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548A -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548A
KR20020033548A KR1020010066777A KR20010066777A KR20020033548A KR 20020033548 A KR20020033548 A KR 20020033548A KR 1020010066777 A KR1020010066777 A KR 1020010066777A KR 20010066777 A KR20010066777 A KR 20010066777A KR 20020033548 A KR20020033548 A KR 2002003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ider
spiral bar
box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268B1 (ko
Inventor
다카사와시게요시
마츠모토사토시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2002003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4Separable slide fasteners with quick opening devices
    • A44B19/388Bottom end stop means for quick opening slid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1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 Y10T24/251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and for aligning surfaces or obstructing slider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6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eparable-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 Y10T24/259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having specific mounting connection or reinforcing structure at connection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Buckles (AREA)
  • Carton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을 반자동ㆍ자동정지 슬라이더에 부드럽게 삽입조작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한다. 나선봉(4)을 역개방용 슬라이더(1) 또는 일반형 슬라이더(5)에 삽입할 때, 슬라이더(1, 5)에 설치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경사설치하고, 이러한 경사면(6) 보다 안쪽으로 정지부재(25)를 지지하는 입구가 경사진 오목부(7)를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봉(3)측의 스트링거(16)에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삽입하고, 그 상측에 다른 슬라이더(5)를 삽입하여 당접시키고, 이 상태에서 다른 스트링거(16)에 배치된 나선봉(4)을 삽입하면 경사면(6)으로 정지부재(25)를 눌러올려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고,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RELEASABLE BOTTOM END STO FOR SLIDE FASTNER}
본 발명은 슬라이스 파스너에 대한 개리(開離) 삽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자체,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 또는 역개방용 슬라이더,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역개방형태의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을 개량하여, 원활한 개리 삽입조작이 실행되는 개리 삽입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봉(3')의 파스너소자(18')측의 단부에 대한 내측연 즉, 파스너테이프측의 연부를 절결하여 경사면 형상으로 라운딩처리한 개리 삽입구가 일본 실용공개 소63-316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있어서, 슬라이더(5")의 정지부재(25")가 당접하는 선단측에서 절반분의 외측 연부의 모서리부를 절결하여 경사면(6")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6")에 이어서 파스너소자(18")의 정지부의 기부까지의 절반의 연부에 내측이 경사면(6")을 형성하고, 외측이 수평면(3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절결하여 정지부재(25")의 정지를 피하는 회피부를 형성한 개리 삽입구가 일본 특개평11-1786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도11에 도시된 개리 삽입구는 상자체(2')와 상자봉(3')이 고정된 상자체(2')에 나선봉(4')을 삽입할 때 슬라이더(5')가 경사진 상태로 상자체(2')에 접촉한 곳에 나선봉(4)을 삽입하기 위해, 상자봉(3')측에 위치된 정지부(25')를 상자봉(3')의 정상적인 위치로 슬라이더(5')와 함께 이동시키기 위해, 상자봉(3')의 모서리부를 절결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한 개리 삽입구이므로, 나선봉(4')측에 정지부재(25')가 존재할 때 특히 역개방형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4')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개리 삽입구는 상자체(2"), 상자봉(3"), 나선봉(4")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이므로, 상자체(2") 대신에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이용하는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는 이용할 수 없다. 즉, 파스너체인의 단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 또한,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작용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서도 슬라이더(5")의 시동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항에 따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리 삽입구에서, 상자체,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는 물론이거니와 특히, 역개방용 슬라이더,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역개방형의 개리 삽입구에 적합한 나선봉을 발명한 것이며, 나선봉을 정지부재를 구비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고, 슬라이더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의 시종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 및 역개방형의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을 포함하며, 양호한 개리 삽입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제2항에 따른 발명은 상자체,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특정의 형태를 적용하고, 개리 삽입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3항에 따른 발명은 역개방용 슬라이더,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하는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특정의 형태를 적용하고, 개리 삽입기능을 높일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4항 내지 제6항에 따른 발명은 각각 특정의 형태를 구비한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을 각종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고, 개리 삽입구의 이용범위를 확장시킨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7항 및 제8항에 따른 발명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이용하는 역개방용슬라이더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부드럽게 시동시킬 수 있으며, 역개방의 개리 