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307A -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307A
KR20020024307A KR1020027000729A KR20027000729A KR20020024307A KR 20020024307 A KR20020024307 A KR 20020024307A KR 1020027000729 A KR1020027000729 A KR 1020027000729A KR 20027000729 A KR20027000729 A KR 20027000729A KR 20020024307 A KR20020024307 A KR 2002002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houlder
rail
shoulder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648B1 (ko
Inventor
존 필립 포릴
스테펜 존 콕스
Original Assignee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Publication of KR2002002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Paper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ailway Track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Chain Convey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기반 위에 레일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철도를 계류시키기 위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를 개시하며, 이러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는, 레일(100)의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 부재(5), 이러한 탄성 부재(5)들 각각에 대해 측면 클램핑력을 적용하기 위한 한 쌍의 브래킷(6), 제 1 및 제 2 견부(3,4)를 가지는 기부판(1), 및 한 쌍의 쐐기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쐐기 부재(7)는 견부(3,4) 중 하나와 인접 브래킷(6) 사이에 삽입되고, 이로써 상기 측면 클램핑력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견부(3,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부판(1)으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상기 측면 클램핑력에 의해 기부판(1) 상의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Description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본 출원인의 EP 0758418 B는 레일의 헤드가 레일 기반 위에서 그 레일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이 계류(suspend)되는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체의 실시예에서, 레일 헤드(100)는 한 쌍의 탄성 부재(101)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탄성 부재(101)에는 각각의 브래킷(102)을 통해 클램핑 로드가 적용된다. 각각의 브래킷(102)과, 연관된 직립체 또는 견부(104) 사이에 삽입된 각각의 쐐기(wedge)(103)에 의해 원하는 클램핑 로드가 유지되며, 이러한 견부(104)는 콘크리트 슬리퍼(106)에 고정된 하부 레일 바닥판(105)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예컨대 지하철 시스템에 유리하다. 출원인은 현존 슬리퍼에 대한 이러한 조립체를 개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러나, 이것은 현존 레일 체결 조립체를 해체하고 레일을 들어내야 한다. 트랙 폐쇄없이 트랙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짧은 지하철 시스템에서 이것은 심각한 단점이 된다.
본 발명은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레일 체결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레일 체결 조립체의 측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레일 체결 조립체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견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바닥판의 대향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기부판의 변형 버전인, 도 5의 5개의 견부를 포함하는 레일 체결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레일 기반 위에 그 레일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철도 레일을 계류시키기 위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러한 조립체는 레일의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 부재, 이러한 탄성 부재의 각각에 측면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적용하기 위한 한 쌍의 브래킷, 제 1 및 제 2 견부(shoulders)를 구비하는 바닥판, 및 한 쌍의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쐐기 부재는 견부 중 연관된 하나와 인접 브래킷 사이에 삽입되어 상술한 측면 클램핑력을 유지하며,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견부는 바닥판으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측면 클램핑력에 의해 바닥판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견부가 제거가능하므로, 바닥판은 레일을 상승시킬 필요없이 레일 아래의 위치 안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원한다면 바닥판은 각각의 제거가능한 견부를 먼저 제거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목재 철도 슬리퍼 상에 이용하기 위한 강철 바닥판에는 때때로 하나 이상의 제거가능한 견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바닥판은 견부의 스템(stem)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면 내에 개구를 가지며, 개구 및/또는 견부 스템은 이용하는 동안 견부를 바닥판 상에서 유지되게 하는 한편, 용이한 제거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거가능한 견부는 트랙 게이지 변화 분야 또는 상이한 유형 또는 위치의 견부가 필요한 다른 국면에 사용된다.
