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478A -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478A
KR20020026478A KR1020017016785A KR20017016785A KR20020026478A KR 20020026478 A KR20020026478 A KR 20020026478A KR 1020017016785 A KR1020017016785 A KR 1020017016785A KR 20017016785 A KR20017016785 A KR 20017016785A KR 20020026478 A KR20020026478 A KR 2002002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essure
speed
hydraulic
comm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342B1 (ko
Inventor
히라노겐이치
하시모토도시오
핫토리시로
오오바고이치
Original Assignee
니시오 다카시
유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오 다카시, 유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오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2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9Rotationa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4Settings
    • F04B2207/042Settings of pressure
    • F04B2207/0421Settings of pressure maxim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4Settings
    • F04B2207/042Settings of pressure
    • F04B2207/0422Settings of pressure minim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유압 액추에이터에 제어된 유량 및/또는 압력의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가역회전형 유압 펌프 모터(1)와, 모터 구동용 가변속 서보전동기(2)와, 부하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4)와,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3)와, 각각 미리 프로그래밍된 압력 지령신호와 유량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지령장치(8 및 9)와, 회전속도 제어장치(10)와, 신호처리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처리장치(20)는 압력 지령신호와 압력 검출신호와의 편차신호가 미리 정해진 제한 레벨을 초과할 때에는 리미터 동작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유량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고, 압력 편차신호가 제한 레벨 이하일 때에는 우선적으로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회전속도 제어장치는 속도 지령신호와 회전속도 검출신호을 기본으로 하여 전동기(2)의 회전속도가 속도 지령신호에 대응하도록 전동기(2)에 공급해야 하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폐쇄루프 제어한다.

Description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HYDRAULIC POWER SYSTEM}
미합중국 특허 제4801247호 명세서에는 그 토출량과 토출압을 비례 전자(電磁) 유압제어 밸브로써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형식의 가변용량 피스톤이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의 유압 펌프에서는 펌프 내부에 배치된 사판(斜板)의 각도를 조작 피스톤의 변위(變位)로써 제어하기 위해서,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조작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압력을 비례 전자 유압제어 밸브로써 제어한다. 비례 전자 유압조작 밸브는 유량 지령신호와 유량 검출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입력전류로써 여자(勵磁)되었을 때에 이 입력전류에 비례하는 개도(開度)로써 조작 피스톤의 가압실을 펌프 토출 구멍 또는 탱크 라인에 연통시켜서 유량 제어를 실행하고, 토출압이 어느 설정 압력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경전각(傾轉角)을 차단위치 근방에서 제어하여 압력제어로 절환한다. 이 종래의, 사판 각도에 의한 펌프 제어방식에서는 유량제어와 압력제어를 1개의 비례 전자 유압제어 밸브로써 제어하므로, 유량제어 모드와 압력제어 모드와의 사이의 제어 모드의 절환이 원활하게 실행되는 점에서는 우수하다. 그러나, 이 종래의 유압 펌프는 사판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압 제어계의 구성이 복잡하고, 저압 영역에서의 유량제어 특성에서 뒤떨어지며, 펌프의 작동중에는 토출량의 유무에 불구하고 구동전동기가 항상 회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에너지 손실 면에서 불리하다고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특개평 10-131865호 공보에는 그 회전속도를 서보모터로써 제어하여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유량의 유압을 이송하는 형식의 유압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서보모터는 속도 지령신호와 회전속도 검출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여 인버터에서 제어된다. 펌프 토출압은 압력검출기에서 검출되고, 또한 압력 지령신호와 압력 검출신호와의 편차가 검출된다. 검출된 출력 편차신호는 회전속도 검출신호에 따라서 발생된 비비례(非比例) 지수신호에 가산되고, 이 가산치와 유량지령치의 어느 것인가 큰 편이 속도 지령신호로서 사용된다. 이 회전속도에 의한 펌프 제어방식에서는 서보모터의 회전속도 제어루프(loop)에 대한 유량제와와 압력제어의 모드 절환을 위해서 비비례 지수신호를 압력 지령신호에 가산하므로 절환의 안정성 및 연속성에 한계가 있고, 또한 서보모터를 인버터 제어로써 구동하므로 응답성이 사판 각도제어보다도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오일 저장용기로부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actuator)에 연결되는 부하(負荷) 통로에, 또는 그 역(逆)으로, 제어된 유량 및/또는 압력의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을 구비한 비한정적인 적용예인 사출성형기의 모식 구성도.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보다도 더욱 양호한 제어특성을 실현 가능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써 유지 보수도 용이한 유압 펌프를 이용하여 제어 모드의 절환이 안정되고 원활한, 게다가 높은 응답성을 실현할 수 있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오일 저장용기로부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부하 통로에, 또는 그 역으로, 제어된 유량 및/또는 압력의 작동유를 이송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부하 통로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정전(正轉)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유량으로써 작동유를 이송하는 유압 펌프로서 동작하고, 또한 상기 부하 통로로부터 상기 오일 저장용기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이 작동유의 유량에 대응하는 회전속도로써 상기 회전축을 역전(逆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로서 동작하는 가역(可逆)회전형 유압 펌프 모터,
