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112A - 접는 키보드 - Google Patents

접는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112A
KR20020023112A KR1020010054059A KR20010054059A KR20020023112A KR 20020023112 A KR20020023112 A KR 20020023112A KR 1020010054059 A KR1020010054059 A KR 1020010054059A KR 20010054059 A KR20010054059 A KR 20010054059A KR 20020023112 A KR20020023112 A KR 2002002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in
folding
split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096B1 (ko
Inventor
카타카미세이키
니이야마타카시
Original Assignee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하시 켄지
Publication of KR2002002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01H2223/05Casings convertible composed of hingedly connected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1회의 조작에 의해 접어지는 상태와 사용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키보드절단면을 덮을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한 접는 키보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키보드 긴쪽방향의 거의 중앙위치인 키톱경계선에서 절단하여 분할키보드(2,3)로 하고, 가늘고 긴 판형상의 배면판(11)을 구비하여, 긴쪽방향 양단부의 폭방향 하부를 한쪽의 분할키보드(2)의 절단면 하부를 힌지부(15)에서 회동자재로 결합하고, 긴쪽방향 양단부의 폭방향 상부에 브래킷(12)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 대향하도록 핀 C(19)을 설치하고, 이 핀 C를 다른쪽의 분할키보드(3)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형성한 긴홈(16)에 슬라이딩자재로 끼워맞춰지게 하여, 긴구멍 A(14)을 가진 이동링크 A(13)를 설치하고, 이 긴구멍을 각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배설한 핀 A(17), 핀 B(18)에 슬라이딩자재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한다.

Description

접는 키보드{FOLDING KEYBOARD}
본 발명은, 키보드를 분할절단한 분할키보드를 접으므로써 노출하는 절단면을 덮는 배면판을 구비한 접는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의 거의 중앙부의 키톱 경계선에서 절단하여 접기 자재롭게 하고, 운반할 때에 콤팩트인 구조로 한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를 접었을 때에 노출하는 분할키보드의 분할절단면을 덮는 구조를 구비한 접는 키보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56904호 공보참조).
종래의 접는 키보드를 도 9∼도 11에 표시한다.
도 9는, 접는 키보드의 키보드분할부의 구성도, 도 10은, 걸어맞춤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분할키보드 접어지는(수납)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d)의 각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0을 참조해서 종래의 접는 키보드의 구성을 설명한다. 가늘고 긴 형상의 키보드(1)를 긴쪽방향의 거의 중앙위치의 키톱(Key top)경계선에서 분할하여 제 1, 제 2분할키보드(2,3)로 하고, 분할위치에서 대향하는 제 1, 제 2분할 키보드(2,3)를 키보드(1)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양변에서, 제 2분할키보드(3)에 회동자재로 배면판(71)을 제 2힌지부(73)에서 연결하고, 직사각형 형상의 지지플레이트(81)에 배면판(71)를 제 1힌지부(72)에서 회동자재로 연결한다. 제 1분할키보드(2)에는 가이드부(83)(도 10)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부를 직사각형 형상의 지지플레이트(81)에 설치한 가이드돌출부재(82)에 슬라이딩자재로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제 1분할키보드(2)는 분할위치에서 대향하는 제 2분할키보드(3)와의 맞닿는 위치까지 키보드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지지플레이트(81)의 가이드돌출부재(82) 위를 진퇴자재로 지지한다.
록레버(86)를 제 2분할키보드(3)에 설치한 받이부재(90)에 핀(87)으로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복귀스프링(88)에 의해 도 10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부세한다. 상기 록레버(86)에는 제 1분할키보드(2)에 형성한 걸림오목부(84)와 걸어맞춤하는 선단부(89)를 설치한다.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분할키보드(2)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분할키보드(2)는 제 2분할키보드(3)에 맞닿는 동시에 가이드부(83)의 관통부는 가이드측벽(85)에 끼워맞춰지고, 록레버(86)의 선단부(89)는 걸림오목부(84)에 걸어맞춰서 분할키보드(2,3)를 일체화한다.
도 11에 접어지는(수납)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d)의 키보드의 각 상태를 표시한다.
