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386A -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386A
KR20020029386A KR1020027002484A KR20027002484A KR20020029386A KR 20020029386 A KR20020029386 A KR 20020029386A KR 1020027002484 A KR1020027002484 A KR 1020027002484A KR 20027002484 A KR20027002484 A KR 20027002484A KR 20020029386 A KR20020029386 A KR 2002002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ondensate
nano
filler
extruded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에스마틴안토니우스
스테에만파울루스안토니우스마리아
포에츠파트릭엘리자베스루크
Original Assignee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디에스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디에스엠 엔.브이 filed Critical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Publication of KR2002002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축중합물이 그 자체로 압출 적용에 적당하지 않은 용융 강도의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 및 제조방법의 주된 이점은 높거나 낮은 점도 모두의 축중합물급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에서 후-축합되지 않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은 25℃ m-크레졸에서 1%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되는 4.3이하의 상대 점도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에 나노-충전제를 첨가하여 적어도 축중합물을 포함하는 축중합물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 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EXTRUDED NANOCOMPOSITE MOULDED PART COMPRISING AT LEAST A POLYCONDENSATE AND A NANO-FILLER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본 발명은 적어도 축중합물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출 성형된 부품은 보통 예를 들면, Kunststoff Handbuch, Becker, Carl Hanser Verlag, 뮌헨, 1990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출원의 명세서에서 '압출 성형된 부품'은 압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는 물체, 특히 필름, 예를 들면 플랫 필름 또는 관형 필름, 거품, 얇은-벽 물체, 예를 들면 병, 튜브 또는 호스, 두꺼운-벽 물체, 예를 들면 성형 윤곽, 튜브 또는 플레이트, 섬유, 모노필라멘트 또는 실, 예를 들면 전선 절연제로 이해된다. '필름'은 최대 두께가 약 250㎛인 물질의 길이 및/또는 폭과 비교하여 작은 두께의 물질로 이해된다. '얇은-벽 물체'는 적어도 일부가 약 250㎛이상 약 1㎜이하의 두께인 물질로 구성된 물체로 이해된다. '두꺼운-벽 물체'는 적어도 일부가 약 1㎜이상의 두께인 물질로 구성된 물체로 이해된다.
'압출'은 성형 부품이 용융으로 형성되고 냉각 용융이 성형된 부품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예를 들면 용융-드로잉(draw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이해된다.
당분야에 따라 압출 성형된 부품의 불이익은 축중합물이 높은 용융 점도(MV), 특히 주입-성형 기술의 도움으로 얻어진 성형 부품의 일부를 형성하는 축중합물의 MV보다 더 높은 MV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는 사용될 수 있는 축중합물의 선택을 크게 제한한다. 압출 성형된 부품의 제조에 대해 제조된 성형 부품의 축중합물 조성물이 좋은 용융 가공성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은 당분야 기술자에게 보통 공지되어왔다. 상기는 높은 MV의 축중합물, 예를 들면 25℃ m-크레졸에서 1%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되는 4.0이상의 상대 점도(RV)의 폴리아미드를 선택하여 얻어진다. 낮은 MV의 축중합물의 사용은 예를 들면, 필름의 제조 동안,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필름 및 얇은-벽 성형 부품의 압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축중합물이 그 자체로 압출 적용에 적당하지 않은 상기 용융 가공성의 축중합물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및 그것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자들은 적어도 축중합물이 그 자체로 압출 적용에 적당하지 않은 상기 용융 가공성의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성형된 부품이 압출될 수 있다는 것을 지금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용융 강도가 높아서 성형 부품이 상기 조성물로부터 압출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상기 조성물이 예를 들면 EP-A2-605,005(Unitika)에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지만 압출 적용에 대한 것은 아니다.