삽입기능을 높일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9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발명은 각각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상자봉에 대해 특정의 형태를 제공하여 우수한 개리 삽입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4)에 있어서, 나선봉(4)을 역개방용 슬라이더(1, 5)에 삽입할 때, 역개방용 슬라이더(1, 5)에 설치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押上)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경사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를 주된 구성으로 한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자체(2), 상자봉(3), 나선봉(4)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4)에, 파스너체인(15)에 설치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더(5)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형성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용 슬라이더(1), 상자봉(3), 나선봉(4)으로 형성된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4)에, 파스너체인(15)에 설치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더(1)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의 경사면을 형성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형성되는,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의 전폭에 경사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형성되는,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내측에 경사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형성되는,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및 이면 양측에 경사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경사설치한 경사면(6) 보다도 기단측에 인접하여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정지부재(25)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오목부(7)를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설치된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에 정지부재(25)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오목부(7)는 입구측에 경사판의 라운딩부(8)를 형성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상자봉(3)의 선단에 파스너체인(15)에 삽입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10)를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상자봉(3)의 선단측의 외측면에, 배치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안내기둥(22)에 나선봉(4)이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나선봉(4)의 후퇴용 팽창부(9)를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상자봉(3)에 대한 파스너소자(18)측의 단부에, 자동정지장치 또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설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의 상자봉과 나선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초기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3은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중기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4는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5는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더의 일부를 절단한 정단면도.
도7은 나선봉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나선봉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초기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10은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11은 공지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초기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12는 다른 공지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의 삽입초기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역개방용 슬라이더2: 상자체
3: 상자봉4: 나선봉
5: 슬라이더6: 경사면
7: 오목부8: 라운딩부
9: 팽창부10: 돌출부
18: 파스너소자25: 정지부재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개리 삽입구와 같이, 역개방용 슬라이더(1), 상자봉(3), 나선봉(4)의 3부재로 형성되며, 파스너체인(15)에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 이외에도 파스너체인(15)을 개폐하는 슬라이더(5)가 삽입되어 있다. 역개방용 슬라이더(1, 5)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으로 배치된 상부날개판(27)과 하부날개판(28)의 일단을 안내기둥(22)으로 연결한 원통체(21)를 아연합금,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으로 다이캐스팅하여 성형하고, 측면에 정지부재(25)를 돌출시킨 커버(24)를 금속판을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하여 원통체(21)에 피착(被着)하고, 이렇게 피착된 커버(24)와 원통체(21) 사이에 스프링(29)을 내장하여 정지부재(25)를 자동적으로 원통체(21)의 파스너소자(18)를 안내하는 안내홈(23)으로 탄성돌출시킨다.
파스너체인(15)은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6)의 파스너 테이프(17)의 대향측연에 배치된 팽창한 형상의 코어부(19)를 따라 일정간격 마다 파스너소자(18)를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프틸렌, 테레프타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다. 각각의 파스너 스트링거(16)의 단부에는 파스너소자(18)에 인접하여 한쪽에 각봉 형상의 상자봉(3), 다른쪽에 동일한 각봉 형상의 나선봉(4)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파스너 테이프(17) 및 코어부(19)를 포피(包被)하는 형태로 용착한 보강테이프(20)상에 사출성형하고, 상자봉, 나선봉(4)은 각각 역개방용 슬라이더(1, 5)의 크기의 약 1.5배의 각봉 형상으로 성형한다.
상자봉(3)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한쪽의 파스너소자(18)를 안내하는 안내홈(23)에 삽입되었을 때 역개방용 슬라이더(1)가 이탈할 수 없도록 상자봉(3)의 선단 이면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형 돌출부(10)를 돌출설치하고, 하부날개판(28)의 전단과 당접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자봉(3)의 선단측의 외측면에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에 삽입되었을 때 원통체(21)의 안내기둥(22)을 향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팽창부(9)를 설치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다른 쪽의 파스너소자(18)를 안내하는 안내홈(23)에 삽입되는 나선봉(4)과 접촉하고, 나선봉(4)의 진로를 변화시켜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안내기둥(22)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시킨다.