종래의 다수의 견부는, 가장 넓은 지점이 견부가 삽입되는 바닥판의 개구보다 넓은 후크형 스템을 구비하며, 이로써 견부는 개구 안으로 삽입될 때 회전되어야 하지만, 개구에 대해 수직력이 적용됨으로써 일단 설치되면 제거될 수 없다.레일 체결 조립체에서 제거가능한 견부의 다른 형태는 본 출원인의 영국특허 제 14816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견부는 역 T자형을 가지는 스템을 구비한다. 견부의 스템은 바닥판의 개구 안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개구는 역 T자형 스템을 수용하도록 폭넓은 단부를 가진다. 이후, 견부는 폭넓은 단부로부터 멀어져서 개구를 따라 레일을 향해 밀려들어 가서, 견부를 해체시키는 수직력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한 종래의 조립체에서, 견부의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는 스템이 제위치에 있을 때 레일 아래에 놓이도록 레일 시트 영역 안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서, 하나의 제거가능한 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양상을 구현하는 조립체를 사용하기 위한 바닥판이 제공되며, 바닥판은 판의 중심 영역의 한 쪽 상에 고정식 견부와, 판의 중심 영역의 다른 쪽 상의 판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이러한 개구는 판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며,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그 단부에서 판 상에 제거가능한 견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조립체의 두 견부 모두 제거가능하다면, 바닥판은 판의 중심 영역의 각각의 측면 상에 하나가 형성된 한 쌍의 개구를 가지는 판을 포함하며, 각각의 개구는 판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그 단부에 판 사에 제거가능한 견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양상을 구현하는 조립체, 또는 본 발명의 제 2 양상을 구현하는 바닥판을 사용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견부가 제공되며, 바닥판 위로 연장되는 이러한 견부의 일부분은, 견부가 사용중 일 때 소정의 작동 위치에 견부를 유지하도록, 측면 힘을 지탱하는 직립 베어링 면을 구비한다.
이제, 실시예를 통해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레일 체결 조립체는, 그 위에서 레일(100)이 한 쌍의 탄성 부재(5)에 의해 계류되는 강철 바닥판(1)을포함하며, 이러한 한 쌍의 탄성 부재(5)에는 각각의 브래킷(6)을 통해 측면 클램핑력(clamping force)이 적용된다. 각각의 브래킷(6)은, 바닥판(1) 상에 지지되며 홀(hole)(62)을 구비하는 기저부(61)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멍(62)을 통해 견부(3 또는 4)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탄성 부재(5)에 적용되는 원하는 측면 클램핑력은, 각각의 브래킷(6)과 인접 견부(3 또는 4) 사이에 삽입되는 각각의 쐐기(7)에 의해 유지되며, 이러한 쐐기(7)는 일차로, 견부(3 또는 4)의 각각의 대향면 상에 제공되는 연동 세레이션(interlocking serrations)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이차로 견부(3 또는 4)의 부분(48)을 통과하는 고정 부재(8)에 의해 유지된다.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견부(4) 중 하나는 바닥판(1)으로부터 제거가능하며, 바닥판(4) 내에 형성된 개구(aperture) 안에 수직으로 견부(4)의 스템을 삽입한 후 레일 영역으로부터 바닥판(1)과 결합 상태 위치로 측면으로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바닥팍(1)에 견부(4)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5)에 적용된 클램핑력은 제거가능한 견부(4)가 개구의 후방에 대항해서 제 위치에 단단히 유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의 보다 상세한 부분을 도시한다.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구멍(12)이 바닥판(1)의 귀부(ears)(11)에 형성되어 있는데,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가 사용중 일 때 예컨대 하부 목재 철도 슬리퍼에 바닥판(1)이 고정될 수 있는 코너들을 제외하면, 강철 바닥판(1)은 대략 사각형 형상이 된다. 바닥판의 중심에는 탄성 레일 패드(2)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13)의 일측면(1A) 상에서 바닥판(1)으로부터 고정식 견부(3)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오목부(13)의 다른 측면(1B) 상에는 제거가능한 견부(4)가 제공되며, 견부(4)의 스템이 바닥판(1) 내의 개구(14)에 위치한다. 제거가능한 견부(4)의 스템을 수용하도록 바닥판(1)의 두께는 고정식 견부(3)의 영역에서 보다 개구(14)의 영역에서 더 크다.
