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092A -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 - Google Patents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092A
KR20020021092A KR1020017013867A KR20017013867A KR20020021092A KR 20020021092 A KR20020021092 A KR 20020021092A KR 1020017013867 A KR1020017013867 A KR 1020017013867A KR 20017013867 A KR20017013867 A KR 20017013867A KR 20020021092 A KR20020021092 A KR 2002002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acuum cleaner
plate
suction
clea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롬므 파브롱
파비엥 다비드
제롬므 까르도
Original Assignee
폴 리비에르
세브 에스.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리비에르, 세브 에스. 아 filed Critical 폴 리비에르
Publication of KR2002002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26Rigidly anchored lips, e.g. nozzles adapted for picking 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흡입관(2)에 공기순환식으로 연결된채 노즐(24) 이동 방향에 비스듬히 놓여져 있rh, 청소되는 표면을 향하여 개방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통통로(4a, 4b)를 장착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특징은,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되며 유통통로(4A, 4B)와 평행한 상태로 유통통로 내에 배열되어 있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 블레이드(9b)를 장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통통로와 그리고/혹은 흡입관의 일부분을 차단하는 수단(9a)을 장착하고 있으며, 노즐의 이동 시 차단수단을 통해 유통통로와 그리고/혹은 흡입관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상기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그리고 유통통로의 개방된 부분의 앞쪽에 놓여지게 되며, 상기 차단수단은 노즐이 반대방향으로 이동 시 흡입관의 동일 부분을 폐쇄하게 만든다.

Description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VACUUM CLEANER NOZZLE WITH SCRAPER BLADE}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 노즐은 흡입관과는 별도로 기본 판을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틱 통 유형을 나타낸다. 상기 기본 판은 덮개를 갖추고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며,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흡입관과 연결되어 있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통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영국특허 GB 855,613는 도 10에 나타난 노즐을 통해 공기 흡입 효능이 강화된 노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유형의 노즐(100)은 고무 유형의 재질로 된 바닥을 긁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연결부(121)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날개(139, 14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장치 양쪽으로 유통통로(141)와 흡입관(120)을 연결시켜주는 개방부가 위치하고 있다. F1 방향으로 노즐(100)을 이동할 때 날개(139)는 청소면과 마찰하면서 개방부(260)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는 노즐의 앞쪽 가장자리(132) 아래쪽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바닥을 긁는 장치는 청소면의 먼지를 모아서 긁는 역할 뿐 아니라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스크래퍼(scraper) 장치의 뒤쪽에 위치한 반쪽-관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노즐은 타일이나 마루 형태의 미끄러운 바닥에서는 상당히 효율적일지 모르지만 양탄자 유형의 바닥을 청소하는데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하에서 양탄자라고 함은 섬유조직이나 털로 구성된 표면을 일컫을 것이며, 이러한 표면으로는 융단바닥, 천벽지, 수건, 양탄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이런 청소면에 있어서 대다수의 먼지는 양탄자 털 사이에 모여 있거나 혹은 양탄자 털에 붙어 있다. 그 결과 단순한 공기흡입만으로는 그러한 먼지를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
미국특허 US 5,539,953은 유통통로 중간부분에 고정된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부착하고 있으며, 양탄자 털을 벌어지게 한 후 고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진공청소기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노즐은 사용되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단단함으로 인해 양탄자 유형의 청소면에 잘 적용되기는 하지만 효율적이지는 못하다. 왜냐하면 흡입부의 일부분은 먼지 제거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효과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효과가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양탄자와 같은 유형을 청소할 때 먼지제거 능력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 노즐에 관한 것이다.
- 도 1a와 1b는 하나의 흡입관에 적용되어진 본 발명의 기본 기능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2a와 2b는 두 개의 흡입관에 적용되어진 본 발명의 기본 기능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3은 본 발명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도 8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 9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노즐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비용도 적절한 채 더욱 향상된 효능을 나타내는 진공청소기 노즐을 통해 종래의 청소기가 나타내었던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노즐 덕분에 이루어지게 되었다.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상단부, 즉 다시 말하면, 이동방향에 비추어볼 때 흡입관의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탄자 털은 블레이드의 이동 시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그로 인해 먼지는 흡입관에 대해 개방되어 있는 유통통로로 빨아들여지게 된다. 그러므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역할은 단지 유통통로로 먼지를 모으는 것이 아니라 공기흡입시 즉각적으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면의 털을 자극시키는 것이다. 반면에 노즐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 유통통로로 흡입력을 옮겨가게 하기 위해 흡입관이 닫히게 된다.
차단수단이 노즐 바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있는 롤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의 회전점은 주변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롤러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쪽 방향으로 회전 시 이 돌출부는 흡입관 차단 밸브를 연동시키거나 연동해제시키는 메카니즘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상당히 복잡할 수 있다.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청소면에 대해 노즐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접촉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노즐이 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쪽 방향으로 청소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인접한 흡입관 차단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차단수단을 통해 한쪽이 차단되면 다른 한쪽은 열리게 된다.
