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804A - 롤형상 외용 부착제 - Google Patents

롤형상 외용 부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804A
KR20020020804A KR1020027001454A KR20027001454A KR20020020804A KR 20020020804 A KR20020020804 A KR 20020020804A KR 1020027001454 A KR1020027001454 A KR 1020027001454A KR 20027001454 A KR20027001454 A KR 20027001454A KR 20020020804 A KR20020020804 A KR 2002002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adhesive
external adhesive
cor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시마노부찌까
다까또리마사히로
쇼호고끼
Original Assignee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도미 히로다카
Publication of KR2002002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7Bandage wi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4Bandag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권심과, 그 외주면에 감긴 외용 부착제로 이루어지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이고, 권심의 양단에 부착되어 롤형상 외용 부착제를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쌍의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권심과 각 사이드 커버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드 커버에 의해 롤의 양단면으로부터의 약효 성분의 일산이 억제되고, 롤의 형상변형 등의 문제가 방지되고, 부착제의 인출과 권취 작업이 쉽고 원활해진다. 또한, 권심 및 각 사이드 커버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효 성분의 이들로의 흡착 및 투과에 따른 손실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롤형상 외용 부착제 {ROLLED EXTERNAL-USE PATCH}
종래부터, 어깨결림, 요통, 근육통, 근육피로, 관절통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외용 부착제가 유통되고 있다. 이 외용 부착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그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점착층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된 피복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정한 사이즈로 성형된 것과 롤형상의 것이 있다.
이들 중,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권심과 그 외주면에 감긴 띠형상의 부착제로 이루어지고, 부착제의 크기를 환부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5-134822 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6-6073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이제의 권심에 종이제의 피복재를 피복한 부착제가 감긴 것과, 피복재 없는 부착제가 감긴 것이 알려져 있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종래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초기의 약효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보존중에 롤의 양단면이 손때 등으로 인해 더럽혀지기 쉬운 점이나, 부착제가 옆으로 어긋나서 권심주위의 부착제의 감긴 부분이 돌출되거나 우묵하게 들어감으로써 롤의 형상이 이른바 죽순 모양이나 주발 모양으로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롤 변형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약효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과제의 요인으로는 롤형상으로 감긴 부착제의 양단면에 점착층 단면이 노출되어 있어, 이 부분으로부터 약효 성분이 외부로 용이하게 일산되어 버리는 점과, 종이제의 피복재나 권심이 약효 성분을 다량으로 흡착하기 쉬워 보존중에 약효 성분이 이것들로 옮겨가서 흡착되는 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커버를 사용하여 롤형상으로 감긴 부착제의 양단면을 덮음으로써, 약효 성분을 점착층내에 유지하는 것과 롤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부착작업도 용이해짐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부착제는 권심과, 그 외주면에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와, 권심의 양단에 부착되어 외용 부착제를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쌍의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권심과 각 사이드 커버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 커버가 외용 부착제의 롤형상으로 감긴 부착제의 양단면을 덮음으로써 롤의 양단면으로의 손때 등과 같은 오염의 부착이 방지되고, 롤의 양단면으로부터의 약효 성분의 일산이 억제되어 롤 양단면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사이드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부착제의 롤로부터의 인출이나 롤에 대한 권취를 원활하면서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권심과 각 사이드 커버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약효 성분의 이것들로의 흡착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각 사이드 커버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심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약효 성분의 이것들로의 흡착이 더욱 억제되게 된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형수지에 비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외용 부착제가 지지체와, 지지체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점착층에 박리가능하게 적층된 피복재를 구비하는 것이고, 이 피복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형(離型)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기술한 사이드 커버 및 권심과 마찬가지로 약효 성분의 피복재로의 흡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가 신축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포,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약효 성분의 지지체로의 흡착 및 투과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용 부착제의 적절한 유연성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외용 부착제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사용부위의 크키에 따라 용이하게 부착제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이 점선구멍의 절단구멍이고, 이 절단구멍의 폭이 1.0 내지 2.0 ㎜, 절단구멍 끼리의 간격이 1.0 내지 1.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절단구멍에 있어서 외용 부착제를 파단할 때의 파단강도가,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7.36 내지 15.24 ㎏f/48 ㎜ 폭이고,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0.76 내지 2.65 ㎏f/48 ㎜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외용 부착제를 편리하게 원하는 크기에 맞춰 쉽게 절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착시나 부착후의 불필요한 절취선의 절단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파단강도」란 JIS K 7113-1981 에 기재되어 있는「인장파괴강도」를 참고로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우선, 외용 부착제를 재단하여 폭 48 ㎜ ×길이 100 ㎜ 의 시험편으로 한다. 여기서, 재단할 때에 이 시험편의 중앙에 미절단의 점선구멍의 절단구멍이 1 개 포함되게 된다. 