상기 회전축에 토크(torque)가 전달되도록 결합된 구동축을 구비한 가변속 서보 전동기로서, 상기 구동축이 해당 전동기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는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으로써 정전방향 및 역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1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검출수단,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2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속도 검출수단,
미리 프로그래밍된 압력 지령신호 및 미리 프로그래밍된 유량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지령수단,
상기 압력 지령신호와 상기 제1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압력 편차신호가미리 정해진 제한 레벨을 초과할 때는 리미터(limiter) 동작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상기 유량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는 우선적으로 상기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속도 지령신호와 상기 제2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동기에 공급해야 할 상기 구동전류의 크기를 회전속도 피드백(feedback) 루프로써 폐쇄루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은 예로서, 사출성형기, 유압프레스기, 유압 프레스 끼워맞춤(press fit)기, 유압 벤딩(bending)기 등, 유량제어와 압력제어의 각 모드 간을 연속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절환할 필요가 있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기계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는 용도에 이용된다. 이러한 기계에 있어서,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입력되고,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 의해서 유압 동력으로 변환되어서, 이 유압 동력은 기계의 각각의 작동 위상에서 유압 액추에이터에 입력되어야 하는 유량 및 압력의 요구량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시스템에서 이러한 요구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기 유압 비례 제어밸브는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서는 정전시에는 유압 펌프, 역전시에는 유압 모터로서 기능을 하는 가역회전형 유압 펌프 모터를 이용한다. 이 유압펌프 모터에는 가변용적형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펌프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유지 보수도 용이한 고정용적형의 것이 이용된다. 유압 펌프 모터의 회전축에 토크가 전달되도록 결합된 구동축을 구비한 가변속 서보 전동기도 가역회전형의 것이고, 이 것에는 바람직하게는 자석 계자 동기 AC 서보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지령은 예로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또는 컴퓨터로써 구성 가능한 신호 지령수단으로부터,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퀀스(sequence)에 따라서 각각 미리 프로그래밍된 압력 지령신호 및 유량 지령신호로서 부여된다. 제어 대상인 검출기 수단을 구성하는 것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1신호를 발생하는 압력검출수단과, 전동기의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2신호를 발생하는 회전속도 검출수단이다. 압력검출수단에는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압력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이용할 수 있고, 회전속도 검출수단에는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보전동기의 제어계는 유압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를 네거티브 피드팩 신호로 하는 회전속도 제어계의 마이너 루프(minor loop)를 포함하고, 이 마이너 루프의 외측에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을 네거티브 피드팩 신호로 하는 압력제어계의 루프가 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속도 제어계의 주요부분은 상기 회전속도 제어수단에 포함되고, 상기 압력제어계의 주요부분은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회전속도 제어수단은 상기 속도 지령신호와 상기 제2신호와의 편차에 상당하는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회전속도 편차신호의 상한 및 하한을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limiter) 수단과, 이 토크 리미터 수단으로써 제한된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제어 입력으로서 수취함과 동시에 상기 제2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수취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해야 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크기를 피드백 제어하는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압력 지령신호를 정입력(正入力)에 수취함과 동시에 상기 제1신호를 부입력(負入力)에 수취하여 양자의 편차에 상당하는 압력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편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는 해당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했을 때는 일정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리미터 수단과, 상기 유량 지령신호와 상기 신호 리미터 수단의 출력신호와의 합 또는 적(積)에 상당하는 신호를 상기 속도 지령신호로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이 압력지령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어 편차, 즉, 압력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신호와 압력 지령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압력 편차신호는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하여 큰 값으로 된다. 