제 1, 제 2분할키보드를 접어진 상태(a)로부터 화살표방향으로 개방해서 제 1, 제 2분할키보드(2,3)를 수평상태(c)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제 2분할키보드(2,3) 상호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절단면을 맞닿게 하는 동시에 걸어맞춤기구(75)에 의해 일체화해서 사용상태(d)로 한다.
종래의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는 접어지는 상태(도 11(a))에 있어서 노출하는 키보드분할 절단면을 덮는 배면판을 굴곡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배면판을 회동자재로 하는 제 1힌지부를 필요로 하고, 그리고 제 1분할키보드를 슬라이딩시키는 기구가 필요하여 강도가 약하고, 또한 기구가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를 거의 중앙부의 키톱경계선에서 분할절단한 분할키보드의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 하부에 가늘고 긴 판형상의 배면판 하부를 회동자재로 축지지하고, 배면판 상부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 대향하도록 핀을 설치하고, 다른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측면에 형성한 긴 홈에 슬라이딩 자재로 끼워 맞춰지게 한다. 또, 긴 구멍을 형성한 이동링크를 구비하고, 이 긴 구멍을 각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측면에 구비한 핀에 슬라이딩 자재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는 키보드의 사용상태의 정면도, 접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는 키보드의 접어지는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e)로의 각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링크의 일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접는 키보드의 접어지는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e)로의 각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링크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록기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할키보드간의 접속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접는 키보드의 분할부의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접는 키보드에 사용되는 걸어맞춤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접는 키보드의 접어지는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e)로의 각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키보드 2: 제 1분할 키보드
3: 제 2분할 키보드 10: 힌지기구
11: 배면판 12: 브래킷(bracket)
13: 이동링크 A 14: 긴구멍 A
15: 힌지부(hinge) 16: 긴홈
17: 핀 A 18: 핀 B
19: 핀 C 40: 록기구
41: 조작부 42: 창문
43: 돌출부재 44: 구멍부
50: FPC 51: 수납부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접는 키보드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접는 키보드의 정면도를 표시한다.
키보드(1)는 길이방향 거의 중앙부의 키톱 경계선에 있어서 절단되고, 제 1분할키보드(2)와 제 2분할키보드(3)로 분할되어, 키보드 절단부의 전,후반부의 프레임에 수납된 힌지기구(10)에서 연결하여 접어지기 가능하게 한다(도 1 하부). 또한, (6)은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도 2에 본 발명의 접는 키보드의 접어지는(수납) 상태로부터 사용(개방)상태로의 각 상태, 및 힌지기구(10)의 구성을 표시한다.
힌지기구(10)는, 키보드(1)의 절단면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설치된다.
이 힌지기구(10)는, 제 1분할키보드(2) 절단면쪽의 측면에 구비한 핀 A(17), 제 2분할키보드(3) 절단면쪽에 구비한 핀 B(18) 및 긴홈(16), 배면판(11), 배면판에 설치한 브래킷(12) 및 브래킷에 구비한 핀 C(19), 이동링크 A(13), 힌지부(15)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배면판(11)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배면판(11)은 가늘고 긴 판형상이며, 긴쪽방향은 거의 키보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절단면)의 길이를 지니고, 짧은쪽 방향은 거의, 제 1, 제 2분할키보드(2,3)의 각 두께의 합의 길이를 지니고 있다. 배면판(11)의 하부는 제 1분할키보드 분할면(2)의 하부와 힌지부(15)에 의해 회동자재로 결합되고, 또 배면판의 상부에는 긴쪽방향 양단부에 브래킷(12)을 가지고, 브래킷 내면에는 핀 C(19)을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이 핀 C를 제 2분할키보드(3)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형성한 긴 홈(16)에슬라이딩 자재로 걸어 맞춰지게 한다. 또,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2,3)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는 각각 핀 A,B(17,18)를 배설하고, 이 핀 A,B를 이동링크 A(13)의 긴구멍(구멍공간부분)A(14)에 관통시켜, 슬라이딩 자재로 한다.
도 4에 이동링크 A(13)와 핀 A,B(17,18)의 일예를 표시한다.
