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536A -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536A
KR20020019536A KR1020027000655A KR20027000655A KR20020019536A KR 20020019536 A KR20020019536 A KR 20020019536A KR 1020027000655 A KR1020027000655 A KR 1020027000655A KR 20027000655 A KR20027000655 A KR 20027000655A KR 20020019536 A KR20020019536 A KR 2002001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drum
rotary drum
rotating drum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겐지
Original Assignee
무라마쯔 요시히로
니이가타 엔지니어링 코.,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마쯔 요시히로, 니이가타 엔지니어링 코.,엘티디. filed Critical 무라마쯔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2002001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5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7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mixing, stirring or convey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mounted to the wall, rotating with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골재의 건조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회전 드럼의 길이를 짧게 하여 골재 건조장치의 소요 설치면적을 작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재생 골재용 드럼과 신골재용 드럼을 일직선상에 결합한 회전 드럼이 지지대에 롤러를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드럼은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1.5∼2.5의 범위로 설정되고, 내부에 주방향과 축방향으로 다수의 플라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이트의 골재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플라이트 부재는 골재가 밀어 되돌려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각 플라이트 부재의 측변부에는 플라이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고, 각 플라이트 부재에 의해 퍼올려져 낙하하는 골재의 낙하막이 균일하게 되어, 열풍과의 접촉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AGGREGATE DRYER FOR ASPHALT PLANT}
아스팔트 플랜트는 포장도로의 시공 장소 가까이에 설치되어, 제조된 아스팔트 합재를 신속하게 포장기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소요 설치면적이 크기 때문에 좁은 토지에는 설치할 수 없고, 설치장소가 제한되어, 포장도로의 시공 장소 가까이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최근, 아스팔트 플랜트는 아스팔트 합재의 신합재를 제조하는 설비 이외에 재생 합재나 배수성 합재를 제조하는 부가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그 소요 설치면적도 한층 커지고 있으므로, 점점 설치장소의 선택이 곤란해지고 있다.
종래, 아스팔트 플랜트 구성장치의 배치에 주목하여, 가능한한 소요 설치면적을 좁게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기 구성장치중 큰 소요 설치면적을 점유하는 본체 믹싱 타워와 골재 건조장치(드라이어)에 대해서는 장치 배치의 연구만으로는 특히, 상기 부가설비를 구비한 아스팔트 플랜트에 대해 소요 설치면적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었다.
아스팔트 플랜트의 구성 장치중에 골재 건조장치는 장척의 원통형상의 회전드럼을 그 길이방향 가로로 하여 배치되는 것이므로, 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면, 그만큼 자체 소요 설치면적을 작게할 수 있는 이외에 골재 건조장치에 골재를 공급하는 골재 호퍼와의 사이의 거리도 짧게 되어, 전체적으로 소요 설치면적을 양호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의 골재 건조장치는 골재가 회전 드럼내에서 플라이트에 의한 상측방에의 퍼올림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버너에 의한 연소 가스로 건조 가열는 것으로, 회전 드럼의 길이(L)는 회전 드럼내의 골재 체류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아스팔트 합재의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건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회전 드럼의 작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로서, 실용상 3.0∼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골재의 체류시간(T)은 T= k× L/(D×Sd×N)(k:계수, Sd: 회전 드럼의 경사, N: 회전 드럼의 회전수)의 식으로 주어지고,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회전 드럼의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L/D)를 작게 하면, 상기 식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골재의 체류시간(T)이 그에 비례하여 짧아져, 골재의 소요 건조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때문에, 종래의 골재 건조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드럼의 직경에 대한 길이 비(L/D)를 상기 설정 범위보다 작게 할 수 없고, 그 설치면적을 작게 하여 아스팔트 플랜트의 소요 설치면적을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는 지지대에 경사진 축주위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내부에 주방향과 축방향에 따라 다수의 플라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이 회전 드럼의 내부에 공급된 골재를 상기 플라이트에 의해 회전 드럼의 하부에서 퍼올려 상부에서 낙하시키고, 회전 드럼의 축방향에 따라 그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해 이송하면서, 회전 드럼내에 이송된 열풍에 의해 상기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그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를 1.5∼2.5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이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1.5∼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드럼은 그 용적을 일정하게한 경우에, 종래의 것에 비해 길이(L)를 짧게 하여 직경(D)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문에, 플라이트에 의해 퍼올려진 골재가 회전 드럼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영역(골재의 낙하막의 폭)이 넓게 되어, 회전 드럼의 길이(L)가 짧아도, 골재의 열풍에 대한 접촉이 양호하게 행해져, 소요 건조도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드럼의 길이(L)가 짧은만큼 골재 건조장치의 평면적(소요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본 발명은 신골재, 포장도로의 개발에 의해서 생긴 포장 폐재(재생골재)를 건조 가열시키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계통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X-X 단면도,
도4는 도3의 Y선에서 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요부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계통도,
도7은 본 발명의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와 종래의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 평면적의 비교도,
(A)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 평면도,
(B)는 종래의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도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A)를 도시한다.
