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469A -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469A
KR20020019469A KR1020017016513A KR20017016513A KR20020019469A KR 20020019469 A KR20020019469 A KR 20020019469A KR 1020017016513 A KR1020017016513 A KR 1020017016513A KR 20017016513 A KR20017016513 A KR 20017016513A KR 20020019469 A KR20020019469 A KR 2002001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printed wiring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597B1 (ko
Inventor
모치다카즈히사
토가사키카츠미
모리타카츠미
마수타니유수케
카메다히로지
세키구치노보루
시마다미노루
토야마토시오
코가아키히로
이노우에미츠오
아베카쯔히로
요네모토테츠야
이시하라켄지
아오키쉰지
마츠모토후미오
아라이타카노리
나오시마히사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component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44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by metal f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87Multiple station assembly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6Means to apply magnetic force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1)은, 인쇄장치(3), 실장장치(4), 리플로장치(5)의 각 장치로 이루어진다. 실장시스템(1)은, 프린트 배선기판(2)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한다. 기판(2)의 양면에, 동시에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고, 랜드에 전자부품(10)을 실장하고, 납땜을 행한다. 실장시스템(1)의 소형화와, 실장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System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
종래,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랜드에는, 크림땜납이 스크린 인쇄에 의해 인쇄된다. 이 크림땜납의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장치(300)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301)을 넘어뜨린 수평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302)와, 이 반송기구(302)에 의해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30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스크린기구(303)와, 이 스크린기구(303)에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301)에 압출하는 스키지기구(304)를 갖춘다. 프린트 배선기판(301)의 랜드는, 우선, 한쪽 면이 스크린기구(303)와 대향하도록 반송되고,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되었을 때, 스크린기구(303)가 근접되고, 이어서, 스키지기구(304)가 도 41 중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크림땜납이 프린트 배선기판(301)측에 압출되는 것으로, 크림땜납이 인쇄된다.
프린트 배선기판(301)의 다른쪽 면에 설치된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데는, 우선, 프린트 배선기판(301)의 다른쪽 면이 스크린기구(303)와 대향하도록 반전된다. 이어서, 랜드에는 한쪽 면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데에 사용한 인쇄장치(300)에 의해, 동일한 방법에 의해 크림땜납이 스크린 인쇄된다. 또, 같은 인쇄장치(3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린기구(303)가 다른쪽 면에 맞는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기구(303)에 교환된 후, 크림땜납이 랜드에 스크린 인쇄된다.
이상과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301)의 양면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데는, 각 면용으로 인쇄장치(300)를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이 때문에,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더욱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프린트 배선기판(301)의 각 면에 대하여, 크림땜납의 인쇄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더욱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술과 같이,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401)에는, 도 4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장시스템(400)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의 실장이 행해진다. 이 실장시스템(400)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401)의 랜드에 스크린인쇄에 의해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인쇄장치(402)와, 크림땜납이 랜드에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401)에 전자부품(403)을 실장하는 실장장치(404)와, 전자부품(403)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401)을 가열하여 땜납을 용융하는 데에 전자부품(403)을 납땜하는 리플로장치(405)를 갖춘다. 이 전자부품(403)의 실장시스템(400)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401)이 수평한 상태, 즉 반송기구에 누워진 상태로 순차 반송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기판(401)은, 도 42 중 상단의 인쇄장치(402), 실장장치(404) 및 리플로장치(405)에 의해 제 1면에 전자부품(403)이 실장되고, 이어서, 반전되어 도 42 중 하단의 인쇄장치(402), 실장장치(404) 및 리플로장치(405)에 의해 제 2면에 전자부품(403)이 실장된다.
이상과 같이, 실장시스템(400)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401)의 제 1면에 전자부품(403)을 실장하기 위해, 인쇄장치(402), 실장장치(404) 및 리플로장치(405)가 필요하고, 또, 프린트 배선기판(401)의 제 2면에 전자부품(403)을 실장하기 위해 같은 하게, 인쇄장치(402), 실장장치(404) 및 리플로장치(405)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는, 실장시스템(400)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401)의 제 1면에 전자부품(403)의 납땜이 종료한 후, 다시 프린트 배선기판(401)을 반전시키는 반전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장시스템(400)에서는, 더욱 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실장시스템(400)에서는, 더욱 전자부품(403)의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다음에,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은, 땜납리플로장치를 사용하여 납땜이 행해진다. 전자부품의 납땜을 행하는 리플로장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수평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열하고, 랜드에 인쇄된 크림땜납을 용융하는 리플로로와, 상기 리플로로내를 가열하는 가열기구를 갖춘다. 가열기구는, 수평상태로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상하에서 가열하기 위해, 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각 주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은, 우선, 한쪽 면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이후, 리플로장치에 반송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기판은, 리플로장치의 리플로로내에서 가열됨으로써, 랜드의 크림땜납이 용융되고, 이어서 냉각됨으로써 전자부품이 납땜된다. 한쪽 면에 전자부품이 납땜된 프린트 배선기판은, 반전되어 다른 쪽 면의 랜드에 크림땜납이 인쇄되고, 이어서, 랜드에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재차, 프린트 배선기판은, 리플로장치에 반송된다. 프린트 배선기판은, 리플로장치의 리플로로내에서 가열됨으로써, 다른쪽 면의 랜드의 크림땜납이 용융되고, 이어서 냉각됨으로써 전자부품이 납땜된다.
이상과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데는, 리플로장치에 의해 납땜공정을 2회 행할 필요가 있고, 납땜공정의 더욱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이상과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납땜을 행하는 경우에는, 각 면용으로 리플로장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이 때문에,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더욱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종래, 전자부품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장치는, 수평한 상태, 즉, 넘어진 상태로 반송되고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에 대하여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는, 우선, 프린트 배선기판의 한쪽 면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이어서, 이 프린트 배선기판을 땜납시킨 후, 프린트 배선기판의 다른쪽 면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데는, 각 면씩 전자부품을 실장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전자부품의 실장공정의 더욱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이상과 같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는, 각 면용으로 실장장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이 때문에,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더욱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장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인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인쇄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반송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는, 반송암을 이동조작하는 이동조작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반송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반송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그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크린기구와 이것에 설치된 스키지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스키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스키지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스키지홀더에 설치된 롤링보조암과 크림땜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스키지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스크린의 휘어짐량과 반송기구를 구성하는 지지편의 두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스키지의 접동속도가 다를 때의 프린트 배선기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스키지기구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인쇄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도통검사장치의 검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프린트 배선기판이 서로 인접하는 실장기구에 걸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실장장치를 구성하는 반송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반송기구를 구성하는 반송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반송기구의 동작을 동작순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장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부품유지기구가 부품공급부의 전자부품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흡인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부품유지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장기구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대형의 전자부품을 실장기구에 공급하는 부품공급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장기구의 위치결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장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전자부품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임시 멈춤하는 접착제 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워크의 양면에서 부품을 비스멈춤하는 부품부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리플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리플로로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7은, 리플로로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리플로로내의 온도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39는, 냉각블록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리플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1은, 종래의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2는, 종래의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이 갖는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의 실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크림땜납의 인쇄공정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고, 이 랜드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납땜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전체의 소형화 및 전자부품의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신규의 전자부품 실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전자부품의 납땜을 행하고,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납땜공정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리플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전자부품의 실장을 행하고,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전자부품의 실장공정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인쇄장치에 의해 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랜드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장치와, 실장장치에 의해 전자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열하고, 전자부품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납땜하는 리플로장치를 갖춘다. 