또한, 상자봉(3)의 내측면 즉, 파스너테이프(17)측의 연부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플랜지(26)의 내측면에 합치하는 형태로 성형하고, 상자봉(3)이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내부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성형한다. 또한 상자봉(3)의 기단부 즉, 파스너소자(18)와 인접하는 측의 단부의 표면에는 슬라이더(5)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경사설치하여 슬라이더(5)를 정지부재(25)가 상자봉(3)의 표면에 올라탄 상태로 지지한다. 또한 상자봉(3)에 기단의 외측면에는 혀 형상의 부재(12)를 돌출설치하고, 나선봉(4)의 기단에 인접하여 외측면에 설치된 오목함몰부(11)에 삽입시켜, 나선봉(4)과 상자봉(3)이 파스너체인(15)의 표면 및 이면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17)의 단부에 용착한 보강테이프(20)의 일측연에 각봉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나선봉(4)은 상자봉(3)에 비해 좁게 형성하여 삽입하기 쉬운 형태로 한다. 또한, 나선봉(4)의 표면은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중앙 근방까지 경사진 경사면(6)을, 나선봉(4)의 내측 즉, 파스너 테이프(17)측을 향하여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정지부재(25)를 서서히 눌러올리고, 나선봉(4)의 표면에 정지부재(25)가 저항하지 않고 올라타게 한다. 또한, 경사면(6) 보다 기단측에 인접하여 오목함몰부 형상의 소형 오목부(7)를 형성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자동정지부재(25)를 삽입하여 지지한다. 또한, 오목부(7)의 입구는 경사 형태의 라운딩부(8)가 형성되어, 나선봉(4)을 역개방용 슬라이더(1)로부터 인출할 때 오목부(7)로부터 정지부재(25)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나선봉(4)의 기단 외측에는 상자봉(3)의 부재(12)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함몰부(11)가 형성되어, 나선봉(4)과 상자봉(3)이 파스너테이프(17)의 표면 및 이면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개리 삽입구의 사용형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봉(3)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16)에 역개방용 슬라이더(1)를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더(5)를 삽입하여 역개방용 슬라이더(1)에 당접시켜, 나선봉(4)을 슬라이더(5)의 안내홈(23)에 삽입하고, 이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1)에 삽입하고, 양 파스너 스트링거(16)를 인출한 후, 슬라이더(5)를 잡아올려 파스너 체인(15)을 폐쇄시킨다.
이어서 파스너체인(15)을 역개방 상태로 분리개방시키기 위해서는 폐쇄된 상태에 있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를 파스너체인(15)의 개구방향으로 끌어올려 파스너체인(15)을 개방시키고,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6)로 분리개방시킨다.
도7에 도시된 나선봉(4)의 변형예는 나선봉(4)의 표면에 형성되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과, 정지부재(25)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오목부(7)를 나선봉(4)의 전폭에 걸쳐 설치하고, 자동정지장치의 어떠한 형태의 정지부재(25)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부드럽게 나선봉(4)의 삽입조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8에 도시된 나선봉(4)의 변형예는 나선봉(4)의 이면에도 자동정지장치의 자동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형성하여 나선봉(4)을 역개방용 슬라이더(1)에 대해 우측편차, 좌측편차 어느 방향에서라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점퍼 등의 의복의 리버시블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나선봉(4)에는 정지부재(25)가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오목부(7)를 설치하는 것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개리 삽입구는 상자체(2), 상자봉(3), 나선봉(4)의 3부재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로서, 상자체(2)는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16)의 일측면에 설치된 코어부(19)를 포피(包被)하는 보강테이프(20)의 일측연에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상자체(2)와 상자봉(3)을 일체로 고정하고, 상자체(2)에는 고정된 상자봉(2)에 인접한 위치에 나선봉(4)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13)을 설치한다.
