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872B1 -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872B1
KR970011872B1 KR1019930012247A KR930012247A KR970011872B1 KR 970011872 B1 KR970011872 B1 KR 970011872B1 KR 1019930012247 A KR1019930012247 A KR 1019930012247A KR 930012247 A KR930012247 A KR 930012247A KR 970011872 B1 KR970011872 B1 KR 97001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ribs
ray tube
sidewal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890A (ko
Inventor
에드워드 켈러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400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제1도는 장축을 따라 접점식 스프링이 배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 및 종래 CRT면판 패널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단축을 따라 접점식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V자형의 노치(notch)를 갖는 종래 차폐물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종래 설계에 따른 두 부분으로 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자기 차폐물이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차폐물 부분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자기 차폐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차폐물 부분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면판 채널A-A : 장축
13 : 음극 휘도 영상 스크린B-B : 단축
14 : 퍼넬22 :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22)
28 : 접점식 스프링218,318 : 내부 자기 차폐물
219,319 : 베이스227,327 ; 차폐물 측벽
230,330 : 플랜지231,331 : 개구
240-246,340-346 : 모서리234,236 ; 334,336 : 강화 리브
본 발명은 음극선관(CRT)의 내부 자기 차폐물(magnetic shiel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차폐물의 모서리에서의 측벽의 굴곡 현상 즉 벤딩 현상을 방지하도록 측벽에 강화 리브를 형성한 개선된 자기 차폐물에 관한 것이다.
뮌켈(R.L.Muenkel)에게 특허 허여된 1987년 6월 2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670,686호에 개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칼라 CRT(10)에은 그 내표면상에 삼원색 음극휘도 영상(映像) 스크린(13)이 형성되어 있고, 패널 측벽의 에지부(16)를 따라 판넬(14)에 밀봉된 면판 패널(12)이 구비되어 있다. CRT(10)에는 상기 퍼넬(14)의 내표면(20)에 근접하게 그 내부에 배채된 내부 자기 차폐물(18)이 구비되어 있다. 자기 차폐물(18)은 베이스(19)에 의해 섀도유 마스크 및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22)에 결합되는데, 상기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22)는 결합 스터드(24)에 의하여 면판 패널(12)의 측벽에 결합되며 영상 스크린(13)으로부터 이격된다. 퍼넬(14)의 내표면(20) 위에는 도전성 피막(26)이 있는데, 이 피막은 내표면(20)을 따라 에지부(16)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연속형인 사발 모양의 측벽(27)은 퍼넬(14)의 내표면(20)을 따라 상기 차폐물의 베이스(19)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여 평평한 후방 플랜지(30)에서 종지된다. 한 쌍의 접점식 스프링(28)은 내부 자기 차폐물(18)의 후방에서 플랜지(30)의 표면에 부착되어 차폐물과 도전 피막(26) 간의 전기적 접속을 일으킨다. 차폐물(18)에는 플랜지(30)의 표면을 통해 형성된 개구(開口 ; 31)가 있다. 플랜지(30) 주위에 요면부(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28)의 부적절한 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식 스프링(28)은 플랜지(30)의 대향측면상에 위치하고, CRT(10)의 장축(A-A)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다. 종래의 자기 차폐물(18')의 제2실시예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 차폐물(18')은 V자형의 노치가 차폐물의 측벽(27')에 형성되어 장축(A-A) 방향으로 개구(31')가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폐물(18)과는 상이하다. 접점식 스프링(28)은 플랜지(30')의 표면에 고정되고 단축(B-B)에 대해 통상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종래의 차폐물(18,18')은 각각의 두께가 약 0.01~0.18mm인 냉간 압연강(cold-rolled stee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8)이 장착되기 전에, 상기 차폐물은 가열 냉각 및 흑화(黑化)공정을 거침으로써 그 자기 특성이 향상되고 굴곡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비교적 얇은 강제(鋼製)의 연속 박판으로 만들어진 내부자기 차폐물이 갖는 문제점은 차폐물의 강성이 결핍되어 있고, 예컨대 접점식 스프링(28)을 플랜지(30,30')에 장착시킬 경우 취급시 손상을 받기 쉬다는 점이다. 그 밖에, 차폐물을 퍼넬(14)내에 장착할 경우, 차폐물에 접점식 스프링의 압력에 기인하는 굴곡력이 가해진다는 사실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굴곡력으로 인해 가끔 차폐물의 모서리에서 굴곡점이 형성되어 차폐물의 자기 특성이 변화되기도 하는데,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차폐물의 측벽이 붕괴되어 전자빔의 일부가 차단된다. 