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931A -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 Google Patents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931A
KR20020029931A KR1020027002434A KR20027002434A KR20020029931A KR 20020029931 A KR20020029931 A KR 20020029931A KR 1020027002434 A KR1020027002434 A KR 1020027002434A KR 20027002434 A KR20027002434 A KR 20027002434A KR 20020029931 A KR20020029931 A KR 2002002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ield
display tube
color display
magnetic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멘스부르트 아드리아누스 예이. 반
벤 하. 하겔루켄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2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형광체 요소의 패턴을 갖는 연장된 형광체 스크린을 구비한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X 방향으로의 전자빔(5, 6, 7)의 도착 에러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내부 자기 차폐부에 사용되는 자기 물질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는 호일로부터 딥-드로잉되는 튜브로 구성된 내부 자기 차폐부(16)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는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애퍼처(22)를 갖는 하단부(21)를 갖는다.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애퍼처에 인접한 하단부의 물질은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졌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경우 절단되었을 튜브의 하단부의 물질은 자기 차폐부의 "가상" 높이를 연장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COLOR DISPLAY TUBE COMPRIS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서, 지자기장(earth's magnetic field)은 전자 경로의 편향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지자기장에 의한 편향은, 아무런 대책이 없어, 전자가 잘못된 형광체에 충돌{오착(mislanding)}해서, 영상의 변질을 초래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튜브의 축 방향에서의 지자기장의 성분{소위 축 자기장(axial field)}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코너에서 칼라의 부족 또는 심지어 칼라 불순물(color impurity)로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지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오착을 감소시키는 널리 알려진 수단은 내부 자기 차폐부의 사용이다. 그러한 차폐부의 형태는 대체로 디스플레이 튜브의 엔벨로프의 외형에 따른다. 이것은, (퓨넬형) 차폐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장축(X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길고 다소 사다리꼴인 면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축(Y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짧고 다소 사다리꼴인 면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유형의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서, 이러한 차폐부는 스트립 물질로부터 딥-드로잉(deep-drawn)된 철제{배스(bath)}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개구부가 제공된다. 딥-드로잉 제품의 결점은, 스트립 물질의 완전히 실질적인 부분이 조각(scrap)으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른 유형의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는 평평한 시트로부터 절단되고 후속적으로 휘어지는 자기 차폐부를 종종 포함한다. 휘어진 차폐부의 경우에, 조각의 퍼센트(percentage)는 종종 딥-드로잉된 차폐부보다 더 작지만, 파스닝 러그(fastening lug)의 스팟 용접(spot welding) 또는 수동 휨(manual bending)과 같은 필요한 추가 동작은 비용이 더 높아지는 것을 초래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휘어진 차폐부가 디스플레이 튜브에 사용되지만, 상기 차폐부가 많은 점에서 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딥-드로잉 차폐부쪽으로 향하는 추세에 있다. 디스플레이 튜브, 특히 LCD에 관한 힘든 경쟁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비용 면에서 더욱 더 절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차폐부의 자기 성능이 유지되는 (딥-드로잉된) 차폐부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 관한 것인데, 상기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는, 넥 부분, 퓨넬형 부분 및 윈도우 부분을 포함하는 엔벨로프(envelope)와,
넥 부분에 배치된 전자총 시스템과,
윈도우 부분의 내부 표면상의 형광체 패턴을 갖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마주보며 배치된 칼라 선택 수단과,
퓨넬형 부분 내부에 배치된 내부 자기 차폐부(shield)로서, 상기 자기 차폐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장축(X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긴 측면 벽부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축(Y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짧은 측면 벽부와, 전자총의 측면상에서 전자를 통과시키는 애퍼쳐를 포함하며, 상기 애퍼쳐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수직축에 가로질러 연장하는,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한다.
용어 "칼라 선택 수단"은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애퍼쳐가 제공되는 새도우 마스크 플레이트, 또는 와이어(wire) 마스크를 의미하도록 간주된다.
도 1은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의 단면도.
도 1b는 오착의 원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빔 오착이 측정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위치뿐 아니라 좌표 시스템이 표시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내부 차폐부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튜브용 차폐부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차폐부의 평면도.