이동링크 A의 길이는 제 1, 제 2분할키보드의 각 두께의 합보다 작게하고, 폭은 분할키보드의 두께의 거의 1/2 정도로 한다. 또, 긴구멍 A(14)의 길이는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핀 A와 핀 B의 바깥쪽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하고, 긴구멍 A의 폭은 핀 A,B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해서 접어지는(수납) 상태로부터 사용상태(개방상태)로의 각 상태를 설명한다.
(a) 접어지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의 분할키보드(2,3)는 그 키톱(4)의 면을 대향시켜서 접어져 있다. 배면판(11)은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의 절단면을 덮어서 힌지부(15)로부터 수직상태로 되고, 또, 브래킷(12)에 구비한 핀 C(19)는 제 2분할키보드(3)의 긴홈(16)의 절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 이동링크 A(13)는 핀 A,B(17,18)에 안내되어 수직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b)(c) 접어지는 상태로부터 제 2분할키보드(3)의 단부를 들어올리면, 핀 C를 중심으로 해서 제 2분할키보드는 회동하여 이동링크 A(13)의 긴구멍 A(14)의 양단부에 핀 A,B가 맞닿는다. 또 제 2분할키보드의 단부를 들어올려서 회동시키면배면판(11)의 브래킷(12)에 구비한 핀 C(19)는 제 2분할키보드의 긴홈(16)을 슬라이딩해서 절단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링크 A는 핀 A를 중심으로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2분할키보드는 거의 수직상태로 된다.
(d) 제 2분할키보드를 수직상태에서 또 회동시키면,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는 핀 A,B와 이동링크의 긴구멍에 의해 그 간격이 규제되어서 배면판의 브래킷에 구비한 핀 C는 긴홈을 따라서 또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e) 제 2분할키보드를 또 회동시켜서 제 1분할키보드와 그 키보드면을 동일면으로 하면 배면판의 브래킷에 구비한 핀 C는 긴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반대쪽의 단부로 이동한다.
다음에, 힌지기구의 다른예를 설명한다.
도 5에 힌지기구의 접어지는 상태로부터 사용상태의 각상태, 및 힌지기구의 구성을 표시한다. 또, 도 6(a)에 이 힌지기구에 사용되는 이동링크B(23)와 단면D형형상핀(27)을 표시한다.
도 2에서 설명한 힌지기구와는 이동링크의 긴구멍(구멍공간부분)의 형상과 핀A의 단면형상, 및 핀B를 이동링크의 핀구멍에 축지지한 점이 다르다.
도 6(a)에 표시한 바와같이, 핀A(27)의 단면은 D형상으로하고, 이동링크B(23)의 긴구멍B(24)는 좁은폭부 (25)와 둥근부 (26)로 구성된다. 좁은폭부의 폭은 D형상의 짧은 직경보다 약간 크게되고 둥근부의 직경은 D형상의 긴직경보다 약간 크게한다. 또, 제 2분할키보드(3)에 구비한 핀(30)은 이동링크B(23)의 단부에 형성한 핀구멍(28)을 축지지한다.
(a) 접어지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2,3)는 그 키톱(4)의 면을 대향시켜서 접어져있다. 배면판(11)은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의 절단면을 덮어서 힌지부(11)로부터 수직상태로 되고, 브래킷(12)에 구비한 핀C(19)는 제 2분할키보드의 긴홈의 절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 이동링크B(23)는 단면D형상핀(27)에 안내되어 수직상태로 있다. 이때, 이동링크B의 핀구멍(28)쪽의 좁은폭부에 단면D형상핀(27)이 위치하고 있다.
(b)(c)수납상태에서 제 2분할키보드의 단부를 들어올리면, 핀C(19)를 중심으로해서 제 2분할키보드는 회동하고, 단면D형상핀(27)은 이동링크의 긴구멍의 둥근부(26)에 맞닿는다. 또, 제 2분할키보드의 단부를 들어올려서 회전시키면 배면판(11)의 브래킷(12)에 구비한 핀C(19)는 제 2분할키보드의 긴홈을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이동링크B는 단면D형상핀(27)을 중심으로해서 회동하고 제 2분할키보드는 거의 수직상태로 된다.