다음에,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절단구멍에 평행인 변을 파지폭 60 ㎜ 로 세팅하고, 시험편의 각 절단구멍의 중심선과 인장시험기의 파지 중심선이 일직선에 있고, 시험편에 가해지는 힘이 시험편의 절단구멍에 수직으로 가해지도록 하여, 인장속도 500 ±50 ㎜/min 으로 잡아당기고, 시험편이 절단구멍 부분에서 파단되었을 때의 하중을 판독하여 파단강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외용 부착제가 약효 성분으로서 항염증약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기술한 구성재료를 갖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에 의해 점착층으로부터의 휘발성이나 종이재로의 흡착성이 높은 항염증약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권심이 통모양의 형상을 갖고, 각 사이드 커버가 통모양의 권심에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생산한 사이드 커버와 권심을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는 각 사이드 커버가 통모양의 권심에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부를 갖는 경우에, 각 사이드 커버의 끼워맞춤부가 그 측면에 돌출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의 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각 사이드 커버를 통모양의 권심에 끼워넣었을 때에, 각 사이드 커버와 권심의 끼워맞춤을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용 부착제가 권심에 감긴 롤형상 외용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를 구성하는 외용 부착제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띠형상의 부착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 는 각각 절취선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외용 부착제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끼워맞춤부의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한 사이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의 정면도, 도 6B 는 배면도, 도 6C 는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D 는 도 6C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를 통모양의 권심에 끼워맞춘 롤형상 외용 부착제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 은 본 발명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 는 도 1 에서 사용되는 외용 부착제 본체의 기본구성을 확대 개략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형상 외용 부착제 (10) 는 플라스틱제 권심 (20) 과, 이 권심 (20) 의 외주면에 감긴 외용 부착제 (30) 로 이루어지는 외용 부착제 (30) 의 롤 (40) 과, 권심 (20) 의 양단에 부착되어 롤 (40) 의 양단면을 거의 맞닿도록 덮는 한쌍의 플라스틱제 사이드 커버 (50)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용 부착제 (30) 는 지지체 (32) 및 이 지지체 (32)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적층된 점착층 (34) 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및 점착층 (34)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사용시에 벗기기 위해 부착된 피복재 (36) 로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권심 (20) 은 통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권심 (20) 의 구성재료는 플라스틱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낮은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PAN) 등이 바람직하다. PET, PAN 을 재료로 선택하는 것은, 종이재 뿐아니라 일반적인 성형수지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HDPE),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등을 선택하는 것보다 권심 (20) 에 있어서의 약효 성분의 손실을 대폭적으로 억제한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권심 (20) 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권심 (20) 의 길이는 롤 (40) 의 폭 (W) 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롤 (40) 의 양단면을 사이드 커버 (50) 로 맞닿기 쉽게 하므로, 롤 (40) 의 양단면으로부터의 약효 성분의 일산방지 및 롤 (40) 의 형상변형의 방지의 관점에서 유효하다. 또한, 권심 (20) 은 무색 또는 착색될 수도 있다.
외용 부착제 (30) 는 띠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외용 부착제 (30) 는 그 띠의 일단이 권심 (30) 의 외표면에 고정되고, 지지체 (32) 의 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심 (30) 에 감겨 있다.
외용 부착제 (30) 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체 (32) 는 신축성을 갖는 편포,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체 (32) 의 구성재료로는 PET 등의 외용 부착제 (30) 에 사용되는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모두 극히 낮은 수지가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럼으로써, 지지체 (32) 에 기인하는 약효 성분의 손실을 사용전은 물론 환부에 붙인 후에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또한, 지지체 (32) 는 적절한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 (32) 의 두께는 0.01 ㎜ 내지 5 ㎜ 가 바람직하다. 지지체 (1) 의 두께가 0.01 ㎜ 미만이면 취급성이 악화되어 주름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5 ㎜ 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부착시에 위화감이 생기고 또한 물리적인 자극이 부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점착층 (34) 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을 상온에서 피부표면에 장시간 고정할 수 있는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효 성분을 함유하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층 (34) 의 약효 성분으로는 경피흡수성을 갖는 약물이라면 되고, 예컨대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L-멘톨,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페르비낙, 플루르비프로펜, 피록시캄, 록소프로펜나트륨, 이부프로펜피코놀, 디클로페낙나트륨 등의 소염 또는 진통약으로 대표되는 항염증약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타 약효 성분으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살리실산디펜히드라민, 디페닐이미다졸, 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약, 리도카인, 테트라카인, 염산디부카인, 디부카인, 아미노벤조산에틸, 염산프로카인, 프로카인 등의 국소마취약, 염산부테나핀, 비포나졸, 질산옥시코나졸, 클로트리마졸, 질산에코나졸, 질산미코나졸, 톨나프테이트 등의 항진균약과, 아세트산히드로코르티존, 길초산베타메타존, 프레드니졸론, 아세트산덱사메타존, 플루드록시콜티드, 프로피온산베타메타존, 플루오시노니드, 할시노니드 등의 부신피질 호르몬약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복재 (36) 는 점착층 (34) 의 전체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박리필름이다. 이 피복재 (36) 는 사용시에는 박리되지만, 외용 부착제 (30) 의 본체를 사용하기 전에, 점착층 (34) 의 전체면을 덮어 점착층 중의 약효 성분이나 수분의 일산을 방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유연성, 신축성이 높은 부착제 본체 (32) 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피복재 (36) 의 구성재료는 이축연신 PET 필름 등의 외용 부착제 (30) 에 사용되는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모두 극히 낮은 성형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같은 구성재료를 선택함으로써, 피복재 (36) 에 기인하는 약효 성분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복재 (36) 의 두께는 25 ㎛ 내지 120 ㎛ 가 바람직하고, 50 ㎛ 내지 1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피복재 (36) 의 두께가 25 ㎛ 미만이면 부착제에서 박리할 때에 벗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120 ㎛ 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권심 (20) 에 원활하게 감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복재 (36) 는 무색 또는 착색될 수도 된다.