이 골재 건조장치(A)는 재생 골재용 드럼(제1의 회전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제2의 회전 드럼)(2)을 구비하고, 이들이 동축선상에 위치하여 직렬로, 또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회전 드럼(3)과, 재생 골재용 드럼(1)의 일단부와 타단부(도1, 2에서 좌단부와 우단부)에, 각각, 재생 골재용 드럼(1)을 둘러싸도록 설치한 콜드 매니폴드(4) 및 핫 호퍼(5)와, 신골재용 드럼(2)의 일단부와 타단부(도1, 2에서 좌단부와 우단부)에, 각각, 신골재용 드럼(2)을 둘러싸도록 형성한 콜드 호퍼(6) 및 핫 호퍼(7)와, 핫 호퍼(7)에 형성된 버너(8)와, 재생 골재용 드럼(1)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1)내에 재생골재를 공급하는 재생골재 투입장치(9)와, 신골재용 드럼(2)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2)내에 신골재를 공급하는 신골재 투입장치(10)와, 버너(11)를 구비한 탈취로(12)와, 집진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 드럼(3)은 1개의 원통형상의 드럼이 그 길이 방향의 중앙에 설치된 격벽(3a)에 의해 구획된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측이 높아지도록 축선이 경사져 있다. 그리고, 회전 드럼(3)은 그 외주에 끼워진 철재 링(3b, 3b)이 지지대(14)에 형성된 롤러(15a, 15b)에 실리고, 지지대(14)에 주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14)에는 상기 롤러(15a, 15b)를 통해 회전 드럼(3)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구동장치(1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의 타단측에는 상기 핫 호퍼(5)에 연통하는 관통구멍(h1)이 주방향에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건조 가열된 재생 골재가 핫 호퍼(5)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5a)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신골재용 드럼(2)의 일단측에는 상기 콜드 호퍼(6)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h2)이 주방향에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신골재 투입장치(10)로부터 신골재가 드럼(2)내에 투입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의 내주면에는 각각 재생골재와 신골재를 각 드럼(1, 2)의 하부(g1)로부터 퍼올려 상부(g2)에서 낙하시키는 플라이트(17)가 주방향과 축방향의 각각에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다수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플라이트(17)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재생골재, 신골재의 투입측(각 골재의 이송방향(E)의 상류측), 즉,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각 플라이트 부재(18)가 각 드럼(1, 2)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재생골재, 신골재의 배출측(각 골재의 이송방향(E)의 하류측), 즉,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각 플라이트 부재(19)가 각 골재를 상류측으로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즉, 플라이트 부재(19)는 하류측의 단부(19a)가 상류측의 단부(19b)보다 각 드럼(1, 2)의 회전 방향구측에 선행하도록 경사각도θ(도4 참조)만큼 경사져 있다.
또한, 각 플라이트(17)는 횡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드럼(1, 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플라이트(17)의 한쪽(기단측) 측변부(17a)는 각 드럼(1, 2)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플라이트(17)의 저변부(17b)는 각 드럼(1, 2)의 대략 중심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각 플라이트(17)의 다른쪽(자유단측) 측변부(17c)는 각 드럼(1, 2)의 회전방향(F)에 향해 있다.