신호처리수단은 리미터 동작에 따라서 유량지령을 우선하고, 유량 지령신호에 따라서 변화하는 속도 지령신호를 회전속도 제어수단에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는 압력 편차신호는 리미터 동작에 의해서 제한 레벨에 동등한 일정치에 고정되고, 따라서, 서보전동기의 제어계에 대한 제어 지령은 유량 지령신호에 의해서 지배되고, 회전속도 제어수단은 이 유량 지령신호와 회전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서보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이 상태가 유량제어 모드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하고"라는 표현은 유량제어 모드에서는 회전속도 제어수단에 부여되는 속도 지령신호중에서 유량 지령신호가 지배적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며, 환언하면, 속도 지령신호중에는 제어 지령으로서의 유량 지령신호와, 제한 레벨에 동등한 일정치의 압력 편차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이 압력지령에 도달하면, 제어 편차, 즉, 압력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신호와 압력 지령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의 작은 값으로 되므로,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압력 편차신호를 우선하고, 압력 편차신호에 따라서 변화하는 속도 지령신호를 회전속도 제어수단에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는 서보전동기의 제어계에 대한 제어 지령은 압력 편차신호에 의해서 지배되고, 제어계는 회전속도 제어계를 마이너 루프로서 직렬로 포함하는 압력제어계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량제어 모드와의 사이에서 속도지령에 연속성이 확보되고, 회전속도 제어수단은 압력 편차신호와 회전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서보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이 상태가 압력제어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모드 절환동작, 즉, 속도 지령신호를 유량 지령신호로부터 압력 편차신호로, 또는 그 역으로 절환하는 동작은 상기와 같이 리미터 동작에 의해서 속도지령의 연속성이 양 모드간에 확보되는 것, 유량제어 모드에 있어서도 압력 편차신호가 제한 레벨에 동등한 일정치로서 속도 지령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 및 유량제어 모드와 압력제어 모드와의 사이의 쌍방향의 이행시에 압력 편차신호가 제한 레벨과 그 것 이하의 레벨과의 사이를 오버슈트(overshoot)없이 변화하는 것 때문에, 연속적이고 또한 원활하게 실행된다. 이 절환동작을 종래와 같이 선택동작 또는 스위칭 동작으로써 달성하는 것은 제어 모드간의 절환이 불연속적으로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어계가 유량제어 모드일 때에 압력 편차신호를 유량지령에 추종시키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해 두는 것은 모드의 절환을 충격없이 또한 원활하게 달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서는 서보전동기의 회전속도의 제어는 정전(正轉) 및 역전(逆轉) 모두 가능하고, 따라서 소요 유량의 작동유를 송출함과 함께 그 압력을 소요치로 제어하기 위해서 유압 펌프 모터를 정전시키는 경우, 및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을 최적인 감압 속도 패턴으로 감압하기 위해서 유압 펌프 모터를 정전시키는 경우의 어느 것도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물론, 유압 펌프 모터를 극히 늦은 회전속도로, 혹은 거의 정지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고, 따라서 부하압(負荷壓)이 저압인 영역에서도 제어는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압력제어 모드에서는 압력검출수단에 의해서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이 검출되고, 이 압력 검출신호가 피드백 신호로서 폐쇄 루프 제어계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작동유의 온도가 정상 온도로부터 변화해도 작동유의 압력이 폐쇄 루프 제어되므로 자동적으로유온(油溫) 보상이 유효하게 된다. 한편, 유량제어 모드에서는 작동유의 압력은 게방 루프 제어상태이고, 유온 변화로써 압력이 변화하면, 이 것이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해서는 유량 변화로 되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은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크기의 전기적인 제3신호를 출력하는 유온검출수단과,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유온검출수단으로써 검출한 온도의 변화분에 등가인 보정량을 유량 지령신호 또는 속도 지령신호에 부여하는 온도보정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유온검출수단은 오일 저장용기, 유압 펌프 모터, 부하 통로, 및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 회로내의 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유온 보정은 유온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작동유의 온도와, 기준온도(임의의 온도에 설정할 수 있는)와의 차(변화분)를 검출하여, 이 변화분에 대응하는 유량 변화분(사용 작동유의 특성으로 결정되는)에 등가인 신호 보정량을 유량 지령신호에 가산한다. 또한, 이 신호 보정량은 속도 지령신호에 가산해도 좋고, 이 경우는 유량제어 모드만이 아니고 압력제어 모드에서도 유온 보정이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은 유량 지령신호에 상기 제1신호에 따라서 펌프 용적 효율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정을 실행하는 보정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 보정수단은 유량 지령신호를 정입력단에, 압력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제1신호를 적당한 보정계수로서 부입력단에 수취하는 차동 연산증폭기로써 구성할 수 있다. 유량 제어모드에서 예로서, 부하압 증대에 의한펌프내 누설 유량의 증가 등의 원인에 의한 펌프 용적효율의 저하가 보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1개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4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제4신호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인가 아닌가를 식별하는 작동식별수단과, 이 작동식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식별되었을 때에만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부가적으로 상기 제4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를 폐쇄루프 제어하는 작동속도 제어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예로서, 사출성형기와 같이, 단일 유압 펌프로써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우, 작동유의 유온 변화나 부하압 변화에 대한 보정에 추가하여, 특히, 고정밀도의 속도제어를 필요로 하는 특정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그 작동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속도 검출수단이 배치된다.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작동속도 검출수단을 각각 배치할 수도 있고, 단 이 경우는 각각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시간적으로 겹쳐지지 않는 것이 조건이다.