프린트 배선기판은, 인쇄장치, 실장장치, 리플로장치의 순으로 반송되는 사이,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된다. 즉, 인쇄장치, 실장장치, 리플로장치는,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되고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땜납을 인쇄하고, 이어서,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땜납을 용융고체화하는 것으로 납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은, 인쇄장치에 의해 랜드에 납땜을 행하기 전, 인쇄장치에 설치된 검출기구에 의해 랜드위치 데이터가 생성되고, 실장장치는, 이 랜드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한층 명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에 설치된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인쇄장치(3)와, 이 인쇄장치(3)에 의해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전자부품(10)을 실장하는 실장장치(4)와, 전자부품(10)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납땜하는 리플로장치(5)를 갖춘다.그리고, 이 실장시스템(1)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반송된다. 세워진 상태로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은, 우선,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인쇄장치(3)에 의해 크림땜납이 양면 동시인쇄되고, 이어서, 실장장치(4)에 의해 전자부품(10)이 양면 동시실장이 되고, 이어서, 리플로장치(5)에 의해 양면 동시에 전자부품(10)의 납땜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실장시스템(1)은, 인쇄장치(3), 실장장치(4), 리플로장치(5)의 순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을 세운상태로 반송함으로써, 크림땜납의 동시인쇄, 전자부품(10)의 양면 동시실장, 전자부품(10)의 양면 동시납땜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실장시스템(1)은, 종래와 같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각 면용에 인쇄장치, 실장장치, 리플로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각 장치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고,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전자부품의 부착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크림땜납의 인쇄에서 전자부품(10)의 납땜에 이르기까지, 프린트 배선기판(2)은 세워진 상태로 반송되므로, 종래와 같이 눕힌 상태로 반송하는 경우와 같이 전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자부품(10)의 실장시스템(1)을 구성하는 인쇄장치(3)와, 실장장치(4)와 리플로장치(5)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린트 배선기판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인쇄장치(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장치이고, 프린트 배선기판(2)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11)와, 반송기구(11)에 지지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기 위한 스크린기구(12)와, 스크린기구(12)에 공급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압출하는 스키지기구(13)와, 스키지기구(13)를 스크린기구(12)에 접동시키도록 이동시키는 구동기구(14)를 갖춘다.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는 반송기구(11)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프린트 배선기판(2)의 상대향하는 측연부를 결합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6, 17)을 가진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6, 17)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두께와 대략 같은 두께의 베이스판(18)의 양면에 지지편(19, 20)을 설치하고, 단면 대략 ゴ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2)의 하측 측연부를 결합지지하는 가이드레일(17)은,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용 레일로서 기능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상측 측연부를 결합지지하는 가이드레일(16)은, 반송용의 가이드레일(17)에 프린트 배선기판(2)을 억누르는 기판누름용 레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16, 17)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 17)과 직교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 22)에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6)이, 이들 지지부재(21, 22)에, 지지부재(21, 22)와 평행한 방향, 즉 도 4a 중 화살표 A방향 및 반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6)은, 이것을 도 4a 중 화살표 A방향 및 반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23, 24)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부(23, 24)는 동기하여 구동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용의 가이드레일(17)에 억누를 때, 지지부재(21, 22)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6)을 도 4 중 a 중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프린트 배선기판(2)의 삽탈을 행할 때, 구동부(23, 24)는, 지지부재(21, 22)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6)을 도 4 중 a 중 반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기구(11)는, 가이드레일(16, 17)에 결합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을 이동조작하는 이동조작기구(26)를 가진다. 이 이동조작기구(26)는,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암(27)과, 이 반송암(27)에 설치되고, 프린트 배선기판(2)에 설치된 결합공(6b)에 결합되는 반송핀(28)과, 반송암(27)을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인 도 5 중 화살표 B방향 및 반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29)를 갖춘다. 여기서, 구동기구(29)는, 반송암(2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1)와, 구동모터(32, 33)와, 구동모터(32, 33)에 결합된 무단(無端)벨트인 구동벨트(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공(6b)은,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의 프린트 배선기판(2)의 하측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암(27)은, 가이드레일(16, 17)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일단부가 기본대(35)에 부착되어 있고, 이 기본대(35)는, 가이드부재(31)에 설치된 가이드부(36)에 결합되어 있다. 또, 이 반송암(27)에 설치된 반송핀(28)은,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실린더기구(37)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의 결합공(6)에 착탈하는 방향, 즉 도 5 중 화살표 C방향 및 반대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핀(28)은, 프린트 배선기판(2)을반송할 때에 한하여 도 5 중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결합한다.
또, 반송암(27)에는, 구동벨트(34)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32, 33)가 구동되면, 구동벨트(34)가 주행하고, 반송암(27)은 가이드부재(31)에 따라서 도 5 중 화살표 D방향 및 반대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암(27)에는, 반송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기구(38)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기구(38)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상측 측연부에 설치된 위치검출마크(7)를 검출하기 위한 CCD소자(charge-coupled device) 등의 촬상소자를 갖춘 카메라(39)와, 프린트 배선기판(2)의 하측 측연부, 즉 위치검출마크(7)의 대각에 있는 위치검출마크(8)를 검출하기 위한 CCD소자(charge-coupled device) 등의 촬상소자를 갖춘 카메라(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위치검출마크(7, 8)는, 2개의 큰 지름 마크와 2개의 작은 지름 마크가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39)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되면, 위치검출마크(7)를 촬상한다. 이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이 도 6 중 화살표 D방향으로 반송되면, 카메라(40)는 위치검출마크(8)를 촬상한다. 그리고, 이들 카메라(39, 40)로 촬상된 촬상데이터는, 제어부(15)에 공급되고, 제어부(15)는, 이들의 촬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15)는, 카메라(39, 40)에서 공급된 촬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랜드위치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랜드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조정기구(42)의 제 1 내지 제 3모터(43∼45)를 제어한다. 또한, 랜드위치데이터는, 반송기구(121a∼121d)에 의해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기울기를 고려한 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 반송기구(11)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반송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자세, 즉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기구(42)는,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 즉 도 7a 중 화살표 X방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 1모터(43)와, 프린트 배선기판(2)의 지지부재(21)측의 높이, 즉 도 7a 중 화살표 Y방향의 높이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 2모터(44)와, 프린트 배선기판(2)의 지지편(22)측의 높이, 즉 도 7a 중 화살표 Y방향의 높이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 3모터(45)를 갖춘다.
상술한 지지부재(21, 22)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 17)과 평행하게 설치된 기판(46)에 부착되어 있고, 기판(46)에는 지지부재(21, 22)가 설치된 측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지지부재(21, 22)의 높이조정을 하기 위한 조정부재(47, 4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정부재(47, 48)에는, 높이방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 도 7a 중 화살표 Y방향으로 기어부(49, 4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20, 21)가 부착된 기판(46)은, 조정대(51)에 부착된다. 조정대(51)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평판부(52)와, 이 평판부(52)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승벽(53, 54)으로 구성되고, 전체가 대략 ゴ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52)에는, 도 7 중 a 화살표 X방향으로, 조정대(51)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부(55)에는, 고정부재에 부착된 제 1모터(43)의 구동축에 부착된 기어(56)가 맞물려 있다. 평판부(52)의 다른쪽 면에는, 가이드부재(57, 5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재(57, 58)는, 기본대(59)에 도 7a중 화살표 X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레일부(60)에 결합되어 있다. 조정대(51)는, 제 1모터(43)가 구동됨으로써, 레일부(60)에 따라서 도 7a 중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상승벽(53, 54)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a 중 화살표 Y방향으로 기판(4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레일부(61)에는, 기판(46)에 설치된 조정부재(47, 48)가 결합된다. 또, 조정부재(47, 48)에는, 기어부(49)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어부(49)에는, 고정부재에 부착된 제 2 및 제 3모터(44, 45)의 구동축에 부착된 기어(62)가 맞물려 있다. 조정대(51)는, 제 2 및 제 3모터(44, 45)가 구동됨으로써, 레일부(61)에 따라서 도 7a 중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조정기구(42)는, 제 1 내지 제 3모터(43, 44, 45)가 각각 독립으로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검출기구(38)에 의해, 지지부재(22)측이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검출되었을 때에는, 제어부(15)는 제 3모터(45)가 구동하고, 기판(46)의 지지부재(22)측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가, 크림땜납을 인쇄할 때, 반송방향인 도 7a 중 화살표 D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부(15)는 제 1모터(43)를 구동하고, 도 7a 중 반대 화살표 D방향으로 기판(46)을 이동시킨다.