바람직하게,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4)의 영역(1B)의 바닥판(1)의 상부면은 편평하고 바닥판(1)의 바닥면(1C)과 평행해서, 가능한 얇고 강성이면서 제거가능한 견부(4)의 스템에 대해 충분한 깊이를 허용한다. 제거가능한 견부(4)는 사용중 일 때, 그 전면이 오목부(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개구(14) 내부에 유지된다.
여러 트랙의 경우 레일이 경사져 있지만,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가 결합되는 표면은 수평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레일의 경사를 달성하기 위해, 바닥판(1)의 오목부(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α로 바닥판(1)의 바닥면(1C)에 대해 경사진 상부면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α는 대략 2.9°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동일한 브래킷(6)과 탄성 부재(5)를 레일 체결 조립체의 양쪽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식 견부(3)의 영역(1A)의 바닥판(1)의 상부면은 오목부(13)의 영역 내의 바닥판(1)의 경사도 각도의 실질적으로 2배인 각도 β로 개구(14)의 영역(1B) 내의 바닥판(1)의 상부면에 대해 기울어진다. 전형적으로, 각도 α가 대략 2.9°라면, 각도 β는 대략 5.8°이다. 고정식 견부(3)는 오목부(13)의 상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즉, γ~ 90°로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견부(3,4)의 전방면과 바닥판(1)의 양 측면 상의 바닥판(1)의 국부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α이며,각각의 견부(3,4)의 전방면과 오목부(13) 사이의 각도는 ~90°이다.
제거가능한 견부(4)는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견부(4)는 상부 부분(41)과 하부 부분 또는 스템(42)을 포함하며, 상부 부분(41)은 바닥판(1)의 상부면 위로 연장되며, 하부 부분(42)은 바닥판(1)의 개구(14) 내의 견부(4)에 위치한다. 견부(4)의 상부 부분(41)은, 사용 중일 때 레일과 면하는 전방면과, 쐐기(7) 상의 대응하는 세레이션과 결합하는 베어링 세레이션(43a)을 구비한다. 견부(4)의 상부 부분(41)의 후방면(44)으로부터, 지지부(44a)가 연장되는데, 이러한 지지부(44a)는 견부가 사용 중 일 때 견부(4)를 지지하도록 바닥판(1)의 상부면에 대해 지지한다. 지지부(44a)는 체결 조립체의 고정 부재(8)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하는 홀(hole)을 구비한다. 견부(4)의 스템(42)은 스템(42)이 폭넓은 단부(46)를 갖춘 중심 포스트(45)를 구비하도록 대략 역 T자 형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폭넓은 단부(46)의 위에는 중심 포스트(45)의 다른 측면 상에 협력하는 길다란 돌출부(15)를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s)(47)(아래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홈은 바닥판(1)의 개구(14) 내에 형성되어 개구(14) 내에 견부(4)를 유지한다.
도 6에 바닥판(1)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식 견부(3)는, 사용중 일 때 레일과 면하는 전방면(31)과 쐐기(7) 상의 대응하는 세레이션과 결합하는 베어링 세레이션(31a)을 구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정식 견부(3)의 후방면(32)은 부분(32a)을 구비하며, 이러한 부분(32a)이 관통하는, 체결 조립체의 고정 부재(8)를 수용하기 위한 홀이 있다. 오목부(13)와 가장 인접한개구(14)의 일단은 타단보다 넓어서, 바닥판(1) 내의 개구(14)에는 제거가능한 견부(4)의 스템(42)의 각각의 홈(47)과 협력하는 한 쌍의 길다란 돌출부(15)가 존재하기 때문에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을 가진다. 개구(14)의 보다 넓은 단부는 견부(4)의 스템(42)의 폭넓은 단부(46)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넓이를 가져서, 단부(46)가 회전하지 않고 개구 내부로 또는 외부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바닥판(1)의 변형을 도시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된 바닥판(10)은 고정식 견부(3)의 위치에 제 2 개구(14) 및 제거가능한 제 2 견부(4)를 가진다. 바닥판(10)은 상술한 바닥판(1)과 비교할 때 제거가능한 제 2 견부(4)를 수용하도록 제 2 개구(14)의 영역에서 두껍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한다면 양 견부(4)를 제거하기 위한 능력에 의해 보다 큰 유연성이 달성된다.