예로서, 사출성형기의 경우, 작동속도의 제어에 가장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유압 액추에이터는 사출 실린더이다. 따라서, 이 사출 실린더에 작동속도 검출수단이 취부된다. 작동속도 검출수단을 취부한 액추에이터(사출 실린더)가 작동하면 작동속도 검출수단이 제4신호를 출력한다. 작동식별수단은 제4신호의 발생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이라는 것을 식별하고, 제4신호의 발생이 없으면, 상기 액추에이터가 비작동 상태라는 것을 판단한다. 작동속도 제어수단은 작동식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식별되었을 때에만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부가적으로 상기 제4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를 폐쇄루프 제어한다. 이 제어는 시스템이 유량제어 모드 또는 압력제어 모드의 어느 상태에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서, 사출성형기는 사출 유닛(110)과, 크램핑(cramping) 유닛(120)과, 이러한 사출 유닛(110) 및 크램핑 유닛(120)에 각각 전기 유압 방향 제어밸브 유닛(112 및 122)을 거쳐서 연결되는 부하 통로(130)에 유압 유체 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동력 공급유닛(200)을 구비하고 있다.
사출 유닛(110)은 사출 실린더(114), 사출 노즐(nozzle) 전후진용 이동 실린더(116) 및 계량 스크루 구동용 유압 모터(118)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크램핑 유닛(120)도, 금형 개폐용의 형체(型締) 실린더(124) 및 제품 취출용의 이젝터(ejector) 실린더(126)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유압 액추에이터는 제어밸브 유닛(112 및 122)을 거쳐서 한편에는 공통의 부하 통로(130)에 접속되고, 다른 편으로는 오일 저장용기(6)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출 실린더(114)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배압(背壓) 제어용의 비례 전자 릴리프(relief) 밸브(140)를 거쳐서 오일 저장용기(6)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출 유닛(110)의 사출 실린더(114)에는 그 실린더 작동속도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제4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31)가 취부되어 있다.
이 사출성형기에서,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입력되어서, 유압 동력 공급유닛(200)에 의해서 유압 동력으로 변환되고, 이 유압 동력은 사출성형기의 순차적인 동작에 있어서의 각각의 작동 위상에서 부하 통로(130)를 통해서 각각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어야 할 유량 및 압력의 요구량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즉, 부하 통로(130)에서의 작동유의 유량과 압력은 주로 유압 동력 공급유닛(200)에 의해서 제어된다.
동력 공급유닛(200)은 본 발명에서 주로 대상으로 하는 부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역회전형 고정용적 유압 펌프 모터(1)와, 이 펌프 모터의 회전축에 토크 전달되게 결합된 구동축(7)을 갖는 가변속 가역회전형 AC 서보전동기(2)와, 구동축(7)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3)와, 부하 통로(130) 내의 작동유 압력을 검출해서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제1신호)를 발생하는 압력 센서(4)와, 서보 전동기를 위한 회전속도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AC 서보증폭기(10)와, 서보증폭기에 부여하는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장치(20)와, 각각 미리 정해진 유량 지령신호와 압력 지령신호를 신호처리장치(20)에 부여하는 신호지령장치(8 및 9)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동력 공급유닛(200)은 또한, 오일 저장용기(6)내의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제3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5)도 구비하고 있다.
유압 펌프 모터(1)의 출력 유량은 사출 유닛(110) 및 크램핑 유닛(120)에 의해서 실행되는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펌프의 토출 및 흡입의 양 동작에 있어서 서보 전동기(2)의 회전속도가 폐쇄루프 제어에 의해서 제어됨에 따라서, 출력 유량은 펌프의 회전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폐쇄루프 제어는 2개의 주요 모드를 포함하는데, 그 하나는 로터리 인코더 (3)와 공동으로 서보증폭기(10) 및 신호저리장치(20)로써 실행하는 유량제어 모드, 다른 하나는 로터리 인코더(3) 및 압력 센서(4)와 공동으로 서보증폭기(10) 및 신호저리장치(20)로써 실행하는 압력제어 모드이다.
사출 유닛(110), 크램핑 유닛(120) 및 유압 동력 공급유닛(2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여러가지 동작에 관련되는 시퀀스, 타이밍 및 양적인 각종의 값은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성형 파라미터에 따라서 제어 컴퓨터의 지령을 기본으로 실행되고, 여기서는 이러한 지령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유량 지령신호를 위한 신호지령장치(8)와 압력 지령신호를 위한 신호지령장치(9)가 상징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압 펌프 모터(1)는 구동축(7)에 토크 전달되도록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정용량형(定容量形) 펌프이고, 오일 저장용기(6)로부터 부하 통로(130)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정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유량으로서 작동유를 이송하는 유압 펌프로서 동작함과 동시에, 부하 통로(130)로부터 오일 저장용기(6)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해당 작동유의 유량에 대응하는 회전속도로서 상기 회전축을 역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정역(正逆)방향의 회전속도, 즉, 펌프 모터(1)에 의한 작동유의 이송량은 서보 전동기(2)에 의해서 제어된다.