반송기구(11)에 지지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설치된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스크린기구(12, 1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랜드에 대응하여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64, 64)과, 이 스크린(64, 64)이 장가되는 스크린틀(65, 65)을 갖춘다. 이와 같은 스크린기구(12, 12)는, 반송기구(11)에 지지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면과 스크린(64, 64)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64, 64)은, 예를 들면, 메탈스크린이고, 두께가 170∼20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측에 설치된 스크린기구(12, 12)는, 프린트 배선기판(2)에 크림땜납을 인쇄할 때에 한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에 근접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할 때는,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과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스크린기구(12, 1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66, 66)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틀(65, 65)을 지지하는 동시에, 스크린틀(65, 65)을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도 8중 화살표 E방향 및 반대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67, 67)와 구동기구(68, 68)를 가진다. 구동기구(68, 68)는,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69, 69)와, 구동모터(69, 70)에 결합된 무단벨트인 구동벨트(71, 71)로 구성되어 있다.스크린틀(65, 65)은, 구동벨트(71)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모터(69, 69)가 구동되면, 구동벨트(71)가 주행하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틀(65, 65)은, 가이드부재(67, 67)에 따라서 도 8 중 화살표 E방향 및 반대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한쪽의 스크린틀(12, 12)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에 위치결정핀(72)이 설치되고, 다른쪽의 측에 위치결정핀(72)이 결합되는 위치결정오목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핀(72)과 위치결정오목부(73)는, 스크린틀(65, 65)이 서로 근접할 때에, 상대결합하고, 스크린틀(65, 65)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스크린기구(12, 12)에 공급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압출하는 스키지기구(13, 1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기구(12, 12)의 프린트 배선기판(2)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스키지기구(1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기구(12, 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압출하는 제 1스키지(75)과, 스크린기구(12, 1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크림땜납을 압출하는 제 2스키지(76)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스키지기구(13, 13)의 상세를 설명하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기구(12, 12)에 공급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압출하는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와,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가 부착되는 스키지홀더(77, 78)와, 스키지홀더(77, 78)에 부착된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를 스크린(64, 65)에 대하여 근접 이간시키는 실린더기구(79,8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는, 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는, 스크린(64, 64)과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의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의 이동방향측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스키지홀더(77, 78)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는, 확실히 스크린(64, 64)에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압출할 수 있다.
또, 스키지홀더(77, 78)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에 근접한 위치에서, 스크린(64, 64)에 근접한 위치, 예를 들면 5mm떨어진 위치에, 스크린(64, 64)에서 크림땜납을 압출할 때, 크림땜납(9)이 롤링하도록 하는 롤링보조암(81)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롤링보조암(81)이 없을 때, 크림땜납(9)은, 자중에 의해 하편으로 흐르는바, 이 롤링보조암(81)을 설치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롤링하고, 제 1 및 제 2스키지(75, 76)에 의해 스크린(64, 64)의 반대측에 확실히 압출되도록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스키지(75)가 부착된 스키지홀더(77)에는, 상술한 구동기구가 되는 실린더기구(79)가 설치되고, 제 2스키지(76)가 부착된 스키지홀더(78)에는, 실린더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키지기구(13, 13)가, 도 12 중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때, 실린더기구(80)는 온으로 되고, 제 1스키지(7)를 스크린(64, 64)에 근접하는 도 12 중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크림땜납을 압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때, 실린더기구(79)는, 오프인 상태에 있고, 스크린(64, 64)에서 이간한 도 12 중 반대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또, 스키지기구(13, 13)가 도 12 중 아래에서 위로 이동할 때, 실린더기구(80)는, 온이 되고, 제 2스키지(76)를 스크린(64, 64)에 근접하는 도 12중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크림땜납을 압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때, 실린더기구(79)는, 오프인 상태에 있고, 스크린(64, 64)에서 이간한 도 12 중 반대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즉,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각 면의 같은 위치를 각 스크린기구(12, 12)에 설치된 제 1스키지(75, 75) 혹은 제 2스키지(76, 76)가 가압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인쇄시에 기울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중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 스크린(64, 64)은, 제 1스키지(75) 혹은 제 2스키지(76)가 도 11 중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고, 크림땜납을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측에 압출할 때, 제 1스키지(75) 혹은 제 2스키지(76)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휘어 변형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면에 밀착한다. 이 때, 스크린(64, 64)은, 프린트 배선기판(2)을 지지하고 있는 반송기구(11)의 가이드레일(16, 17)을 협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 17)을 구성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을 지지하는 지지편(19, 20)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스크린(64, 64)은, 제 1스키지(75) 혹은 제 2스키지(76)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도, 프린트 배선기판(2)에 밀착하지 않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량 영역에 크림땜납을 인쇄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기구(11)를 구성하는 지지편(19, 20)은, 종래 170∼200㎛이었던 두께를 80㎛정도로 하고, 휘어서변형한 스크린(64, 64)이 프린트 배선기판(2)에 확실하게 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스키지기구(13, 13)를 스크린(64, 64)에 대하여 접동시킬 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크린기구(12, 12)에 설치된 제 1스키지(75, 75) 혹은 제 2스키지(76, 76)가 다른 스피드로 이동되면,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면의 다른 위치에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기울여지게 되어, 크림땜납을 확실하게 인쇄할 수 없게 된다.