도 5b는 도 4에 따른 차폐부를 짧은 면에서 본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튜브용 차폐부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차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고전압 접점 및 게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벽부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터 조립체의 사시도.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개시부에 언급된 유형의 디스플레이 튜브는, 차폐부가 시트 또는 스트립 물질(슬러그)로부터 드로잉된 튜브이고,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는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중심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중심 개구부에 인접한 하단부의 물질은 상기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폐부의 비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한편, 원하는 자기 차폐 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배스 튜브의 드로우의 깊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스트립 물질에서 나오는 더 작은 슬러그가 필요하다. 전자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절단한 후에 잔존하는 하단부의 부분은 종종 차폐 다이아프램(diaphragm)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서, 튜브의 하단부에서 절단된 차폐 다이아프램은 튜브의 하단부에서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보다 더 작고, 그 후에, 초과하는 부분은 밖으로 휘어져서, 전자빔의 코너 커팅(corner cutting)은 발생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튜브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차폐부에서 전자를통과시키는 개구부가 연장되고, 한 쌍의 마주보는 긴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긴 측면에 인접한 하단부의 물질의 스트립이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튜브에서, 하단부의 물질의 스트립이 개구부의 긴 측면과 짧은 측면 양쪽 모두를 따라 밖으로 휘어지는 경우 유리하다.
전술한 수단은, 예를 들어 20% 더 작은 슬러그 및 더 작은 차폐부 높이를 사용하여 최적의 차폐 높이의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데, 그 결과, 최적의 자기 차폐는 20% 적은 물질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통상적인 슬러그보다 20% 이상 더 작은 슬러그, 특히 25% 이상 더 작은 슬러그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더 이상 초래하지 않는다. 실제로, 10% 내지 15% 더 작은 슬러그는 물질의 경제성 및 자기 차폐의 관점에서 매우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더욱이, 상기 슬러그의 사용은 전체 설계가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되도록 하여, 이를 통해 전자의 코너 커팅이 방지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확장되어, 차폐부의 하단부에 전자를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있는데, 즉 상기 개구부는 2개의 긴 측면 및 2개의 짧은 측면을 갖는다. 라인 마스크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경우에, 즉 형광체 패턴이 라인 패턴인 경우에, 전자를 통과시키는 개구부의 긴 측면과 인접한 하단부 물질의 스트립이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튜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가장 효과적이다. 14" 튜브 및 20V 튜브와 같은 더 작은 형태에서, 본 발명은 특히 매력적이다. 형광체 패턴이 도트 패턴인, 육각형의 마스크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튜브의 경우에, 전자를 통과시키는 개구부의 짧은 측면에 인접한 하단부 물질의 스트림이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질 스트립이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휘어지는 각도는 또한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β로 도면에 표시된 이러한 각도는, 과주사(overscan)를 포함하는 α로 도면에 표시된 최대 편향각보다 더 작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내지 30°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그 크기는 특히 튜브의 깊이(90° 튜브의 깊이는 110° 튜브의 깊이를 초과한다)에 따른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Wtop로 도면에 표시된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휘어진 물질 스트립 사이의 최소 거리는, Wmax로 도면에 표시된 다이아프램 개구부의 최대 폭보다 적어도 5% 더 작다.
- Htot로 도면에 표시된 차폐부의 총 높이는, Hbod로 도면에 표시된 튜브의 본체의 높이보다 적어도 10% 더 높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및 다른 양상은 이후에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지고, 상기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와, 퓨넬형(funnel-shaped) 부분 즉 콘(cone)(2)과, 넥(neck)(3)으로 구성된 유리 엔벨로프(envelop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튜브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넥(3)은 3개의 전자빔(5, 6, 7)을 생성하기 위한 3개의 전자총을 포함하는 전극 시스템(4)을 수용한다. 전자빔은 하나의 평면(이 경우에, 도면의 평면)에서 생성되고, 디스플레이 윈도우(1)의 내부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8)을 향해 나아가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알루미늄 층으로 코팅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개별 형광체 요소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8)으로 가는 도중에, 전자빔(5, 6, 7)은, 튜브 축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편향 코일 시스템(9)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8)을 가로질러 편향되고, 전자빔은 예를 들어 개구부(openings)(11)를 갖는 금속 시트로 구성된 칼라 선택 전극(10)을 통과한다. 3개의 전자빔(5, 6, 7)은 서로에 대해 작은 각도로 개구부(11)를 통과하고, 그 결과, 각 전자빔은 하나의 칼라의 형광체 요소에만 충돌한다. 튜브는 튜브의 벽부에 배치된 고전압 접점(애노드 접점)(14)을 추가로 포함한다. 칼라 선택 전극(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8)과 마주보며 현가(suspended)되어 있다. 퓨넬형 자기 차폐부(16)는 유리 엔벨로프 내부에 배치된다.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서, 전자는 새도우 마스크의 정공(hole)을 통과하고, 형광체 상에 입사한다. 형광체의 위치는 어느 특정한 지자기장(terrestrial field)(지구상의 장소)에서의 튜브의 하나의 방위에 대해 최적이다. 다른 방위 또는 지자기장에 대해, 전자는 새도우 마스크 상의 상이한 스팟(spot)에 입사한다. 이는 특히 칼라 모니터에 불리한 영상의 왜곡을 초래한다. 더욱이, 전자는 상이한 각도로 마스크에 도달한다. 전자가 정공을 통과하면,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인 자기장의 영향은 스크린 상의 전자의 오착(M)을 야기한다. 도 1b를 참조하자. 오착의 정도가 너무 크면, 심지어 그릇된 형광체에 도달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칼라 에러를 초래한다.