자기 차폐물의 구조적 결합성은 차폐물을 함께 형성하여 용접되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분리된 금속편으로 제조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차폐 구조물(118)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2개로 형성된 C자형의 금속편(120,122)이 단축(B-B)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첩 이음매를 따라 용접된다. 상기 차폐물내에 V자형의 노치가 차폐물에 제공됨으로써 장축(A-A)을 따라 개구(131)가 연장되고, 각각의 V자형 노치에 인접하여 거싯(gussets)(133)을 형성함으로써 차폐물 금속편(120,1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용접된 다수의 금속편으로 된 차폐물(118)은 1개의 금속편으로 된 사발 모양의 차폐물(18,18')보다 본질적으로 더 가하다. 그러나 차폐물(118)은 추가의 용접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시 비용이 더 많이 든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칼라 음극선관은 장축 및 단축을 갖춘 장방형 면판 패널을 구비한다. 영상 스크린이 패널의 내표면상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패널 측부의 에지부를 따라 퍼넬에 밀봉된다.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걱되어 있고, 패널의 측벽에 부착된다. 내부 자기 차폐물을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에 고정된 네 개의 모서리가 있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베이스와, 개구의 경계를 한정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실질적으로 연속형인 측벽은 베이스와 플랜지 사이에 연장된다. 차폐물의 측벽은 퍼넬의 내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향한다. 이 차폐물은 그 차폐물 측벽의 대향면에 최소한 두 쌍의 강화 리브를 형성하여 종래의 차폐물에 비하여 개선된다. 각 리브의 부분은 패널의 단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플랜지에 인접해 있다. 각 쌍의 리브중 최소한 하나는 차폐물의 두 개의 인접 모서리 주위에 연장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형태의 칼라 CRT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자기 차폐물(218)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차폐물을 두께가 0.10~0.18mm인 냉간 압연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폐물(218)은 각각의 장축(A-A) 및 단축(B-B)을 따라 베이스(219)에 설치된 개구(220)를 통해 연장하는 종래의 클립(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22)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219)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219)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은 차폐물(218)의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보다 작은 후방 플랜지(230)이다. 실질적으로 완전한 정면 개구부가 있는 연속형 사발 모양의 측벽은 베이스(219)와 이 보다 작은 후방 플랜지(230) 사이에 연장된다. 측벽(227)은 차폐물 측벽의 외표면과 음극선관 퍼넬(14) 내표면상의 도전성 피막(26)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장축(A-A)을 따라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부와, 이 중앙부의 대향 측면상의 V자형 부분이 있는 개구부(231)를 후방플랜지(230)를 통해 형성함으로써, 전자총(도시 생략)으로부터 나오는 전자빔은 면판 패널(12)의 내표면상에 배치된 삼원색의 음극 휘도 영상 스크린(13)에 충돌한다. 한 쌍의 접점식 스프링(28)이 개구부(231) 중앙의 대향면상에서 후방 플랜지(230)에 형성된 언더패스 및 유지 바아(232)를 통해 평편한 후방 플랜지(230)에 부착된다. 스프링 유지 구조는 상기 참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4,670,696호에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
접점식 스프링(28)이 부착될 경우나 또는 차폐물이 퍼넬(14)내에 삽입될 경우에, 측벽(227)의 굴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강화 리브를 측벽의 대향면에 설치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234,236)에는 단축(B-B)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분이 있다. 리브(234,236)는 후방 플랜지(230)를 통해 형성된 개구(231)의 V자형의 근접해 있다. 리브(236)의 단부들은 이 리브(236)의 대각선(D-D)과의 교차에 의하여 명백히 드러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 모서리(240,242,244,246) 주위에 연장된다. 리브(236)는 개구(231)로 부터 원거리에 있는 플랜지(230)의 에지부에 인접하여 측벽의 장측면을 따라 종지된다. 리브(234)는 차폐물의 모서리 주위에서 연장되는 것이 아니고, 개구(231)에 인접한 플랜지(230)의 에지부 근방에서 종지된다. 통상, 66cm의 다이애고널 CRT의 경우 차폐물(218) 전체 높이가 약 134.62mm, V자형 개구(231)의 가장 협소한 부분의 높이는 약 99.57mm이다. 각각의 강화 리브(234,236)는 안쪽으로 오목한데, 깊이가 약 1.57mm이고 반경이 약 1.91mm이다. 