스키지기구(13, 13)를 스크린(64, 64)에 접동시키는 구동기구(1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84)와, 이 구동모터(84)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기구(85)와, 구동모터(84)가 구동됨으로써 구동전달기구(85)를 거쳐서 스키지기구(13)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86, 87)를 갖는다. 구동모터(84)에는, 구동축에 피니온기어(88)가 부착되어 있고, 이 피니온기어(88)는, 구동전달기구(85)에 접속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84)는, 스크린기구(12, 12)에 설치된 스키지기구(13, 13)를 스크린(64, 64)에 대하여 접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된다. 이동부재(86)에는, 한쪽의 스키지기구(13)를 구성하는 스키지홀더(77)가 부착되고, 이동부재(87)에는, 다른쪽의 스키지기구(13)를 구성하는 스키지홀더(78)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모터(84)의 구동축에 부착된 피니온기어(88)가 접속된 구동전달기구(85)는, 샤프트(83)를 가지며, 이 샤프트(83)는 중앙부에, 구동모터(84)의 구동축에 부착된 피니온기어(88)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01)가 부착되고, 양단에 웜(89, 90)이 부착되어 있다. 한쪽의 웜(89)은, 한쪽 측의 스키지기구(13)를 이동시키기 위한것이고, 다른쪽 웜(89)은, 다른쪽의 스키지기구(9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구동전달기구(85)는, 구동전달벨트(91, 92)와, 스키지기구(13, 13)가 부착된 이동부재(86, 87)가 부착된 조작벨트(93, 94)를 가진다. 구동전달벨트(91, 92)는, 무단벨트이고, 회전롤러(95, 96, 97, 98)에 건너질려 있다. 회전롤러(95, 96)는, 구동전달벨트(91, 22)가 건너질려 있는 동시에, 웜(89, 90)에 맞물려 있다. 또, 무단벨트인 조작벨트(93,94)는, 회전롤러(97, 98)와 회전롤러(99, 100)에 건너질려 있다. 즉, 회전롤러(97, 98)는, 구동전달벨트(91, 92)와 조작벨트(93, 94)가 건너질려 있고, 구동전달벨트(91, 92)에서 조작벨트(93, 9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롤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14)에서는, 우선 구동모터(84)가 구동되면, 피니온기어(88)와 중간기어(101)를 거쳐서 샤프트(83)가 회전되어, 웜(89, 90)도 회전된다. 그러면, 웜(89, 90)에 맞물린 회전롤러(95, 96)가 회전하는 동시에, 구동전달벨트(91, 92)가 같은 방향으로 주행된다. 구동전달벨트(91, 92)가 결합된 회전롤러(97, 98)가 회전하면, 회전롤러(97, 98)에 결합된 조작벨트(93, 94)도 주행함으로써, 조작벨트(93, 94)에 부착된 이동부재(86, 87)는, 도 15 중 화살표 G방향 및 반대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86, 87)에 부착된 스키지기구(13, 13)도, 도 15 중 화살표 G방향 및 반대화살표 G방향, 즉 도 8 중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동기구(14)에서는, 구동모터(84)로부터의 구동력을 샤프트(83)를 거쳐서, 이 샤프트(83)의 양측에 웜(89, 90)을 부착하여 구동전달벨트(91, 92)를 거쳐서 조작벨트(93, 94)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회전조작할 수 있으므로, 각 스크린기구(12, 12)에 설치된 스키지기구(13, 13)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항상 각 면의 같은 위치에 스키지기구(13,13)를 구성하는 제 1스키지(75, 75) 혹은 제 2스키지(76, 76)에 의해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동기구(14)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인쇄장치(3)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송기구(11)에 투입되기 전, 반송기구(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이 도 4a 중 반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레일(16, 17)에 프린트 배선기판(2)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스텝(S1)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송기구(11)에 투입되면, 스텝(S2)에 있어서, 구동부(23, 24)가 구동하고, 가이드레일(16)이 지지부재(21, 22)에 따라서 도 4a 중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용의 가이드레일(17)에 억눌려지고,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된다.
여기서, 카메라(3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검출마크(7)를 촬상한다. 그리고, 이 촬상데이터는, 제어부(15)에 공급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암(27)에 설치된 반송핀(28)은, 도 5 중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결합한다. 그리고, 구동모터(32, 33)가 구동되는 것으로, 구동벨트(34)가 주행하고, 이것에 의해 반송암(27)은, 가이드부재(31)에 따라서 도 5 중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을 인쇄위치까지 반송한다.
스텝(S3)에 있어서, 카메라(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검출마크(8)를 촬상한다. 그리고, 이 촬상데이터는, 제어부(15)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술한 카메라(39)가 촬상한 위치검출마크(7)의 촬상데이터와 카메라(40)가 촬상한 위치검출마크(8)의 촬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부(15)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자세를 검출하고,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랜드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텝(S3)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가 어긋나 있지 않을 때, 다음으로 진행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가 어긋나 있을 때, 랜드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보정을 행한다. 이 위치보정을 행하는 경우,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반송암(27)에 설치된 반송핀(28)은, 도 5 중 반대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 후, 위치보정은,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6, 17)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검출기구(38)에 의해, 지지부재(22)측이 도 7a 중 하측으로 기울여져 있다고 검출되었을 때에는, 제 3모터(45)가 구동하고, 기판(46)의 지지부재(22)측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프린트 배선기판(2)의 위치가, 크림땜납을 인쇄할 때, 반송방향인 도 7a 중 화살표 D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 1모터(43)를 구동하고, 반대화살표 D방향으로 기판(46)을 이동시킨다.
스텝(S5)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하기 위해, 스크린기구(12, 12)가 프린트 배선기판(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69,70)가 구동되면, 구동벨트(71)가 주행하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틀(65, 65)은, 가이드부재(67, 67)에 따라서 도 8 중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크린틀(65)에 설치된 위치결정핀(72)과 위치결정 오목부(73)는, 스크린틀(65, 65)이 서로 접근하였을 때에, 상대 결합하고, 스크린틀(65, 65)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어서, 스텝(S6)에 있어서, 크림땜납을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인쇄하기 위해, 스키지기구(13, 13)가 스크린(64)에 접동한 상태로 이동된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84)가 구동되면, 피니온기어(88)와 중간기어(101)를 거쳐서 샤프트(83)가 회전되고, 웜(88, 90)도 회전된다. 그러면, 웜(89, 90)에 맞물린 회전롤러(95, 96)가 회전하는 동시에, 구동전달벨트(91, 92)가 같은 방향으로 주행된다. 그리고, 구동전달벨트(91, 92)가 결합된 회전롤러(97, 98)가 회전하면, 회전롤러(97, 98)에 결합된 조작벨트(93, 94)도 주행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벨트(93, 94)에 부착된 이동부재(86, 87)는, 도 15 중 화살표 G방향 및 반대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86, 87)에 부착된 스키지기구(13, 13)도, 도 15중 화살표 G방향 및 반대화살표 G방향, 즉 도 8중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크린(64, 64)은, 제 1스키지(75) 혹은 제 2스키지(76)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휘어서 변형하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면에 밀착하고, 크림땜납이 인쇄된다. 이 때,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기구(11)를 구성하는 지지편(19, 20)은, 종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 휘어서 변형한 스크린(64, 64)이 프린트 배선기판(2)에 확실히 밀착된다.
구동기구(14)는, 구동모터(84)로부터의 구동력을 샤프트(83)를 거쳐서, 이 샤프트(83)의 양측에 웜(89, 90)을 부착하여 구동전달벨트(91, 92)를 거쳐서 조작벨트(93, 94)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는 것에서, 각 스크린기구(12, 12)에 배치된 스키지기구(13, 13)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상,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각 면의 같은 위치에 스키지기구(13, 13)를 구성하는 제 1스키지(75, 75) 혹은 제 2스키지(76, 76)에 의해 같은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에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동기구(14)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확실히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할 수 있다.
크림땜납의 인쇄가 종료하면, 스텝(S7)에 있어서, 스크린기구(12, 12)가 프린트 배선기판(2)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69, 70)가 구동되면 구동벨트(71)가 주행하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틀(65, 65)은, 가이드부재(67, 67)에 따라서 도 3 중 반대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은, 반송기구(11)에 의해 도 3 중 화살표 D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상태가 된다.