이처럼 차단수단을 작동시키는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단순하게 스크래퍼 블레이드와 청소되는 표면 사이의 접촉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유통통로와 직각으로 놓여져 있는 노즐의하부에 배열된 홈으로 이동되는 유동성 판의 끝부분에 고정되어질 수 있으며, 이 유동성 판은 폐쇄 밸브를 갖춘 유통통로의 입구에 상응하는 개방부를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곁에 갖추고 있다. 이 때 상기 판은 노즐이 앞방향으로 나아갈 때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하여 흡입관 쪽으로 밀릴 수 있게 배열된다. 이는 상기판의 개방부가 이에 동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또한 노즐이 뒤로 끌렸을 때 스크래퍼 블레이드 날이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하여 차단 밸브를 작동시키는 흡입관으로부터 멀어지게끔 하기 위해서이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청소되는 표면과의 수평축 상의 상부 가장자리 주변에서 회전축을 형성하며 장착될 수 있다. 이 수평축은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하고 있으며, 톱니바퀴는 출구 부분에서 유통통로와 흡입관이 만나는 곳에서 차단밸브를 작동시킨다
선호되는 실현 예에 따르면, 판은 흡입관에 수평한 축 주변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이 수평축은 상기 판을 스크래퍼의 하부 블레이드 부분과 흡입관 차단 상부 밸브로 구분시켜주며, 상기 축은 유통통로의 입구쪽에 배열되어지며, 차단 밸브 부위는 흡입관의 앞쪽과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에 맞닿을 수 있다.
앞쪽(F1으로 표시되어 있음)으로의 정상적 이동을 하는 노즐을 예로 들기로 한다. 이 노즐에 대해 비스듬하게 놓여져 있는 유통통로의 앞쪽 내부면 쪽으로는 회전 판이 장착되어 있다.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하부 부위가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함으로서 판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끔 만들며, 그 결과 차단 밸브의 상부 부위는 앞쪽 내부면 쪽으로 이끌리게되며 유통통로와 흡입관 사이에 통로를 만들어주게된다. 뒤이어 노즐이 뒤쪽으로 끌리게 되면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하부 부위가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하게되며, 그로 인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며, 그 결과 지주의 다른쪽 면에 있는 차단 밸브의 상부 부위는 흡입관을 차단하는 뒤쪽 내부면 쪽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단순하게 한쪽은 긁고 다른 한쪽은 개방되는 장치가 실현되었다.
노즐이 이동을 시작하면 즉시 발생하는 이러한 기계적 움직임은 차단밸브의 상부 극단부나 혹은 밸브와 연계되어 있는 노즐 관의 내부면에 스폰지, 조인트, 펠트 등을 설치하면 더욱 강화되어질 수 있다. 이 때 스크래퍼 블레이드 날이 회전하게 되면 스폰지, 조인트, 펠트는 가볍게 압축되어 공기가 새지 않게 만들어주며, 그 결과 흡입관 부위가 확실히 차단되게 된다.
판의 축은 판 높이의 1/10 과 1/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판의 대다수 부분을 차단밸브의 작동에 연계시켜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차단밸브가 한쪽 지주에 맞닿게 되었을 때 1-5 밀리미터 사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스크래퍼 블레이드로 인하여 유통통로에 연계된 노즐을 청소되는 표면에 잘 접촉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렇게 되면 공기의 순환이 잘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실현 방법에 따르면, 판의 축은 축을 통해 두 부위로 나뉘어지는 흡입관의 중간 부분에 배열된다. 이 때 차단밸브 부위는 흡입관의 앞쪽과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뒤쪽 흡입관을 활성화된 스크래퍼 블레이드보다 뒤쪽으로 이동하게하면서 노즐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 앞쪽 흡입관에 대한 차단이 아주 단순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이동 방향과의 관계에서 볼 때 앞쪽 흡입관을 활성화된 스크래퍼 블레이드보다 뒤쪽으로 가게하면서 노즐이 뒤쪽으로 이동할 때 뒤쪽 흡입관에 대한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노즐을 앞쪽 혹은 뒤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에서 전술된 기술 효과가 청소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실현 방법에 따르면, 두 개의 흡입관이 상호 통하게되고, 판의 축은 인접한 두 개의 흡입관 사이에 배열되며, 차단밸브 부위는 앞쪽 흡입관의 앞쪽과 뒤쪽 흡입관의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유통통로 두 부분의 표면과 그리고/혹은 청소되는 표면 인접 흡입관 부분의 표면-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양쪽에 위치함-은 상이하다. 이 때 더욱 큰 면적의 표면이 청소되는 표면에 대해 더욱 강하게 노즐을 유지하는 수직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노즐이 한쪽 혹은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노즐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청소되는 표면에 대한 더욱 강한 흡인력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기쪽으로 노즐을 끌어 당길 때 흡입 표면적이 증가되면서 노즐은 양탄자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서 상부쪽으로 자연 견인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견인력은 사용자가 노즐을 자기쪽으로 끌고 왔을 때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표면의 차이는 판의 비대칭 위치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으며,혹은 유통통로의 형태나 판에 장치되는 부속품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양탄자안으로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파고드는 정도는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르다. 이는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 의한 노즐의 이동력을 야기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런 파묻힘 정도 혹은 청소되는 표면에의 밀착 정도는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회전 각에 의해 획득되거나 혹은 상기 판 대비 편심적 판의 회전 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노즐은 유통관 내에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게끔 해주는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한편으로는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양탄자 유형에 따라 날의 높이를 공장에서 조절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양탄자 유형에 노즐을 적용시킬 수 있게 해준다.
노즐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흡입관의 앞쪽 그리고/혹은 뒤쪽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출 방지통이 노즐에 장치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일반 원칙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노즐의 두 개의 내벽 1a와 1b는 흡입관(2)을 한정짓고 있으며, 이 흡입관은 청소면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유통통로(4)로 통하게 되어 있다. 이동방향 F1은 앞쪽으로 향하는 노즐의 일상적 이동방향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으며, 이동방향 F2는 노즐의 뒤쪽으로의 이동방향이다.
