 상에서 다른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색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고 음성 인식률이 낮은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링과 선호 예상되는 검색 결과를 간단한 방향 키를 활용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곡 리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예시적인 이미지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이미지 형태는 현재 순서화에 이용된 타입의 이미지("애창곡 200", "트롯트 200")와 이 타입에서 순서화되어 선택된 곡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재 지정된 타입에서는, 상 방향 키나 하 방향 키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곡 리스트를 변경하여 스크롤 또는 내비게이션이 가능하고, 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를 이용하여 검색된 복수의 곡들에 대해서 순서화나 분류 등에 이용될 타입을 변경(예를 들어 "애창곡 200" --> "트롯트 200" 등)하고 변경된 타입 내에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선택된 곡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좌 방향 키나 우 방향 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곡들이 표시될 때에는 첫번째 곡에 대한 정보는 하일라이트(hightlight) 될 수 있다. 그리고 상 방향 키나 하 방항 키의 수신에 따라 위쪽에 위치하는 곡에 대한 정보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곡에 대한 정보가 하일라이트(또는 강조) 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을 활용하여 순서화 방법을 다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음성 인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곡들을 효율적인 필터링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노래 반주 장치
110 : 음성 데이터 수신부 120 : 저장부
130 : 입력부 140 : 리모콘 신호 수신부
150 : 이미지 출력부 160 : 오디오 출력부
170 : 제어부 180 : 연결부
200 : 마이크 300 : 리모콘 전송 장치
400 : 디스플레이

Claims (7)

  1.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노래 반주 장치에서 수행되는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은,
    (a)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곡을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색된 복수의 곡 중에서 상기 음성 데이터와의 유사도에 따라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중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는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입력 키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입력 키가 지정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인 경우에, 상기 선택된 곡들에서 하나 이상의 곡을 변경하도록, 상기 선택된 곡들에서 하나 이상의 곡을 삭제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곡 중에서 상기 선택된 곡들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곡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단계 (e)에서 재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반복하는,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곡들과 상기 재선택된 곡들은, 지정된 타입에 따라 순서화된 검색된 복수의 곡 내에서 지정된 개수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곡들인,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가 상기 지정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인 경우에, 상기 지정된 타입과는 상이한 타입에 따라 순서화된 상기 복수의 곡에서 곡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반복하는,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지정된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타입 이미지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정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의 수신에 따라, 상기 지정된 타입과는 상이한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타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검색된 곡의 표시 방법.
  6.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곡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곡 중에서 상기 음성 데이터와의 유사도에 따라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재생중인 콘텐츠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콘텐츠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곡들을 나타내는 곡 리스트의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중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곡 리스트의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는 서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검색된 곡의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래 반주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리모콘 신호의 입력 키에 따라, 상기 입력 키가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인 경우에, 출력된 곡 리스트의 이미지의 선택된 곡들의 선정에 이용된 타입과는 상이한 타입으로 상기 검색된 복수의 곡을 순서화하여 곡 리스트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검색된 곡의 표시 시스템.
KR20130080336A 2013-07-09 2013-07-09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336A KR101492039B1 (ko) 2013-07-09 2013-07-09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336A KR101492039B1 (ko) 2013-07-09 2013-07-09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54A KR20150006654A (ko) 2015-01-19
KR101492039B1 true KR101492039B1 (ko) 2015-02-10

Family

ID=5256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336A KR101492039B1 (ko) 2013-07-09 2013-07-09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23B1 (ko) * 2019-09-18 2021-09-02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노래반주기용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노래 반주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985A (ja) * 1999-09-03 2001-03-23 Sony Corp 音楽検索装置
KR20030089981A (ko) * 2002-05-20 2003-11-28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터와 연동 하는 노래반주기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6047644A (ja) 2004-08-04 2006-02-16 Denso Corp 楽曲、映像コンテンツ、電子書籍、webコンテンツの各リスト交換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バと端末装置
KR20070084649A (ko) * 2006-02-21 2007-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반 홍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985A (ja) * 1999-09-03 2001-03-23 Sony Corp 音楽検索装置
KR20030089981A (ko) * 2002-05-20 2003-11-28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터와 연동 하는 노래반주기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6047644A (ja) 2004-08-04 2006-02-16 Denso Corp 楽曲、映像コンテンツ、電子書籍、webコンテンツの各リスト交換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バと端末装置
KR20070084649A (ko) * 2006-02-21 2007-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반 홍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54A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673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KR101275467B1 (ko)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93129B1 (ko) 플레이리스트 구성 및 미리보기
JP446989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70116853A (ko)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스캔 셔플
JP2006195385A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CN105611400B (zh) 内容处理设备和用于发送可变大小的片段的方法
KR20160050416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악 재생 방법
WO201702868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9990911B1 (en) Method for creating preview trac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59932A (ko) 사운드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492039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곡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48596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6630628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推奨楽曲提示プログラム
KR201901179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0509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voice relating to the preferences of a user
KR101573868B1 (ko)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노래 가사를 인식하는 서버 및 이 서버를 포함하는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시스템
JP6352164B2 (ja) 聴取者評価を考慮した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00267679A (ja) カラオケ曲検索方法及びカラオケ曲検索機能を具備するカラオケシステム
KR10130114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노래 선곡 방법
KR101249228B1 (ko) 노래 반주기와 노래 반주기 시스템의 노래검색 작동방법 및 노래 반주기 시스템
JP2007225740A (ja) 携帯情報端末及び選曲装置
JP2009043353A (ja) タイトル付与装置、タイトル付与方法、タイトル付与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091176A (ja) 楽曲検索装置および楽曲再生装置
JP2015194832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