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793A -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793A
KR20020028793A KR1020010061518A KR20010061518A KR20020028793A KR 20020028793 A KR20020028793 A KR 20020028793A KR 1020010061518 A KR1020010061518 A KR 1020010061518A KR 20010061518 A KR20010061518 A KR 20010061518A KR 20020028793 A KR20020028793 A KR 2002002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dolinium
layer
light emitting
electron injection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호
김신철
Original Assignee
정광호
김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호, 김신철 filed Critical 정광호
Priority to AU200129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1296047A1/en
Priority to PCT/KR2001/001691 priority patent/WO2002032192A1/en
Publication of KR2002002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기 발광소자에서 전자주입장벽이 낮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재료인 가돌리늄(Gd: gadolinium)을 전자주입층으로 이용하여 전극(음극: cathode)을 제작하는 것으로서, 유기 발광소자의 작동전압을 감소시키고,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소자의 효율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음극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gadolinium layer}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기 발광소자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면서 제작이 용이한 재료인 가돌리늄(Gd: gadolinium)을 전자주입층으로 이용하여 전극(음극: cathode)을 제작함으로써, 유기 발광소자의 작동전압을 감소시키고,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소자의 효율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음극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소자에서 음극은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유기 발광소자에서 전자는 소수전하(minority carrier)이기 때문에 소자의 효율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원활한 전자의 주입은 소자의 작동전압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양극에서 주입된 정공(hole)과의 결합확률을 증가시켜 소자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음극으로는 칼슘, 알루미늄, 알루미늄 리튬 합금, 및 마그네슘 은 합금 등의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칼슘 등의 금속은 유기 박막과의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알루미늄의 경우는 일함수(work function)가 비교적 커서 소자를 제작했을 경우에 전자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하고 다른 금속에 비해 작동 전압이 증가하여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일함수가 낮으면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제작이 용이한 음극 재료 혹은 전자주입층은 유기 발광소자의 제작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시도된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못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리튬 합금과 마그네슘 은 합금 등은 일함수도 낮고 화학적으로도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지만, 각각의 증발온도가 달라서 음극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발광소자의 작동전압을 감소시키고,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소자의 효율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음극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가돌리늄(Gd)으로 전자주입층을 제작하거나, 가돌리늄과 금속을 합금형태로 제작하여 전극을 제작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유기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유기 발광소자의 전류밀도 전압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양극
3 : 정공수송층 4 : 전자수송층(발광층)
5 : 전자주입층 6 : 커버 박막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유기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러한 유기 발광소자는 투명한 기판(1)위에 양극(2)을 제작한 후 유기물로 제작되는 정공수송층(3)과 전자수송층(발광층)(4) 위에 전자주입층(5)과 커버 박막(6)이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를 일반적인 적층구조로 나타내면, 커버 박막(6)/전자주입층(5)/전자수송층(발광층)(4)/정공수송층(3)/양극(2)/기판(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의 작동은 양극에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주입층(5)에서 주입된 전자가 각각 발광층(4)과 정공수송층(3)의 에너지 준위에 의해서 계면에서 구속되어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하여 발광을 하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기판(1)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공수송층(3)으로 N, N'-diphenyl-N, N'-bis (3-methyl)-l, l'-biphenyl-4, 4'-diamine (TPD)를 사용하고, 전자수송층(발광층)(4)으로는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를 이용하며, ITO를 양극으로 사용하고, 전자주입층으로 가돌리늄(Gd)(5)을, 커버 박막으로 알루미늄(Al)(6) 이용하여 구성한 소자와 알루미늄 리튬 합금을 사용한 소자 및 알루미늄을 사용한 소자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즉, Al(130 nm)/Gd (20 nm)/Alq3(50 nm)/TPD(50 nm)/ITO(70 nm)/glass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소자의 전류밀도 전압 특성을 음극의 재료에 따라 도시하고 있으며, 가돌리늄 전자주입층을 사용한 소자의 특성()이 알루미늄 리튬 합금의 특성()이나 알루미늄의 특성()보다 우수한 전류밀도 전압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또는 저분자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소자의 전자주입층(5)으로 가돌리늄을 응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주입층(5)을 제작하는 방법은 진공 열증착방법이나 스퍼터링 방법 등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가돌리늄으로 제작된 전자주입층(5) 위에 전도성이 우수하고 산화에 강한 금속을 덧입힌 커버 박막(6)을 추가함으로써 그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물질로는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금, 은, 백금, 코발트, 인듐, 마그네슘, 팔라듐, 탄탈, 몰리브데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전자주입층과 커버박막의 구조 이외에, 가돌리늄에, 칼슘, 리튬,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금, 은, 백금, 코발트, 인듐, 마그네슘, 팔라듐, 탄탈, 몰리브데늄 등의 금속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합금의 형태로 이용해서 전극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직접 가열해서 증착하는 방법, 합금을 스퍼터링 타겟으로 하여 박막을 제작하는 스퍼터링 방법 및 각각의 물질을 각각의 소스를 이용해서 동시 증착하는 방법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의 작동전압을 감소시키고,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소자의 효율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음극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유기 발광소자에 있어서,