청소면은 양탄자 유형이며 먼지(12)가 고착되어 있는 털(10)을 포함하고 있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수직형태이며 흡입관(4)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판(6)이 앞쪽 내부면에 근접해 있는 수평축(8)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판(6)은 축(8)의 아래쪽에 있는 하부 스크래퍼 블레이드(9b)와 상기 같은 축의 위쪽에 있는 차단밸브(9a)로 구성되어 있다. 양탄자 털과 접촉되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하부 보드는 털을 흔들어대는 효과를기대하기 위해 비스듬하게 엇잘려 있거나, 혹은 최대한도로 청소되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밸브(9a)의 상부 보드는 공기 누출방지를 위해 유연한 선형 조인트로 보충되어 있다.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높이는 유통 시장에 따라 그리고/혹은 진공청소기 사용시 적당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서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효율적으로) 털보다 상단에 위치하거나 혹은 좀 더 깊이 -양탄자의 유형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예를 들어 털의 중간 높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a와 1b를 비교하면서 살펴볼 수 있듯이, 밸브(9a)는 사용자가 노즐을 화살표 F1 방향, 즉 앞쪽으로 밀 때 흡입관(4)의 앞쪽 내부면에 달라붙게 된다. 이 때 양탄자의 털들은 스크래퍼 블레이드에 의해 흔들려지며, 그로 인해 스크래퍼 블레이드 뒤쪽으로 먼지들이 흩트러지게 된다. 그리고 이 먼지들은 즉시 흡입되어진다. 반대로 노즐이 뒤쪽 방향으로 끌렸을 때에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와 유통통로의 관계가 변형되어, 판(6)의 위치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차단밸브(9a)가 폐쇄 위치로 전환되며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약간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2a, 2b 그리고 3은 넓은 유통통로를 지닌 본 발명의 일반 원칙을 대단히 도식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노즐(20)의 두 개의 내부 벽면(1a, 1b)이 청소면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유통통로(4a, 4b)로 흡입관(2)을 통하게 해준다. 이 때 흡입관은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일반 원칙에 입각하여, 도 3의 노즐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유통통로(4a)는 "앞쪽" 통로로, 그리고 유통통로(4b)는 "뒤쪽" 통로로 표현된다.
도 3에 표시된 노즐(20)에는 또 다른 흡입관(18)이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노즐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바퀴(14)가 장착될 수 있다.
판(6)은 노즐 안에 장치되며, 노즐의 넓은 면적에 따라 유통통로 내에 설치되어져 있다. 하지만 흡입관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판은 판의 일반 방향과 평행하게 자리잡고 있는 축(8) 위에 장착되어진다.
축(8)의 양쪽으로 두 개의 날개(9a, 9b)가 펼쳐지며, 이 날개들은 차단밸브와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날개들의 양쪽 극단부는 판(6)의 양쪽 보드를 구성한다. 밸브(9a)의 극단부는 판(6)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앞쪽 통로(4a)나 혹은 뒤쪽 통로(4b)의 위쪽에 위치한 흡입관 부분을 막는 역할을 한다.
변형 실시예로, 날개(9a)는 예를 들어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형태를 Y자 혹은 T자 형태를 가진 다수 날개의 형태로 된 복잡한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판(6)은 원하는 정도에 따라 두껍거나 얇을 수 있으며, 청소면과 접촉될 수 있는 극단부에서 회전축 수준보다 더욱 넓은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쪽 날개(9b)는 일반적으로 날개(9a)보다 길이가 더 짧으며, 대다수 부위가 유통통로 내에 위치되어진다. 노즐이 정상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이 날개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보드가 양탄자 유형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게끔 노즐에서 빠져나온다. 이는 축(8)을 중심으로 스크래퍼 블레이드 날이 움직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작동상태에서 노즐이 F1 방향으로 이동할 때 판(6)은 양탄자 털(10)에 접촉되면서 축(8)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그렇게 되면 곧 바로 날개(9a)는 두 내벽면(1a, 1b) 중의 한 내벽면 혹은 내벽면에 연계되어 있는 지주에 맞닿게 된다. 그러므로 판(6)은 인접한 흡입관을 차단시키면서 수직형태로 한정된 각도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노즐이 앞쪽으로 이동할 시 앞쪽 통로(4a)가 차단된다. 같은 방법으로 노즐이 뒤쪽으로 이동할 시에는 뒤쪽 통로(4b)가 차단된다.
날개(9a)의 극단부는 비스듬하게 엇갈린 형태 그리고/혹은 스폰지, 조인트, 펠트로 덮여진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차단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날개 혹은 날개들의 극단부에 물렁물렁한 플라스틱 부위를 덧붙일 수도 있는데 이는 날개(9a)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을 경우에 그러하다.
이 효과는 특히 양탄자에서 청소가 시행될 때 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날개는 양탄자를 구성하는 털들을 자극시키기 위해 양탄자 속으로 파고 들어가야한다.
미끄러운 바닥면에서는 날개(9b)가 바닥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것이 선호되는데, 이는 노즐이 특수 활동을 하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방식의 흡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유동성 판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모든 실현 방법에 공통적인 특성에 따르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판의 회전은 대칭적일 수도 있으며 비대칭적일 수도 있는데, 이는 노즐의 두 이동 방향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지주의 정확한 위치선정 혹은 크기확정 그리고/혹은 흡입관 그리고/혹은 유통통로 내에서 판을 중심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서 실현되어질 수 있다.
첫 번째 향상된 형태로서, 공기유출 방지를 강화하고 노즐의 반대편 보드 하부로의 공기 이동을 막을 수 있는데, 이는 접촉면적을 확대하거나 혹은 도 3에 나타나듯이 판의 양쪽에 공기유출 방지통(16a, 16b)을 설치하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방지통 설치는 흡입관 혹은 만일 존재한다면 유통통로의 앞쪽 그리고/혹은 뒤쪽에서 행해진다.