도 3 은 롤 (40) 에서 인출된 띠형상의 외용 부착제 (30) 의 일부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용 부착제 (30) 에는 절취선 (60) 이 형성되어 있다. 이「절취선」이란 외용 부착제 (30) 에 점선구멍가공 또는 랜싱가공 등을 실시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 3 은 점선구멍의 절취선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그럼으로써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손으로 쉽게 외용 부착제 (30) 를잘라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부착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4A 내지 도 4E 는 각각 절취선 (60) 을 따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외용 부착제 (30) 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절취선 (60) 은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32) 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32) 로부터 피복재 (36) 에 걸쳐 관통되어 있는 것이 사용상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지지체 (32) 에만 절취선을 형성하면, 부착제 (30) 에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자를 때에 부착제 (30) 가 늘어나서 잘라낸 자리와 그 주변에 오염이 부착되기 쉽고, 부착제 본체를 붙인 후에 피복재 (36) 만 남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같이 절취선으로서 부착제 (30) 에 점선구멍가공이 실시되는 경우, 이 절취선 (60) 끼리의 간격 (62)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는 부착제의 사이즈를 부착부위의 사이즈에 맞춰 어느 정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절취선 (60) 끼리의 간격 (62) 이 100 ㎜ 를 초과하면 원하는 부착부위 뿐아니라 그 주변의 불필요한 부위에도 부착제를 붙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외용 부착제 (30) 를 원하는 부착부위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 절취된 부착제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절단되지 않은 점선구멍의 절취선 (60) 을 통상 수개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절단구멍의 폭 (64) 이 1.0 내지 2.0 ㎜, 절단구멍 끼리의 간격 (66 ; 이음매의 폭) 이 1.0 내지 1.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선구멍의 절단구멍 (60) 에있어서 외용 부착제를 파단할 때의 파단강도가,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7.36 내지 15.24 ㎏f/48 ㎜ 폭이고,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0.76 내지 2.65 ㎏f/48 ㎜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단구멍의 폭 (64) 이 1.0 ㎜ 미만에서는 이음매의 폭 (66) 에 대해 절단구멍의 폭 (64) 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절단구멍 (60) 의 절단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절단성」이란 점선구멍의 절단구멍 (60) 에 있어서 용이하게 외용 부착제를 절단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정도를 나타낸다. 한편, 절단구멍의 폭 (64) 이 2.0 ㎜ 를 초과하면 이음매의 폭 (66) 에 대해 절단구멍의 폭 (64) 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다음과 같은 2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즉, 첫번째 문제점은 원하는 크기로 절취한 외용 부착제 (30) 에 있어서의 미절단의 절단구멍 (60) 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사용직전에 피복재 (36) 를 박리할 때나 사용후에 부착부위로부터 사용이 끝난 외용 부착제 (30) 를 박리할 때에 불필요하게 파단되는 경향이 커지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점은 부착중에도 미절단의 절단구멍 (60) 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부착부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파단되거나 또는 파단되지 않더라도 절단구멍의 부위가 부착부위로부터 들뜨는 경향이 커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각 문제점에 대해 전자를「불필요한 파단」, 후자를「절단구멍 벌어짐」이라 하여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음매의 폭 (66) 에 대해 절단구멍의 폭 (64) 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절단구멍 (30) 을 잘라낸 자리에 오염이 부착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음매의 폭 (66) 에 관해서도 절단구멍의 폭 (64) 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절단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향이 커지고,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불필요한 파단 및 절단구멍 벌어짐이 두드러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절단성, 절단구멍 벌어짐 및 불필요한 파단의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로서 전술한 파단강도를 사용한 경우, 파단강도가 상기 기술한 각 하한치 미만이면 절단구멍 벌어짐과 불필요한 파단이 발생하는 경향이 커지고, 상기 기술한 각 상한치를 초과하면 절단성에 지장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선구멍의 절단구멍 (60) 의 바람직한 형성조건하에서 제작된 외용 부착제 (30) 는 부착부위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부착제 (30) 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고,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성이 양호하며, 절단구멍 벌어짐, 불필요한 파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B 의 절취선 (60) 의 형성양식의 변형예로서 도 4C 및 도 4D 에 나타내는 지지체의 일방 또는 양방에 약간의 두께를 남겨 랜싱을 넣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약간의 두께」란 사용시에 있어서 부착제 (30) 를 절취할 때에 부착제 (30) 를 약간 굴곡시키거나 랜싱의 양측으로부터 가볍게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절취될 정도의 두께를 나타낸다. 