(d)제 2분할키보드를 수직상태에서 또 회동시키면, 제 1 및 제 2분할키보드는 단면D형상핀(27), 핀(30)과 이동링크B의 핀구멍(28)과 긴구멍B(24)에 의해 그 간격이 규제되어서 배면판의 브래킷에 구비한 핀C는 긴홈을 따라서 또 이동한다.
(e)제 2분할키보드를 또 회동시켜서 제 1분할키보드와 그 키보드면을 동일면으로하면 배면판의 브래킷에 구비한 핀C는 긴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반대쪽의 단부로 이동한다.
상기 힌지기구는, 단면D형상핀을 사용하여, 긴구멍에 둥근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개폐동작의 분할키보드의 거의 수직으로 동작하는 위치(도 2(C)로부터 단면D형상핀과 둥근부가 끼워맞춰지고, 이 핀을 중심으로해서, 개폐동작이 일정한 궤적을 그리게되어 원활할 개폐가 가능하게된다.
도 6(b)에 이동링크의 변형예를 표시한다.
이 이동링크C(33)는 긴구멍C(34)의 폭을 일정하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 접어지는 상태로부터 사용상태로는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단부를 들어올려서 회동하는 1회의 조작에 의해 사용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또, 종래의 접는 키보드에 비교해서 구성부재가 적게들어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이 조작에 의해 배면판으로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을 덮을수 있으므로, 먼지, 물방울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분할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부의 기계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링크와 핀A,B를 구비함에 따라 분할키보드의 개폐를 원할하게 행할수 있고, 더구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양분할키보드간의 틈사이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양분할키보드의 록기구를 설명한다.
상기에 설명된 접는 피보드의 사용상태(도 2,5(d)참조)에 있어서는 , 준비가 되어있지않은 힘이 분할키보드에 작용하면 양분할키보드가 꺾여질 우려가 있다.
도 7에 접는 키보드의 사용상태(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록기구를 표시한다.
록기구(40)는 키보드(1)의 앞부분, 뒷부분의 절단면쪽에 각각 설치되어, 제 1분할키보드(2)의 절단면쪽의 측면에 가로로긴창문(42)을 형성해서 조작부(41)를돌출시킨다. 이 조작부에는 돌출부재(43)가 구비되어 조작부를 슬라이딩시키면 돌출부재가 제 1분할키보드의 절단면으로부터 출입한다. 또 제 2분할키보드(3)에는 이 돌출부재에 걸어맞춤하는 구멍부(44)를 형성한다.
도 7(a)에 표시한 록해제상태에서 조작부를 창문을 따라서 화살표방향(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돌출부재도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해서 제 2분할키보드에 형성한 구멍부에 걸어맞춤한다(도 7(b)).
또한, 록기구로서, 도 10에 표시된 걸어맞춤기구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록기구를 설치함으로서 사용상태에 있어서 접는 키보드가 꺾여지는 것을 회피할수있다.
다음에, 분할키보드간의 접속구멍에 대해서 셜명한다.
도 8에 접어지는 상태(a)로부터 사용상태(e)의 접속구성의 각상태를 표시한다. 한쪽의 분할 키보드절단면의 근처에 수납부(51)를 설치하고, FPC(가요성기판)(50)를 접어서 수납한다. 접어갠 FPC의 연장부는 절단면에 형성한 각 원호부(53)에 안내되어 다른쪽의 분할키보드와 접속된다.
제 1 분할키보드(2)의 단부를 들어올려서 회동하면 FPC(50)는 서서히 수납부(51)에 수납되어서 접어진 길이방향의 길이가 증가한다. 이와같이해서 접는 키보드를 개폐할 때에 발생하는 FPC의 느슨함 또는 장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은 접어지는 상태로부터 사용상태의 조작에 대해서 행하고 있으나 사용상태로부터 접어지는 상태의 조작도 반대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키보드의 좌우의 분할키보드를 각각 제 1, 제 2분할키보드로 했으나 이 제 1, 제 2는 임의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효과가 있다.
(1) 분할키보드의 접어지는 상태와 사용상태와의 상호의 조작을 1회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이 조작에 의해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을 덮는 배면판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2) 이동링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분할키보드의 접어지는 상태와 사용상태와의 상호조작을 원활하게 행할수 있다.