그리고, 경사지게 한 각 플라이트 부재(19)의 자유단측 측변부(19c)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긴 다수개의 슬릿(19d)이 상기 길이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진 각 플라이트 부재(19)는 각 드럼(1, 2)의 축방향으로 1군뿐만아니라 다수군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각 군끼리 서로 각 드럼(1, 2)의 회전방향으로 위상을 맞추거나, 밀리게 할 수 있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서서히 경사각도(θ)가 커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 플라이트(17)는 평행한 플라이트(18)를 생략하고, 모든 것을 경사진 플라이트(19)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서서히 경사각도(θ)가 커지도록 한다.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제1 회전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제2 회전 드럼)(2)은 각각 그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1.5∼2.5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비(L/D)가 1.5에 만족하지 않는 범위이면, 각 드럼(1, 2)내가 건조 가열되면서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재생골재나 신골재의 각 드럼(1, 2)내의 체류시간이 너무 짧게 되어, 상기 재생골재나 신골재의 건조도가 아스팔트 합재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비(L/D)가 2.5를 넘는 범위이면, 각 드럼(1, 2)의 길이가 길어지고, 각 드럼(1, 2)의 표면적이 커지며, 벽면에서의 방산열이 많고, 버너에 의한 소비 연료가 증가한다.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로 지름을 다르게 해도 되고, 그 경우에도, 각각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는 상기 범위로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콜드 매니폴드(4)는 상부에 재생골재 투입구(4a)를 형성한 슈트(4b)를 가지고, 단면부에 열풍 도입구(4c)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14)에 고정되고, 상기재생 골재용 드럼(1)의 일단측을 상기 드럼(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여 닫혀 있다.
또한, 상기 핫 호퍼(5)는 하부에 배출구(5a)를 가지고, 상부에 디미스터(demister) 필터(5b)를 가지는 배기상자(5c)가 형성되고, 재생 골재용 드럼(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대(1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콜드 호퍼(6)는 상부에 배기상자(6a)를 가지고, 배기상자(6a)의 측부에 슈트(6b)가 구비되고, 신골재용 드럼(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대(l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핫 호퍼(7)는 하부에 배출구(7a)를 가지고, 단면부에 열풍 도입구(7b)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14)에 고정되어, 상기 신골재용 드럼(2)의 타단측을 상기 드럼(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여 닫혀 있다.
상기 재생골재 투입장치(9)는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기 콜드 매니폴드(4)의 재생골재 투입구(4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골재 투입장치(10)는 벨트 컨베이어(10a), 투입 엘리베이터(10b)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콜드 호퍼(6)의 슈트(6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탈취로(12)는 상기 핫 호퍼(5)의 배기상자(5c)로부터 송풍기(21)와 모터 제어의 댐퍼(22)를 설치한 송기(送氣) 덕트(20)를 통해 배기가스가 도입되고, 버너(11)에서 배기가스중의 잔존 미스트가 연소되게 되어 있다. 또한, 탈취로(12)의 배출구에는 상기 콜드 매니폴드(4)의 열풍 도입구(4c)와 상기 핫 호퍼(7)의 열풍 도입구(7b)가 각각, 개폐 조절 자유롭게 댐퍼(23a, 24a)를 가지는 분기덕트(23, 2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집진장치(13)는 백 필터로 이루어지고, 그 상류측이 상기 핫 호퍼(5)의 배기상자(5c)와 상기 콜드 호퍼(6)의 배기상자(6a)에 개폐 조절 자유롭게 배기 댐퍼(25a, 26a)를 가지는 배기 덕트(25, 2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집진장치(13)의 하류측에는 모터 제어의 댐퍼(27)와 배풍기(28)를 가지는 흡인 덕트(29)에 의해 굴뚝(30)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재생 골재와 신골재를 동시에 건조 가열하는 경우에는 회전 드럼(3)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재생골재 투입장치(9)와 신골재 투입장치(10)를 작동시키고, 다시, 상기 핫 호퍼(7)의 버너(8)와 탈취로(12)의 버너(11)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탈취로(12)로부터의 열풍을 재생 골재용 드럼(1)에, 버너(8)와 탈취로(12)로부터의 열풍을 신골재용 드럼(2)에 각각 이송하면서, 재생골재를 투입구(4a)와 슈트(4b)를 거쳐, 신골재를 슈트(6b)를 거쳐 각각 각 드럼(1, 2)에 투입한다. 각 드럼(1, 2)에 투입된 골재(재생 골재, 신골재)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송되면서 건조 가열되어, 상기 핫 호퍼(5)의 배출구(5a), 상기 핫 호퍼(7)의 배출구(7a)에서 각각 배출된다. 각 골재의 건조가열에 작용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풍기(28)에서 집진장치(13)에 유통시켜 정화하고, 굴뚝(30)으로부터 대기로 방출한다.
