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804A -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804A
KR20020025804A KR1020010060453A KR20010060453A KR20020025804A KR 20020025804 A KR20020025804 A KR 20020025804A KR 1020010060453 A KR1020010060453 A KR 1020010060453A KR 20010060453 A KR20010060453 A KR 20010060453A KR 20020025804 A KR20020025804 A KR 2002002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up
combinations
topica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첸 리우
조나단 밀러
죤 쿵
수쟌 니에미엑
글렌 나이스트랜드
Original Assignee
미쉘 지. 멘지니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쉘 지. 멘지니,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쉘 지. 멘지니
Publication of KR2002002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로 국소 피부 약제의 피부 침투를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 피부 컨디셔너, 중합성 유화제(emulsifier) 및 식물성 유도체를 함유한다.

Description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본 출원은 여기서 참조에 병합된 1999년 7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일련 번호 제 09/361,426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국소적 피부 약제(topical skin agents)가 피부의 상피(epidermis) 및 진피(dermal)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합성 유화제(polymeric emulsifier) 및, 선택적으로 당(sugar),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알콜(polyoxyethylene alcohol)과 함께 피부에 침투하는데 있어서, 강화 및 조절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활성 성분, 피부 컨디셔너 또는 영양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료용 피부 관리 분야에 있어서, 국소적 약제(topical agents)는 흔히 피부에 도포된다. 이것의 치료 활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약제는 피부에 도포되고, 상피 및 진피에 침투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개념적으로 단순하지만, 주변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외부 물질에 대해 견고한 장벽(well-designed barrier)으로피부가 작용하기 때문에, 흔히 결코 쉽지 않은 일로 밝혀지고 있다. 피부의 최외곽층에는 피부 각질층(stratum comeum), 또는 "각질층(horny layer)"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평평한 모양의 케라틴화된 죽은 피부 세포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층을 침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피부 각질층은 대략 15%의 물, 70%의 단백질 및 15%의 지방을 함유한다. 주된 단백질은 케라틴이다. 피부 각질층에서, 각질화된 외피는 케라틴주위에 형성되어, 코르네오싸이트(corneocyte)를 형성한다. 상기 코르네오싸이트 사이에는 상기 코르네오싸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지방이 있다. 상기 구조로부터, 활성 성분이 피부에 들어가는데는 2개의 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
소수성(hydrophobic)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세포간 지방 공간을 통해서 피부에 더 잘 침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친수성 활성제는 관세포(transcellular) 경로, 즉 코르네오싸이트를 통해서 피부 각질층에 침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비록 2개의 침투 경로가 있더라도, 대부분의 국소적인 활성제는 여전히 피부 각질층에 침투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게다가, 조성물이 친수성활성제 뿐만 아니라 소수성 활성제를 함유한다면, 둘 중 어느 한 활성제의 공지된 침투 강화제(enhancing agents)는 다른 활성제의 침투를 도와주는 작용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침투를 막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국소 약제의 침투를 강화하는 제제(formulation)를 제공할 때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피부에서 활성제(active agents)의 양을 증가시킨다면 흔히 과도한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염증성 피부병 또는 피부상태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는 특히 그렇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소적 활성제의 피부 침투를 강화하는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상기 전달 시스템이 상기 활성제의 침투를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국소적 활성제의 전달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를 강화하는 동안 피부 자극을 적게 하는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친수성(hydrophilic) 및/또는 소수성 국소적 활성 화합물이 피부의 최외곽 층을 통해 침투되는 것을 강화하는 새로운 조성물은, 치료 약제를 피부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놀랍게도, 우리는 국소적 활성 성분의 침투를 강화하고 조절하는 새로운 조성물을 발견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국소적 활성제의 침투성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하게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순하다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조성물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 국소 활성제중 어느 하나의 침투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이러한 약제의 침투를 조절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소수성 및 친수성 약제 모두의 침투를 강화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소수성 활성제의 침투를 강화하는 본 발명의 상기 새로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또는 친수성 활성제와, 중합성 유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은 당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친수성 활성제의 침투를 강화하는 본 발명의 상기 새로운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알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친수성 침투 강화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국소적 활성제의 침투를 강화하고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른 성분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중합체 유화제, 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소수성 활성제를 함유하고 강화된 침투 성질을 소유하는 본 발명의 새로운 조성물은, 당과 같은 친수성 침투 강화제를 또한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다.
같은 조성물에서 친수성 및 소수성 활성제의 전달을 조절하는 상기 발명의 새로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활성제, 선택적으로 당(sugar)이 될 수 있는 친수성 활성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친수성 활성제, 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을 함유한다.