EP-A1-810,260 (BAYER A.G.)에서 미세하게 분산된 불소-운모 광물질의 존재에서 카프로락탐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6을 포함하는 필름이 공지되어 있다. EP-A1-810,260에 따라서, 상기 필름은 낮은 기체 침투성을 갖고, 반면 다른 특성, 가령 광택, 투명도 및 유연성은 미세하게 분산된 불소-운모 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필름에 뚜렷하게 비례하여 변화하지 않는다. 폴리아미드는 25℃ m-크레졸에서 1%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되는 4.3의 높은 RV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의 큰 이점은 높거나 낮은 점도 모두의 축중합물 정도를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이 지금 유용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후-축합되지 않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의 또 다른 이점은 미소복합물 조성물을 혼합하는 동안 필요한 에너지가 적다는 것과 조성물의 얇은 가공성이 더 좋다는 것이다. 상기는 예를 들면 더 얇은 필름을 이끈다. 또 다른 이점은 하나 정도의 축중합물이 나노-충전제의 첨가 여부와 관계없이 압출 및 주입-성형 적용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의 이점으로 발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부품의 표면이 더 큰 광택 및 투명도를 보이고,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수축하지 않음을 보이고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더 낮은 기체 침투성을 보이고 필름이 필름 블로잉(blowing)에서 훨씬 더 큰 블로우-업(blow-up) 비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더 일반적으로, 발명자들은 축중합물에 나노-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생성된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발명은 또한 축중합물에 비례하여 나노-충전제의 첨가, 바람직하게는 0.1-10wt.% 나노-충전제, 더 바람직하게는 0.2-7.5wt.%의 첨가로 적어도 축중합물을 포함하는 축중합물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분야의 기술자에 공지된 중합체는 축중합물로, 특히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 혼합물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중합물이 25℃ m-크레졸에서 1%의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되는 4.3미만 상대 점도의 폴리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 유닛 사이에 산-아미드 결합(-CONH-)의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더 특히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로산, w-에난톨락탐, 7-아미노헵탄산, 11-아미노데칸산, 9-아미노노난산, α-피롤리돈 및 α-피페리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아민, 노나메틸렌 디아민, 운데카메틸렌 디아민, 도데카메틸렌 디아민 및 메타크실렌 디아민과 같은 디아민과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및 세박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의 축중합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및 중합체; 상기 언급된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예는 나일론 6,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6이다. 나일론 6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보통의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모두는 폴리에스테르로 사용에 적당하다.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와 같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소프탈산과 이들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PBN)와 같은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비벤조에이트와 같은 폴리알킬렌 디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코폴리에스테르이다. PET, PBT, PEN 또는 PBN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룹에서 경질 폴리에스테르 단편에 추가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연질 폴리에스테르 단편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블록 코폴리에스테르가 적당하다. 상기 탄성의 블록 코폴리에스테르의 예는 예를 들면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12권, pp. 75 ff. (1988), John Wiley & Sons 및 "Thermoplastic Elastomers", 2nd Ex., 8장 (1996), Hauser Verlag 및 그것에 언급된 참고문헌에 기술된다.
나노-충전제로는 당분야의 기술자에 그 자체로 공지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나노-충전제'는 예를 들면 층화된 또는 섬유 무기 물질의 높은 방향 비의 이방성 입자로 구성된 고체 물질인 것으로 이해된다.
입자의 방향 비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개별 입자의 가장 크고 가장 작은 면적의 비로 이해된다. 더 특히, 플레이트의 방향 비는 플레이트의 길이 및 평균 두께의 비이고, 섬유의 방향 비는 섬유의 길이 및 평균 직경의 비이다. 상기 방향 비가 5와 10,000 사이, 바람직하게는 10과 10,000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100과 10,000 사이에 놓인 높은 방향 비의 이방성 입자로 구성된 고체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층화된 무기 물질은 평균 방향 비가 5와 10,000 사이인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후 플레이트는 약 2.5㎚이하의 평균 두께, 및 10㎚, 바람직하게는 약 0.4㎚와 약 2.5㎚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0.4㎚와 약 2㎚ 사이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플레이트의 평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00㎚이다. 적당한 층화된 무기 물질의 예는 필로실리케이트, 예를 들면 스멕틱 클레이 광물질, 버미큐라이트 클레이 광물질 및 운모, 및 합성 운모이다. 적당한 스멕틱 클레이 광물질의 예는 몬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볼콘스코이트 (volkonskoite), 헥토라이트,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피로이사이트 (pyroysite), 사포나이트, 소코나이트, 마가디이트(magadiite), 벤토나이트 및 케니아이트(kenyaite)이다. 몬모릴로나이트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섬유 무기 물질에서 개별 섬유는 평균 방향 비가 5 내지 10,000이다. 개별 섬유의 직경은 그후 약 10㎚이하이고, 최대 직경은 20㎚, 바람직하게는 약 0.5㎚와 약 10㎚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와 약 5㎚ 사이다. 적당한 섬유 무기 물질에서 개별 섬유의 평균 길이는 보통 약 2,000㎚이하이고, 최대 길이는 약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와 약 200㎚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와 약 100㎚ 사이다. 적당한 섬유 무기 물질의 예는 이모골라이트(imogolite) 및 바나듐 산화물이다.