차후에, 지자기장이 전혀 보상되지 않을 때 오착의 정도에 대한 계산이 주어진다. 크기(B)의 균일한 장에서, 전자는 R=mv0/eB로 주어진 반경(R)의 경로를 그리며 운행(describes)하는데, 여기서 m, v0및 e는 각각 전자의 질량, 속도 및 전하이다. 5*10-5T(~1/2 가우스)의 지자기장, 108m/sec의 전자 속도(v0), e/m=1.076×1011C/kg에서, R의 값은11.4m가 된다. 단순한 기하학적 고려는 오착(M)에 대한 다음의 값을 초래한다:
여기서 L1은 전자 소스로부터 새도우 마스크까지의 거리이고, L2는 새도우 마스크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이다. 오착이 예를 들어 튜브의 밝기의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오착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튜브가 커지면 L1 및 L2도 증가하게 되어, 오착이 2차적으로(quadratically) 증가한다.
튜브에서의 교란된 자기장의 방향은 상기 세트의 위치와 방위에 따른다. 차폐부의 자화를 특정한 장소에 존재하는 자기장에 적응시키기 위해, 차폐부는, 세트가 스위치 온할 때마다 감소하는 교번 자기장(alternating field)에 의해 자성을 없앤다(demagnetized).
전자총의 측면 상에, 차폐부는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측면 상에, 차폐부는 자기 물질로 이루어진 새도우 마스크에 의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전자총의 측면 상에 있는 차폐부에 관해 최소 물질의 사용과 상당히 최적인 설계의 조합에 기초한다.
이후의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 2는 디스플레이 튜브에서의 좌표 시스템 및 스크린 상의 장소 시스템의 정의를 제공한다. 여기서, Z 방향에서의 지자기장의 성분, 즉 소위 축 자기장이라 하는 성분만이 고려된다.
도 3은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22)를 갖는 하단부(21)를 구비하는 종래의 차폐부(20)를 도시한다. 차폐부의 높이(하단부와 전방면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높아서, 차폐부는 상당히 큰 슬러그(slug)로부터 드로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30)(도 4)는, 낮은 탄소 함유량을 갖는 강철과 같은 연자성(soft magnetic) 물질의 시트를 딥-드로잉함으로써 얻어지는데, 상기 시트의 두께는 1mm의 1/10에서부터 1/10의 수배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단순한 실시예에서, 하단부(31)(상기 총 방향으로)로부터 휘어진 스트립(33, 34a, 34b)은 차폐 다이아프램의 긴 측면을 따라서만 제공된다. 도 5a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짧은 측면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시작 슬러그는 실질적으로 더 작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 다른 경우 절단되었을 튜브의 하단부의 물질이 차폐부의 "가상"의 높이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90°의 튜브에서의 차폐부에 대한 슬러그의 크기에 관한 몇몇 예에 의해 설명된다:
14" 튜브에 대한 종래의 슬러그: 32.5×38.0=1235cm2.
본 발명에 따른 14" 튜브에 대한 슬러그의 실제적인 실시예:
27.0×34.0=918cm2.
절감: 26%.
20V 튜브에 대한 종래의 슬러그: 48.5×54.0=2619cm2.
본 발명에 따른 20V 튜브에 대한 슬러그의 실제적인 실시예:
43.0×50.0=2150cm2.
절감: 18%.
25V 튜브에 대한 종래의 슬러그: 52.0×62.0=3224cm2.