도 4a와 4b는 첫 번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두 개의 판(22a, 22b)이 사용되어지며, 각각의 판은 개별적으로 앞에서 언급된 기능과 효력을 나타내게 된다. 이처럼, 판(22a)은 흡입관(23a)에 위치되며, 판(22b)는 흡입관(23b)에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판은 축(28a, 28b)를 중심으로 장착된다. 노즐이 이동하게 되면 털(10)과 접촉하게 되는 스크래퍼 블레이드들은 노즐의 이동 방향 F1, F2에 따라 흡입관의 앞쪽 혹은 뒤쪽을 차단하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유도장치(26a, 26b)와 분리장치(27), 그리고 노즐의 세로 내벽면(25a, 25b)를 매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주에는 여러 개의 유도장치(25a, 25b, 26a, 26b, 27)가 장치될 수 있는데, 이는 판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도식적인 예로서, 지주(29a, 29b)가 적합한 장치(25a, 25b)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처럼 배기관(24)에 닿아 있는 관들을 통해 먼지(12)가 끌어들여지게 된다.
공기 유출을 막기 위해 공기유출 방지통(30a, 30b)이 노즐의 앞쪽과 뒤쪽 보드에 장치되어질 수 있다.
도 5a 및 5b에 나타난 두 번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판이 사용되어지기는 하지만 단지 하나의 흡입관이 활성화된다. 이처럼, 흡입관(33a)의 앞쪽 관은 항상 차단되게 된다. 이는 흡입관(33b)의 뒤쪽 관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F1 방향에 따른(앞쪽으로의) 노즐의 이동 시 흡입관(33b)는 비활성화되고, 흡입관(33a)는 활성화된다. 그리고 노즐이 F2 방향으로(뒤쪽으로) 이동 시에는 상황이 역전된다.
게다가, 유도장치가 단순화되어 있다. 사실상, 축(38a, 38b)을 중심으로 장착된 판(32a, 32b)은 노즐의 가장자리의 내부 부분에 의해 유도되어지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형태에 적합하게 적용된 형태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방법을 통하여 판의 회전 시 미약한 유도활동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판은 차단밸브 수준에서 그 기초를 가지게 되며, 차단밸브의 형태는 원호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처럼, 두 개의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분리시키는 보드(35a, 35b)와 분리장치(37)의 유도 표면 또한 원호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분리장치(37)와 가장자리(35a, 35b) 사이에는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흡입관(33a, 33b)이 형성된다. 이 흡입관들은 배출관(34)과 통하게 된다.
판의 차단밸브 지주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들이 이 도면들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부속(39a, 39b)은 노즐의 가장자리(35a, 35b)에 연계되어 있고, 부속(37a, 37b)는 분리장치(37)에 연계되어 있다.
하나의 흡입관 만을 사용하면서도 앞의 변형 실시예보다 노즐의 효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노즐의 이동방향 F1 혹은 F2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흡입관(33b, 33a)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노즐을 밀거나 자기쪽으로 끌어당기는 현상을 고려할 수가 있다.
사실상, 이러한 두 종류의 행위는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사용자가 노즐을 자기쪽으로 당길 경우, 사용자는 동시에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수직 활동을 행하는 것이며, 이 경우 노즐의 효력은 감소된다.
첫 번째 개선책은 스크래퍼 블레이드 날의 양쪽에 위치한 유통통로 그리고/혹은 흡입관의 두 부분의 청소면과의 접촉 표면의 면적을 상당히 상이하게 제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흡입관(33a)의 흡입력과 흡입관(33b)의 흡입력을 서로 상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개선책은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수준에서 다소간의 공기를 유출시킴으로서 흡입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5b에 나타나듯이, 두 개의 스크래퍼 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사이의 높이의 상이함을 갖게해주는 방법들 중의 한 가지는 두 개 판의 차단밸브 지주를 비대칭적으로 만들어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비대칭은 양쪽 판에 반대로 적용된다.
이처럼,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노즐이 F2 방향으로 이동 시 판(32b)의 "활성"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a 각으로 회전하고, 반면에 노즐이 F1 방향으로 이동 시 판(32a)의 날은 a'각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노즐의 구성에 따라서 a 각보다더 큰 각도인 a'각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혹은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는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른 힘의 불균형을 획득하기 위해서이다.
노즐이 F2 방향으로 이동 시 판(32a)의 "비활성"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회전각 b는 a 각보다 더 클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판(32a)의 날의 극단부의 수직 상승이 판(32b)의 날의 극단부의 수직 상승보다 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판(32a)의 날의 지상차고가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 판(32a)의 날은 털(10)을 스치기만 하게되며, 그 결과 상기 날은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할 보충 힘을 만들어내지 못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대의 경우(도 5b), 노즐이 F1 방향으로 이동시 판(32b)의 날은 a'각 보다 큰 b'각으로 회전한다. 이 각들은 상기에서 이미 언급된 이유로 인해 a 각과 b각과 다를 수 있다. 이는 노즐의 두 이동 방향 사이의 비대칭을 만들어내기 위해서이다.
먼지(12)는 흡입관(33a) 혹은 흡입관(33b)로 흡입되어진다.