Claims (5)

  1. 키보드긴쪽방향의 거의 중앙위치의 키톱경계선에서 절단하여 분할키보드로 하고,
    가늘고 긴 판형상의 배면판을 구비하여, 긴쪽방향 양단부의 폭방향하부를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긴쪽방향 양단부의 폭방향상부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 대향하도록 핀을 구비하고, 이 핀을 다른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형성한 긴홈에 슬라이딩자재로 끼워맞춰지게하고,
    긴구멍을 가진 이동링크를 구비하여, 이 긴구멍을 각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구비한 핀에 슬라이딩자재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키보드.
  2. 키보드 긴쪽방향의 거의 중앙위치의 키톱경계선에서 절단하여 분할 키보드로하고,
    가늘고 긴판형상의 배면판을 구비하여, 긴쪽방향양단부의 폭방향하부를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하부에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긴쪽방향양단부의 폭방향상부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 대향하도록 핀을 구비하여, 이 핀을 다른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형성한 긴홈에 슬라이딩 자재로 끼워맞춰지게하고,
    핀구멍과 긴구멍을 가진 이동링크를 구비하여, 핀구멍에 다른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구비한 핀에 축지지하고, 긴구멍을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쪽의 양측면에 구비한 핀에 슬라이딩 자재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는 키보드.
  3. 청구항 2에 기재한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
    이동링크의 긴구멍은 핀구멍에 가까운 부분을 좁은폭부, 먼부분을 둥근부로 하여, 이 긴구멍에 슬라이딩자재로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핀을 단면D형상으로 하고, 이 D형상의 짧은 직경을 거의 좁은폭부의 폭으로하여, 긴직경을 거의 둥근부의 직경으로하고, D형상평탄부를 키보드 두께방향과 평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는 키보드.
  4. 청구항 1∼3의 어느 한항에 기재한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
    양분할키보드의 분할면이 맞닿는 상태에서 양분할키보드 상호를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는키보드.
  5. 청구항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접는 키보드에 있어서,
    양분할키보드를 접속하는 FPC를 구비하여, 적어도 한쪽의 분할키보드의 절단면의 근처에 수납부를 가지고, 이 수납부에 FPC를 접어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는 키보드.
KR10-2001-0054059A 2000-09-21 2001-09-04 접는 키보드 KR100452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6584 2000-09-21
JPJP-P-2000-00286584 200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112A true KR20020023112A (ko) 2002-03-28
KR100452096B1 KR100452096B1 (ko) 2004-10-12

Family

ID=1877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59A KR100452096B1 (ko) 2000-09-21 2001-09-04 접는 키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52281B2 (ko)
KR (1) KR100452096B1 (ko)
TW (1) TW5237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60A (ko) * 2002-05-24 2003-12-01 (주)어플라이드 디바이스 휴대용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9639B2 (en) * 2000-07-19 2004-01-20 Pocketop Computers Corp. Folding keyboard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585440B2 (en) * 2001-06-27 2003-07-01 Silitek Corporation Folding keyboard having key modules with asymmetrical connection points
US6547463B1 (en) * 2002-01-16 2003-04-15 Jyh-Yi Loo Collapsible keyboard
KR20040016277A (ko) * 2002-08-16 2004-02-21 최수득 휴대용 키보드
US20040066373A1 (en) * 2002-10-04 2004-04-08 Michael Wu Foldable computer keyboard
US20040104897A1 (en) * 2002-12-02 2004-06-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oldable keyboard
TW582595U (en) * 2003-03-07 2004-04-01 Darfon Electronics Corp Foldable keyboard having support structure
US6991389B2 (en) * 2003-03-28 2006-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oldable keyboard
US6755581B1 (en) * 2003-05-16 2004-06-29 Chi Cony Electronics Co., Ltd. Foldable keyboard
US6793421B1 (en) * 2003-05-29 2004-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lding keyboard
TWI228739B (en) * 2004-04-09 2005-03-01 Darfon Electronics Corp Collapsible keyboard
CN1328647C (zh) * 2004-04-23 2007-07-25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折叠键盘