리브(234,246)는 장축(A-A)을 따라 개구(231)의 V자형부로부터 각각 약 9.53mm와 24.76mm가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 리브(234,236)는 차폐물(218)에 충분한 보강 상태를 제공함으로, 스프링(28)이 부착되고 차폐물이 퍼넬(14)내에 삽입될 때의 차폐물의 굴곡 현상 또는 벤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폐물(318)의 제2실시예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차폐물(318)은 쌍으로 이루어진 강화 리브(334,336)가 V자형의 개구(331)의 가장 좁은 단부에 인접하여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차폐물(218)과 유사하다. 강화 리브(334,336)의 중첩부(338)는 지점(339a,339b)에서 장축(A-A)의 위와 아래로 약간 분기되는데, 리브(334)는 단축(B-B)의 방향으로 인접 모서리(340,342,344,346) 주위와 차폐물의 장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기 전에 개구(331)의 V자형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리브(336)는 모서리(340,342,344,346) 주위에 연장되고 단축(B-B)의 방향으로 차폐물의 장측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통상, 66cm의 다이애고널 CRT의 경우, 차폐물(318)은 전체 높이가 약 134.62mm이고, V자형 개구(331)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의 높이가 약 99.57mm이다. 강화 리브(334,336)의 중첩 부분(338)은 개구(33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약 4.5mm의 위치에 있고, 리브(334)와 플랜지(330)의 표면 사이의 세로 방향 간격은 약 3.07mm인데, 이 리브(334)는 후방 표면에 인접해 있다. 리브(336)와 플랜지(330) 표면 사이의 세로 방향 간격은 약 34.47mm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리브(336)는 제1실시예의 차폐물(218)의 리브(236)에 비해 측벽상에서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이 리브는 모서리(340,342,344,346)를 가로 지른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의 강화 리브는 모서리내에서 더 낮은, 즉 제1실시예의 강화 리브보다 베이스(319)에 더 가까운 곳에서 더 큰 힘을 제공한다. V자형 개구의 최저부분에서 중첩되지 아니한 제1실시예의 강화 리브는 차폐물(218)의 단축을 따라 이 부위에서 더 많은 지지력을 제공한다.

Claims (4)

  1. 장축(A-A) 및 단축(B-B)을 가지며 내부 표면상에 영상 스크린(13)이 장착되고 그 측벽의 에지부(16)를 따라 퍼넬(14)에 밀봉된 장방형 면판 패널과, 상기 영상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패널의 상기 측벽에 부착된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22)와, 네 개의 모서리(240~246,340~346)가 상기 칼라 선택 전극 어셈블리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베이스(219,319)를 가진 내부 자기 차폐물(218,318)과, 개구(231,331)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30,3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연속형인 차폐물 측벽(227,327)이 연장되는데, 이 차폐물 측벽은 상기 퍼넬의 내표면을 따라 후방으로 향하여 있고, 그 양측면에 형성된 최소한 두 쌍의 강화 리브(234,236,334,336)를 가지며, 상기 리브는 상기 패널의 단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플랜지에 근접해 있으며, 상기 각 쌍의 리브중 최소한 하나(236,336)는 상기 차폐물 측벽의 두 개의 인접 모서리 주위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물(218,318)은 상기 장축(A-A)에 대해 실질적으로평행한 두개의 장측면과 상기 단축(B-B)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개의 단측면을 가지며, 상기 강화 리브(234,236,334,336)는 상기 차폐물 측벽(227,327)의 상기 단측면내에 미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각 리브(234,236)는 상기 차폐물(218)의 상기 측벽(227)의 두개 인접 모서리(240~246) 주위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리브(334,336)는 장축(A-A)의 위와 아래로 분기되기 전에 상기 장축(A-A) 근방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30012247A 1992-07-06 1993-07-01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KR970011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09,522 1992-07-06
US07/909,522 US5336962A (en) 1992-07-06 1992-07-06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hield with strengthening ri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890A KR940002890A (ko) 1994-02-19
KR970011872B1 true KR970011872B1 (ko) 1997-07-18

Family

ID=2542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247A KR970011872B1 (ko) 1992-07-06 1993-07-01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36962A (ko)
EP (1) EP0578095B1 (ko)
JP (1) JP2756900B2 (ko)
KR (1) KR970011872B1 (ko)
CN (1) CN1042472C (ko)
BR (1) BR9302760A (ko)
CA (1) CA2099646C (ko)
CZ (1) CZ279756B6 (ko)
DE (1) DE69301871T2 (ko)
MY (1) MY108945A (ko)
SG (1) SG46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493A (ja) * 1994-10-25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用色選別電極構体