상기에 있어서, 재생 골재용 드럼(1)에 그 일단측(상류측)에 투입된 재생골재는 그 내주에 형성되어 있는 플라이트(17)에 의해 재생 골재용 드럼(1)의 하부에서 퍼올려져, 상부에서 낙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순차, 타단측(하류측)을 향해 이송되고, 탈취로(12)로부터의 열풍에 접촉되어 건조 가열된다. 이 때, 상기 플라이트(17)의 하류측에 설치된 플라이트 부재(19)가 상류측으로 재생골재를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재생 골재용 드럼(1)의 하류측에서 재생골재의 하류로 항한 이송 속도가 느리게 되어, 재생 골재용 드럼(1)내에서의 재생골재의 체류시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경사져 있는 상기 플라이트 부재(19)에는 측변부(19c)에 슬릿(19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라이트 부재(19)가 재생 골재용 드럼(1)의 주방향에 따라 상승하는 동안, 재생골재는 저변부(19e)에서 서서히 상류측으로 되돌려지면서, 상기 슬릿(19d)에서 드럼(1)의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재생골재의 낙하막(낙하 분포)이 균일하게 된다.
또한, 드럼(1)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1.5∼2.5의 범위로 설정되어, 드럼(1)의 직경(D)을 크게 설정하여, 상기 재생골재의 낙하막의 폭을 크게할 수 있으므로, 열풍에 대한 재생골재의 접촉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드럼(1)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종래보다 작은 수치 1.5∼2.5의 범위로 설정해도, 아스팔트 합재를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건조도의 재생 골재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골재에 의한 재생골재의 건조 가열과 동시에, 신골재용 드럼(2)에 그 일단의 상류측에 투입된 신골재는 상기 드럼(2)의 회전에 따라 하류측으로 향해 순차 이송되면서 건조 가열되는데, 이 때의 신골재용 드럼(2)내의 신골재의 건조가열 작용은 상기 재생 골재용 드럼(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재생골재를 건조 가열한 미스트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핫 호퍼(5)의 배출상자(5c)의 디미스터 필터(5b)에 미스트분이 제거되고 나서, 배기 덕트(25)를 통과하고, 신골재의 가열 건조에 작용하여 배기 덕트(26)를 흘러 온 배기가스와 합류하여 집진장치(13)에 흡인되어, 분진이 제거된다. 이때문에, 배기가스중의 미스트나 분진이 보다 완전하게 제거되고, 집진장치(13)로서 백 필터가 사용되어도, 그 눈금 막힘이 경감된다.
또한, 상기에서, 댐퍼(22)를 열어 송풍기(21)를 작동시키면, 상기 디미스터 필터(5b)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송기 덕트(20)를 통과해 탈취로(12)의 연소실로 이송되고, 여기서 잔존 미스트가 연소된다. 이로인해, 미스트에 의한 악취 공해가 방지된다.
탈취로(12)에의 배기가스의 순환량은 댐퍼(22)와 배기 댐퍼(25a)의 개폐도의 조정이나 송풍기(21)의 운전속도의 조정에 의해 조절한다. 또한, 탈취로(12)에서 발생한 열풍의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에 대한 분배량은 댐퍼(23a, 24a)의 개폐도의 조정에 의해 조절한다.
또한, 상기에서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의 양쪽을 사용하여, 재생골재와 신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배기 덕트(26)의 배기 댐퍼(26a)와 분기 덕트(24)의 댐퍼(24a)를 닫음과 동시에, 신골재투입장치(10)를 정지시키고, 재생골재를 재생 골재용 드럼(1)에 공급함으로써 재생 골재만을 건조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덕트(25)의 배기 댐퍼(25a)와 각 분기 덕트(23, 24)의 댐퍼(23a, 24a)와 송기 덕트(20)의 댐퍼(22)를 닫음과 동시에, 탈취로(12)의 버너(11)의 작동과 재생골재 투입장치(9)를 정지시키고, 신골재를 신골재용 드럼(2)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신골재만을 건조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B)를 도시한다.