중합성 유화제, 특히 소수성으로(hydrophobically) 변형된 중합성 유화제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유용하다. 제약용 및 화장용 조성물에서, 국소적 활성제를 도포하기 위한 전달 운반체로 로션 및 크림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에멀션은 섞이지 않는 2가지 액체, 전형적으로 기름 및 물을 함유하는 2-상(two phase)시스템이다. 물에서 있는 기름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분산되어 있는 기름 방울을 만드는 계면간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유화제와 달리, 중합성 유화제는 기름 방울 주위에 겔을 생성시킴으로써 작용을 한다. 상기 방울이 서로 접근할 때, 이들은 겔(gel) 층에 의해서 반발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중합성 유화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친수성 교차-중합체(cross-polymer),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약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폴리아크릴산 유화제를 본 발명의 상기 생성물 및 조성물에서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중합성 유화제는 미국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클리브랜드의 B.F 구드리치 스페셜티 케미컬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인 페물렌(Pemulen)이다. 놀랍게도, 페물렌이 섞인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형성된 친지질성(lipophilic) 국소 활성성분을 함유한 전달 시스템은 상기 친지질성 국소 활성 성분의 침투를 강화시켰다. 바람직하게, 중합성 유화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당(sugar)은 또한 보습제로 제약용 및 화장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의 피부 촉감 특성의 향상 목적으로 이러한 조성물과 결합된 당은, 소수성 국소 활성성분의 침투를 강화시켰다. 우리는 또한 놀랍게도, 소수성으로 변형된 중합성 유화제와 당을 결합한 것이 따로 따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훨씬 큰 정도로 소수성 활성성분의 침투를 더 강화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게다가, 침투 강화를 돕는 당은, 이들 자체가 친수성(hydrophilic) 국소 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당에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ascorbic acid-2-glucocide), 락토오스(lactose)와 같은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멜리비오스(melibiose)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당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7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친수성 국소 활성제의 침투를 강화하기 위해서,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결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레쓰-10-20(steareth-10-20)와 같은 알콜을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결합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모두를 함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예상 못하게, 상기 조성물은 상기 국소 활성 성분의 침투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활성 성분의 침투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비를 변화시켜서, 소수성 또는 친수성 활성제 침투성중 하나가 본 발명의 제제의 치료이익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비율을 균형을 맞추어서, 국소 활성제의 적절한 농도가 바람직한 이익형태에 의존해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티놀(retinol)과 같은 레티노이드(retinoid)는 주름을 제거하고, 광손상(photodamage)을 막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반면에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는, 고른 피부 상태를 촉진하고 태양 유발 홍반(sun-induced erythema)을 방지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환경에서, 레티놀 이익은 주름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상향 조절될 수 있고, 반면에 제제 부형제(excipient)(예를 들어 자극을 유발하는 디소듐 EDTA)로 작용하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친수성 성분의 피부로의 침투는, 최대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서 하향 조절될 수 있다. 놀랍게도, 활성제의 침투가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자극은 최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소수성 활성 성분이 가장 큰 정도로 피부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극적인 친수성 부형제의 침투는 하향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polyoxyethylene alcohol)의 비(ratio)는 약 0.001 내지 약 1000 이어야 한다.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의 당에 대한 비는 약 0.001 내지 약 1000 이어야 한다. 폴리옥시알킬렌 알콜(polyoxyalkylene alcohol)에 대한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의 비는 약 0.001 내지 약 1000 이어야 한다. 폴리옥시알킬렌에 대한 당의 비는 약 0.001 내지 약 1000 이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당 및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의 비(ratio)는 약 0.1 내지 약 10 이어야 한다. 당에 대한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의 비는 약 0.1 내지 약 10 이어야 한다.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에 대한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의 비(ratio)는 약 0.1 내지 약 10 이어야 한다. 폴리옥시알킬렌에 대한 당의 비는 약 0.1 내지 약 10 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소수성(또한 친지질성으로 공지된) 화합물의 피부 침투를 강화하는 것을 돕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티놀 및 토코페롤 및 동종과 같은 소수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활성제로서 병합될 수 있다. 친지질성 약제의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이상의 국소 활성제 및 소수성으로 변형된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당을 소수성으로 변형된 친수성 중합체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예상치 못하게 상기 활성제의 전달을 더 증가시킨다.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을 첨가하면 상기 조성물에서 임의의 친수성 성분의 침투력 및 조절을 증가시킬 것이다. 국소 약제의 침투력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성물은 놀랍게도 피부에 비자극적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국소 투여제형은 로션, 겔, 스프레이, 에어로졸 및 무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다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국소적 유효량의 제약용 또는 화장용 활성 성분,
(b) 약 0.01% 내지 약 20%의 비이온성 중합성 유화제,
(c) 선택적으로, 약 0.01% 내지 약 20%의 당, 및