부착제 (30) 는 권심 (20) 에 지지체 (32) 측을 외측으로 하여 감기므로, 특히 도 4C 및 도 4D 의 양식으로 할 경우에, 절취선의 단면에 기인하는 약효 성분의 손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같은 양식은 특히 휘발성이 매우 높은 약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이 같이 절취선으로서 랜싱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랜싱선으로서는 도 4A, 도 4C 내지 도 4E 등의 양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 경우「약간의 두께」를 바람직한 크기로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점선구멍의 절단구멍과 동일한 양호한 절단성을 실현할 수 있고, 절단구멍 벌어짐 및 불필요한 파단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플라스틱제 사이드 커버 (5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볼록부 (끼워맞춤부) 가 형성된 판체이고, 이 볼록부 (끼워맞춤부) 를 통모양의 권심 (20) 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하여 권심 (20) 의 양단에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커버 (50) 는 권심 (20) 에 끼워짐과 동시에 볼록부 (끼워맞춤부) 주변의 면을 롤 (40) 의 단면과 거의 맞닿게 한다. 그럼으로써, 롤 (40) 의 단면이 사이드 커버로 덮여지므로, 롤 (40) 의 양단면으로부터의 약효 성분의 일산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롤 (40) 의 형상변형과 손때 등으로 인한 오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도 사이드 커버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외용 부착제 (30) 의 인출이나 권취가 용이해진다.
사이드 커버 (50) 의 구성재료는 플라스틱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낮은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PAN 이 바람직하다. PAN 을 재료로서 선택하는 것은 종이재 뿐아니라 일반적인 성형수지인 HDPE, PP 등을 선택하는 것보다, 사이드 커버 (50) 에 있어서의 약효 성분의 손실을 대폭적으로 억제하는 점에서 유효하다.
그리고, 사이드 커버 (50) 의 외경 (R) 은 롤 (40) 의 롤 외경 (r ; 도시하지 않음) 이상의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이 하면 롤 (40) 의각 단면의 전면을 덮을 수 있어, 약효 성분의 일산을 억제하는 점에서 유효하다. 또한, 사이드 커버 (50) 는 롤 (40) 의 형상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하기 위해 자신이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도록 구성재료에 맞춘 적절한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형상 부착제 (10) 의 사용방법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롤형상 부착제와 동일하다. 먼저 한쪽 손으로 롤형상 부착제 (10) 를 잡고, 롤 (40) 로부터 부착제 (30) 를 다른 쪽 손의 손가락으로 집어 인출한다. 이 때에, 사이드 커버 (50) 가 롤 (40) 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부착제 (30) 의 띠의 측단부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롤 (40) 에서 부착제 (30) 를 원활하게 똑바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롤형상 부착제 (10) 를 잡고 있는 손가락은 사이드 커버가 있기 때문에 점착층 (34) 의 노출된 롤 (40) 의 단면에 닿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이 부분이 손때 등으로 더렵혀지는 문제점은 없다. 또한, 부착제 (30) 에는 피복재 (36) 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부착제 (30) 에는 적절한 강성이 있어, 인출시에 다소의 큰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지지체 (32) 가 늘어나서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도 없다.
다음에, 인출된 부착제 (30) 의 띠를 환부의 크기에 맞춰 절단한다. 이 때, 부착제 (30) 의 지지체 (32) 및 피복재 (34) 에는 전술한 절단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절단구멍 벌어짐이나 불필요한 파단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랜싱가공되어 있으므로, 크기를 조절하여 커터 또는 가위 등의 절단기가 없더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다음에, 절취한 부착제 (30) 를 약간 굴곡시켜, 점착층 (34) 에 박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피복재 (36) 의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점착층 (34) 에서 들뜨게 한다. 이 들뜬 피복재 (36) 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 피복재 (36) 의 일부를 점착층 (34) 으로부터 박리한다.