본 발명에 따른 25V 튜브에 대한 실제적인 실시예:
46.5×58.0=2697cm2.
절감: 16%.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더 작은 튜브 유형 및 90°의 편향각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튜브의 크기(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대각선)가 증가함에 따라, 물질에서의 상대적인 절감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차폐부의 소위 스커트(skirt)(36)(도 4)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이는 또한 물질을 절약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스커트를 생략하는 것은, 새도우 마스크와 차폐부의 조합이 각 포인트(angular points) 사이에 현가될 때만 가능하지만, 소위 코너 현가 장치의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다. 상기 예와 별도로, 본 발명은 리얼 플랫(Real Flat) 튜브(특히 15"부터 21" RF 튜브)에 또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폐부(30)는 소위 소프트-플래시(soft-flash) 개구부(35)를 포함하는데, 상기 개구부(35)는 차폐부(30)로 하여금 애노드 접점 상의 "소프트-플래시" 게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다음의 설계 규칙은 본 발명에 일반적이다:
- 폭(Wtop)은 최대 차폐 다이아프램 폭(Wmax)보다 적어도 5% 더 작다.
- 최대 높이(Htop)는 Hbod보다 적어도 10% 더 높다.
- 휨 라인(bending line)(L)은 각 긴 측면을 따라 연장한다. 이러한 휨 라인은, 하단부가 측면 벽부와 이어진 장소에 이미 존재하는 휨 라인에 추가된다. 이러한 구조는 강도에 대해 알맞은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필요하면, 하나의 휨 라인이 충분한데, 이 경우에 측면 벽부는 말하자면 직접 수직 스트립과 이어진다.
- 긴 면상의 수직 스트립의 휨 각(β)은 각도(α)보다 5 내지 30° 더 작은데, 상기 각도(α)는 편향 각의 절반의 여각(complement)과 동일하다.
도 6a는 차폐부(40)의 일례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소위 소프트-플래시 개구부(45)는 최소가 된다. 이 실시예는 기계적으로 더욱 강력하고 자기적으로 더욱 대칭적이며, 그 결과, 측면 자기장(lateral field)의 경우에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46a, 46b, 46c, 46d)의 사용과 같은 자기 차폐의 추가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예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현가 장치에 관해 특수한 게터 조립체(50)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차폐부에서 기계적 및 자기적으로 불리한 소프트-플래시 개구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심지어 애노드 게터가 사용되도록 한다. 정공은 휘어진 스트립(44a, 44b)의 중심에만 필요하다. 이 경우에, 강화된 리지(ridge)(47)도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애노드 접점(14)의 접점 핀(53) 상으로 슬라이딩(slide)하는 게터 조립체(50)에 대한 더 상세한 도면인데, 상기 게터 조립체는 저항층(56)과 접촉하는 스프링형 단부가 제공되는 금속 지지 스프링(51)을 포함한다. 스프링형 접점 스트립(52)은, 게터 조립체가 하단부 근처의 장소에서 차폐부(40)와 견고하게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 스프링(51)에 수직으로 제공된다. 게터 콘테이너(contanier)(G)는, 이러한 구조에서 차폐부(감소된 높이로 된)에서의 "소프트-플래시" 개구부가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는 그러한 장소에 위치한다. 더욱이, 지지 스프링(51)은, 상기 총의 측면으로부터 애노드 접점(14)의 접점 핀(53) 상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내장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2개의 예는 안테나 게터, 즉 전자총의 전방에 위치한 게터를 갖는 튜브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에 관한 것인데, 상기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는, 개별 형광체 요소의 패턴을 갖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형광체 요소와 전자총 사이에 배치된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한다. 차폐부에 대한 자기 물질의 최소 사용과 함께, 전자빔이 특히 X 방향으로 오착함으로써 야기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는 호일(foil)로부터 딥-드로잉된 튜브로 이루어진 내부 차폐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튜브는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단부를 구비한다.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하단부의 물질은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경우 절단되었을 튜브의 하단부의 물질은 차폐부의 "가상" 높이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등에 이용된다.