Claims (19)

  1. 레일 기반 위에서 철도 레일(10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철도 레일(100)을 계류시키기 위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로서,
    상기 레일(100)의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 부재(5)와,
    상기 탄성 부재(5) 각각에 측면 클램핑력을 적용하기 위한 한 쌍의 브래킷(6)과,
    제 1 및 제 2 견부(3,4)를 구비하는 바닥판(1)과, 그리고
    한 쌍의 쐐기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 부재(7)는 연관된 상기 견부(3,4) 중 하나와 인접하는 상기 브래킷(6)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측면 클램핑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견부(3,4)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바닥판(1)으로부터 제거가능하며, 상기 측면 클램핑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되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견부(3,4) 모두가 제거가능한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브래킷(6)의 기저부(61)에 상기 연관된 견부(3,4)가 상방으로 관통하는 홀이 제공되는 조립체.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견부(3,4)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상기 각각의 쐐기 부재(7)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쐐기 부재(7)와 상기 제 1 및 제 2 견부(3,4) 각각의 일부분 상에 연동 세레이션이 제공되는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3,4) 및 상기 쐐기 부재(7)에는 고정 부재(8)를 통과시켜 수용하기 위한 홀이 각각 제공되어, 상기 쐐기 부재(7)가 상기 견부(3,4)에 고정되는 조립체.
  6. 제 1 항 또는, 제 1 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바닥판으로서,
    상기 바닥판(1)은 중심 영역(13)의 한 쪽(1A) 상에 고정된 견부와, 중심 영역(13)의 다른 쪽(1B) 상에 형성된 개구(14)를 구비하는 판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14)는 상기 판의 상기 중심 영역(1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며, 상기 개구(14)는 상기 판 상에 제거가능한 견부(4)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15)을 상기 중심 영역(13)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단부에 제공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는 바닥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고정된 상기 견부(3)의 영역에서 보다 상기 개구(14)의 영역에서 더 두꺼운 바닥판.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견부(3)의 베어링 면(31)이 세레이션(31a)을 구비하는 바닥판.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13)의 상부면이 상기 바닥판의 바닥면(1C)에 대해 제 1 각도 α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중심 영역(13)의 각각의 측면의 상부면(1A,1B)이 제 2 각도 β만큼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β는 2α인 바닥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상기 바닥판의 측면(1B)의 상부면이 상기 바닥판(1)의 바닥면(1C)과 평행한 바닥판.
  11. 제 2 항 또는, 제 2 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립체 내에 사용하기 위한 바닥판으로서,
    상기 바닥판(10)은 중심 영역(13)의 각각의 측면(1A,1B) 상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개구(14)를 구비하는 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개구(14)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 영역(1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14)는 상기 판 상에 제거가능한 견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15)을 상기 중심 영역(13)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단부에 제공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는 바닥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13)의 상부면은 상기 바닥판(10)의 바닥면(1C)에 대해 제 1 각도 α만큼 경사지며, 상기 중심 영역(13)의 각각의 측면(1A,1B) 상의 상기 판의 상부면은 서로에 대해 제 2 각도 β만큼 경사지고, 상기 β는 2α인 바닥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 중 하나가 관통하는 판의 측면들 중 하나의 상부면이 바닥판(10)의 바닥면(1C)과 평행한 바닥판.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견부(3,4)의 베어링 면은, 상기 바닥판(1,10)이 사용중 일 때 상기 중심 영역(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바닥판.