도5의 골재 건조장치(B)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와 같이, 회전 드럼(3)을 재생 골재용 드럼(1)과 신골재용 드럼(2)을 일체로 결합한 것으로 하지 않고, 양 드럼(1, 2)을 별체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재생 골재용 드럼(제1 회전 드럼)(1a)과 신골재용 드럼(제2 회전 드럼)(2a)이 각각 전동기(회전 구동장치)(16a, 16b)에 의해 독립하여 회전 구동되는 롤러(15c, 15d)를 통해 지지대(1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B)에 의하면, 제1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이외, 다음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즉, 재생 골재용 드럼(제1의 회전 드럼)(1a)과 신골재용 드럼(제2의 회전 드럼)(2a)을 독립하여 구동할 수 있으므로, 한쪽 드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그 드럼의 운전을 멈추고, 다른쪽 드럼의 단독 운전으로 작업을 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드럼으로 보수 점검, 수선 등을 하는 사이에, 다른쪽 드럼에서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골재 건조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수선시에 드럼을 교환할 때, 개개의 드럼은 길이가 짧으므로,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B)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골재용 드럼(1a)과 신골재용 드럼(2a)을 그들 축선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재생 골재용 드럼(1a)과 신골재용 드럼(2a)을 독립하여 구동하는데 있어서는 반드시 그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다. 양 드럼(1a, 2a)의 축선을 각각, 경사방향이 같고 경사각도가 동일 또는 다른 2개의 선상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경사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경사각도가 동일 또는 다른 선상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경우에는 경사에 의해 높은 위치가 되는 각 드럼(1a, 2a)의 단부측에 골재(재생골재, 신골재)의 투입구를, 낮은 위치가 되는 단부측에 골재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높은 위치측에서 낮은 위치측으로 골재가 이송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C)를 도시한다.
도6의 골재 건조장치(C)는 재생 골재용 드럼(제1의 회전 드럼)(1b)과 신골재용 드럼(제2의 회전 드럼)(2b)을 각각의 지지대에 지지하고, 아스팔트 플랜트에 병설하도록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 B)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C)에 의하면,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 B)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이외,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재생 골재용 드럼(1b)과 신골재용 드럼(2b)의 배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 B, C)에 의하면, 재생 골재용 드럼(제1의 회전 드럼)(1, 1a, 1b)과 신골재용 드럼(제2의 회전 드럼)(2, 2a, 2b)의 적어도 한쪽이 회전 드럼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를, 종래의 골재 건조장치보다 작은 수치인 1.5∼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골재 건조장치의 회전 드럼(3)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그만큼 골재 건조장치의 소요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드럼의 표면적이 작아지고, 드럼 외벽면에서의 방산열이 감소되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고가대(高架臺)상에 골재 건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대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소형화를 도모하여, 제작비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드럼의 직경 D= 2.1m, 길이 L= 8m의 종래의 신골재용 드럼(드럼 용적 27.7㎥)에 대해, 드럼 용적을 동일하게 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을 회전 드럼의 직경 D= 2.6m로 설정하면, 길이 L= 5.2m, L/D= 2.0으로 되고, 회전 드럼의 길이(L)가 종래보다 2.8m만큼 짧아진다. 또한, 종래의 회전 드럼의 표면적 52.8㎡에 대해, 본원 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의 표면적은 42.5㎡로 되고, 종래비에서 약 19.5% 감소된다. 이 표면적의 감소분이 드럼벽에서의 방열 감소에기여하고, 실제 운전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보다 5∼10%의 열효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7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B)를 아스팔트 플랜트에 설치한 경우(도7(A))의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면적(S1)과, 종래의 재생 골재용 드럼과 신골재용 드럼을 각각의 지지대에 지지한 골재 건조장치를 아스팔트 플랜트에 병설한 경우(도7(B))의 골재 건조장치의 설치면적(S2)을 비교한 것이다.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는 종래의 골재 건조장치에 비해 설치면적을 대폭 감소(약 40%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7에서, 2y는 종래의 건조 가열장치의 재생 골재용 드럼, 31은 아스팔트 플랜트의 믹싱 타워, 32는 재생골재의 저장장치, 33은 재생 골재용 드럼(2y)에 부착한 연소실이다. 