US7298363B2 (en) * 2004-07-29 2007-11-20 Chin-Lang Huang Innovated keyboard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7061752B1 (en) * 2005-01-26 2006-06-13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636240B1 (ko) * 2005-06-09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버컨택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키 입력장치
KR100800769B1 (ko) *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100891775B1 (ko) 2007-05-14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전자 장치
US20090257807A1 (en) * 2008-04-09 2009-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having a back-to-back position
KR100988327B1 (ko) 2008-10-16 2010-10-18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키판을 구비한 전자기기
CN103307095B (zh) * 2012-03-16 2015-09-09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枢纽装置及具有此枢纽装置的可折叠式人体工学键盘
US8917499B1 (en) * 2014-07-14 2014-12-23 ZAGG Intellecutal Property Holding Co. Foldable keyboard
US9489054B1 (en) 2016-01-05 2016-11-08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Keyboard folio with attachment strip
US9557776B1 (en) 2016-05-10 2017-01-31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Friction resistance hinge with auto-lock
CN107346181A (zh) * 2017-06-19 2017-11-14 柳州联海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游戏键盘
US10401973B2 (en) * 2017-10-26 2019-09-03 Dexin Electronic Ltd. Foldable portable keyboard
JP1650752S (ko) * 2019-04-05 2020-01-20
US11845294B2 (en) * 2021-09-10 2023-12-19 Dell Products L.P. Keyboard with recycled and biodegradable composite material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TWI777814B (zh) * 2021-10-14 2022-09-1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模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453A (en) * 1992-06-15 1995-10-10 Chiu; Wilson L. Folding keyboard
JP3218129B2 (ja) * 1993-08-26 2001-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ボート装置
GB2285770B (en) * 1994-01-18 1997-05-21 Silitek Corp Keyboard
KR0137597Y1 (ko) * 1995-02-20 1999-04-01 이정식 컴퓨터용 접이식 키보드
US5653543A (en) * 1995-07-19 1997-08-05 Hosiden Corporation Folding keyboard
US6081207A (en) * 1997-11-12 2000-06-27 Batio; Jeffry Multipurpose, folding, portable computer
US5995025A (en) * 1997-12-18 1999-11-30 Daniel I. Sternglass Folding keyboard with sliding segments for electronic products
US6714403B2 (en) * 2000-11-22 2004-03-30 Alps Electric Co., Ltd. Foldable keyboard inpu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60A (ko) * 2002-05-24 2003-12-01 (주)어플라이드 디바이스 휴대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3761A1 (en) 2002-03-21
TW523704B (en) 2003-03-11
KR100452096B1 (ko) 2004-10-12
US6552281B2 (en) 200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096B1 (ko) 접는 키보드
JP458698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ラッチ装置
US7187554B2 (en) Movable console device
KR100238181B1 (ko) 휴대용 컴퓨터
KR2007004066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JP2009171072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US6652297B1 (en) Connector covering assembly
EP0124196A2 (en) Plane shut double sliding door rail device
JP2007068175A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通信端末機
KR100528353B1 (ko) 올바른 카드 보다 두께가 작은 잘못된 카드가 삽입되는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지닌 카드 슬롯 어셈블리
CN114223317B (zh) 多设备箱体的安装装置、包括这种安装装置的安装框架以及包括这种安装框架和多设备箱体的多设备装置
KR100512743B1 (ko) 컴퓨터
KR20034661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5309675A (en) Window structure with a sliding door
KR20040093027A (ko) 평면 핸들 장치
JP3795782B2 (ja) 折畳式キーボード
JP2000255612A (ja) 開閉ロック構造
JP3145524U (ja) ヒンジ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用フレーム
JP3232439B2 (ja) 蓋の開閉装置
KR100511105B1 (ko) 셀프 트림 조립체
JP3957984B2 (ja) 食器洗い機の扉開閉装置
KR100303814B1 (ko) 슬라이드식컨트롤도어개폐장치
JP3630154B2 (ja) 連動開閉式引き戸
JPH11152961A (ja) 引き戸のはね返り防止装置
KR970047631A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