스텝(S8)에 있어서, 구동부(23, 24)가 구동하고, 가이드레일(16)이 지지부재(21, 22)에 따라서 도 4a 중 반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기구(11)는,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스텝(S9)에있어서, 랜드에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출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인쇄장치(3)는, 반송기구(11)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설치된 랜드에 크림땜납을 양면 동시인쇄할 수 있고, 땜납인쇄작업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편면씩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장치(3)에서는, 반송기구(11)를 구성하는 지지편(19, 20)이, 종래 170∼200㎛이었던 두께를 80㎛정도로 하고, 휘어서 변형한 스크린(64, 64)이 프린트 배선기판(2)에 확실하게 밀착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확실히 인쇄할 수 있다. 더욱이는, 구동기구(14)는, 구동모터(84)로부터의 구동력을 샤프트(83)를 거쳐서, 이 샤프트(83)의 양측에 웜(89, 90)을 부착하여 구동전달벨트(91, 92)를 거쳐서 조작벨트(93, 94)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서, 각 스크린기구(12, 12)에 설치된 스키지기구(13, 13)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항상 각 면의 같은 위치에 스키지기구(13, 13)를 구성하는 제 1스키지(75, 75) 혹은 제 2스키지(76, 76)에 의해 같은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확실히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에 크림땜납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인쇄장치(3)는, 크림땜납을 인쇄하는 것에 사용하는 외, 배선패턴이 형성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에 땜납레지스트가 되는 솔더레지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인쇄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구동기구(14)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패턴의 도통검사장치(110)에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이 도통검사장치(11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스크린기구(12)의 대신에, 지지판(11)상에 프린트 배선기판(2)의 패턴에 대응하여 복수의 검사핀(112)이 설치된 검사기구(1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검사기구는, 상술한 구동기구(14)에 의해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기판(2)의 도통검사를 행할 때, 검사기구(113)는, 구동기구(14)에 의해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는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이간한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14)를 이용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의 도통검사를 행하고 있을 때,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서 같은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에서, 검사시에 프린트 배선기판(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인쇄장치(3)에 의해 랜드에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장치(4)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장장치(4)는, 도 18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121a∼121d)와, 전자부품(10)을 실장하는 실장기구(122a∼122h)를 갖춘다. 실장기구(122a, 122c,122e, 122g)와 실장기구(122b, 122d, 122f, 122h)는, 반송기구(121)를 끼워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또, 실장기구(122a, 122b)는, 제어부(123a)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c, 122d)는, 제어부(123b)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e, 122f)는, 제어부(123c)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g, 122h)는, 제어부(123d)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또, 실장기구(122a∼122d)는, 표준적 크기의 전자부품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것이고, 실장기구(122e∼122h)는, 표준적 크기의 전자부품에 대하여 큰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는, 이 실장장치(4)는, 전체가 시스템 콘트롤러(12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시스템 콘트롤러(124)는, 실장기구(122a∼122h)가 실장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위치가 기억되어 있고, 각 제어부(123a∼123e)에 실장위치 데이터를 공급한다. 또, 시스템 콘트롤러(124)에는, 인쇄장치(3)의 제어부(15)에서 인쇄장치(3)의 반송기구(11)를 구성하는 검출기구(38)가 생성한 프린트 배선기판(2)의 랜드위치 데이터가 공급된다. 즉, 이 랜드위치 데이터는, 반송기구(121a∼121d)에 의해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기울기를 고려한 랜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실장장치(4)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은, 인쇄장치(3)의 반송기구(11)가 반송핀(28)을 결합공(6b)에 결합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는 것과 동일하게, 반송핀(136)을 결합공(6a, 6b)에 결합시켜서 반송되는 것에서, 인쇄장치(3)에 있어서의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시에 생성된 랜드위치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장기구(122a∼122h)를 제어하는 제어부(123a∼123e)는, 시스템콘트롤러(124)에서 공급된 실장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실장기구(122a∼122h)를 제어한다. 또, 반송기구(121)의 가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장기구(122a, 122b)를 제어하는 제어부(123a)에는, 시스템 콘트롤러(124)에서 랜드위치데이터가 공급된다. 제어부(123a)는, 실장기구(122a, 122b)에 이 랜드위치데이터를 공급하고, 실장기구(122a, 122b)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실장기구(122a, 122b)는, 이 랜드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지지하고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기울기 등의 자세에 맞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23a)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송되는 것에 따라서, 제어부(123b)에 이 랜드위치데이터를 공급한다. 이 후, 이 랜드위치데이터는, 제어부(123c), 제어부(123d)에 전송된다. 각 제어부(123a∼123d)는, 이 랜드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반송중의 프린트 배선기판(2)의 자세에 맞춰서 실장기구(122a∼122h)의 제어를 행한다.
실장장치(4)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한 실장기구, 예를 들면 122a, 122b와 122c, 122d 또는 122c, 122d와 122e, 122f 또는 122e, 122f와 122g, 122h에 걸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이 있을 때,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양쪽의 실장기구를 사용하여 전자부품의 실장을 행한다. 이 때, 하류측의 실장기구는, 상류측의 실장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실장장치(4)의 반송기구(121a∼121d)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프린트 배선기판(2)의 상대향하는 측연부를 결합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 132)을 갖는다. 도20 중 하측의 가이드레일(132)측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블록(133)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블록(133)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을 한쪽의 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34)와, 프린트 배선기판(2)을 이 지지부재(134)로 끼우도록 설치되는 반송부재(135)를 갖춘다. 그리고, 지지부재(134)와 반송부재(135)와의 사이에는, 가이드레일(132)의 일부를 구성하는 레일부재(13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부재(135)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에 설치된 결합공(6a, 6b)에 결합되는 반송핀(1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핀(136)은, 실린더기구(137)에 의해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도 21 중 화살표 H방향 및 반대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한다. 반송부재(135)는,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할 때,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하는 도 21 중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반송핀(136)을 결합공(6a, 6b)에 결합시킨다. 또한, 지지부재(134)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인 도 20 중 화살표 I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39)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2)은, 구동기구(139)와 함께 지지부재(134)와 반송부재(135)가 도 20 중 화살표 I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반송된다.
또한, 반송블록(133)은, 가이드레일(132)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실장장치(4)에서는, 반송기구(121a), 반송기구(121b), 반송기구(121c), 반송기구(121d)의 순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이 인계됨으로써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송된다. 구체적으로, 인쇄장치(3)의 반송기구(11)에서 가이드레일(131, 132)에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입되면, 우선,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기구(121a)의 상류측의 반송블록(133a)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하는 도 21 중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의 결합공(6a)에 반송핀(136)이 결합한다. 이어서, 반송블록(133)은, 구동기구(139)가 구동하고, 가장 상류측에 있는 실장기구(122a, 122b)의 실장위치까지 프린트 배선기판(2)을 잡아당기는하도록 하여 반송한다. 여기서, 실장기구(122a, 122b)에 의해,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위치에 실장된다.
이어서, 상류측의 반송블록(133)은, 도 22a 내지 도 22c 중 화살표 I방향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을 잡아당기는하도록 하여 반송한다. 여기서,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반송블록(133a)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이간하는 도 21 중 반대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핀(136)이 결합공(6a)으로 결합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 대신에,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의 결합공(6b)에는, 가이드레일(132)의 하류측의 반송블록(133b)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하는 도 21 중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반송핀(136)이 결합한다. 또한, 이 때, 상류측의 반송블록(133a)은, 다음의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기 위해 상류측의 도 22a 내지 도 22c 중 반대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가이드레일(132)의 하류측의 반송블록(133)은, 구동기구(139)가 구동하고, 다음의 실장위치까지 프린트 배선기판(2)을 누르도록 하여 반송한다.이 실장위치는,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이 가장 상류측의 실장기구(122a, 122b)와 이 다음의 실장기구(122c, 122d)에 걸친 위치이다. 여기서, 하류측의 실장기구(122c, 122d)와 실장기구(122a, 122b)에 의해,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위치에 실장된다. 이와 같이, 실장장치(5)에서는, 하나의 실장위치에서 4대의 실장기구(122a∼122d)에 의해 한번에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때, 상류측의 실장기구(122a, 122b)는, 하류측의 실장기구(122c, 122d)의 제어부(123b)에 의해 제어된다.
이 후, 하류측의 반송블록(133)은, 도 22a 내지 도 22c 중 화살표 I방향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을 누르도록 하여 반송한다. 그리고, 하류측의 반송블록(133b)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이간하는 도 21 중 반대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핀(136)이 결합공(6b)에 결합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 대신에, 결합공(6a)에는, 다음의 반송기구(121b)의 가이드레일(132)의 상류측의 반송블록(133a)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하는 도 21 중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a)에 반송핀(136)이 결합한다. 그리고, 도 22c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이후, 순차 프린트 배선기판(2)은, 반송기구(121b∼121d)에 의해 반송된다.