나선봉(45)은 다른쪽의 파스너 스트링거(16)의 일측연에 설치된 코어부(19)를 포피(包被)하는 보강테이프(20)의 일측연에 각봉 형상의 나선봉(4)을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고, 상기 나선봉(4)의 내측표면 즉, 파스너 테이프(17)측에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중앙근방까지 경사진 경사면(6)을 성형하여, 슬라이더(5)의 자동정지장치의 정지부재(25)를 서서히 눌러울려, 나선봉(4)의 표면에 정지부재(25)가 저항없이 올라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의 사용형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체(2), 상자봉(3)이 설치된 파스너 스트링거(16)에 슬라이더(5)를 삽입하고, 상기 슬라이더(5)의 다른쪽의 안내홈(23)으로 나선봉(4)을 삽입하고, 경사면(6)에 정지부재(25)가 당접되어 서서히 압상시키면서 삽입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봉(4)을 상자체(2)의 나선봉 삽입구멍(13)으로 삽입하여 나선봉(4)의 삽입조작이 종료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를 잡아올리면 파스너체인(15)은 폐쇄된다. 폐쇄된 파스너체인(15)을 분리개방하기 위해서는 폐쇄상태의 파스너체인(15)에 배치된 슬라이더(5)를 끌어내려 상자체(2)에 당접시키고, 이후 나선봉(4)을 설치한 파스너 스트링거(16)를 상자체(2)로부터 이탈시키므로써 파스너체인(15)을 분리개방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에서도 나선봉(4)에 대한 경사면(6)의 설치를 나선봉(4)의 전폭에 형성되거나,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이어서 경사면(6)에 연접하는 오목부(7)를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상술한 슬라이더는 정지부재가 스프링의 기능도 갖고 있고, 손잡이의 회전축에 캠을 부설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므로써 정지부재를 안내홈내로 돌출시키는 반자동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더 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항의 발명은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역개방용 슬라이더 또는 슬라이더의 자동정지부재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을 나선봉의 표면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경사설치하므로써, 일반적인 형태의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을 자동정지기구 또는 반자동정지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 또는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대해 매우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의 시동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고, 우수한 개리 삽입기능이 발휘되는 효과를 갖는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자체,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에 정지부재의 압상용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써, 일반형에대한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대해 우수한 개리 삽입기능을 구비한 기능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역개방용 슬라이더, 상자봉, 나선봉으로 형성된 역개방형의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정지부재의 압상용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써, 역개방형에 대한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 대해 우수한 개리 삽입기능을 구비한 기구를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역개방형 슬라이더에 대해서는 정지부재가 나선봉의 안내홈으로의 삽입경로에 돌출되지 않는 전용의 슬라이더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전용 슬라이더를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슬라이더와 겸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정지부재의 압상용 경사면을 나선봉의 표면 전촉에 경사설치하므로써 일반적인 형태의 역개방형에 대한 어떠한 자동정지기구 또는 반자동정지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에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정지부재의 압상용 경사면을 나선봉의 표면 내측에 경사설치하므로써, 나선봉의 부착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정지부재의 압상용의 경사면을 나선봉의 표면 및 이면 양면에 경사설치하므로써, 일반적인 형태의 역개방형의 개리 삽입구에서도 나선봉을 우측편차, 좌측편차중 어디에도 이용할 수 있고, 점퍼 등의 의복의 리버시블용으로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나선봉에 경사설치한 경사면보다도 기단측에 인접하여 정지부재의 삽입용 오목부를 설치하므로써,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에역개방용 슬라이더를 매우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나선봉에 설치한 정지부재의 삽입용 오목부는 입구측에 경사 형태의 라운딩부를 형성하므로써,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시동동작을 매우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자봉의 선단에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탈출방지용 돌출부를 설치하므로써,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안정된 상태로 상자봉에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자봉의 선단측의 외측면에 나선봉 후퇴용의 팽창부를 설치하므로써,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나선봉을 삽입하였을 때, 슬라이더의 안내기둥에 충돌하지 않고, 매우 부드럽게 나선봉의 삽입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자봉의 파스너소자측의 단부에 정지부재의 압상용의 경사면을 설치하므로써, 역개방형 개리 삽입구의 상자봉도 정지부재의 압상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쾌하게 슬라이더의 폐쇄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는 매우 현저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1)