도 6a와 6b에 나타탄 세 번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끔 장착된 기본 판(46)은 공기 주입관(47a, 47b)을 포함하고 있다. 이 관들은 청소되는면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상기 관들은 부분적으로 판의 두께 내에서 실현되거나 혹은 기본 판과 구분되는 2차 날의 도움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처럼, 도 6a 및 6b에 나타나 있듯이, 흡입관(47a, 47b)들은 한편으로는 노즐의 내부구조(40)에 의하거나,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 판(46)에 결합되어 있는 2차 날(42a, 42b)의 도움에 의해 한정되어진다. 이 2차 날들은 각각 기본 판의 양쪽에 흡입관을 만들어주면서 기본 판의 양쪽에 장착되어진다.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들은 노즐의 외부에 연결되어진다. 이처럼, 노즐은 외부에서 취해진 공기를 흡입관(47a, 47b)과 청소면으로 끌어들이게끔 해주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관은 청소용 세제를 담고 있는 용기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에서 기술된 것 처럼 전체적으로 용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외부 공기 유입구와 연계되어 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되는 청소용 세제는 액체, 분말, 혹은 에어졸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를 유입하는 기계적 활동과 양탄자 청소용 세제에 의한 물리-화학적 활동이 결합되는 것이다.
게다가, 2차 날의 형태는 보충 부속과 연계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는 판(46)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앞쪽 혹은 뒤쪽 흡입관 중의 하나의 흡입관을 차단함과 동시에 차단된 흡입관에 대립되어 있는 공기 유입관의 차단 또한 유도해내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도 6a에 따르면, 노즐이 F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기본판(46)과 2차 날(42a, 42b)이 회전하면서 앞쪽 흡입관(43a) 뿐만 아니라 공기 유입관(47b)의 차단을 야기하게 된다. 공기 그리고/혹은 청소용 세제의 유입이 이 때 흡입관(47a)를 통해 실현되게 되며, 그렇게 됨으로서 양탄자 청소의 효율성이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먼지와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용 세제도 뒤쪽 흡입관(43b)을 통해 흡입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나타나듯이, 노즐이 F2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판(46)과 스크래퍼 블레이드(42a, 42b)가 (4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뒤쪽 흡입관(43b)와 공기 유입관(47a)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공기 유입구는 관(47b)에 의해 만들어지며, 먼지는 앞쪽 흡입관(43a)에 의해 흡입되게 된다.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회전각은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동일할 수 있으며, 혹은 도 6a 및 6b에 나타났듯이 상호 다른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도면에서 a 각은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다르게 이끌면서 b각과 완전히 다른 가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노즐의 효율성은 공기유출 방지통(44a, 44b)의 존재에 의해 증대될 수 있다.
이 장치는, 도 4a, 4b 5a, 5b의 변형 실시예로서, 각각의 스크래퍼 블레이드 위에 장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틀을 벗어남이 없이, 상기 관들을 통해 더운 공기, 즉 특수 난방 회로를 갖춘 통풍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를 끌어들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출구쪽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괜찮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 공기를 통해 양탄자를 말릴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관의 형태는 프랑스 특허 청구번호 98 10227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형태로 빠져나올 수 있게끔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내부구조(40)와 노즐 보드의 내부형태(45a, 45b)에 따라 판(46)과 스크래퍼블레이드(42a, 42b)의 유도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지주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주들은 회전축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장치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이미 언급되었듯이,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도 7a와 7b에 기술되어 있다. 이 변형 실시예는 도 6a와 6b의 핵심 요소들을 다시 그려내고 있다.
이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판(56)은 회전축(58)에 대해 대칭적으로 장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비대칭성이 노즐에 부여되는 운동에 따라 판과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상이한 회전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판(56)의 스크래퍼 블레이드는 노즐이 F2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보다 F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양탄자에 더 깊이 박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판(56)에 연계된 채 노즐 유도장치의 내부구조(50)에서 파생되는 날개(57)로 구성된 지주가 행할 수 있는 것들 중의 한 가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른 비대칭 흡입을 실현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본 도면은 원칙적으로는 도 2a, 2b, 3과 유사한 것으로서, 단지 81a로 표시된 내벽면(1a)에만 약간의 변형이 가해졌다. 사실상, 이 내벽면은 직선의 형태를 나타내는 내벽면(81b)과는 반대로 노즐의 외부쪽으로 휘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면 방향으로 벌려진 배출관(84)을 나타내는 노즐(80)은 축(8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치되어 있는 판(86)을 포함하고 있다. 이 판은 또한 흡입관을 두 개의 관(83a, 83b)으로 구분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내벽면(81a)은 게다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개방구(9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개방구는 관(83a)를 외부로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특이성으로 인해, F1 방향으로 노즐이 이동 시 상기 개방구(92)를 통해 노즐 수준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되는 것이다. 내벽면(82b)에는 이러한 개방구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즐의 이동 시 비대칭 흡입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효과는 판과 함께 앞쪽 혹은 뒤쪽 흡입관 중의 하나를 한정하는 노즐의 내벽면 중의 하나가 상기 관을 노즐의 외부 혹은 송풍장치에 연결시켜주는 관을 포함하고 있을 때 획득되어진다.
따른 변형 실시예로서, 판에 조정된 공기유출 방지 테두리(90)가 내벽면(81a)의 하부 극단부 쪽으로 장치되어질 수 있다.
도 9는 삼각형 모양의 노즐(60) 형태를 하고 있는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삼각형 노즐에는 앞쪽 흡입구(70)가 있으며, 두 개의 측면 유통통로(71,72) 쪽으로 벌어지고 있다. 노즐의 뒤쪽에 위치한 관은 앞쪽 관(63a)과 뒤쪽 관(6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관들은 축(6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판(66)에 의해 분리되어지며, 바로 이 점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들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점이다.