나노-충전제의 양은 자유롭게 선택되고; 양은 예를 들면 얻어질 수 있는 압출 성형된 부품의 요구된 특성 및 예를 들면 나노-충전제의 박리도 및 축중합물에서 분산도를 선택된 축중합물에 따를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나노-충전제'는 집합 형에서 상업적으로 유용한 충전제 및 압출 성형된 부품에서 발견될 수 있는 분리 및 박리 형에서 충전제 모두로 이해된다. 나노-충전제는 예를 들면 박리를 촉진하기 위해 전처리도 또는 수정도 되지 않거나 또는 전처리 또는 수정된다. 완벽한 분산 및 박리의 경우에 나노-충전제의 양은 축중합물에 비례하여 바람직하게 0.1-10wt.%이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에서 나노-충전제의 양은 폴리아미드에 비례하여 0.1-10wt.%, 더 바람직하게는 0.2-7.5wt.%이다. 최소 및 최대 양은 압출 성형된 부품이 최소양 이하 및 최대양 이상의 조성물로 거의 얻어질 수 없기 때문에 당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은 선택적으로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및 강화 물질,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및 실리케이트, 예를 들면 탈크, 난연제, 발포제, 안정화제, 흐름-촉진제 및 색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은 하나 또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고; 후자의 경우에 다른 층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에서 얻는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장벽(barrier)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에틸렌에서 얻는 공중합체 및 비닐 알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성형 부품이 적어도 축중합물이 그 자체로 압출 적용에 적당하지 않는 용융 가공성의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법으로 축중합물 미소복합물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지된 기술은 압출, 공압출, 필름 블로잉(blowing), 윤곽 압출, 거품 압출, 블로우(blow)-성형, 디프드로잉(deep drawing), 캘린더링 (calendering) 및 스피닝(spinning)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필름의 경우에, 압출 또는 공압출이 예를 들면 칠-롤(chill-roll) 기술의 도움으로 또는 필름 블로잉의 방법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의 조성물이 당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EP-A2-605,005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나노-충전제의 존재에서 단량체의 중합화 방법 또는 예를 들면, US-5,385,776(AlliedSignal Inc.)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압출기의 도움으로, 축중합물과 나노-충전제의 용융-혼합으로 얻어질 수 있다. 요구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나노-충전제의 좋은 분산 및 박리가 축중합물에서 일어나야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된 부품은 특히 치즈 및 소세지와 같은 식료품을 싸는 패킹(packing) 필름으로 필름의 형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설명되어지지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7 및 비교실시예 A 및 B:
폴리아미드 플랫 필름
플랫 필름의 제조
일련의 플랫 필름을 하기 특성의 Gottfert 압출기(616형)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스크류 직경 30㎜, 길이 20xD, 필름 헤드 폭 150㎜, 압출기 온도 250℃, 칠롤 온도 110℃.
폴리아미드
Akulon(상표명) K123: 상대 점도 2.8의 주입-성형-급 폴리아미드 6(DSM N.V., 네덜란드).
Akulon(상표명) F132E: 상대 점도 4.0의 필름-급 폴리아미드 6(DSM N.V., 네덜란드).
나노-충전제
클로이사이트(Cloisite) 20A (몬모릴로나이트, Southern Clay Products, 미국)은 60wt.% 실리케이트 및 40wt.% 유기물(4가 암모늄염)로 구성된다. 표에 인용된 양은 실리케이트 함량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미소복합물 조성물을 80wt.% 나노-충전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미소복합물 마스터배치의 압출기에서 폴리아미드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있다. 낮은 점도의 폴리아미드만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없고, 반면 좋은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표 1 및 하기 표의 모든 점도는 25℃ m-크레졸에서 1%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된다.
폴리아미드 플랫 필름
실시예 폴리아미드 나노-충전제(wt.%) 처리 변수 용융 가공성
Q(rpm) v(감기)(m/min)
A K123 0 80 20 제조불가능;부족한 용융 강도
1 K123 0.1 60 20 제조불가능;부족한 용융 강도
2 K123 0.2 60 20 좋은 필름
3 K123 1 60 20 좋은 필름
4 K123 2.5 60 20 좋은 필름
5 K123 5 60 20 좋은 필름
6 K123 7.5 60 20 불균일 처리 양식;나쁜 필름
7 K123 10 60 30 제조 불가능; 필름이 더이상 회수되지 않는다
B F132E 0 60 20 좋은 필름
실시예 8 및 비교실시예 C 및 D:
폴리아미드 관형 필름
관형 필름의 제조
일련의 관형 필름을 하기 특성의 Collin(130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스크류 직경 25㎜, 길이 20xD, 표준 일반 스크류; 칠 롤 면적 126 ×600㎜; 고무 롤 면적 72 ×600㎜; 최대 열린 고리 경로 25㎜. 온도 250℃; 블로우업 비율:3
폴리아미드
Akulon(상표명) K123: 상대 점도 2.8의 주입-성형-급 폴리아미드 6(DSM N.V., 네덜란드).