다음에, 피복재 (36) 를 박리한 부착제 (30) 의 본체를 환부에 붙인다. 피복재 (36) 의 일부를 점착층 (34) 에서 박리한 경우에는 부착제 (30) 의 점착층 (34) 이 노출된 부분을 원하는 환부에 우선 붙이고, 이 붙인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나머지의 피복재 (36) 를 서서히 박리하여 부착제 (30) 를 붙인다. 또, 미리 피복재 (36) 의 전부를 점착층 (34) 에서 박리한 후, 부착제 (30) 의 본체를 환부에 붙여도 된다.
마지막으로 롤 (40) 에서 인출된 부착제 (30) 의 미사용부분을 롤 (40) 에 권취한다. 이 때, 인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커버 (50) 가 인출된 부착제 (30) 의 띠의 측단부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가이드의 역할을 하므로, 부착제 (30) 를 깨끗하면서도 쉽게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사용으로 인한 롤 (40) 의 형상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부착된 부착제는 절단구멍 벌어짐이나 불필요한 파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랜싱가공되어 있으므로 부착중에는 물론 사용후에 박리할 때에도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롤형상 부착제 (10) 는 보존중에 있어서, 롤 (40) 의 양단면이 한쌍의 사이드 커버 (50) 에 의해 거의 맞닿도록 덮여 있으므로, 약효 성분이 롤 (40) 의 측단면에서 외부로 일산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롤 (40) 의 형상변형이방지되어 있다. 또한, 롤형상 부착제 (10) 는 사이드 커버 (50) 를 비롯하여 점착층 (34) 이외의 각 구성부재가 모두 약효 성분의 흡착성 및 투과성이 매우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존중의 약효 성분의 구성부재로의 흡착 및 투과에 따른 손실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그럼으로써, 롤형상 부착제 (10) 는 초기의 약효 성분량이 거의 저하되지 않고 보존되어 있다. 예컨대 롤형상 부착제 (10) 는 휴대하여 들고 다니거나 할 때에 비교적 온도가 높은 환경에 놓여져도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롤 (40) 의 형상변형이나 오염, 약효의 저하가 거의 없고, 또한 필요시에 사용부위의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여기서는 통모양의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제 권심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통모양이 아닌 봉모양일 수도 있다. 또한 권심과 사이드 커버가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한, 권심과 사이드 커버는 약효 성분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외표면이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어 있으면, 내부는 금속, 목재, 종이재, 세라믹스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사이드 커버를 사용한 외용 부착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외용 부착제에 사용하는 사이드 커버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하 도 5,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를 갖는 사이드 커버가 그 끼워맞춤부의 측면에 돌출부를 더 가질 수도 있다.
도 5 는 끼워맞춤부 (520) 의 측면에 4 개의 돌출부 (540) 를 형성한 사이드커버 (500) 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 는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 (500) 의 정면도, 도 6B 는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 (500) 의 배면도, 도 6C 는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 (500)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D 는 도 6C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사이드 커버 (500) 를 통모양의 권심 (400) 에 끼워맞춘 롤형상 외용 부착제 (100) 의 사시도이다. 이 같이, 끼워맞춤부 (520) 의 측면에 돌출부 (540) 를 구비함으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사이드 커버를 통모양의 권심 (400) 에 끼워넣었을 때에, 권심 (400) 의 내측면과 맞닿은 각 돌출부 (540) 가 권심 (400) 의 내측면을 내측으로부터 가압하므로, 각 사이드 커버 (500) 와 권심 (400) 의 끼워맞춤이 보다 확실하고 강고해진다. 그리고, 이 돌출부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이드 커버와 권심의 끼워맞춤을 확실하고 강고하게 할 수 있다면 돌출부의 수는 1 개라도 좋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고 본 발명의 롤형상 부착제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권심으로서 PET 제의 원통 (외경 ; 27.7 ㎜, 높이 ; 48.0 ㎜) 을 사용한다. 또한, 외용 부착제로서 지지체와 점착층과 피복재의 3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폭 ; 48.0 ㎜, 길이 ; 3.0 m, 3 층을 합친 두께 ; 0.72 ㎜ 의 소염진통 부착제를 사용한다. 이 소염진통 부착제의 지지체로는 PET 제의 박막 (두께 ; 550 ㎛), 점착층으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약효 성분으로서 살리실산 글리콜 (함유량 ; 5.0 g/㎡) 을 함유하는 박층 (두께 ; 90 ㎛), 피복재로는 PET 제의 박막 (두께 ; 75 ㎛) 을 사용한다. 사이드 커버로는 PAN (미쯔이 카가꾸 가부시끼사이샤 제조, 제크론) 제이고, 중앙부에 권심의 원통내에는 끼워넣을 수 있는 볼록부를 갖는 원형상의 것 (커버의 외경 ; 60 ㎜, 두께 ; 0.3 ㎜) 을 사용한다. 그리고, 권심에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고, 권심의 외표면에 신축성 부착제를 감아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2
권심을 PAN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3