(d) 선택적으로, 약 0.01% 내지 약 20%의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본 발명은 국소제의 전달을 강화 및 조절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약제(pharmaceutical agents) 또는 화장용 활성 성분, 소수성으로 변형된 친수성 중합체, 선택적으로 당, 선택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 알콜 또는 이것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약 활성제는, 본래 소수성 또는 친수성이고 국소적 사용에 적절할 임의의 약을 포함한다. 화장용 활성제는 화장, 영양 또는 피부 컨디셔너로 적합한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부에 비자극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제약 활성제는 항균제, 알레르기 방지제(allergy inhibitors), 항여드름제(anti-acne), 진통제(analgesics), 항기침제(antitussives), 항소양증(antipruritics), 마취제(anesthetics),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감염방지제(anti-infective agent), 염증 방지제(inflammation inhibitors), 구토방지제(anti-emetics), 항콜린작용제(anticholinergics), 혈관수축약(vasoconstrictors), 혈관확장신경제(vasodilators) 및 상처 치료 촉진제(wound healing promoters) 등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화장용 활성 성분은 비타민[예를 들어, 띠아민(thiamine), 니코틴산(nicotinic acid), 바이오틴(biotin),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콜린(chol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비타민 B6, 비타민 B12, 피리독신(pyridoxine), 이노시톨(inositol), 카르니틴(carnitine)을포함하는 비타민 B 복합물; 비타민 A,C,D,E,K 및 이들의 유도체, 프로비타민(pro-vitamins)], 아미노산 및 이들의 유도체, 허브 추출물, 레티노이드, 후라보노이드(flavonoids), 산화방지제, 항염증제, 피부 컨디셔너, 피부 연화제(lightener),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s), 세포 대사회전 강화제(cell turnover enhancers), 착색제, 향료, 안료제(pigments) 및 태양광선차단제(sunscreen) 등이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외양과 상태에 대한 효과를 갖는 식물 유도체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 유도체는 다음의 비제한적인 식물과(botanical families), 즉 콩과식물(leguminosae), 가지과식물(solanaceae), 벼과식물(gramineae), 및 박과식물(cucurbitacea)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두, 리마콩(limabean), 및 흑콩(blackbean)을 포함하는 특히 유용한 종과 함께 콩과식물과의 식물 유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식물 유도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이소플라본과 예를 들어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자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및 제니스타인(genistein) 등과 같은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는 추출물의 형태이지만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은 유체(예를 들어 두유) 또는 고체(예를 들어 대두 분말 또는 두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는 콩 제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식물의 유도체는 유체 또는 고체의 형태일 수 있다. "콩 제품"이 의미하는 것은 대두로부터 얻어지는 물질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콩 제품은 가열처리하지 않은 콩 제품이 바람직하다. "가열처리하지 않은 콩 제품"이 의미하는 것은 가공 온도가 약 55℃를 넘지 않는 콩 제품이다{이러한 온도 이상으로 가공된 콩 제품은 활성 포텐셜(active potential)이 손실될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콩 제품은 콩 단백질, 이소플라본, 및 이들 두 성분의 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콩 제품은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고,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유는 이전에 수확된 신선한 대두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두유를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은 몇 시간 동안 대두를 탈이온수 또는 정제수에 담그고, 적은 양의 물을 가하면서 대두가 수화된 후 분쇄하는 것이다. 분쇄 가공은 두유가 추출되도록 한다. 이를 수거한 후, 두유를 걸러서 콩 및/또는 콩 껍질의 임의 잔류부를 제거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두유는 앞에서 언급된 신선한 두유일 수 있거나, 대두 분말과 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두 분말은 대두로부터 제분되고 또한 동결건조, 스프레이 건조, 또는 냉동 건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얻어진 두유를 거르거나 거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는 동결건조, 스프레이 건조 또는 냉동건조된 두유로부터 제조된 두유 분말을 물을 가하면서 이용하는 것으로, 여과 또는 균질화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마무리한다. 콩을 추출하는 다른 방법은 에탄올/물 추출을 통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을 제조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90 중량%의 콩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콩 제품은 지리학적 기원, 환경적 노출, 수확 시기 등에 관계없이모든 대두 종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용한 대두 제품은 특유의 냄새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어떤 문화권에서는 참을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로 간주된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냄새는 리폭시게나제-2가 부족한 콩과, 변형된 당 형태(sugar profile)를 갖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줄어든 냄새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계통의 콩으로부터 얻어지는 대두 제품을 이용해서 감소될 수 있다. 제제에서 산소 레벨을 감소시키는 공정도 또한 냄새가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차단제와 방향제가 냄새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는 콩 제품에 대한 어떤 미생물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산화방지제는 콩 제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저장 수명과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용한 태양광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제는 UV-A 범위(약 320nm부터 약 400nm까지)와 UV-B 범위(약 280nm부터 약 320nm까지)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광에 대한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광선 차단제의 예는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벤질리딘 캠포(methyl benzylidene camphor), 옥틸 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페닐벤지다졸 술폰산(phenylbenzidazole sulfonic acid), 옥시벤존(oxybenzone), 아미노벤조산,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티타늄 이산화물, 아연 산화물, 디벤조일메탄, 파디메이트 O,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 디옥시벤존, 메틸 안탄일레이트(methyl anthanilate),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히 유용한 태양광선 차단 시스템은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친수성 중합성 유화제는 알킬아크릴레이트(alkylacrylates) 및 그 에스테르(esters)와 같은,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이다. 알킬 체인 길이는 C2-C30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당은 글루코스(glucose),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보다 구체적으로는 푸룩토스(fructose), 멜리비오스(melibiose), 크실로스(xylose), 수크로스(sucrose), 아르부틴(arbutin), 말토스(maltose), 글루코사이드 글리코사이드(glucoside glycoside)와 이것의 유도체 등과 같은 이당류(disaccharides)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당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소수성 및 친수성 활성 성분 모두의 침투를 강화하기 위해 작용한다.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친수성 활성성분의 침투를 강화하고,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은, 세테쓰(ceteths), 라우레쓰(laureths), 미레쓰(myreths), 올레쓰(oleths), 스테아레쓰(steareths) 및 트리데쓰(trideths)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별히 선호되는 한 가지 예는 스테아레쓰-10 또는 미국 델라웨어의 ICI 서펙턴츠 (ICI Surfactants)사에 의해 생산된 브리즈 76(Brij 76)이다.
전달 시스템 및 활성 성분은 제약용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운반체에 병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는 약 5내지 약 9 이어야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 이어야 한다.