로터리 인코더(3)는 회전속도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전동기(2)의 구동축(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제2신호)를 출력한다.
전동기(2)의 회전속도 제어계를 구성하는 서보증폭기(10)는 로터리 인코더 (3)에서 검출된 회전속도를 피드백 신호로 이용하여, 신호지령장치(8 및 9)로부터 부여되는 유량 지령신호 및 압력 편차신호로부터 생성된 회전속도 지령신호를 제어 지령으로 하는 폐쇄루프 제어계를 구성하고 있다. 즉, 서보증폭기(10)는 신호처리장치(20)로부터 DA 컨버터(41)를 통해서 부여되는 속도 지령신호와 로터리 인코더 (3)로부터의 제2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차동 연산증폭기(12)와, 제어 계수를 부여하는 연산증폭기(14)와, 회전속도 편차신호의 상한 및 하한을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 회로(16)와, 토크 리미터 회로에 의해서 제한된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제어입력으로서 수취함과 동시에 로터리 인코더(3)로부터의 제2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수취하여 서보전동기(2)에 공급해야 하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피드백 제어하는 AC 전류제어기(18)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전류제어기(18)에는 또한, 구동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19)로부터의 전류 피드백도 부여된다. 서보전동기(2)는 전류제어기(18)에 의해서 제어된 구동전류에 대응하는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으로서 정전방향 또는 역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압력 센서(20)는 펌프 모터(1)의 본체 또는 커버(cover)내에 취부된 반도체 케이지(cage)식 압력 센서이면 좋고, 펌프 모터(1)의 한 쪽의 구멍에 연통하는 부하 통로(130)내의 작동유 압력을 항상 검출한다.
신호처리장치(20)는 사출성형기의 동작 사이클의 각각의 위상 단계에서 신호지령장치(8 및 9)로부터 유량 지령신호 및 압력 지령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 형식으로 수취하고, 또한 압력 센서(4)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제1신호)를 AD 컨버터 (42)를 통해서 항상 수취한다. 신호처리장치(20)는 신호지령장치(9)로부터의 압력 지령신호와 압력 센서(4)로부터의 제1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압력 편차신호가 미리 정해진 제한 레벨을 초과할 때에는 리미터 동작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신호지령장치(8)로부터의 유량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처리장치 (20)는 디지털 시스템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그 필요로 하는 모든 기능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기능요소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처리장치(20)는 신호지령장치(9)로부터의 압력 지령신호를 정입력에 수취함과 동시에 압력 센서(4)로부터 AD 컨버터(42)를 거쳐서 디지털화된 제1신호를 부입력에 수취하여 양자의 편차에 상당하는 압력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편차신호 검출요소(21)와, 취득한 압력 편차신호를 미리 정해진 위상 편이값으로써 보상하기 위한 위상보상요소(22)와, 위상보상요소(22)로부터의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는 해당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할 때에는 일정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리미터 요소(23)와, 신호지령장치(8)로부터의 유량 지령신호와 상기 리미터 요소(23)의 출력신호와의 합 또는 적에 상당하는 신호를 속도 지령신호로서 상기 DA 컨버터(41)에 부여하는 연산요소(24)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신호처리장치(20)에 있어서, 유량 지령신호 게통중에는 또한 작동유의 온도변화에 대한 보정을 위한 보정요소(25)도 설치되어 있다.
보정요소(25)는 온도검출기(5)에서 검출된 작동유의 현재 온도에 상당하는 제3신호를 AD 컨버터(43) 및 계수요소(27)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로서 수취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신호처리장치(20) 자체의 기능에 따라서 기준온도(이 기준온도는 예로서, 시스템의 초기화 동작시의 실온 등, 임의의 온도로서 신호처리장치(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에 대한 검출온도의 변화분에 등가인 유량 보정분에 상당한다. 보정요소(25)는 유량 지령신호와 상기 유량 보정분과의 차에 상당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이 보정요소(25)에 의한 보정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량 지령의 보정은 다음 식에서 구한 보정량 Qc1을 유량 지령으로부터 감산하는 처리이다.
Qc1 = Gt ×(T - Ts)/Ts
여기서, T는 검출된 유온, Ts는 기준온도, Gt는 보정 이득(利得, gain)이다.