  15. 제 6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 또는 각각의 개구(14)는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T자형과 같이 형상화되는 바닥판.
  16. 제 6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5)은 상기 제거가능한 견부(4) 상에 제공된 협력 수단(47)과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립체, 또는 제 6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바닥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제거가능한 견부로서,
    상기 바닥판(1,10) 위로 연장되는 상기 견부(4)의 일부분(41)은, 상기 견부(4)가 사용중 일 때 원하는 작동 위치에 상기 견부(4)를 유지하도록 측면력을 지탱하는 직립 베어링 면(43)을 구비하는 견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면(43)이 톱니모양인 견부.
  19. 제 16 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 상의 상기 위치설정 수단(15)과 연동하기 위한 수단(47)을 구비하는 스템(42)을 포함하고, 그 위에 상기 견부(4)를 위치시키는 견부.
KR1020027000729A 1999-07-21 2000-07-20 현수식 레일 고정 조립체 KR100707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7146.4A GB9917146D0 (en) 1999-07-21 1999-07-21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GB9917146.4 1999-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307A true KR20020024307A (ko) 2002-03-29
KR100707648B1 KR100707648B1 (ko) 2007-04-13

Family

ID=108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729A KR100707648B1 (ko) 1999-07-21 2000-07-20 현수식 레일 고정 조립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651897B1 (ko)
EP (1) EP1198644B1 (ko)
JP (1) JP4677157B2 (ko)
KR (1) KR100707648B1 (ko)
CN (1) CN1280485C (ko)
AT (1) ATE305533T1 (ko)
AU (1) AU764389B2 (ko)
BR (1) BR0012625B1 (ko)
CA (1) CA2379634C (ko)
DE (1) DE60022883T2 (ko)
DK (1) DK1198644T3 (ko)
ES (1) ES2245645T3 (ko)
GB (1) GB9917146D0 (ko)
HK (1) HK1042126B (ko)
PT (1) PT1198644E (ko)
WO (1) WO20010060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201B1 (ko) * 2005-11-02 2006-06-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급커브 구간의 레일 지지 장치
CN107964835A (zh) * 2016-08-18 2018-04-27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扣件系统预埋件抗拔强度阻力的确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1632A1 (de) * 2004-06-21 2006-01-26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GB2416178B (en) * 2004-07-12 2007-07-11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GB2433532B (en) * 2005-12-20 2011-01-12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DE202009004399U1 (de) * 2009-02-11 2009-06-25 Vossloh-Werke Gmbh Führungsplatte für ein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und ein eine solche Führungsplatte umfassendes System
DE202009014430U1 (de) * 2009-09-18 2010-02-18 Vossloh-Werke Gmbh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GB2475734B (en) * 2009-11-30 2015-12-09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DE102011011575A1 (de) * 2011-02-18 2012-08-23 Hermann Ortwein Elastische Schienenlagerung
CN105507087B (zh) * 2016-01-06 2017-12-12 京投发展股份有限公司 轨腰托举式钢轨减振扣件的锁紧装置
US10081915B2 (en) * 2016-07-20 2018-09-25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Track rail fastening mechanism and method
US11098454B2 (en) * 2019-04-01 2021-08-24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Track rail fastener and system for pedestal mounted track rail
CN112160194B (zh) * 2020-08-20 2022-06-21 宁波铭晨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轨道交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8927A (en) * 1966-05-03 1967-12-19 Gen Tire & Rubber Co Rail tie down assembly
US3525472A (en) * 1966-08-30 1970-08-25 Japan National Railway Vibration-suppressing composite rail for railways
GB1481645A (en) * 1976-03-18 1977-08-03 Pandrol Ltd Means for fastening railway rails
JPS5495404A (en) * 1978-01-13 1979-07-27 Tokyo Fuaburitsuku Kougiyou Kk Rail gauge adjusting connecting device
JPS59106601A (ja) * 1982-12-07 1984-06-20 オ−マ−ク・オ−ストラリア・リミテツド 鉄道用枕木における係止用の肩部
JPH0431283Y2 (ko) * 1986-10-03 1992-07-28
JPH0756121B2 (ja) * 1987-02-25 1995-06-14 アルバ−ト エドワ−ド レツクス レール固定装置のための挿し込み具、レール固定装置のためのレール固定アセンブリ、およびレール固定装置
US5104041A (en) * 1990-10-01 1992-04-14 Abc Rail Corporation Rail brace assembly
US5221044A (en) 1991-12-19 1993-06-22 Guins Sergei G Rail fastening system with gage adjustment means
FR2705108B1 (fr) * 1993-05-10 1995-08-04 Allevard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calage d'un rail de chemin de fer.