또, 반송기구(121a∼121d)의 양측에 설치되는 실장기구(122a∼122h)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이하, 실장기구(122a∼122d)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실장기구(122)라고 한다. 이 실장기구(122)는, 도 23 및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부(141)에서 공급된 전자부품(10)을 흡인유지하는 부품유지기구(142)와, 부품유지기구(142)를, 부품공급부(141)에서 공급된 전자부품(10)을 흡인유지하는 제 1위치와 반송기구(121a∼121d)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과 대향한 제 2위치에 걸쳐서 회동조작하는 회동조작기구(143)와,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14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144)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품공급부(141)는, 표준적 크기의 전자부품(10)을 공급하는 것이다.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10)을 흡인 유지하는 흡인헤드(146)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헤드(146)는, 도시하지 않으나 흡인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전자부품(10)을 부품공급부(141)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까지 반송하기까지의 사이, 전자부품(10)을 흡인 유지한다. 또한, 이 부품유지기구(142)는, 상세는 생략하나 도 23 중 화살표 J 및 반대화살표 J방향으로 승강조작하는 승강기구(160)에 의해 승강된다.
또한, 도 24,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유지기구(142)에는, 흡인헤드(146)로 유지한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를 조정하는 조정기구(1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기구(147)는, 대략 L자형의 부착부재(148)에 부착된 구동모터(149)와, 이 구동모터(149)의 출력축에 부착된 제 1풀리(150)와, 흡인헤드(146)가 부착되는 샤프트(151)에 부착된 제 2풀리(152)와, 제 1풀리(150)와 제 2풀리(152)를 연결하는 무단벨트(152)와, 샤프트(151)를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부(154)를 갖춘다.
한편, 흡인헤드(146)가 반송기구(121a∼121d)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전자부품(10)을 대향시킨 제 2상태에 있을 때, 전자부품(1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CCD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갖는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검출부(1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부(155)가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구동모터(149)가 구동하고 샤프트(151)가 회전되고,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부품유지기구(142)를 부품공급부(141)에 공급된 전자부품(10)을 흡인유지하는 제 1위치와 반송기구(121a∼121d)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과 대향하는 제 2위치에 걸쳐서 회동시키는 회동조작기구(143)는, 도 24,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유지기구(142)에 설치되고, 흡인헤드(146)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156, 156)에 삽입된 지지지축(157)과, 지지편(156, 15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축(157)에 부착된 기어(158)와, 부품유지기구(142)의 승강방향에 따라서 기어부가 설치된 랙기어(159)로 구성된다. 이 랙기어(159)는,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기구(160)에 의해 부품유지기구(142)가 도 24중 화살표 J방향으로 상승되면, 랙기어(159)에 기어(158)에 맞물리고, 또한 같은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으로,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157)을 중심으로 대략 90°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부품유지기구(142)는,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가 된다. 이 제 2위치일 때, 검출부(155)에 의해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가 검출된다. 그리고, 이 검출부(155)가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구동모터(149)가 구동하고 샤프트(151)가 회전되어,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14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144)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가이드부재(162)와 제 2가이드부재(16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가이드부재(162)는, 도 23 중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공(164)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공(164)은, 상술한 회동조작기구(143)의 랙기어(159)에 기어(158)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제 1직선부(164a)와, 제 1직선부(164a)와 연속하여 제 1가이드부재(162)의 반송기구(121a∼121d)에 경사하여 설치된 경사부(164b)와, 제 1직선부(164a)와 평행으로 반송기구(121a∼121d)측에 설치되고, 경사부(164b)와 연속한 제 2직선부(164c)로 이루어진다. 또, 제 2가이드부재(163)에는, 제 1가이드부재(162)의 제 2직선부(164c)와 연속하는 직선형의 가이드공(16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가이드부재(163)는, 전자부품(10)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기판(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구동기구(1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166)는, 제 2가이드부재(163)를 부품유지기구(142)의 승강방향, 즉 도 23 중 화살표 J방향 및 반대화살표 J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를 들면 실린더기구이고, 제 2가이드부재(163)에 부착되는 샤프트(167)와 실린더(16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가이드부재(163)는, 부품유지기구(142)가 가이드공(165)에까지 이동하였을 때, 제 1가이드부재(162)에 대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측인 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2가이드부재(163)는, 구동기구(166)에 의해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흡인헤드(146)가 유지한 전자부품(10)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한다. 부품유지기구(142)의 샤프트(151)는, 가이드공(164, 165)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유지기구(142)에는, 회동조작기구(143)에 의해 제 2위치로 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잡아당기는 스프링(16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69)은, 일단이 부착부재(148)에 계지되고, 타단이 흡인헤드(146)에 계지되어 있다. 잡아당기는 스프링(169)은, 흡인헤드(146)를 부착부재(148)측에 끌어당기는 것으로,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유지기구(142)는, 제 2위치에 유지된다.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춘 실장기구(122)는, 상술한 반송기구(121a∼121d)가 전자부품(10)이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되는 실장위치에 있을 때 동작한다. 이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텝(S11)에 있어서, 흡인헤드(146)가 부품공급부(141)의 전자부품(10)을 유지할 때,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구(160)에 의해 도 23 중 반대화살표 J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에 있고, 랙기어(159)와 기어(158)도 맞물리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흡인헤드(146)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69)의 가세력에 의해 제 1위치, 즉 부품공급부(141)와 대향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이 제 1상태로, 흡인헤드(146)는 부품공급부(141)에 의해 공급되고 있는 전자부품(10)을 흡인 유지한다.
스텝(S12)에 있어서, 승강기구(160)가 구동되고,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3중 화살표 J방향으로, 지지축(157)이 제 1가이드부재(162)의 가이드공(164)의 제 1직선부(164a)에 가이드되면서 상승되고, 랙기어(159)에 기어(158)가 맞물리고, 또한 같은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으로,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157)을 중심으로 대략 90°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가 된다. 그리고, 흡인헤드(146)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69)의 가세력에 의해 제 2위치, 즉 검출부(155)와 대향한 위치에 유지된다.
스텝(S13)에 있어서, 검출부(155)에 의해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가 검출된다. 그리고, 이 검출부(155)가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구동모터(149)가 구동하고, 샤프트(151)가 회전되어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 후, 스텝(S14)에 있어서, 승강기구(160)가 구동되고,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3 중 화살표 J방향으로 상승되고, 제 2가이드부재(163)의 위치까지 이동된다. 즉 흡인헤드(146)는, 지지축(157)이 가이드공(164)의 제 1직선부(164a)에서 경사부(164b)를 거쳐서 제 2직선부(164c)에 이동하는 것으로, 반송기구(121a∼121d)에 근접한 위치에 이동된다.