기준온도 Ts는 미리 결정되어 있고, 보정 이득 Gt는 사용하는 유압 펌프 모터(1)의 용량을 시작으로 하는 제원(諸元) 및 사용하는 작동유의 특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고유의 계수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검출기(5)로써 유온을 검출하여 온도변화를 기본으로 하는 보정량을 보정요소(25)로써 유량 지령신호에 부여하므로, 펌프 회전속도 제어에 의한 유량제어라도 작동유의 온도변화를 기본으로 하는 제어 유량의 오차는 없고, 고정밀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정요소(25)로써 보정량을 유량 지령신호에 부여하고 있지만, 연산요소(24)로부터 출력되는 속도 지령신호에 보정량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는 압력제어 모드에 있어서도 유온 보정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처리장치(20)에 있어서, 유량 지령신호 계통중에는 또한 압력 센서(4)로부터의 제1신호를 기본으로 하여 유량 지령신호에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 압력 변화에 대응하는 펌프 용적효율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정요소(26)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펌프 용적효율의 보상이라는 것은 예로서 부하 압력의 증대에 의해서 유압 펌프 모터(1)의 내부 누설 유량이 증가했을 때에 부하 통로(130)에 송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상하는 것이다. 보정요소(26)는 압력 센서(4)에서 검출된 부하 통로(130)내의 작동유의 현재 압력에 상당하는 제1신호를 AD 컨버터(42) 및 계수요소(28)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로서 수취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신호처리장치(20)의 기능에 따라서 기준압력(이 기준압력은 사용하는 유압 펌프 모터의 고유의 제원에 의해서 결정된다)에 대한 검출압력의 변화분에 등가인 유량 보정분에 상당한다. 보정요소(26)는 유량 지령신호와 상기 유량 보정분과의 차에 상당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이 보정요소(26)에 의한 보정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량 지령의보정은 다음 식에서 구한 보정량 Qc2를 유량 지령으로부터 감산하는 처리이다.
Qc2 = Gp ×(P -Ps)/Ps
여기서, P는 검출된 압력, Ps는 기준압력, Gp는 보정 이득이다.
이렇게 하여 보정요소(26)로써 검출압력에 대응하는 유량 보정량을 유량 지령신호에 부여하여, 압력변화에 따르는 펌프 용적효율의 변화를 보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사출 실린더(114)의 작동속도가 속도 센서(31)에 의해서 검출되고, 이 것이 제어계에 부여된다. 동력 공급유닛(200)은 속도 센서 (31)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사출 실린더(114)가 작동중인가 아닌가를 식별하는 식별기(33)를 포함하고, 이 식별기(33)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써 구성된 릴레이 스위치(34a, 34b)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기(33)는 속도 센서(31)로부터 신호가 도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34a)를 OFF, 스위치(34b)를 ON의 상태, 즉, 도시된 절환위치를 유지하고, 속도 센서(31)로부터 신호가 도래하면 스위치(34a)를 ON, 스위치(34b)를 OFF의 상태, 즉, 도시된 절환위치로부터 절환된 상태로 한다. 제어계내의 DA 컨버터(41)의 출력과 서보증폭기(10)의 입력과의 사이에는 DA 컨버터(41)로부터의 속도 지령신호에 속도 센서(31)의 검출신호를 피드백하는 차동 연산증폭기 (37)와, 연산증폭기(37)의 출력신호를 수취하여 사출 실린더의 작동속도의 폐쇄루프 제어에 필요한 보상 동작을 실행하는 작동속도 제어기(35)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작동속도 제어기(35)는 식별기(33)에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신호가 도래하여 스위치(33a)가 ON, 스위치(33b)가 OFF의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만 유효하게 된다.
속도 센서(31)는 특히 고정밀도의 제어가 요구되는 사출 실린더(114)의 작동속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필요하면, 사출 실린더(114)의 작동 위상과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기타의 유압 액추에이터에도 동일한 속도 센서를 설치하여 작동속도의 폐쇄루프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사출 실린더(114)의 피스톤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속도 센서(31)는 검출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식별기(33)는 스위치(34a)를 OFF, 스위치 (34b)를 ON으로 유지하여, 스위치(34b)에 의해서 제어기(35)가 측로(側路)되어 있다. 따라서 DA 컨버터(41)로부터의 속도 지령신호는 제어기(35)를 바이패스하여 직접 서보증폭기(10)에 입력된다.
한편, 사출 실린더(114)의 피스톤이 움직이면 속도 센서(31)가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식별기(33)는 이 검출신호를 수취하여 스위치(34a)를 ON, 스위치(34b)를 OFF로 절환한다. 이에 따라서 스위치(34a)를 통하여 속도 센서(31)의 검출신호가 차동 연산증폭기(37)의 부입력에 도달하고, DA 컨버터(41)로부터의 속도 지령신호에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서 부여된다. 또한, 스위치(34b)가 OFF로 절환되었으므로 제어기(35)가 유효하게 된다. 차동 연산증폭기(37)는 DA 컨버터(41)로부터의 속도 지령신호와,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작동속도 검출신호와의 편차에 상당하는 속도 편차신호를 발생하고, 이 속도 편차신호가 제어기(35)를 거쳐서 서보증폭기 (10)에 도입된다.