사이드 커버를 PET 제, 권심을 HDPE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4
사이드 커버를 PET 제, 권심을 PP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5
사이드 커버를 PET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6
사이드 커버를 PET 제, 권심을 PAN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7
권심을 HDPE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8
권심을 PP 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9
약효 성분으로서 인도메타신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10
약효 성분으로서 케토프로펜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11
약효 성분으로서 페르비낙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12
약효 성분으로서 플루르비프로펜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13
약효 성분으로서 록소프로펜나트륨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실시예 14
약효 성분으로서 디클로페낙나트륨 (함유량 ; 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1
사이드 커버를 PET 제, 권심을 종이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2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지 않는 것과, 권심을 종이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3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지 않는 것과, 권심을 HDPE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4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지 않는 것과, 권심을 PP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5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비교예 6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지 않는 것과, 권심을 PAN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를 제작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6 의 롤형상 부착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는 2 가지 시험을 실시한다.
〈약효 유지성 평가시험〉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6 의 롤형상 부착제를 알루미늄제의 약봉지에 넣어 온도 40 ℃, 상대습도 75 % 의 환경조건하에서 보존하고, 점착층내의 약효 성분의 감소량을 알아보는 가속시험을 실시하고, 6 개월 경과후에 약효 성분인 살리실산 글리콜의 잔존량을 정량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초기 함유량에 대한 잔존량의 비율로서 나타낸다. 그리고, 이 가속시험의 조건하에서, 약효 성분의 초기 성분량에 대한 잔존량의 비율이 6 개월에 걸쳐 95 wt% 이상 유지되면 통상의 사용조건, 즉 실온에서 그 약효를 3 년간 보증할 수 있다는 기준이 있다.
이들 샘플의 시험결과를, 4 ; 95 wt% 이상, 3 ; 90 wt% 이상 95 wt% 미만, 2 ; 85 wt% 이상 90 wt% 미만, 1 ; 85 wt% 미만으로 한 평가기준에 따라 표 1 에 나타낸다.
〈사용시의 편의성 평가시험〉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6 에 나타낸 샘플을 20 명의 어깨결림이나 근육통을 호소하는 사용자에게 1 주일 정도 자유롭게 사용하게 하고, 보존중의 부착제의 옆으로 미끄러짐이나 사용중에 부착제의 인출과 권취를 반복함으로써 생기는 이른바 죽순 모양, 주발 모양 등의 롤의 형상변형,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의 양단면이 오염되는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평가를 얻는다.
이들 샘플의 시험결과를, 2 ;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음, 1 ; 문제점이 발생, 의 평가기준에 따라 표 1 에 나타낸다.
사이드 커버 권심 약효 유지성 평가 사용시의 편의성 평가
실시예 1 PAN PET 4 2
실시예 2 PAN PAN 4 2
실시예 3 PET HDPE 3 2
실시예 4 PET PP 3 2
실시예 5 PET PET 3 2
실시예 6 PET PAN 3 2
실시예 7 PAN HDPE 3 2
실시예 8 PAN PP 3 2
비교예 1 PET 종이 1 2
비교예 2 없음 종이 2 1
비교예 3 없음 HDPE 2 1
비교예 4 없음 PP 2 1
비교예 5 없음 PET 3 1
비교예 6 없음 PAN 3 1
표 1 에 나타낸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 의 플라스틱제 사이드 커버와 플라스틱제 권심을 구비한 본 발명의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는 약효 성분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롤의 형상변형이나 손때 등으로 인한 오염의 부착이 방지되고, 또한 롤로부터의 부착제의 인출이나 권취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사이드 커버를 PAN 제, 권심을 PET 제 또는 PAN 제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1, 2 에 나타내는 롤형상 소염진통 외용 부착제는 온도 40 ℃, 상대습도 75 % 의 환경조건하에서 초기의 약효 성분량에 대한 6 개월 경과후의 약효 성분 잔존량의 비율이 95 %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럼으로써, 이 외용 부착제의 약효는 실온에서 3 년간 유효하게 유지될 수 있음이 보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 의 외용 부착제는 종래의 것에 비해 사용시 및 보존시에 있어서의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의 양단면의 오염, 롤의 형상변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점선구멍 가공에 의한 절취선을 형성한 경우의 사용시 편의성 평가시험〉
상기 기술한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외용 부착제에 표 2 에 나타내는 절단구멍 폭 및 이음매 폭을 갖는 점선구멍 가공을 실시하여 샘플 1 내지 12 를 각각 제작한다.