하나의 예로서 그리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도 2a, 2b, 3에 나타난 첫번째 변형 실시예가 다시 취해졌으며, 본 도면에서 참조번호(65a, 65b)들은 노즐의 내벽면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흡입관(63a, 63b)의 차단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2a, 2b, 3의 내벽면(1a, 1b)에서 행해지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판(66)의 기계적 지지체(67)가 뒤쪽 관에 장치되어졌는데, 이는 판(66)을 유도하고 회전 시에는 판을 강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혹은 청소용 세재 흡입 회로가 판(66)의 내부에 만들어져 있으며 판은 부분적으로 구멍이 뚫려 있다. 그 형태는 균열이나 구멍(62)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청소면과 접촉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분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공기는 판 내부에서 두 개의 내벽면 사이나 혹은 구멍(62)들을 통해 지나가면서 수평으로 구멍의 축 쪽으로 방향을 잡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공기는 양탄자의 깊은 부위까지 파고들며, 양탄자의 접근하기가 힘든 부분, 즉 청소하기가 어려운 부분인 바닥 부분에까지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공기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위치에 위해 설정된 방향을 잡게되는데, 이로 인해 좀더 덜 제한적인 방법으로 공기 유입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형태(하나 혹은 다수의 공기 유입구, 여러개의 구멍 등) 및 공기 유입구의 통행 부위의 선택을 통해 순환공기 에너지를 모을 수 있게 된다. 이 공기 에너지는스크래퍼 블레이드 수준에서 판의 극단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을 보이며, 또한 양탄자에 붙어 있는 먼지를 떼어내기 위해 양탄자 바닥에서도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판(66)에는 수직축 방향으로 나있는 구멍(6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들은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수준에서 판(66)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는 흡입관이 차단되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측면으로부터 뿌려진 공기와 먼지를 수거하게끔 해주는 측면에서의 먼지 흡입을 생성해내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한 변형예에 따르면,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는 사면의 실현, 구멍 형성, 털 혹은 뾰족부위의 첨가 등으로 인해 평평하지 않은 양태를 나타낸다. 이처럼 공기는 청소면 수준에서 직접적으로 구멍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데, 이 때 양탄자를 빗질하는 듯한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구멍의 존재를 통해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좀더 쉽게 양탄자 속으로 파고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큰 쓰레기" 유형의 청소물을 흡입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개방부(70)으로, 도 3에서는 개방부(11)로 표시된 부위를 통해 양탄자 털 사이에 있지 않고 그 위에 있으며, 스크래퍼 블레이드 아래로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쓰레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노즐은 청소면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공기순환 방식으로 흡입관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 개방부를 보유하게 되는데, 상기 흡입 개방부는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없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형태를 통해, 본 장치에 의한 양탄자 면의 깊은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진공 흡입과 크고 작은 쓰레기 사이에 공동작용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한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 노즐은 유통관 내에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게끔 해주는 메카니즘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조절 가능성을 통해 적용되는 다양한 양탄자 유형에 스크래퍼 블레이드를 한정시킬 수 있을 것이며, 게다가 공장에서 목적지 국가에 따라서 노즐을 한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편리성을 통해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동일한 노즐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길이의 판을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 변형 실시예로는, 판은 고정된 채 장착되며, 차단 수단들은 밸브 같은 이동성 부속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부속들의 이동은 노즐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기계적 혹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진다. 이러한 제어방식은 로봇 유형의 자율 청소기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데, 그 경우 로봇의 정보 및 전후로의 이동 제어장치가 장비되어진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판은 특정 공기 유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0)

  1.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흡입관(2, 23a, 23b, 33a, 33b, 43a, 43b, 63a, 63b, 83a, 83b)에 공기순환식으로 연결된채 노즐(20, 60, 80, 100) 이동 방향에 비스듬히 놓여져 있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통통로(4, 4a, 4b)를 장착하고 있으며, 유통통로에 평행한 상태로 이에 인접한 채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될 수 있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 블레이드(9b)를 장착하고 있으며, 또한 유통통로의 차단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 차단장치를 통해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관의 앞쪽에 위치하게끔 되는 방향으로 노즐이 이동할 때 개방되며, 노즐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관이 폐쇄되는 진공청소기 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블레이드(9b)는 청소되는 면에 접촉 시 노즐(20, 60, 80, 100) 이동 방향(F1, F2)에 따라 이쪽 저쪽으로 움직이며, 또한 인접한 관을 차단하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하나의 판(6, 22a, 22b, 32a, 32b, 46, 56, 66, 86)이 관에 평행한 축(8, 28a, 28b, 38a, 38b, 48, 58, 68, 8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축을 통해 상기 판은 긁는 역할을 하는 하부 스크래퍼 블레이드(9b)와 흡입관의 상부 차단 밸브(9a)로 구분되며, 또한 상기 축은 유통통로의 입구 쪽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차단 밸브는, 관의 앞쪽과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1a, 1b, 29a, 29b, 39a, 39b, 57)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4. 