Akulon(상표명) F136E: 상대 점도 4.3의 필름-급 폴리아미드 6(DSM N.V., 네덜란드).
나노-충전제
클로이사이트 20A (몬모릴로나이트, Southern Clay Products, 미국)은60wt.% 실리케이트 및 40wt.% 유기물(4가 암모늄염)로 구성된다. 표에 인용된 양은 실리케이트 함량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미소복합물 조성물을 80wt.% 나노-충전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미소복합물 마스터배치의 압출기에서 폴리아미드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결과는 표 2에 요약되어있다. 낮은 점도의 폴리아미드에 적은 양의 나노-충전제의 첨가가 용융 가공성을 증가시켜서 좋은 관형 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폴리아미드 관형 필름
실시예 폴리아미드 나노-충전제(wt.%) 필름
C K123 0 제조 불가능; 부족한 점도
8 K123 5 좋은 필름; 블로우업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이 점점 투명해진다(3-4-4.5)
D F136E 0 좋은 필름
실시예 9-11 및 비교실시예 E: 폴리아미드 플레이트
제조
일련의 플레이트를 하기 특성의 Schabenthan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헤드 폭 150㎜; 부드러운 공급 영역; 압출 온도 250℃; 칠 롤 온도 40℃; 헤드에서 다이(die) 폭 1.9㎜; 롤 사이 틈의 폭 1㎜; 속도 50rpm.
폴리아미드
Akulon(상표명) F135C: 상대 점도 4.1의 압출-급 폴리아미드 6(DSM N.V., 네덜란드).
나노-충전제
클로이사이트 20A (몬모릴로나이트, Southern Clay Products, 미국)은 60wt.% 실리케이트 및 40wt.% 유기물(4가 암모늄염)로 구성된다. 표에 인용된 양은 실리케이트 함량에 관한 것이다.
축중합물 미소복합물 조성물을 Akulon(상표명) K123 + 5wt.%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로 압출기에서 폴리아미드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결과는 표 3에 요약되어있다. 폴리아미드에 적은 양의 나노-충전제의 첨가가 용융 가공성을 증가시켜서 플레이트의 새깅(sagging)을 막는 것을 보인다. 놀랍게도, 더 좋은 광택 및 더 큰 투명도를 또한 얻었다. 압출시 플레이트의 새깅은 주입-성형 다이 및 제1 롤 사이에서 일어나는 잘 공지된 현상이다. 용융 가공성을 증가시켜서 새깅을 막았다.
폴리아미드 플레이트
실시예 폴리아미드 나노-충전제(wt.%) 플레이트
E F135C 0 플레이트의 새깅 관찰됨
9 F135C 0.25 새깅 거의 없음
10 F135C 0.5 새깅 없음
11 F135C 1 새깅 없음

Claims (12)

  1. 적어도 축중합물이 그 자체로 압출 적용에 적당하지 않는 용융 강도의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축중합물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와 혼합물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축중합물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축중합물이 25℃ m-크레졸에서 1%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결정되는 4.3이하의 상대 점도의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노-충전제의 양이 축중합물에 비례하여 0.1-1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압출 성형된 부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노-충전제의 양이 축중합물에 비례하여 0.2-7.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노-충전제가 몬모릴로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 부품이 필름, 얇은-벽 물체, 두꺼운-벽 물체, 거품 또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된 부품.
  9. 성형 부품이 적어도 축중합물이 압출 적용에 그 자체로 적당하지 않은 용융 가공성의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법에 의해 축중합물 미소복합물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10. 조성물에 나노-충전제를 첨가하여 적어도 축중합물을 포함하는 축중합물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0.1-10wt.% 나노-충전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중합물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1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고 설명되는 압출 성형된 부품 및 방법.
KR1020027002484A 1999-09-03 2000-08-24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29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2974A NL1012974C2 (nl) 1999-09-03 1999-09-03 GeÙxtrudeerd nanocomposiet vormdeel, omvattende ten minste een polycondensaat en een nanovulstof, alsmede een werkwijze voor de bereiding ervan.