그 밖의 부호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골재 건조장치(A, B)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회전 드럼(3)의 내부에는 재생골재 또는 신골재를 그 이송방향의 상류측으로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플라이트(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드럼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종래보다 작게 설정되어도, 재생골재 또는 신골재의 회전 드럼(3)내에서의 체류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아스팔트 합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소요의 건조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신골재 드럼(회전 드럼의 직경 D= 2.1m, 길이 L= 8m, L/D= 3.8)과 상기 본원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회전 드럼의 직경 D= 2.6m, 길이 L= 5.2m, L/D= 2.0)을 실제로 운전하여, 회전 드럼내의 골재의 체류시간(T), 골재의 건조도(건조후 골재의 잔류 함수비)(w)를 비교한 바, 종래의 신골재 드럼에 있어서 T= 180∼210초, w= 0.05% 인데 대해, 본원 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에 있어서 T= 218초, w= 0.02∼0.06%로 되고, 본원 발명에 의한 신골재용 드럼은 그 회전 드럼의 L/D가 종래의 것보다 작은데도 불구하고, 골재의 체류시간, 건조도에 있어서 종래의 것에 손색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회전 드럼(3)이 재생 골재용 드럼(1, 1a, 1b)과 신골재용 드럼(2, 2a, 2b)을 구비하고, 재생골재와 신골재의 양쪽 혹은 그들 한쪽을 건조 가열하여 구성했는데, 재생 골재용 드럼, 신골재용 드럼의 한쪽만을 구비하고, 재생골재, 신골재의 한쪽만을 단독으로 건조 가열하는 골재 건조장치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골재 건조장치의 소요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직경(D)에 대한 길이(L)의 비(L/D)가 1.5∼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드럼은 그 용적을 일정하게 한 경우에, 종래의 것에 비해 길이(L)를 짧게 하여 직경(D)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플라이트에 의해 상부에 퍼올려진 골재의 낙하막의 폭을 넓게 할 수 있어, 회전 드럼의 길이가 짧아도 골재의열풍에 대한 접촉을 양호하게 행하게 해, 소요의 건조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의 길이가 짧은만큼 골재 건조장치의 소요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플랜트를 그 설치장소의 선택에 제약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9)

  1. 지지대에 경사진 축주위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내부에 주방향과 축방향에 따라 다수의 플라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이 회전 드럼의 내부에 공급된 골재를 상기 플라이트에 의해 회전 드럼의 하부에서 퍼올려 상부에서 낙하시키고, 회전 드럼의 축방향에 따라 그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향해 이송하면서, 회전 드럼내에 이송된 열풍에 의해 상기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그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1.5∼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는 각 플라이트 부재의 기단측이 회전 드럼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자유단측을 회전 드럼의 대략 중심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길이방향이 회전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배치되어 있고, 골재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한 플라이트 부재가 그 길이방향을 회전 드럼의 축선 방향에 대해, 골재를 상류측으로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플라이트 부재는 그 자유단측에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향한 측변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변부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다수의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재생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1 회전 드럼과 신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2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제1, 제2 회전 드럼은 각각의 축선을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직렬로, 또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재생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1 회전 드럼과 신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2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제1, 제2 회전 드럼은 축선 방향으로 마주 향하도록 직렬로 배치되고, 상호 독립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에는 버너를 구비한 탈취로가 병설되고, 상기 제1 회전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상기 탈취로에서 연소되고, 상기 제1 회전 드럼과 제2 회전 드럼의 적어도 한쪽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로는 그 연소 가스의 배출구가 개폐 자유로운 댐퍼를 가지는 분기 덕트를 통해 각각 상기 제1 회전 드럼과 제2 회전 드럼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재생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1 회전 드럼과 신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2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제1, 제2 회전 드럼은 각각의 축선을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직렬로 또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재생 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1 회전 드럼과 신골재를 건조 가열하는 제2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제1, 제2 회전 드럼은 축선 방향으로 마주 향하도록 직렬로 배치되며, 상호 독립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장치.