승강기구(160)에 의해 흡인헤드(146)가 상승되어서, 지지축(157)이 제 2가이드부재(163)의 가이드공(165)까지 이동하고, 승강기구(160)는 스텝(S15)에 있어서, 실상위치데이터와 랜드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높이에서 정지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가이드부재(163)는, 제 1가이드부재(162)에 대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측인 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 2가이드부재(163)는, 구동기구(166)에 의해 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흡인헤드(146)에 전자부품(10)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기구(122e∼122h)는, 표준적 크기의 전자부품에 대하여 큰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형의 전자부품(10a)은, 상술한 부품공급부(141)와 다른 것이 사용된다. 이 부품공급기구(171)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72)상에, 대형의 전자부품(10a)이 나란히 배치된 트레이(173)와, 트레이(173)의 전자부품(10a)을 상술한 부품유지기구(142)에 유지시키기 전에 임시 배치되는 위치결정부재(1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부품공급기구(142)에는, 트레이(173)에서 위치결정부재(174)에 전자부품(10a)을 반송하는 반송기구(175)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174)는, 트레이(173)에 배치된 전자부품(10a)의 외형에 대응한 위치결정 오목부(176)가 설치되고, 이 위치결정 오목부(176)는, 부품유지기구(142)의 흡인헤드(146)에 전자부품(10a)이 유지되기 전에, 전자부품(10a)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으로, 흡인헤드(146)에 의해 전자부품(10a)을 흡인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트레이(173)에서 위치결정부재(174)에 전자부품(10a)을 반송하는 반송기구(175)는, 트레이(173)와 위치결정부재(174)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베이스판(172)에 설치된 지지판(177)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78)과, 이 가이드레일(178)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가이드레일(178)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반송부재(179)와, 반송부재(179)에 설치되고, 트레이(173)에 있는 전자부품(10a)을 유지하는 유지기구(180)를 갖춘다. 가이드레일(178)은, 반송부재(179)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반송부재(17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도 30 중 화살표 L방향 및 반대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반송부재(179)에는, 유지기구(180)를 가이드레일(178)에 대하여 직교하는 도 30 중 화살표 M방향 및 반대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기구(181)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기구(181)는,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182)와, 반송부재(179)의 양단에 축지지된 회전롤러(183, 184)와, 이들 회전롤러(183, 184)에 결합된 무단벨트(185)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롤러(183)는, 구동모터(182)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있다. 또, 무단벨트(185)에는, 유지기구(180)가 접속되어 있다. 이동기구(181)는, 구동모터(182)가 구동되면, 무단벨트(185)가 주행하고, 유지기구(180)를 도 30 중 화살표 M방향 및 반대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자부품(10)을 흡인 유지하는 유지기구(180)는, 전자부품(10a)을 흡인 유지하는 흡인헤드(186)와, 이 흡인헤드(186)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87)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헤드(186)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기구(187)는, 실린더(188)와 샤프트(189)로 이루어지고, 이 샤프트(189)의 일단에는, 흡인헤드(18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기구(187)는, 전자부품(10a)을 흡인 유지할 때, 흡인헤드(186)를 강하시킨다.
이상과 같은 전자부품(10)의 부품공급기구(17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우선, 베이스판(172)에는, 전자부품(10a)이 배치된 트레이(173)가 배치된다. 반송부재(179)는, 가이드레일(178)에 따라서 도 30 중 반대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다. 그리고, 전자부품(10a)을 유지할 때, 이동기구(181)가 동작하고, 유지기구(180)가 소정위치까지 도 30 중 M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승강기구(187)에 의해, 흡인헤드(186)는 전자부품(10a)을 흡인유지하고, 이 후, 상승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반송부재(179)는, 가이드레일(178)에 따라서 도 30 중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이동기구(181)가 동작하고, 유지기구(180)가 위치결정부재(174) 위까지 도 30 중 M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승강기구(187)에 의해, 흡인헤드(186)는 강하하고, 전자부품(10a)을 위치결정부재(174)의 위치결정 오목부(176)에 재치한다. 이 후, 전자부품(10a)은, 상술한 실장기구(122e∼122h)에 의해 반송기구(12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된다.
또한, 반송기구(121a∼121h)의 양측에 설치된 실장기구(122a∼122h)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실장기구(122)에 설치된 위치결정판(191)을 실장장치(4)의 기본대(193)에 설치된 위치결정홈(194)에 결합시켜서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실장기구(122)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고, 전자부품의 실장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기구(122a∼122h)는, 반송기구(121a∼121d)와 평행하게 설치된 부착판(195)에 설치된 고정부재(196)에 의해 부착판(195)에 고정된다. 이 고정부재(196)에는, 고정홈(197)이 설치되어있다. 각 실장기구(122a∼122h)는, 실장기구(122a∼122h)에 설치된 고정판(198)을 고정홈(197)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실장장치(4)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장장치(4)에서는, 반송기구(121a), 반송기구(121b), 반송기구(121c), 반송기구(121d)의 순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이 인계됨으로써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송된다. 구체적으로, 인쇄장치(3)의 반송기구(11)에서 가이드레일(131, 132)에 프린트 배선기판(2)이 반입되면, 우선,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블록(133)은, 구동기구(139)가 구동하고, 가장 상류측에 있는 실장기구(122a, 122b)의 실장위치까지 프린트 배선기판(2)을 잡아당기록 하여 반송한다. 여기서, 실장기구(122a, 122b)에 의해,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위치에 실장된다.
이 때, 흡인헤드(146)는 부품공급부(141)와 대향한 위치에 있고, 이 상태로, 부품공급부(141)에 의해 공급되고 있는 전자부품(10)을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3 중 화살표 J방향으로, 지지축(157)이 제 1가이드부재(162)의 가이드공(164)의 제 1직선부(164a)에 가이드되면서 상승된다. 그러면, 랙기어(159)에 기어(158)가 맞물리게 되고, 또한 같은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으로,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157)을 중심으로 대략 90°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부품유지기구(142)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가 된다. 여기서, 검출부(155)에 의해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가 검출된다. 그리고, 이 검출부(155)가 흡인헤드(146)가 흡인 유지한 전자부품(1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구동모터(149)가 구동하고, 샤프트(151)가 회전되어 전자부품(10)의 유지상태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 후, 부품유지기구(142)는, 또한 도 23 중 화살표 J방향으로 상승되고, 제 2가이드부재(163)의 위치까지 이동된다. 또한, 승강기구(160)에 의해 흡인헤드(146)가 상승되어서, 지지축(157)이 제 2가이드부재(163)의 가이드공(165)까지 이동하고, 부품유지기구(142)는,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높이에서 정지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가이드부재(163)는, 제 1가이드부재(162)에 대하여 프린트 배선기판(2)측인 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가이드부재(163)는, 구동기구(166)에 의해 도 23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흡인헤드(146)에 전자부품(10)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시킨다.
또한, 실장기구(122a, 122b)는 제어부(123a)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c, 122d)는 제어부(123b)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e, 122f)는 제어부(123c)에 의해 제어되고, 실장기구(122g, 122h)는 제어부(123d)에 의해 제어된다.
전자부품(10)의 실장이 종료하면, 다시, 상류측의 반송블록(133)은, 도 22 중 화살표 I방향으로 프린트 배선기판(2)을 잡아당기도록 하여 반송한다. 여기서,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반송블록(133a)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핀(136)이 결합공(6a)에 결합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 대신에,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의 결합공(6b)에는, 가이드레일(132)의 하류측의 반송블록(133b)의 반송부재(135)가 지지부재(134)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반송핀(136)이 결합한다.