물론, 당업자에게 공지된 국소 피부 보호제는 에멀젼 형태의 화장용 크림 및 로션에 사용되어 왔던 광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및 실리콘과 함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름뿐만 아니라,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glyceryl trioleate), 아세틸화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acetylated sucrose distearate),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1) 모노스테아레이트(monostearate),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glycerol monooleate),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lene glycol) (50) 모노스테아레이트(monostearate), 옥틸페녹시폴리(octylphenoxypoly) (에틸렌옥시) 에탄올, 디아실레린 펜타-이소스테아레이트(deacylerin penta-isostearate), 소르비탄 시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수산화 라놀린(hydroxylated lanolin), 라놀린(lanolin), 트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triglyceryl diis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oleyl ether), 칼슘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calcium stearoyl-2-lactylate), 메틸 글루코사이드 시스퀴스테아레이트(methyl glucoside sesquistearat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22(methoxy polyethylene glycol-22)/도데실 글리콜 공중합체(dodecyl glycol copolymer) [엘파코스(Elfacos) E200], 폴리에틸렌 글리콜-45/도데실 글리콜 공중합체(엘파코스 ST99),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세틸 알콜(cetyl alcohol) 및 라놀린 알콜과 같은 알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와 같은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스테아린 산(stearic acid);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sorbitol) 등을 포함하는 다른 연화제(emollient) 및 표면활성제가 상기 에멀션에 결합된다.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부틸 파라벤(butyl paraben), 프로필 파라벤 및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과 같은 방부제와, 착색제 및 향료뿐만 아니라, 천연 고무(natural gums) 및 합성 중합체와 같은 점증제(thickners)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된다. 태양광선 차단제 및 항균 물질과 같은 다른 활성 성분은, 만일 이들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섞일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예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의 범위를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국소 약제의 침투 및 조절의 측정
5개의 제제가 다음 성분을 함유하도록 만들어졌다.
제제 A (비교 제제)
성분 중량 퍼센트
물73.86%
점증제1.35%
킬레이팅제0.10%
판테놀(Panthenol)0.50%
글리세린3.00%
미백제(Whitening agent)3.00%
pH조절제0.05%
C12-15알킬벤조에이트4.00%
옥틸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1.00%
디메티콘(Dimethicone)1.00%
세틸 알콜2.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Cetearyl glucoside)1.4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0.55%
태양광선 차단제4.00%
방부제1.25%
안정화제1.10%
레티놀0.04%
다음의 제제 B,C,D 및 E는 아래에서 설명된 것처럼 만들어졌다.
제제 B:
성분 중량 퍼센트
물 78.04%
글리세린 3.00%
D 판테놀 0.50%
디소듐(Disodium) EDTA 0.10%
방부제 0.73%
방부제 0.3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0.25%
카르보머(Carbomer) 0.40%
아스코르브산 0.01%
디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 0.10%
세틸 알콜 2.0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옥틸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1.00%
디메티콘 1.00%
디-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 methoxy-cinnamate) 4.00%
프로필 파라벤 0.17%
NaOH(10%) 2.60%
레티놀 50c 0.20%
토코페롤 0.05%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
(Thea Sinesis Extract) 1.00%
제제 C:
성분 중량 퍼센트
물 73.39%
글리세린 3.00%
D 판테놀 0.50%
디소듐 EDTA 0.10%
아스코르브산-2G 2.00%
페녹시에탄올 0.73%
메틸 파라벤 0.35%
크산 고무(Xanthan gum) 0.2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1.15%
아스코르브산 0.01%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40%
세틸 알콜 2.00%
C12-15알킬 벤조에이트 4.00%
옥틸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1.00%
디메티콘 1.00%
디-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4.00%
프로필 파라벤 0.17%
NaOH(10%) 2.45%
레티놀 50c 0.20%
폴리아크릴아미드& 라우레뜨
(laureth) 7& C13-C14이소파라핀 0.70%
토코페롤 0.05%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 1.00%
제제 D:
성분 중량 퍼센트
물72.82%
글리세린3.00%
D 판테놀0.50%
디소듐 EDTA0.10%
방부제0.73%
방부제0.35%
아크릴레이트/C10-C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0.25%
디메티콘1.00%
세틸 알콜2.00%
디-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0.5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4.00%
프로필 파라벤0.17%
NaOH(18%) 1.50%
레티놀 50c0.18%
아스코르브산-2G6.35%
토코페롤0.05%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1.00%