이렇게 하여, 속도 센서(31)에 의해서 사출 실린더(114)의 작동속도가 검출되고, 사출 실린더(114)의 움직임 속도를 서보 제어계에 피드백함으로써, 사출동작중의 부하압의 변화나 작동유의 온도변화에 의한 실린더 작동속도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그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설명할 필요도 없다.

Claims (6)

  1. 오일 저장용기로부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부하 통로에, 또는 그 역으로, 제어된 유량 및/또는 압력의 작동유를 이송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으로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부하 통로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정전(正轉)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유량으로써 작동유를 이송하는 유압 펌프로서 동작하고, 또한 상기 부하 통로로부터 상기 오일 저장용기에 작동유를 이송할 때에는 해당 작동유의 유량에 대응하는 회전속도로써 상기 회전축을 역전(逆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로서 동작하는 가역(可逆)회전형 유압 펌프 모터,
    상기 회전축에 토크(torque)가 전달되도록 결합된 구동축을 구비한 가변속 서보 전동기로서, 상기 구동축이 해당 전동기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는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으로써 정전방향 및 역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
    상기 부하 통로내의 작동유의 압력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1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검출수단,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2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속도 검출수단,
    미리 프로그래밍된 압력 지령신호 및 미리 프로그래밍된 유량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지령수단,
    상기 압력 지령신호와 상기 제1신호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압력 편차신호가 미리 정해진 제한 레벨을 초과할 때는 리미터(limiter) 동작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상기 유량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는 우선적으로 상기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속도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속도 지령신호와 상기 제2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동기에 공급해야 할 상기 구동전류의 크기를 회전속도 피드백(feedback) 루프로써 폐쇄루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제어수단은 상기 속도 지령신호와 상기 제2신호와의 편차에 상당하는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회전속도 편차신호의 상한 및 하한을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 수단과, 이 토크 리미터 수단에 의해서 제한된 회전속도 편차신호를 제어 입력으로서 수취함과 동시에 상기 제2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수취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해야 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크기를 피드백 제어하는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압력 지령신호를 정입력(正入力)에 수취함과 동시에 상기 제1신호를 부입력(負入力)에 수취하여 양자의 편차에 상당하는 압력 편차신호를 발생하는 편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 이하일 때는 해당 압력 편차신호에 대응하는 크기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상기 압력 편차신호가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했을 때는 일정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리미터 수단과, 상기 유량 지령신호와 상기 신호 리미터 수단의 출력신호와의 합 또는 적(積)에 상당하는 신호를 상기 속도 지령신호로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크기의 전기적인 제3신호를 출력하는 유온검출수단과,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에 대한, 상기 유온검출수단으로써 검출한 온도의 변화분에 등가인 보정량을 상기 유량 지령신호 또는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부여하는 온도보정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지령신호에 상기 제1신호에 따라서 펌프 용적효율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정을 실행하는 보정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 선택된, 1개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제4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제4신호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중인가 아닌가를 식별하는 작동식별수단과,해당 작동식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식별되었을 때에만 상기 속도 지령신호에 부가적으로 상기 제4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를 폐쇄루프 제어하는 작동속도 제어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동력 공급시스템.