제 3항에 있어서, 판(6, 22a, 22b, 32a, 32b, 46, 56, 66, 86)의 축(8, 28a, 28b, 38a, 38b, 48, 58, 68, 88)이 상기 판 높이의 1/10 혹은 1/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5. 제 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래퍼 블레이드(9b)는 차단밸브가 한쪽 지주(1a, 1b, 29a, 29b, 39a, 39b, 57)에 맞닿게 되었을 때 1-5 밀리미터 사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6. 제 3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6, 22a, 22b, 32a, 32b, 46, 56, 66, 86)의 축(8, 28a, 28b, 38a, 38b, 48, 58, 68, 88)이 두 부위로 나뉘어지는 관의 중간 부분에 배열되며, 이 때 차단밸브 부위는 관의 앞쪽과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에 맞닿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7. 제 3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유통통로가 상호 통하게되고, 판(22a, 22b, 32a, 32b)의 축(28a, 28b, 38a, 38b)은 인접한 두 개의 관 사이에 배열되며, 차단밸브 부위는 앞쪽 관의 앞쪽과, 뒤쪽 관의 뒤쪽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주에 맞닿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8. 제 7항에 있어서, 노즐은 노즐(20, 60, 80, 100)의 이동방향(F1, F2)에 따라서 노즐의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9. 제 8항에 있어서, 노즐의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 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앞쪽과 뒤쪽 유통통로 쪽으로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기울어진 형태로 비대칭을 만들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0. 제 8항에 있어서, 노즐의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끝단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은 상기 판의 회전축(58)에 비해 볼 때 판(56)이 중심에서 벗어남으로서 실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46, 56, 66)이 청소되는 표면으로 개방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흡입관(47a, 47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2. 제 1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흡입관(47a, 47b)은 판 두께 내에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3. 제 11항에 있어서, 2차 날(42a, 42b)은 중앙판(46, 56)에 연계되어 있고, 상기 날(42a, 42b)은 각각 상기 판(46, 56)의 양쪽에서 흡입관(47a, 47b)을 조절하면서 판의 양쪽에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4. 제 13항에 있어서, 2차 날(42a, 42b)의 형태는 보충부속과 연계되거나 혹은 연계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지며, 이는 판(46, 56)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앞쪽 혹은 뒤쪽 흡입관들 중의 한 흡입관의 차단을 통해 동시에 차단된 흡입관에 맞대어 있는 공기 유입구 관의 차단을 발생시키기 위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5. 제 1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기가 작동상태에 놓여졌을 때, 흡입관(47a, 47b)이 청소되는 표면으로 공기를 유입하게 해주는 노즐의 외부 혹은 송풍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6. 제 11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관(47a, 47b)은 청소용 세제를 포함하고 있는 용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7. 제 11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관(47a, 47b)은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균열의 형태나 구멍(62)의 형태를 취하면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주(37a, 37b, 39a, 39b, 57)는 판(6, 22a, 22b, 32a, 32b, 46, 56, 66, 86)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내부 보드(1a, 1b, 27a, 27b, 29a, 29b, 45a, 45b, 81a, 81b)와 연계되어 있는 앞쪽 그리고/혹은 뒤쪽 관 내에 위치되었으며, 이는 상기 판의 회전을 한정시키기 위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19. 제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86)과 함께 앞쪽 혹은 뒤쪽 관들 중의 하나를 한정하는 노즐 내벽면이 상기 유통통로를 노즐(80)의 외부에 연결시키거나 혹은 송풍장치에 연결시키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66)에는 상기 판(66)에 수직으로 놓어있는 축 구멍(61)들이 뚫려 있으며, 상기 구멍(61)들은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수준에서 판(66)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이 유통통로와 그리고/혹은 흡입관내에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높이를 조정하게끔 해주는 메카니즘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유통통로가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쪽과 뒤쪽 관의 청소되는 표면과의 접촉면적은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가 비스듬하게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되는 표면과 접촉될 수 있는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극단부에 털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은 노즐(20, 60, 80, 100)의 앞쪽 그리고/혹은 뒤쪽에 위치하며, 그리고/혹은 흡입관 혹은 유통통로의 앞쪽 그리고/혹은 뒤쪽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공기유출 방지통(16a, 16b, 30a, 30b,44a, 44b)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7. 제 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수단은 노즐(20, 60, 80, 100)의 이동용 바퀴(14)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8. 제 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수단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며, 이동 그리고/혹은 회전하며 움직이는 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2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흡입관에 공기순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개방부(11, 70)가 노즐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개방부에는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미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노즐.
  30. 노즐이 제 1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되는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노즐(20, 60, 80, 100)에 의해 종결되어지는 관 내로 공기흡입을 할 수 있게끔 해주는 일단의 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먼지 진공청소기.