제제 E:
성분 중량 퍼센트
물 71.59%
글리세린 3.00%
D 판테놀 0.50%
디소듐 EDTA 0.10%
아스코르브산-2G 2.00%
방부제 0.73%
방부제 0.3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0.25%
카르보머 0.40%
아스코르브산 0.01%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0%
스테아레쓰-10 2.00%
세틸 알콜 2.0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옥틸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1.00%
디메티콘 1.00%
디-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4.00%
방부제 0.17%
NaOH(10%) 5.05%
레티놀 50c 0.20%
토코페롤 0.05%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 1.00%
제제 F:
성분 중량 퍼센트
물 49.484
스쿠알란(Squalane) 15.000
글리세린 10.000
메커데미아 너트 오일
(Macademia Nut Oil) 7.000
펜타에리뜨리톨 테트라옥타노에이트
(Pentaerythritol Tetraoctanoate) 5.000
부틸렌 글리콜 4.000
와셀린(Petrolatum) 3.000
쿼터니움 18 헥토라이트
(Quaternium 18 Hectorite) 2.700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 2.000
PEG 150 1.000
레티놀 0.166
트리소듐 EDTA 0.100
아스코르브산 0.100
소듐시트레이트 0.1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0
방부제 0.100
방부제 0.100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050
제제 G:
성분 중량 퍼센트
정제수 71.294
글리세린 3.000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2.000
페녹시에탄올 0.800
D 판테놀 0.500
카르보머 0.750
아크릴레이트/C10-C30알킬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0.250
방부제 0.520
디소듐 EDTA 0.200
아스코르브산 0.010
NaOH 0.720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4.000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1.0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7.500
아보벤존 3.000
세틸 알콜 1.000
디메티콘 1.000
스테아레쓰-10 0.500
BHT 0.100
대두(글리신 소자) 단백질(과)
부틸렌 글리콜(과) 물 0.500
토코페롤 0.050
레티놀(과) 폴리소르베이트 20 0.206
이오도프로핀일 부틸카르바메이트 0.300
방향제 0.300
제제 B는 비이커에 물을 가하고 비이커를 20 g의 물로 채움으로써 만들어졌다. 상기 물은 아르곤 또는 질소 기체로 퍼지(purge)되었다. 10-15분 후에, 산소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20g의 물이 제거되었다. 만일 시료에 상당량의 산소가 측정된다면, 퍼징(purging)은 계속되었다. 일단 산소가 물에서 제거되면, 글리세린, 판테놀, 디소듐 EDTA, 제1 방부제 및 아스코르브산을 비이커에 가했다. 그 다음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보머를 수상(water phase)에 가했다. 그 다음에 비이커는 황색광 하에서 진공 밀폐 케틀 균질기(vacuum close kettle homogenizer)에 옮겨지고, 잔류 산소가 제거되었다. 그 다음에 비이커는 70-75℃로 가열되었다. 제2 방부제가 가해지고 이것이 녹을 때까지 혼합이 계속되었다. 상기 수상은 NaOH(10%)로 중화되고, 온도는 상에 대해 70-75℃로 유지되었다. 레티놀, 토코페롤 및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별도의 비이커에서 섞여져서, 70-75℃로 가열되었다. 2개의 상이 같은 온도 및 균일한 상태에 있을 때, 진공 및 이와 함께 유상을 수상(water phase)에 가하고, 균일화했다. 상기 비이커는 그 다음에 천천히 식혀졌다. 레티놀은 온도가 55℃에 도달될 때 가해졌고, 토코페롤 및 디아 시네시스 추출물은 45℃에서 가해졌다. 아스코르브산 뿐만 아니라 AA-2G가 가해졌다는 점과, 아스코르브산이 가해진 후 크산 고무, 하이드록시에틸렌 및 글리세린이 수상에 가해졌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제 C는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제제 D는 제제 B와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스테아레쓰 10이 유상(oil phase)에 가해졌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제 E는 제제 C와 유사하게 만들어졌다.
제제 F는 물, 글리세린, PEG150 및 부틸렌 글리콜을 비이커에서 섞고, 이것을 75℃로 가열함으로써 제조되었다. 75℃에서, 트리소듐 EDTA, 아스코르브산 및 소듐 시트레이트가 가해졌다. 스쿠알렌, 매커데미아 너트 오일, 펜타에리뜨리톨 테트라옥타노에이트, 와셀린, 쿼터니움 18 헥토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를 섞고, 혼합하면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였다. 80℃에서, 파라벤 및 BHT가 상기 혼합물에 가해졌다. 상기 수상은 유상에 천천히 가해졌고, 상기 가열은 멈췄다. 50℃에서,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레티놀이 가해졌다. 상기 전체 공정은 아르곤 및 황색 빛 조건하에 있어야만 한다.
제제 G는 수상과 유상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들 두 상을 균일화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수상은 우선 탈이온수로 카르보머를 수화시키고, 이어서 아크릴레이트/C10-C30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이러한 혼합물은 적절히 혼합되고 75-80℃로 가열되었다. 다음에, 각 성분을 첨가하는 사이 사이마다 혼합해주면서 글리세린,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페녹시에탄올 및 D-판테놀을 각각 첨가했다. 배치가 75-80℃의 온도이고 혼합 상태일 때, 다음 성분, 즉 방부제, 디소듐 EDTA와 아스코르브산이 첨가되었다. 온도를 75-80℃로 다시 올리고, NaOH가 첨가되었다. 조성물은 진공하에서 혼합되었다. 다음 성분, 즉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아보벤존, 세틸 알콜, 디메티콘 및 스테아레이트-10을 첨가함으로써 유상이 제조되었다. 이러한 혼합물은 적절히 혼합되고 75-80℃의 온도로 가열되었다. 유상은 수상에 첨가되었고, 진공에서 5-10분 동안 75-80℃에서 혼합되었다. 황색광에서, 결합된 상은 45℃로 냉각되고, 혼합물을 함유한 용기는 아르곤으로 퍼지되었다. 각각의 성분을 첨가하는 사이마다 혼합하면서 남아있는 성분(대두 단백질/글리콜/물 혼합물, 토코페롤, 레티놀/폴리소르베이트 20, 이오도프로핀일 부틸카바메이트와 방향제)을 각각 첨가했다. 마지막으로, 배치는 5분 동안 균일화되었고, 혼합되었으며, 30℃로 냉각되었다.