  1. 개리 삽입구에 대한 나선봉(4)에 있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1, 5)의 정지부재(25)를 눌러올리는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경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자체(2), 상자봉(3), 나선봉(4)으로 형성된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3. 제1항에 있어서, 역개방용 슬라이더(1), 상자봉(3), 나선봉(4)으로 형성된 개리 삽입구의 나선봉(4)에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4. 제1항에 있어서,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전폭에 경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5. 제1항에 있어서,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내측에 경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6. 제1항에 있어서,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나선봉(4)의 표면 및 이면 양면에 경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7. 제1항에 있어서, 나선봉(4)에 경사설치한 경사면(6) 보다도 기단측에 인접하여 정지부재(25)의 삽입용 오목부(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8. 제7항에 있어서, 나선봉(4)에 경사설치한 정지부재(25)의 삽입용 오목부(7)는 입구측에 경사형태의 라운딩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9. 제3항에 있어서, 상자봉(3)의 선단에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탈출방지용 돌출부(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자봉(3)의 선단측의 외측면에 나선봉(4)의 후퇴용 팽창부(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11. 제3항에 있어서, 상자봉(3)의 파스너소자(18)측의 단부에 정지부재(25)의 압상용 경사면(6)을 경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KR1020010066777A 2000-10-31 2001-10-29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KR100545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2881A JP3621040B2 (ja) 2000-10-31 2000-10-31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JPJP-P-2000-00332881 2000-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548A true KR20020033548A (ko) 2002-05-07
KR100545268B1 KR100545268B1 (ko) 2006-01-24

Family

ID=1880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777A KR100545268B1 (ko) 2000-10-31 2001-10-29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15458B2 (ko)
EP (1) EP1201147B1 (ko)
JP (1) JP3621040B2 (ko)
KR (1) KR100545268B1 (ko)
CN (1) CN1201689C (ko)
BR (1) BR0105839B1 (ko)
DE (1) DE60112379T2 (ko)
ES (1) ES2244537T3 (ko)
HK (1) HK1044266B (ko)
TW (1) TW5891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95B1 (ko) * 2006-10-20 2008-11-25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617B2 (ja) * 2003-10-17 2008-03-19 Ykk株式会社 線条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
JP4155933B2 (ja) * 2004-03-05 2008-09-2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逆開き具
JP4238229B2 (ja) * 2005-04-20 2009-03-18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上止
JP4307413B2 (ja) * 2005-06-20 2009-08-0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GB0520447D0 (en) * 2005-10-07 2005-11-16 Ykk Europ Ltd Drawstring
JP4726876B2 (ja) * 2007-10-15 2011-07-2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02245046B (zh) * 2008-12-12 2014-04-02 Ykk株式会社 拉链用分离嵌插件
US8959727B2 (en) 2008-12-26 2015-02-24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TWM373130U (en) * 2009-04-15 2010-02-01 Chung Chwan Entpr Co Ltd Insertion pin, retainer pin, and insertion pin set of zipper
TWM373139U (en) * 2009-04-15 2010-02-01 Chung Chwan Entpr Co Ltd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set of zipper
US20100299887A1 (en) * 2009-06-02 2010-12-02 Yu-Pau Lin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assembly for zipper
JP5143285B2 (ja) 2009-07-29 2013-02-1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460431A4 (en) * 2009-07-30 2013-05-22 Ykk Corp ZIP CLOSURE
US20120167354A1 (en) * 2009-09-11 2012-07-05 Ykk Corporatio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JP5606452B2 (ja) * 2009-12-25 2014-10-15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ES2624302T3 (es) 2011-03-31 2017-07-13 Ykk Corporation Cursor para cierre de cremallera con un dispositivo de retén automátic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WO2012147181A1 (ja) * 2011-04-27 2012-11-01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6894739B2 (ja) * 2017-03-28 2021-06-3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GB2572423B (en) 2018-03-29 2022-04-27 Ykk Corp Slide fastener
CN116348010A (zh) * 2020-10-28 2023-06-27 Ykk株式会社 双开尾拉链用分离嵌插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90573A (fr) * 1950-02-02 1953-05-15 Inc Talon Dispositif de fermeture à curseur.