    가돌리늄(Gd)으로 전자주입층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돌리늄으로 제작된 전자주입층 위에 전도성이 우수하고 산화에 강한 금속을 덧입힌 커버 박막을 추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막은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금, 은, 백금, 코발트, 인듐, 마그네슘, 팔라듐, 탄탈, 몰리브데늄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4. 유기 발광소자에 있어서,
    가돌리늄(Gd)과, 칼슘, 리튬,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금, 은, 백금, 코발트, 인듐, 마그네슘, 팔라듐, 탄탈, 및 몰리브데늄 중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합금의 형태로 이용하여 전극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KR1020010061518A 2000-10-09 2001-10-05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KR20020028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1296047A AU2001296047A1 (en) 2000-10-09 2001-10-09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gadolinium layer
PCT/KR2001/001691 WO2002032192A1 (en) 2000-10-09 2001-10-09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gadolinium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299 2000-10-09
KR20000059299 2000-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93A true KR20020028793A (ko) 2002-04-17

Family

ID=1969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518A KR20020028793A (ko) 2000-10-09 2001-10-05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03A (ko) * 2002-08-07 2004-02-14 주식회사 지에이코리아테크 고휘도 무기 전계발광소자
KR100766947B1 (ko) * 2006-07-05 200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18A (ko) * 1994-07-01 1996-02-23 필립 뒤브뤽 도핑 처리된 이트륨, 루테튬 또는 가돌리늄의 탄탈산염의 저전압 발광 용도
JPH10321376A (ja) * 1997-03-19 1998-12-04 Minolta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H1126167A (ja) * 1997-04-04 1999-01-29 Mitsubishi Che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KR20000050854A (ko) * 1999-01-15 2000-08-05 김충섭 가돌리늄알루미네이트계 녹색 형광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010109030A (ko) * 2000-06-01 2001-12-08 김충섭 가돌륨옥사이드계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18A (ko) * 1994-07-01 1996-02-23 필립 뒤브뤽 도핑 처리된 이트륨, 루테튬 또는 가돌리늄의 탄탈산염의 저전압 발광 용도
JPH10321376A (ja) * 1997-03-19 1998-12-04 Minolta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H1126167A (ja) * 1997-04-04 1999-01-29 Mitsubishi Che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KR20000050854A (ko) * 1999-01-15 2000-08-05 김충섭 가돌리늄알루미네이트계 녹색 형광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010109030A (ko) * 2000-06-01 2001-12-08 김충섭 가돌륨옥사이드계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03A (ko) * 2002-08-07 2004-02-14 주식회사 지에이코리아테크 고휘도 무기 전계발광소자
KR100766947B1 (ko) * 2006-07-05 200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9596B (zh) 有機電致發光元件及其製備方法
JP5116992B2 (ja) 有機el素子
US7307380B2 (en) Cathode structure for inver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20060251924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containing fullerene
JP3838518B2 (ja) 発光構造
JP2013016815A (ja) バッファ層を含む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H10144957A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構造中の光学的に透明な拡散バリアおよび上部電極
JP2005129496A (ja) 有機発光素子
JP5063778B2 (ja) 陽極酸化したメタライゼーションを伴う発光デバイス
KR20070000262A (ko) Mg-Ag 단일 박막층을 사용한 음극 전극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발광소자
WO2002056641A1 (fr)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JP438271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02377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バイス
CN101405366B (zh) 有机发光器件的制备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的有机发光器件
JP200304567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US20050151139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device
JP2003272867A (ja) 発光素子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20020076171A (ko) 고품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유기 발광 소자
JPH069325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198182A (ja) 有機el素子
KR20020028793A (ko) 가돌리늄 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
JP386806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112616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203219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gadolinium layer
KR100531293B1 (ko) 유기 전계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