상기 전달 시스템의 강화된 침투 및 조절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 행해졌다. 경피 침투를 측정하기 위해서, 생체내 피부 침투 연구가 비폐색된(non-occluded) 프란쯔 확산 셀(Frantz diffusion cells)을 사용하여 행해졌다.
인간 시체 피부 조각이, 0.025%의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및 1.5%의 올레쓰-20 인산염완충액으로 구성된 수용기(receptor) 매질을 함유한 프란쯔 확산 셀에 놓여졌다. 상기 수용기 용량은 5미리리터(ml)이며, 셀 표면적은 0.636 ㎠ 이었다. 다음 제제 중 하나의 400㎛ 투여량이 상기 확산세포에 제공되었다. 24시간 후에, 상기 셀의 표면은 메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세척되었다. 상기 상피 및 진피는 분리되어, 잘게 쪼개져서 메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담은 유리병에 넣어지고, 상기 피부를 조각내기 위해 초음파(sonication)에 건다. 초음파 후에, 상기 피부 단편은 HPLC를 사용해서 분석된다. 시료는 0 및 24 시간 지점에서 취해졌다. 활성 성분의 침투는 투여량(applied dose)의 퍼센트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다.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친지질성 약제(레티놀) 및 친수성제(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사이드, 또는 "AA2G")의 침투력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상기 제제는 아래 표 1에서 기술된다.
조성물 성분 상피에 전달된 레티놀의 투여량 퍼센트 레티놀 전달 증가 인수 상피에 전달된 AA-2G의 투여량 퍼센트 AA-2G 전달 증가 인수
A 종래의 유화제(대조구)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175% 1.00 N/A N/A
B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0.642% 3.67 N/A N/!
C 종래의 유화제 및 당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AA-2G 0.241% 1.38 N/A N/A
D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및 당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및 AA-2G 1.25% 7.20 0.18% 1
E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AA-2G 및 스테아레쓰-10 0.464% -2.70 1.016% 5.65
상기 자료로부터,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만을 함유한 대조구 제제(제제 A)가 레티놀 도포량의 0.175%만을 상피로 전달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유화제를 함유한 제제가 사용될 때(제제 B)는, 전달된 레티놀의 비율은 0.642%로 증가했으며, 이것은 전달량이 3.669배 증가한 것이다. AA-2G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가 레티놀과 함께 제제로 넣어지면(제제 C), 레티놀 침투율은 놀랍게도 0.241%로 증가했는데, 이것은 대조구 제제 A에 대해 1.38배 증가한 것이다. 더욱 놀랍게도,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및 AA-2G모두를 함유하는 제제(제제 D)는, 비록 부가적인 효과가 예상되었지만 레티놀의 총 전달율은 1.26%, 즉 상피로의 레티놀 전달은 7.2배 증가한다.
제제 E의 활성은,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의 첨가가 AA-2G의 침투 전달을 0.18% 에서 1.016%, 즉 5.65배 증가시켰다는 것을 증명했다. 놀랍게도, 레티놀 침투는 1.25%에서 0.464%로, 즉 0.36배 감소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친수성 및 친지질성 성분의 전달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증명된 낮은 자극 레벨
국소 피부보호 조성물을 제조분야의 당업자는 활성성분의 침투 증가에 동반하는 피부 자극의 증가를 예상할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활성성분의 침투력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자극성이었다. "변형된 자극 연구(MIS)"로 불리는 피부 자극에 대한 표준 테스트는 레티놀을 국소제로 사용하는 전달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상기 테스트는 지원자로부터 조성물의 잠재적 자극성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테스트 제제는, 50명의 테스트 대상에 대해 총 9번의 도포를 위해 1주일에 3번씩 3주에 걸쳐 도포되었다. 각 테스트 조성물의 0.2 내지 0.3 mg의 폐쇄 패치는 실험 대상자의 등 상부에 도포되었다. 상기 패치는 초기 24시간동안 제자리에 놓여있었다. 24시간 후, 실험 대상자는 상기 패치를 등에서 제거할 것이다. 월요일 및 수요일에 패치 도포가 제거된 뒤 테스트 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24시간 동안의 휴식기간이 있었다. 토요일 패치 제거뒤에 48시간 휴식기간이 있었다.
각 휴식 기간 후에, 상기 테스트 영역은 연구 진행자에 의해 관찰되고, 0 내지 4.0의 척도에 따라 등급이 매겨졌다. 새로운 테스트 물질 및 패치는, 9개의 유도 패치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동일한 테스트 영역에 도포되었다.
각 실험 대상자에 대한 각 테스트 영역에서 9번의 도포 점수가 더해져서 21일 동안의 총 점수를 산출한다. 테스트 시료에 대한 총괄적 총 점수는, 모든 실험 대상자에 대한 21일 총계를 더해서 얻어졌다. 상기 총괄적 총 점수는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아래 제제 F)에 대해 표준화 되었으며, 양성 대조구는 표준화된 자극 점수(NIS)를 얻기 위한 표준화된 점수 100을 받았다. 이러한 테스트의 상기 결과는 아래 표2에서 기술되고 있다.