JPH09147757A (ja) * 1995-11-27 1997-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
KR100234168B1 (ko) * 1997-06-28 1999-12-15 손욱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실드
US6157118A (en) * 1998-09-08 2000-12-05 Thomson Licensing S.A. Cathode-ray tube contact spring
US6188171B1 (en) * 1999-06-15 2001-02-13 Kelly Eugene Hamm Cathode-ray tube contact spring
WO2002003414A1 (en) * 2000-06-30 2002-0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r display tube compris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US6680563B2 (en) 2001-06-27 2004-01-20 Thomson Licensing S.A.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KR20040014810A (ko) * 2002-08-12 2004-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형절결부를 갖는 인너마그네틱실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2453A (en) * 1970-12-07 1974-07-09 Rca Corp Method of making cathode ray tube internal shields
JPS5413253A (en) * 1977-07-01 1979-01-31 Hitachi Ltd Color receiving tube
US4513221A (en) * 1982-02-26 1985-04-23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RT Internal shielding means for a spun glass envelope funnel section
US4580076A (en) * 1982-03-31 1986-04-0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Color cathode ray tube
US4622490A (en) * 1985-02-28 1986-11-1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with an internal magnetic shield
US4758193A (en) * 1985-10-03 1988-07-19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US4670686A (en) * 1986-04-29 1987-06-02 Rca Corporation CRT internal magnetic shield contact spring
US4792317A (en) * 1986-06-30 1988-12-20 Center Manufacturing Inc. Method for making a magnetic shield
JPH07107831B2 (ja) * 1986-12-26 1995-11-15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79756B6 (cs) 1995-06-14
JPH06103912A (ja) 1994-04-15
JP2756900B2 (ja) 1998-05-25
DE69301871T2 (de) 1996-08-14
US5336962A (en) 1994-08-09
SG46349A1 (en) 1998-02-20
CA2099646A1 (en) 1994-01-07
EP0578095B1 (en) 1996-03-20
CN1042472C (zh) 1999-03-10
CN1083623A (zh) 1994-03-09
KR940002890A (ko) 1994-02-19
MY108945A (en) 1996-11-30
DE69301871D1 (de) 1996-04-25
EP0578095A1 (en) 1994-01-12
CZ129593A3 (en) 1995-01-18
BR9302760A (pt) 1994-02-08
CA2099646C (en) 199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3364B1 (en) Cathode ray tube
EP079588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3442789B2 (ja) 改良されたファンネルを有するカラー受像管
KR970011872B1 (ko) 강화 리브가 설치된 내부 자기 차폐물을 구비한 음극선관
US6313574B1 (en) Shadow mask with specifically shaped apertures
KR940000301B1 (ko) 샤도우 마스크의 프레임 어셈블리 지지부를 가진 칼라 화상 튜브
JPH04306541A (ja) カラー受像管
US6259194B1 (en)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hadow mask with curls thereof reduced
EP1158560A1 (en) Inner magnetic shield and cathode-ray tube
US4472657A (en) Support frame for color cathode-ray tube
EP06347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halo
EP097886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25576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hadow mask structure with curl reduced in a skirt portion thereof
US6686687B2 (en) Color display tube compris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JP3101120B2 (ja) カラー陰極線管
EP1043750A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987350B2 (en) Inner shield and cathode ray tube including the same
KR200147989Y1 (ko)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시일드
KR200377402Y1 (ko) 칼라음극선관용 프레임
KR20020071341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0065616A (ko) 음극선관
JPS62103945A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