KR1020017013867A 1999-04-29 2000-04-18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 KR20020021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5618A FR2792817B1 (fr) 1999-04-29 1999-04-29 Suceur d'aspirateur a lame de reclage
FR99/05618 1999-04-29
PCT/FR2000/001009 WO2000065979A1 (fr) 1999-04-29 2000-04-18 Suceur d'aspirateur a lame de rac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092A true KR20020021092A (ko) 2002-03-18

Family

ID=954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867A KR20020021092A (ko) 1999-04-29 2000-04-18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173085B1 (ko)
KR (1) KR20020021092A (ko)
CN (1) CN1351477A (ko)
AT (1) ATE235182T1 (ko)
AU (1) AU4125900A (ko)
DE (1) DE60001818T2 (ko)
FR (1) FR2792817B1 (ko)
HK (1) HK1045448A1 (ko)
TR (1) TR200103089T2 (ko)
WO (1) WO2000065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180B1 (fr) * 2002-06-03 2004-08-06 Seb Sa Suceur d'aspirateur a dispositif de raclage
FR2856266B1 (fr) * 2003-06-20 2005-09-16 Seb Sa Suceur d'aspirateur
CN100382737C (zh) * 2003-10-30 2008-04-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吸嘴结构
DE102004005144A1 (de) * 2004-02-03 2005-08-1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düse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04006402A1 (de) * 2004-02-10 2005-08-2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düse für einen Staubsauger
CN100417361C (zh) * 2004-03-16 2008-09-10 Lg电子株式会社 吸嘴和具有这种吸嘴的真空吸尘器头
KR100688616B1 (ko) * 2005-09-30 2007-03-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DE102007022256B4 (de) * 2007-05-09 2013-07-25 Miele & Cie. Kg Düse für ein Bodenpflegegerät
GB2468514B (en) 2009-03-12 2012-07-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treating head
AU2010201002B2 (en) 2009-03-20 2014-06-26 Bissell Inc. Vacuum accessory tool
EP2442701B1 (en) 2009-06-17 2016-08-17 Dyson Technology Limited A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2356D0 (en) 2009-07-16 2009-08-26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head
KR101350757B1 (ko) 2009-07-16 2014-01-1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표면 처리 헤드
DE102011077265B4 (de) * 2011-06-09 2023-04-27 BSH Hausgeräte GmbH Saugdüse und Staubsauger
DE102012104706B4 (de) 2012-04-12 2022-09-2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düse mit zwei Saugmündern
GB201302907D0 (en) 2013-02-19 2013-04-03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tool
JP6214682B2 (ja) 2013-02-19 2017-10-18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真空掃除機用具
EP2975992B1 (en) * 2013-03-21 2018-08-08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with sealing edge
KR102163711B1 (ko) * 2013-06-17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청소기
EP3016567B1 (de) 2013-07-02 2020-04-29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auggeräts
GB2522915B (en) 2014-02-10 2016-05-25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tool
JP6485853B2 (ja) * 2014-08-20 2019-03-20 株式会社コーワ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CN105559691B (zh) * 2014-10-09 2018-08-07 康塔有限公司 地面清洁头
NL2013631B1 (en) * 2014-10-14 2016-10-04 D B M Fabriek En Handelsonderneming B V Mouth piece for a vacuum cleaner device, and vacuum cleaner device.
CN104706277B (zh) * 2015-02-04 2017-08-25 苏州德莱电器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的地面清洁头
GB2557092B (en) 2016-02-12 2018-10-31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8099486A1 (zh) * 2016-12-02 2018-06-07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吸水刷头及具有其的干湿吸尘器
CA3051007A1 (en) 2017-03-03 2018-09-07 Shop Vac Corporation Vacuum accessory with blades
CN107321651A (zh) * 2017-06-16 2017-11-07 无锡市京锡冶金液压机电有限公司 气缸清洁枪
DE102017113466A1 (de) * 2017-06-20 2018-12-20 Miele & Cie. Kg Bodendüse für Staubsauger und Staubsauger
EP3427624A1 (en) * 2017-07-14 2019-01-16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DE102018105461A1 (de) * 2018-03-09 2019-09-12 Carl Freudenberg Kg Reinigungsgerät
US11433437B2 (en) * 2018-04-13 2022-09-06 James T. Pierson Coating removal system
CN109222775A (zh) * 2018-09-20 2019-01-18 江苏雨辰柯林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洗地机的吸水机构及洗地机
DE102019103651A1 (de) 2019-02-13 2020-08-13 Alfred Kärcher SE & Co. KG Bodendüse für ein Reinigungsgerät mit Saugfunktion, Reinigungsgerät und Verfahren zum Absaugen eines Bodenbereichs
CN111938524A (zh) * 2019-05-14 2020-11-17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组件和清洁机
CN113384186B (zh) * 2020-03-13 2022-04-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带挡板的表面清洁组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5613A (en) 1958-09-18 1960-12-07 Hoov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uction nozzles
US4275478A (en) * 1979-10-01 1981-06-30 Kohlenberger Raymond W Extractor head for cleaning soft surfaces such as carpet or upholstry
DE4201596C2 (de) 1992-01-22 2001-07-05 Gerhard Kurz Bodendüse für Staubsauger
JPH0810196A (ja) * 1994-06-29 1996-01-16 Minolta Co Ltd 集塵用吸引ノズル
CA2192882C (en) * 1996-01-23 2002-04-16 Shigenori Hato Suction tool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JPH1189759A (ja) * 1997-09-16 1999-04-06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3085A1 (fr) 2002-01-23
EP1173085B1 (fr) 2003-03-26
TR200103089T2 (tr) 2002-05-21
ATE235182T1 (de) 2003-04-15
CN1351477A (zh) 2002-05-29
WO2000065979A1 (fr) 2000-11-09
DE60001818T2 (de) 2003-12-11
FR2792817B1 (fr) 2001-06-29
HK1045448A1 (zh) 2002-11-29
DE60001818D1 (de) 2003-04-30
FR2792817A1 (fr) 2000-11-03
AU4125900A (en) 200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1092A (ko) 스크래퍼 블레이드가 부착된 진공청소기 노즐
EP3454709B1 (en) Cleaner head
US7788765B2 (en)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CN101953665B (zh) 表面处理头
US5647092A (en) Recirculating type cleaner
US20020184730A1 (en)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WO1999033386A1 (fr) Corps d'orifice d'aspiration d'aspirateur et aspirateur comprenant celui-ci
CN207412117U (zh) 地刷及其清洗吸尘机
JP405177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20020076253A (ko) 제 2 흡입구가 있는 코너를 구비한 흡입 부착물
CN102802482A (zh) 真空吸尘器棉绒刷子附件
US20050217065A1 (en)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JP35405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12035127A (ja) 床ブラシ並びに電気掃除機
KR100199956B1 (ko) 전기 소제기
AU2021247958B2 (en) Wet mop module for cleaner
KR100617225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N218684190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CN215534030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JP2001112675A (ja) 掃除機
JPH1170063A (ja) 床用吸込具
JPH0355427Y2 (ko)
JPS5814927Y2 (ja) じゅうたん洗浄掃除機
JP322518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KR100667861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