조성물 성분 레티놀 농도 전달된 레티놀의 총량(㎍) 표준 자극점수 전달된 총 레티놀:표준 자극 점수의 비
A 종래의 유화제(대조구)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04% 0.21 9.88 2.1
B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0.075% 1.44 68.4 2.1
C 종래의 유화제 및 당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AA-2G 0.075% 0.54 46.5 1.2
D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및 당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및 AA-2G 0.075% 2.84 21 13.5
F 유중수(water-in-oil) 유화제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EG 150 0.15% N/A 100 N/A
레티놀 침투가 증가된다면 일반적으로 더 높은 피부 자극, 또는 전달된 총레티놀: 표준자극점수의 비율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자극점수에 대한 전달된 레티놀 양의 비가 상기 제제를 비교하기 위해 계산되었는데, 즉, 이들은 각 단위 자극당 전달된 레티놀의 양을 나타낸다. 표 2에서 기술된 자료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제 A,B 및 C는 모두 서로 비슷하다. 제제는 순하게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업 제품이다. 제제 A,B 및 C에 대한 이러한 결과로부터,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 산 유화제나 당은 모두 자극 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놀랍게도, 제제 D는 단위 자극당 레티놀 전달량이 대단히 증가하고 있음을 증명하므로, 제제 A,B 및 C보다 상당히 덜 자극적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또한 더 낮은 정도의 자극에서 전달된 레티놀의 양이 증가되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제제 D의 치료 지수가 제제 A,B 및 C의 치료지수보다 클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우리는 상기 자극 완화 효과가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및 당 모두를 함유한 조성물에서 예상치 못하게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친수성 활성 성분의 전달 및 상기 수반되는 자극 완화 효과는 아래 표 3에서 예시되어 있다.
조성물 성분 AA-2G 농도 전달된 AA-2G의 총량(㎍) 표준 자극점수 전달된 총 AA-2G:표준 자극 점수의 비
D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및 당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레이트 교차 중합체 및 AA-2G 2% 1.08 21 0.05
E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당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AA-2G 및 스테아레쓰-10 2% 6.09 26 0.23
F 유중수(water-in-oil) 유화제 폴리클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쓰 및 PEG 150 0% N/A 100 N/A
표 3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자극의 한 단위는 0.05%의 AA-2G의 전달을 낳는다. 그러나 폴리옥시에틸렌 알콜의 첨가로, 이 수는 예상치 못하게 0.23%로 증가하는데, 이것은 더 많은 AA-2G이 상기 피부에 더 낮은 자극으로 전달되어, 더 큰 효능 및 치료 지수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부가 제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종래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 표 4는 상대적으로 자극을 덜 주면서, 상기 피부의 상피 및 진피로 소수성 및 친수성 활성 성분의 전달을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설명한다.
성분 기능 제형 1 제형 2 제형 3
운반체 q.s. 100% q.s. 100% q.s. 100%
글리세린 습윤제 약 0 - 약 10% 약 0 - 약 10% 약 0 - 약 10%
디소듐 EDTA 킬레이터 약 0 - 약 1% 약 0 - 약 1% 약 0 - 약 1%
방부제 방부제 약 0.1 - 약 2% 약 0.1 - 약 2% 약 0.1 - 약 2%
카르보머 점증제 약 0.1 - 약 1% 약 0.1 - 약 1% 약 0.1 - 약 1%
페물렌 소수성으로 변형된 중합체 유화제 약 0.1 - 약 1% 약 0.25% 약 0.25%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사이드 약 0 % 약 0.1 - 약 5% 약 0.1 - 약 5%
부틸화 하이드록시 톨루엔 안정화제 약 0 - 약 1% 약 0 - 약 1% 약 0 - 약 1%
세틸 알콜 에몰리언트 약 0 - 약 10% 약 0 - 약 10% 약 0 - 약 10%
C12-15알킬벤조에이트 에몰리언트 약 0 - 약 10% 약 0 - 약 10% 약 0 - 약 10%
디메티콘 살포제(spreading agent) 약 0 - 약 10% 약 0 - 약 5% 약 2%
NaOH(10%) 중화제 q.s. pH 5-8 q.s. pH 5-8 q.s. pH 5-8
스테아레쓰-10 폴리옥시에틸렌 알콜 유화제 약 0 - 약 5% 약 0 - 약 5% 약 0 - 약 5%
태양광선 차단제 태양광 차단제 약 0 - 약 10% 약 0 - 약 10% 약 0 - 약 10%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또한 경구 및 비경구의 제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소수성 활성제(hydrophobic active agents), 친수성 활성제(hydrophilic active agents), 이들의 조합 및 중합성 유화제와 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활성제(active agents)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레티노이드와 식물 유도체(botanical derivatives)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이드는 레티놀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ascorbic acid-2-glucoside), 과당류(oligosaccharides)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류는 락토오스와 멜리비오스(melibios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인,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유화제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인,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인,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도체는 콩과식물(leguminosae), 가지과식물(solanaceae), 벼과식물(gramineae), 및 박과식물(cucurbitacea)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식물과(botanical family)로부터 얻어지는,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과는 콩과식물인,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콩과식물과(leguminosae family group)의 상기 식물 유도체는 대두, 리마콩, 흑콩,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도체는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본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자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및 제니스타인(genistein),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옥시알킬렌 알콜(polyoxyalkylene alcohol)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벤조일메탄의 유도체,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7. 레티노이드, 당, 중합성 유화제, 및 콩 제품을 포함하는, 피부 국소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이드는 레티놀인, 피부 국소 조성물.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과당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국소 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류는 락토오스와 멜리비오스, 및 이들의 조합을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국소 조성물.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인, 피부 국소 조성물,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유화제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인, 피부 국소 조성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인, 피부 국소 조성물.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콩 제품은 비가열 처리된 콩 제품인, 피부 국소 조성물.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열 처리된 콩 제품은 두유, 콩 분말, 콩 단백질, 이소플라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국소 조성물.