NL1012974 1999-09-03
PCT/NL2000/000587 WO2001018107A1 (en) 1999-09-03 2000-08-24 Extruded nanocomposite moulded part comprising at least a polycondensate and a nano-filler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386A true KR20020029386A (ko) 2002-04-18

Family

ID=1976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484A KR20020029386A (ko) 1999-09-03 2000-08-24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120049A1 (ko)
EP (1) EP1232213A1 (ko)
JP (1) JP2003508619A (ko)
KR (1) KR20020029386A (ko)
CN (1) CN1382184A (ko)
AU (1) AU6879400A (ko)
NL (1) NL1012974C2 (ko)
TW (1) TWI263579B (ko)
WO (1) WO2001018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9326A1 (de) * 2002-08-27 2004-03-18 Ems-Chemie Ag Hochviskose Formmassen mit nanoskaligen Füllstoffen
EP1484357A1 (fr) * 2003-06-06 2004-12-08 Université de Liège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mousses de polyester biodégradables, mousses de polyester telles qu'ainsi obtenues et leur utilisation, et procédé de modification de nanocharges
US20050124976A1 (en) * 2003-12-04 2005-06-09 Devens Douglas A.Jr. Medical devices
US7148282B2 (en) * 2003-12-19 2006-12-12 Cornell Research Foundations, Inc. Composite of high melting polymer and nanoclay with enhanced properties
US7737211B2 (en) * 2005-09-07 2010-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for forming nanocomposite materials
EP1770115A1 (de) * 2005-09-30 2007-04-04 Quadrant Plastic Composites AG Faserverstärktes flächiges Halbzeug
US20130291712A1 (en) * 2010-09-08 2013-11-07 Dsm Ip Assets B.V. Multi-ballistic-impact resistant article
CN105273385A (zh) * 2015-10-26 2016-01-27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汽车空调鼓风壳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4117A1 (en) * 1991-08-12 1993-03-04 Allied-Signal Inc. Melt process form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 of exfoliated layered material
US5385776A (en) * 1992-11-16 1995-01-31 Alliedsignal Inc. Nanocomposites of gamma phase polymers containing inorganic particulate material
CN1081207C (zh) * 1997-07-17 2002-03-2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聚酰胺粘土纳米复合材料的制法
EP1089866A4 (en) * 1998-02-13 2002-09-25 Solutia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NANOCOMPOSITE POLYM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2184A (zh) 2002-11-27
JP2003508619A (ja) 2003-03-04
US20020120049A1 (en) 2002-08-29
TWI263579B (en) 2006-10-11
AU6879400A (en) 2001-04-10
WO2001018107A1 (en) 2001-03-15
EP1232213A1 (en) 2002-08-21
NL1012974C2 (nl) 200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2113B2 (en) Polymer-clay nanocomposite comprising an amorphous oligomer
JP4554177B2 (ja) ナノスケールフィラーを有する高粘度成形材料
US2008031545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ester nanocomposites
DE69910623T2 (de) Polymer/ton nanokomposi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3535203A (ja) マトリックスポリマーおよび石英含有率の低い層状粘土物質を含むポリマーナノ複合材
US20070167552A1 (en) Polyamide moulding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moulded articles having reduced surface carbonization
JP2012532226A (ja) ポリエステルナノ複合材を製造するプロセス
EP1869124A1 (en) Mxd. 10 polyamide-based barrier structures
WO2007123582A2 (en) Nanonylon composites prepared by chain extension reactive extrusion
DE60033669T2 (de) Transparente polyamidzusammensetzungen
KR20070092743A (ko) 폴리머와 점토 나노컴포지트의 융화
KR20020029386A (ko) 적어도 축중합물 및 나노-충전제를 포함하는 압출된미소복합물 성형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82212A (ja) 生分解性樹脂フィルム
US7786189B2 (en) Oligomer-modified layered inorgan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nanocomposites
US6809144B1 (en) Resin compositions, method of producing resin compositions and filler blends for use in resin compositions
KR20210157486A (ko) 비정질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향상되고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JP2003342484A (ja) パージ用材料及びパージ方法
JP3831278B2 (ja) 耐熱性の改善された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2531640A (ja) 2種又はそれ以上の有機カチオンの混合物を有するクレイ物質を含む、ガス遮断性の改良されたポリマー/クレイナノ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11379B2 (en) Polymer nanocomposite compri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inforced with an intercalated phyllosilicate
EP4067031A1 (en) Improved performance of carbon nanotube based polymeric materials
JP2002038006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68310A (ja) 滑り性の優れた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2004510834A (ja) アルコキシル化オニウム化合物変性層状クレー材料含有ポリアミド組成物
JP2545462B2 (ja) 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