이들 샘플 1 내지 12 를 폭 48 ㎜ ×길이 100 ㎜ 의 시험편으로 하고,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술한 조건하에서 점선구멍 (절취선) 에 있어서의 파단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파단강도는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 피복재가 피복되어 있는 경우와 피복재가 박리된 경우의 양방에 대해 측정한다.
또한, 이들 샘플 1 내지 12 를 20 명의 사용자에게 7 일간 사용하게 하여 그 사용시의 편의성 (전술한「절단성」,「불필요한 파단」,「절단구멍 벌어짐」) 에 관한 평가를 얻는다.
샘플 1 내지 12 의 파단강도의 측정값과 사용성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그리고, 사용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절단성」에 대해서는
2 ; 부착제를 점선구멍에 있어서 용이하게 손으로 절단할 수 있고, 절단구멍의 단면이 깨끗하여 실용상 지장 없음,
1 ; 부착제를 점선구멍에 있어서 용이하게 손으로 절단할 수 없어, 절단구멍의 단면이 깨끗하지 못하여 실용상 지장 있음,
「불필요한 파단」에 대해서는
2 ; 사용직전에 피복재를 박리할 때나, 사용이 끝난 부착제를 피부에서 박리할 때에 미절단의 절단구멍에 불필요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
1 ; 사용직전에 피복재를 박리할 때나, 사용이 끝난 부착제를 피부에서 박리할 때에 미절단의 절단구멍에 불필요한 파단이 발생함,
「절단구멍 벌어짐」에 대해서는
2 ; 사용중에 부착부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미절단의 절단구멍에 불필요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음,
1 ; 사용중에 부착부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미절단의 절단구멍에 불필요한 파단이 발생함,
점선구멍 사양 파단강도(㎏f/48 ㎜ 폭) 사용시의 편의성 평가
샘플 절단구멍 폭(㎜) 이음매 폭(㎜) 피복재 있음 피복재 없음 절단성 불필요한파단 절단구멍벌어짐
1 4.0 1.0 3.80 0.50 2 1 1
2 3.0 1.0 5.26 0.63 2 1 1
3 2.0 1.0 7.36 0.76 2 2 2
4 1.8 1.0 11.00 0.91 2 2 2
5 1.5 1.0 12.34 1.08 2 2 2
6 1.0 1.0 15.24 1.28 2 2 2
7 0.7 1.0 17.00 1.40 1 2 2
8 2.0 0.7 3.43 0.47 2 1 1
9 2.0 1.0 7.36 0.76 2 2 2
10 2.0 1.2 10.05 1.50 2 2 2
11 2.0 1.5 12.90 2.65 2 2 2
12 2.0 1.7 16.20 3.69 1 2 2
표 2 에 나타낸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제에 점선구멍의 절단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절단구멍의 폭이 1.0 내지 2.0 ㎜, 절단구멍끼리의 간격이 1.0 내지 1.5 ㎜ 인 것, 절단구멍에 있어서 외용 부착제를 파단할 때의 파단강도가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7.36 내지 15.24 ㎏f/48 ㎜ 폭이고,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0.76 내지 2.65 ㎏f/48 ㎜ 폭이면, 외용 부착제를 문제없이 원하는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성이 양호하고, 부착중이나 부착후의 불필요한 절취선의 절단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형상 부착제에 따르면,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의 옆으로 미끄러짐 방지와,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의 양단면으로의 오염 부착 방지, 보존중의 약효 성분 손실의 억제와, 부착제의 원활한 인출과 권취가 달성되므로, 롤의 변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약효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권심과,
    상기 권심의 외주면에 롤형상으로 감긴 외용 부착제와,
    상기 권심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외용 부착제의 양단면을 양측으로부터 덮는 한쌍의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권심과 상기 각 사이드 커버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커버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권심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 부착제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에 박리가능하게 적층된 피복재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피복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형(離型) 필름인 롤형상 외용 부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 부착제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체가 신축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포, 직포 또는 부직포인 롤형상 외용 부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 부착제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이 점선구멍의 절단구멍이고, 상기 절단구멍의 폭이 1.0 내지 2.0 ㎜, 상기 절단구멍끼리의 간격이 1.0 내지 1.5 ㎜ 이고, 상기 절단구멍에 있어서 상기 외용 부착제를 파단할 때의 파단강도가, 상기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7.36 내지 15.24 ㎏f/48 ㎜ 폭이고, 상기 외용 부착제에 피복재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0.76 내지 2.65 ㎏f/48 ㎜ 폭인 롤형상 외용 부착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 부착제가 약효 성분으로서 경피흡수성을 갖는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흡수성을 갖는 약물이 항염증약인 롤형상 외용 부착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이 통모양의 형상을 갖고, 상기 각 사이드 커버가 통모양의 상기 권심에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부를 갖고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커버의 끼워맞춤부가 그 측면에 돌출부를 더 갖고 있는 롤형상 외용 부착제.