FR1092449A (fr) * 1953-10-23 1955-04-21 Fermetures Reix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ermetures à curseur
DE2430232C3 (de) * 1974-06-24 1980-04-30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Verschlußanordnung zum Kuppeln und Entkuppeln von drei Verbindungsteilen bei einem Reißverschluß
JPS5758969Y2 (ko) * 1978-04-19 1982-12-16
KR820001875Y1 (ko) * 1979-05-09 1982-09-09 요시다 다다오 슬라이드파스너의 개리 감삽구
IT8153887V0 (it) * 1980-12-26 1981-12-15 Yoshida Kogyo Kk Chiusura lampo con nastri separabili
JPS6059910U (ja) * 1983-09-30 1985-04-2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入力装置
JPH0753127B2 (ja) 1986-07-25 1995-06-07 株式会社飛弾製作所 棒状化粧品容器
KR900005050Y1 (ko) * 1988-01-18 1990-06-08 김삼홍 잠금과 분리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JP2774218B2 (ja) * 1992-07-31 1998-07-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および開離嵌挿方法
JP3285453B2 (ja) * 1994-09-30 2002-05-2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合成樹脂製開離嵌挿具
GB2327709A (en) * 1997-07-25 1999-02-03 Ykk Europ Ltd Snap fitted bottom stop for zip fastener
JPH11221105A (ja) * 1997-11-20 1999-08-17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3589440B2 (ja) * 1997-11-28 2004-11-17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3622885B2 (ja) * 1997-12-18 2005-02-23 Ykk株式会社 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用の開離嵌挿具
JP3620973B2 (ja) * 1998-09-30 2005-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3621006B2 (ja) * 1999-09-30 2005-02-16 Ykk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およびスライ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95B1 (ko) * 2006-10-20 2008-11-25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9166B (en) 2004-06-01
HK1044266B (zh) 2005-10-14
BR0105839A (pt) 2002-07-02
DE60112379T2 (de) 2006-06-01
CN1350817A (zh) 2002-05-29
CN1201689C (zh) 2005-05-18
KR100545268B1 (ko) 2006-01-24
US20020050031A1 (en) 2002-05-02
ES2244537T3 (es) 2005-12-16
JP3621040B2 (ja) 2005-02-16
EP1201147B1 (en) 2005-08-03
BR0105839B1 (pt) 2009-05-05
EP1201147A1 (en) 2002-05-02
HK1044266A1 (en) 2002-10-18
US6615458B2 (en) 2003-09-09
DE60112379D1 (de) 2005-09-08
JP2002136309A (ja) 200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268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리 삽입구
JP4307413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KR10087059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WO2012020728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3379005B2 (ja) 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1886592A2 (en) Slide fastener slider
EP2904922B1 (en) Slide fastener
KR100300680B1 (ko) 슬라이드파스너의로킹기구를갖는슬라이더와분리가능한바닥단부정지부
JP2000106917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兼用開離嵌挿具
EP2460430B1 (en) Slide fastener
EP1430804B1 (en) Concealed type slide fastener
JP3733309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0333710A (ja) 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20130058045A (ko)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9980080919A (ko) 자동 정지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6899504B2 (en) Fastener
JP4305764B2 (ja) 錠剤等振出し容器
JPS6018169Y2 (ja) コンパクト等の容器の開閉機構
JPH08173215A (ja) 開離嵌挿具付き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H0542793A (ja) クリツプ帯体およびクリツプドライバ
JP3434910B2 (ja) 綴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01

Effective date: 2005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