GB9504424D0 (en) * 1995-03-06 1995-04-26 Pandrol Ltd Rail-fastening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201B1 (ko) * 2005-11-02 2006-06-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급커브 구간의 레일 지지 장치
CN107964835A (zh) * 2016-08-18 2018-04-27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扣件系统预埋件抗拔强度阻力的确定方法
CN107964835B (zh) * 2016-08-18 2020-01-07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扣件系统预埋件抗拔强度阻力的确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9634A1 (en) 2001-01-25
PT1198644E (pt) 2005-11-30
AU6297600A (en) 2001-02-05
BR0012625A (pt) 2002-04-02
CA2379634C (en) 2009-09-29
US6651897B1 (en) 2003-11-25
WO2001006061A1 (en) 2001-01-25
KR100707648B1 (ko) 2007-04-13
EP1198644B1 (en) 2005-09-28
DK1198644T3 (da) 2005-10-17
CN1280485C (zh) 2006-10-18
JP2003531319A (ja) 2003-10-21
EP1198644A1 (en) 2002-04-24
DE60022883D1 (de) 2005-11-03
HK1042126A1 (en) 2002-08-02
DE60022883T2 (de) 2006-03-23
AU764389B2 (en) 2003-08-14
ATE305533T1 (de) 2005-10-15
JP4677157B2 (ja) 2011-04-27
HK1042126B (zh) 2005-12-02
GB9917146D0 (en) 1999-09-22
BR0012625B1 (pt) 2008-11-18
CN1425092A (zh) 2003-06-18
ES2245645T3 (es)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4307A (ko)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
TWI547620B (zh) 鐵道軌固定裝置
US11306442B2 (en) Rail fastening system
US20210172178A1 (en) Leveling partition mounting system
RU2159305C2 (ru) Стальная рельсовая шпала
US5692677A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railway track rail
EA0380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подклад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KR100715581B1 (ko) 조정가능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 및 그 이용 방법
KR20150115875A (ko) 철도 레일 고정 장치
CA2759778C (en) Brick anchor system
US5094387A (en) Adjustable hook flange guard rail for use on trackwork
KR102077321B1 (ko) 쐐기부재를 이용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US7063269B2 (en) Rail support plate and related system
US20220056645A1 (en) A rail fastening system and associated rail track
CA2591687A1 (en) Brick anchor system
CN212153732U (zh) 一种专用于工字悬挑梁锚定环的固定组件
KR102250263B1 (ko) 연속화 공법을 위한 교좌장치의 임시 서포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거더의 연속화 공법
US20230279676A1 (en) Supporting beam for a formwork panel
KR102350422B1 (ko) 교량 점검대
JPS58181906A (ja) モノレ−ル桁等の支承
JPS5810827Y2 (ja) 笠木の取付装置
GB2269198A (en) Rail clip anchoring device .
KR101741724B1 (ko) 침하방지 기초구조물
JP2000192601A (ja) 天井パネルの固定構造及び天井パネルの固定方法
JPH11188132A (ja) トラックの内圏縁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