KR1020027001454A 1999-08-10 2000-08-10 롤형상 외용 부착제 KR20020020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26657 1999-08-10
JP22665799 1999-08-10
JPJP-P-2000-00019050 2000-01-27
JP2000019050A JP5334346B2 (ja) 1999-08-10 2000-01-27 ロール状外用貼付剤
PCT/JP2000/005367 WO2001012165A1 (fr) 1999-08-10 2000-08-10 Timbre a usage externe enro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804A true KR20020020804A (ko) 2002-03-15

Family

ID=2652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454A KR20020020804A (ko) 1999-08-10 2000-08-10 롤형상 외용 부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50922A1 (ko)
JP (1) JP5334346B2 (ko)
KR (1) KR20020020804A (ko)
CN (1) CN1189164C (ko)
BR (1) BR0013109A (ko)
WO (1) WO2001012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2821B8 (en) * 2002-06-12 2011-05-04 Lead Chemical Co. Ltd. Liner for sticking plaster
JP4490971B2 (ja) * 2004-07-14 2010-06-30 マイコール株式会社 発熱体
JP4769575B2 (ja) * 2005-12-28 2011-09-07 帝國製薬株式会社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143653A1 (ja) * 2009-06-12 2010-12-16 ニチバン株式会社 ロール状医療用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29127A1 (ja) * 2010-08-31 2012-03-08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JP5384730B2 (ja) * 2010-08-31 2014-01-08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体シート
JP2019024743A (ja) * 2017-07-27 2019-02-21 ライオン株式会社 貼付剤及び貼付剤の剥がれ抑制方法
CN117159064A (zh) * 2020-12-05 2023-12-05 彭志军 一种无缝线巴痕热收缩式伤口闭合医用片材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79Y2 (ja) * 1979-03-19 1984-06-28 ニチバン株式会社 貼り薬
JPS5919689Y2 (ja) * 1979-09-29 1984-06-07 ニチバン株式会社 貼り薬
JPS57111822U (ko) * 1980-12-25 1982-07-10
JPS61108257U (ko) * 1984-12-21 1986-07-09
DE4341444C2 (de) * 1993-12-04 1996-03-14 Lohmann Therapie Syst Lts Wirkstoffhaltiges Pflas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9315976A (ja) * 1996-05-29 1997-12-09 Nitto Denko Corp 経皮投与用製剤
JPH1072353A (ja) * 1996-08-29 1998-03-17 Sekisui Chem Co Ltd スタノゾロール含有経皮吸収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7685A (zh) 2002-09-04
EP1250922A1 (en) 2002-10-23
BR0013109A (pt) 2002-07-02
JP5334346B2 (ja) 2013-11-06
JP2001114672A (ja) 2001-04-24
WO2001012165A1 (fr) 2001-02-22
CN1189164C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773B2 (en) Peelable pouch for transdermal patch and method for packaging
JP4129519B2 (ja) 医療用接着包帯の供給システム
KR950005865B1 (ko) 첩부제
US6093465A (en) Self-adhesive laminate
WO2012029831A1 (ja)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US20080312574A1 (en) Dressing Provided With a Thin Film Applicator
CA2210224A1 (en) Self-adhesive laminate
KR20020020804A (ko) 롤형상 외용 부착제
JPH09154933A (ja) 医療用粘着テ−プ及び救急絆創膏
JPS6340548A (ja) 創傷用ドレッシング、その製法と用途
US20100247613A1 (en) Dressing Modified to Receive Medicine
JP3002772B2 (ja) 貼付剤及びその製造法
KR20060052452A (ko) 접착 제제
JP2014104350A (ja) 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7885B2 (ja) 医療用粘着テープ
JP2837337B2 (ja) 貼付剤
JP3180221U (ja) 定形型テーピングテープ
JP2004344389A (ja) 創傷保護剤の製造方法
US20020069958A1 (en) Application devices
JPH07308339A (ja) 無菌創傷用パッキング
JPH0613821U (ja) 医療用テープ
TWI267488B (en) External patch roll
CA1256772A (en) Bandage for the topic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amounts of nitroglycerin ointment
JPH1160474A (ja) 貼付剤用支持体
JP3460092B2 (ja) 軟膏剤系貼付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