Claims (7)

  1. 넥(neck) 부분과, 퓨넬형(funnel-shaped) 부분과, 윈도우 부분을 포함하는 엔벨로프(envelope)와,
    상기 넥 부분에 배치된 전자총 시스템과,
    상기 윈도우 부분의 내부 표면상에 형광체 패턴을 갖는 연장된(elongated)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마주보게 배치된 칼라 선택 수단과,
    상기 퓨넬형 부분 내부에 배치된 내부 자기 차폐부(shield)로서, 상기 자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장축(X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긴 측면 벽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축(Y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짧은 측면 벽부와, 상기 전자총의 측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튜브의 수직 축에 가로질러 연장하는 개봉된 단부(open end portion)를 포함하는, 내부 자기 차폐부를
    구비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로서,
    상기 자기 차폐부는 시트 또는 스트립 물질로부터 드로잉(drawn)된 튜브이고,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는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중심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중심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하단부의 물질은 상기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개구부는 연장되고, 한 쌍의마주보는 긴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긴 측면에 인접한 상기 하단부의 물질의 스트립은 상기 하단부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3. 제 1항에 있어서, 전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개구부는 연장되고, 한 쌍의 마주보는 긴 측면 및 한 쌍의 마주보는 짧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의 물질의 스트립은 램프를 따라 밖으로 휘어지고, 짧은 측면을 따라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물질은 각도(β)를 통해 스트립의 형태로 밖으로 휘어지는데, 상기 각도(β)는 과주사(overscan)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빔의 최대 편향각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5. 제 4항에 있어서, β는 과주사를 포함하는 상기 최대 편향각보다 5° 내지 30°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상기 퓨넬형 부분은 고전압 접점을 포함하는데, 게터 조립체는 상기 고전압 접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게터 조립체에는 상기 차폐부의 하단부 근처의 차폐부와 접촉하는 횡단 접점 스트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튜브는, 상기 칼라 선택 수단이 상기 각도 포인트(angular point) 사이의 장소에 현가(suspended)되는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KR1020027002434A 2000-06-30 2001-06-20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KR20020029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2299 2000-06-30
EP00202299.4 2000-06-30
PCT/EP2001/007008 WO2002003414A1 (en) 2000-06-30 2001-06-20 Color display tube compris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31A true KR20020029931A (ko) 2002-04-20

Family

ID=817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434A KR20020029931A (ko) 2000-06-30 2001-06-20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86687B2 (ko)
EP (1) EP1299896A1 (ko)
JP (1) JP2004502290A (ko)
KR (1) KR20020029931A (ko)
CN (1) CN1383573A (ko)
WO (1) WO20020034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712707A (nl) * 1977-11-18 1979-05-22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US4571521A (en) * 1983-08-23 1986-02-18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olor CRT with arc suppression structure
US5081392A (en) * 1990-09-11 1992-01-14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DE69213055T2 (de) * 1991-03-08 1997-03-06 Philips Electronics Nv Farbbildwiedergaberöhre mit innerer magnetischer Abschirmkappe
US5336962A (en) * 1992-07-06 1994-08-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hield with strengthening ribs
JPH08255577A (ja) *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CN1139096C (zh) * 1997-04-16 2004-02-18 Lg电子株式会社 彩色阴极射线管内屏蔽及其制造方法
US6720723B2 (en) * 2000-03-16 2004-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thode ray tube for achieving small electron beam landing dev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03414A1 (en) 2002-01-10
JP2004502290A (ja) 2004-01-22
CN1383573A (zh) 2002-12-04
US20020014824A1 (en) 2002-02-07
EP1299896A1 (en) 2003-04-09
US6686687B2 (en) 200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0627A2 (en) Cathode ray tube
CN1227666A (zh) 具有改进的锥部的彩色显像管
US5434470A (en) Colour displ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JP2729429B2 (ja) カラー受像管
KR970011872B1 (ko)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US5519283A (en) Internal magnetic shield for a color cathode-ray tube
KR20020029931A (ko) 내부 자기 차폐부를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EP06347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halo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US5298832A (en) Shadow mask frame for prevention of halation
KR100257717B1 (ko)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JPH07184148A (ja) カラー表示管
JPH10261369A (ja) 内部磁気シールド構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陰極線管
KR1002054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JP2582158Y2 (ja) カラー陰極線管
JP3101120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193989Y1 (ko) 스트라이프타입 인라인형 음극선관의 전자총구조
KR20050090506A (ko) 칼라 음극선관
JPH11149883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20038384A (ko) 음극선관용 인너 실드
KR20040104726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들을 갖는음극선관
EP0192336A1 (en) Focusing an electron beam in a cathode ray tube
JPS62103945A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KR20000021419U (ko) 평면 브라운관의 인너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