KR1020027000655A 2000-05-17 2001-05-15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 KR20020019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45497 2000-05-17
JP2000145497A JP2001323408A (ja) 2000-05-17 2000-05-17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骨材乾燥装置
PCT/JP2001/004009 WO2001088272A1 (fr) 2000-05-17 2001-05-15 Séchoir de granul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36A true KR20020019536A (ko) 2002-03-12

Family

ID=1865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55A KR20020019536A (ko) 2000-05-17 2001-05-15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1323408A (ko)
KR (1) KR20020019536A (ko)
CN (1) CN1380920A (ko)
TW (1) TW482884B (ko)
WO (1) WO20010882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5B1 (ko) * 2006-05-10 2007-04-09 주식회사 티비엠 폐아스콘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255B2 (ja) * 2005-03-11 2011-04-27 日工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リサイクルプラント
JP4724466B2 (ja) * 2005-05-27 2011-07-13 日工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JP4741361B2 (ja) * 2005-12-15 2011-08-03 株式会社Nippo 再生用ドライヤ
EP2281946B1 (en) 2009-07-09 2011-12-07 Ammann Italy S.p.A. Rotary drier for plants for the production of bituminous macadams with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PT2281945E (pt) * 2009-07-09 2012-02-15 Ammann Italy S P A Cilindro de secagem do tipo para instalações de produção de macadames betuminosos
CN102128542B (zh) * 2011-04-18 2012-08-22 深圳市圳驰科技有限公司 干混砂浆生产过程中对湿骨料的回流干燥装置及方法
CN104499404A (zh) * 2014-12-18 2015-04-08 无锡华中科技有限公司 具有止退轮的烘干筒机构
JP6508998B2 (ja) * 2015-03-25 2019-05-08 日工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CN106012762B (zh) * 2016-06-30 2018-05-18 长治县玉通机械设备有限公司 基于立式加热和尾气回收助燃的沥青路面材料再生方法和装置
CN110205902B (zh) * 2019-07-16 2024-03-08 四川瑞欣供应链管理集团有限公司 一种防粘型逆流式热再生烘干滚筒
FR3099496B1 (fr) * 2019-07-31 2021-08-20 Total Marketing Services Dispositif de séchage et centrale d’enrobag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séchage
CN114294918A (zh) * 2021-12-31 2022-04-08 覃建婷 一种节能环保烘干系统
CN115077221A (zh) * 2022-06-10 2022-09-20 樊文华 一种矿石加工用的矿石原料安全烘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5502A (ja) * 1988-06-14 1989-12-20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US5664882A (en) * 1996-04-04 1997-09-09 Cedarapids, Inc. System for concurrently remediating contaminated soil and producing hot mix asphalt
JP2001020212A (ja) * 1999-07-12 2001-01-23 Niigata Eng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5B1 (ko) * 2006-05-10 2007-04-09 주식회사 티비엠 폐아스콘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8272A1 (fr) 2001-11-22
CN1380920A (zh) 2002-11-20
JP2001323408A (ja) 2001-11-22
TW482884B (en) 200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9536A (ko)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건조 장치
US3976018A (en) Dryer system
KR101162920B1 (ko)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화 시키기 위한 건조장치
US6672751B2 (en) Counter-flow asphalt plant with combustion zone feed and exhaust gas heater
SE463825B (sv) Direkteldad cylindertorkare samt anvaendning av en saadan torkare
US3025611A (en) Drier with straight and sawtooth lifters
CN201173667Y (zh) 滚筒式干燥装置
US4402302A (en) Air heating apparatus
KR910002661B1 (ko) 곡류건조장치
KR10218028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105819657B (zh) 直接进风式污泥干化装置和方法
US1876025A (en) Drying apparatus and process
CN106017035A (zh) 一种用于蒙脱土加工的三层网带式烘干机
EP0206069A2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KR20060117617A (ko) 폐기물 건조장치
CN113615856A (zh) 一种烘干设备
WO1991005213A1 (en) High turndown rotary dryer flights
CN2555643Y (zh) 一种单层白肋烟烘烤机
CN206648441U (zh) 一种高效散纤维烘干机
JP2001020212A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CN220288100U (zh) 一种燃料玉米烘干机输送装置
CN217303494U (zh) 一种用于膨化饲料生产的网带式烘干机
CN215898845U (zh) 一种烘干机的滚筒
KR970005014Y1 (ko) 건조기의 건조장치
WO1983001672A1 (en) Automated wood combus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