KR1020017016785A 1999-07-14 2000-07-14 유압 동력 공급 시스템 KR100623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00183 1999-07-14
JP20018399 199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478A true KR20020026478A (ko) 2002-04-10
KR100623342B1 KR100623342B1 (ko) 2006-09-11

Family

ID=1642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785A KR100623342B1 (ko) 1999-07-14 2000-07-14 유압 동력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8739B1 (ko)
EP (1) EP1209358B1 (ko)
JP (1) JP4582981B2 (ko)
KR (1) KR100623342B1 (ko)
WO (1) WO200100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4189A1 (en) * 2003-01-09 2004-07-15 Brigden Alex L Computer monitored portable hydraulic power generation system
JP4376841B2 (ja) * 2005-09-08 2009-12-02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324148B2 (ja) * 2005-09-08 2009-09-02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355309B2 (ja) * 2005-09-08 2009-10-28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JP4425253B2 (ja) * 2006-08-30 2010-03-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油圧ユニットおよび油圧ユニットにおけるモータの速度制御方法
US20090057938A1 (en) * 2007-08-28 2009-03-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losed Loop Control for an Injection Unit
JP4805975B2 (ja) * 2008-05-29 2011-11-02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WO2010028100A1 (en) 2008-09-03 2010-03-11 Parker Hannifin Corporation Velocity control of unbalanced hydraulic actuator subjected to over-center load conditions
CN101737379B (zh) * 2008-11-21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油压式设备的速度-压力控制装置
JP4990333B2 (ja) * 2009-09-03 2012-08-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337662B2 (ja) * 2009-10-14 2013-11-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システムにおける油圧ポンプの運転装置及び方法
DE102011108285A1 (de) * 2010-12-22 2012-06-28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r Antrieb
KR101095983B1 (ko) * 2011-04-19 2011-12-19 주식회사 하이드텍 유압 전동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E102012204721A1 (de) * 2012-03-23 2013-09-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irektantrieb für eine Rotations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Behälterbehandlungsmaschine
CN102626979B (zh) * 2012-03-29 2014-08-06 宁波恩瑞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的控制系统
JP5805031B2 (ja) 2012-08-10 2015-11-04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圧源制御装置、および、射出成型装置
US9605805B2 (en) * 2013-11-04 2017-03-28 Trillium Transportation Fuels, Llc Active pressure and flow regulation system
WO2019034317A1 (en) * 2017-08-17 2019-02-21 Sunfab Hydraulics Ab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SYSTEM ENGINE
US11566666B2 (en) * 2019-03-20 2023-01-31 Fanuc Corporation Processing machine and pressure adjustment method
US20220372968A1 (en) * 2021-05-18 2022-11-2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metering pump system with multivariate feedback
CN114311575B (zh) * 2021-12-30 2024-03-29 阿托斯(上海)液压有限公司 一种基于双闭环pid调节的注塑机背压控制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6239B (sv) * 1976-02-05 1977-09-12 Hytec Ab Metod och anordning for reglering av den effekt som tillfors ett hydrauliskt, ett pneumatiskt eller ett hydraulpneumatiskt system
US4801247A (en) 1985-09-02 1989-01-31 Yuken Kogyo Kabushiki Kaisha Variable displacement piston pump
JPS6255483A (ja) 1985-09-02 1987-03-11 Yuken Kogyo Kk 可変容量形ポンプ
JPH0266083A (ja) * 1988-08-31 1990-03-06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811200B2 (ja) * 1989-05-19 1998-10-15 株式会社不二越 可変容量型ポンプの閉ループ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3171473B2 (ja) * 1992-01-17 2001-05-28 株式会社トキメック サーボモータドライブ油圧ポンプの流量・圧力制御装置
JP3186888B2 (ja) 1993-03-10 2001-07-11 近畿車輌株式会社 車両用の平滑窓装置
JPH07156225A (ja) * 1993-12-08 1995-06-20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JP3382079B2 (ja) * 1996-02-19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10131867A (ja) 1996-10-31 1998-05-19 Tokimec Inc 回転液圧装置制御システム
JP3989991B2 (ja) 1996-10-31 2007-10-10 株式会社トキメック 液圧ポンプ駆動用サーボ電動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9358B1 (en) 2012-12-26
WO2001006126A1 (fr) 2001-01-25
US6748739B1 (en) 2004-06-15
KR100623342B1 (ko) 2006-09-11
EP1209358A1 (en) 2002-05-29
EP1209358A4 (en) 2010-03-10
JP4582981B2 (ja)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342B1 (ko) 유압 동력 공급 시스템
JP2678607B2 (ja) 少なくとも2つのアクチュエータの流体圧駆動用制御装置
US9476437B2 (en) Boom driving device
US7399165B2 (en) Pump unit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US20060233912A1 (en) Hydraulic mold clamping unit
US8495871B2 (en) Hydraulic system
GB2469016A (en) Electrically driven hydraulic actuator
CN102030266B (zh) 一种起重机及其液压控制系统
US20130152573A1 (en) Hybrid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060117577A (ko) 전기-유압 일체제어형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시스템
KR100545691B1 (ko) 유압 회로
JPH03107586A (ja) 可変容量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KR20130113415A (ko) 공작기계에서 구동된 축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29908B2 (en) Hydraulic system
US6360536B1 (en) Control system for a hydraulic transformer
JP5030864B2 (ja)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の制御装置
US9124133B2 (en) Charg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US10794380B2 (en) Pump device
CN112460086A (zh) 一种复合调速液压系统及其控制方法、起重机、工程机械
JP4696040B2 (ja) 射出成形機
CN111005899B (zh) 油泵极限排量可控的负载敏感液压系统、控制方法及工程机械
JP4601187B2 (ja) 液圧システム
CN117948306A (zh) 具有负载保持功能的液压装置和液压装置的控制方法
JP2000265966A (ja) インバータ駆動油圧ユニット
CN117940667A (zh) 用于液压驱动装置的方法、控制单元、计算机程序和机器可读的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