  26. 제 17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을 더 포함하는, 피부 국소 조성물.
  27. 제 17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피부 국소 조성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벤조일메탄의 유도체,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국소 조성물.
KR1020010060453A 2000-09-29 2001-09-28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KR20020025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751100A 2000-09-29 2000-09-29
US09/677,511 2000-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804A true KR20020025804A (ko) 2002-04-04

Family

ID=2471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453A KR20020025804A (ko) 2000-09-29 2001-09-28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92938A3 (ko)
JP (1) JP2002201124A (ko)
KR (1) KR20020025804A (ko)
CN (1) CN1358494A (ko)
AU (1) AU7730801A (ko)
BR (1) BR0106687A (ko)
CA (1) CA2357998A1 (ko)
MX (1) MXPA01009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55A1 (ko) * 2014-07-24 2016-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9026B1 (en) 1997-07-28 2011-10-1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f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US8093293B2 (en) 1998-07-06 2012-01-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8106094B2 (en) 1998-07-06 2012-01-3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7985404B1 (en) 1999-07-27 2011-07-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Reducing hair growth, hair follicle and hair shaft size and hair pigmentation
US8431550B2 (en) 2000-10-27 2013-04-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anti-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881414B2 (en) 2000-11-22 2005-04-1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ild cosmetic composition with stabilized retinoids
US7192615B2 (en) 2001-02-28 2007-03-20 J&J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legume products
US20020160061A1 (en) * 2001-02-28 2002-10-31 Claude Saliou Use of legume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external aggressions
US20030228336A1 (en) * 2002-06-07 2003-12-11 Carla Gervasio Cosmetic compositions and container therefor
DE10240984B4 (de) * 2002-09-05 2011-06-01 Hallmann, Paul-Alexander, Dr.rer.nat. Pflanzenpigmente aus Leguminosen zur Revitalisierung und Stabilisierung hypoxischer menschlicher Haut
KR101158328B1 (ko) * 2003-08-28 2012-06-22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MXPA06002701A (es) 2003-09-10 2006-06-06 Procter & Gamble Composicion para el cuidado de la piel.
EP1642566A1 (en) * 2004-09-30 2006-04-05 Johnson & Johnson Consumer France SAS Retinoid-containing compositions having reduced irritation effect
CA2607719A1 (en) 2005-05-10 2006-11-1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Low-irrit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803403B2 (en) 2006-11-09 2010-09-2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Low-irrit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003151B1 (en) 2013-06-06 2019-10-16 Koninklijke Philips N.V. Conditioning of chemo-optical sensors for transcutaneous application
US9750813B2 (en) * 2015-04-09 2017-09-05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Pcca) Use of heptyl glucoside as skin penetration enhancer in transder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11265469A (zh) * 2020-03-20 2020-06-12 佐登妮丝(广州)美容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氧化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947A (en) * 1961-01-30 1963-07-16 Mend Johnson & Company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rocess
WO1997014705A1 (fr) * 1995-10-17 1997-04-24 Showa Denko K.K. Phosphates de tocopherol tres purs, procedes de preparation, techniques d'analyse et produits cosmetiques correspondants
US20020006418A1 (en) * 1998-10-13 2002-01-17 John Kung 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KR100541753B1 (ko) * 1999-07-27 2006-0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FR2807320B1 (fr) * 2000-04-10 2002-05-24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acide ascorbique pour augmenter la synthese des creramides epidermiques
US6432424B1 (en) * 2000-06-29 2002-08-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creatine, carnitine, and/or pyruvic acid
EP1352637B1 (en) * 2000-12-22 2009-07-01 Shiseido Company, Ltd.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55A1 (ko) * 2014-07-24 2016-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KR20160012593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01124A (ja) 2002-07-16
BR0106687A (pt) 2002-06-04
EP1192938A2 (en) 2002-04-03
EP1192938A3 (en) 2004-01-02
CN1358494A (zh) 2002-07-17
MXPA01009951A (es) 2003-08-20
CA2357998A1 (en) 2002-03-29
AU7730801A (en) 200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9011A (ko) 국소적 피부 약제의 피부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EP0989846B1 (en) Non-irritating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1566179B1 (de) Fett(öl)haltiges Mittel, enthaltend Zwiebelextrakt,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KR20020025804A (ko)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US7807625B2 (en) Anti-wrinkle composition
EP2174648B1 (en) Skin-car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030170199A1 (e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based on cocoa extracts
KR100882089B1 (ko) 홍경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방법
CN113197836A (zh) 一种保湿舒缓止痒护肤乳霜及其制备方法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0439627B1 (ko) 피부주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2179529A (ja) 美白用の組成物
KR102378946B1 (ko) 유효 성분의 포집력이 우수한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US20050281853A1 (en) Skin compatible cosmetic compositions and delivery methods therefor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516878A (ja) ゲンチオピクロシドを含まないゲンチアナ抽出物
JP2000226311A (ja) 抗老化剤
KR101156970B1 (ko) 멜라노사이트의 수상돌기 신장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KR102543029B1 (ko)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58317A1 (ko)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226617A (ja) 皮膚外用剤
KR20180001398A (ko) 자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MXPA99009325A (en) 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KR20220017279A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7278A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유채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