이어서, 가이드레일(132)의 하류측의 반송블록(133)은, 다음의 실장위치까지 프린트 배선기판(2)을 누르도록 하여 반송한다. 이 실장위치는, 도 19 및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이 가장 상류측의 실장기구(122a, 122b)와 이 다음의 실장기구(122c, 122d)에 걸쳐진 위치이다. 여기서, 하류측의 실장기구(122c, 122d)와 실장기구(122a, 122b)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위치에 실장된다. 또한, 상류측의 실장기구(122a, 122b)와 이 다음의 실장기구(122c, 122d)에 걸쳐진 위치에 프린트 배선기판(2)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양쪽의 실장기구를 사용하여 전자부품의 실장을 행한다. 이 때, 하류측의 실장기구는, 상류측의 실장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실장장치(4)에서는, 반송기구(121a∼121d)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전자부품(10, 10a)을 양면 동시실장 할 수 있고, 전자부품(10, 10a)의 실장작업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편면씩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장치(4)에서는, 인쇄장치(3)의 제어부(15)에서 생성된 랜드위치데이터가 시스템 콘트롤러(124)를 거쳐서 실장장치(122a, 122b)의 제어부(123a)에 공급되고, 이 제어부(123a)에 공급된 랜드위치데이터가 제어부(123b∼123d)에 순차 공급됨으로써 실장기구(122a∼122h)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기구(121a∼121d)에 랜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2)이 가장 상류측의 실장기구(122a, 122b)와 이 다음의 실장기구(122c, 122d)에 걸쳐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하류측의 실장기구(122c, 122d)와 실장기구(122a, 122b)에 의해, 전자부품(10, 10a)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소정위치에 실장된다. 이와 같이, 실장장치(5)에서는, 하나의 실장위치에서 4대의 실장기구(122a∼122d)에 의해 한 번에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장기구(122)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헤드(146)의 부분을 전자부품(10, 10a)을 프린트 배선기판(2)에 실장한 후, 리플로장치(5)에 반송하기까지의 사이, 전자부품(10, 10a)을 임시 정지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기구(199)로 하는 것으로, 접착제 도포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접착제 도포장치는, 상술한 인쇄장치(3)와 실장장치(4)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특히, 상술한 실장장치(4)와 조합시키는 것으로, 대형의 전자부품도 프린트 배선기판에 양면 동시실장 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헤드(146)의 부분을 비스멈춤기구(200)로 하는 것으로, 부품부착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워크의 양면에서 비스멈춤을 행할 수 있고, 부품의 부착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실장장치(4)에 의해 전자부품(10, 10a)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2)에 대하여 전자부품(10, 10a)의 납땜을 행하는 리플로장치(5)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리플로장치(5)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드에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211)와, 반송기구(2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을 가열하고, 인쇄장치(3)에 의해 랜드에 인쇄된 크림땜납을 용융하는 리플로로(212)와, 반송기구(2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및 제 2가열기구(213, 214)와, 반송기구(2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하측에서 가열하도록 리플로로(212)내에 설치되는 제 3가열기구(215)와, 용융된 크림땜납을 냉각하는 냉각블록(216)을 갖춘다.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는 반송기구(211)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에 따라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21, 221)를 상하에 갖는다. 가이드부재(221, 221)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인 도 36 중 화살표 N방향에 따라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상하의 측연부를 결합지지하는 가이드홈(222, 222)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기구(211)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블록(223)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블록(223)은, 프린트 배선기판(2)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224)와, 이 반송부재(224)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결합공(6b)에 결합하는 반송핀(225)을 갖는다. 또, 반송부재(224)는, 반송부재(224)를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을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가 되는 이동조작부재(226)에 설치된 실린더기구(227)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기구(227)의 샤프트(228)는, 반송부재(224)에 부착되어 있고, 반송핀(225)을 도 36 중 화살표 O방향 및 반대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프린트 배선기판(2)의 결합공(6b)에 대하여 착탈시킨다. 이 이동조작부재(226)는, 구동기구(229)에 의해 도 36 중 화살표 N방향에 따라서 이동된다. 이 구동기구(229)는,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230)와, 이 구동모터(230)의 구동축에 부착된 회전롤러(231)와 도시하지 않은 회전롤러에 결합된 무단벨트(232)로 구성되어 있다. 무단벨트(232)에는, 상술한 이동조작부재(22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동조작부재(226)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송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부재(233)의 레일부(234)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반송기구(21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실장장치(4)에 의해 전자부품(10, 10a)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투입되기 전, 반송부재(224)는, 도 36 중 반대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고, 또,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 중 반대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기판(2)이 투입되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측연부는, 가이드부재(221, 221)의 가이드홈(222, 222)에 결합된다.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 중 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결합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구동기구(229)가 구동되고, 무단벨트(232)가 주행됨으로써, 반송부재(224)는, 가이드부재(233)의 레일부(234)에 가이드된 상태로 도 36 중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홈(222)에 결합 지지된 프린트배선기판(2)을 같은 방향으로 반송한다. 프린트 배선기판(2)은, 리플로로(21), 냉각블록(216)에 걸쳐서 반송기구(211)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반송기구(211)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을 취출할 때,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 중 반대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반송기구(211)에서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반송기구(211)를 피복하도록 부착되는 리플로로(212)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가열을 행하기 위한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와,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의 하류측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본 가열용 리플로로(21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의 일 측면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투입용 개구부(235a)가 형성되고, 본 가열용 리플로로(212b)의 일 측면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반출용 개구부(23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구부(235a, 235b)에는, 리플로로(212a, 212b)내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커텐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 리플로로(212a, 212b)내에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내지 제 3의 가열기구(213, 214, 21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가열기구(213, 214)는, 반송기구(211)에 지지되어서 대략 수직상태로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각 주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가열기구(213, 214)는, 3상, 200V, 20A의 히터이다.
또, 리플로로(212a, 212b)내의 하측에는, 반송기구(2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 3가열기구(2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3가열기구(215)는, 리플로로(212a,212b)를 하측에서 가열한다. 이 제 3가열기구(215)는, 단상, 100V, 15A의 히터이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로로(212a, 212b)내의 반송기구(211)를 둘러싸도록 하여 제 1 내지 제 4측열판(236, 237, 238, 239)이 설치되어 있다. 제 1축열판(236)은, 제 1가열기구(213)와 반송기구(211)에 반송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 2축열판(237)은, 제 2가열기구(214)와 반송기구(211)에 반송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 3축열판(238)은, 리플로로(212a, 212b)의 하측의 제 3가열기구(2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 4축열판(239)은, 제 3축열판(238)에 대향하여 천정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내지 제 4의 축열판(236∼139)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240a, 240b, 240c, 240d)이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가열기구(213, 213, 215)에 의해 가열된 에어가 대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플로로(212a, 212b)내에는, 반송기구(2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을 둘러써도록 제 1 내지 제 4축열판(236, 237, 238, 239)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 리플로로(212a, 212b)내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에서는, 140℃로 가열되고, 본가열용 리플로로(212b)에서는, 220℃∼240℃로 가열된다.
여기서, 도 38에, 본가열용 리플로로(212b)내의 온도특성을 나타낸다. 도 38 중, 선(241)은 리플로로(212b)의 상측의 온도특성을 나타내고, 선(242)은 리플로로(212b)의 중앙의 온도특성을 나타내고, 선(243)은 리플로로(212b)의 하측의 온도특성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리플로로(212b)내에, 제 1 내지 제 3가열기구(213, 214, 215)를 설치하고, 반송기구(211)를 둘러싸도록 제 1 내지 제 4의 축열판(236∼239)을 설치한 경우에는, 리플로로(212b)의 온도를 상측, 중앙, 하측에서 거의 같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온도변화를 약 4℃이내로 할 수 있다.
또,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로로(212a, 212b)의 천정에는, 배기후드(2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용 후드(244)는, 접속관(245, 245)에 의해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에 접속되고, 접속관(246, 246)에 의해 본 가열용 리플로로(247)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배기용 후드(244)에는, 배기용 덕트(247)가 설치되어 있다. 리플로로(212a, 212b)내의 배기되는 에어는, 한번 배기용 후드(244)에 저장된 후에 배기용 덕트(247)에서 배기되는 것으로, 리플로로(21a, 212b)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가열용 리플로로(212b)의 하류측에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된 땜납을 냉각하는 냉각블록(216)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블록(216)은, 반송기구(211)에 의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반송되고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2)의 한쪽 면에 대향하도록 냉각팬(248, 248)이 설치되고, 다른쪽 면에 대향하도록 냉각팬(249, 249)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팬(249, 249)은, 반송기구(121a∼121d)에 의해 반송되는 대략 수직으로 세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주면에 대항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 각 주면의 용융한 땜납을 효율 좋게 냉각하여 고체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인쇄장치(3)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장장치(4)에 의해 전자부품(10, 10a)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2)이 투입되기 전, 반송부재(224)는 도 36 중 반대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고, 또,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 중 반대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스텝(S21)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이 투입되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측연부는, 가이드부재(221)의 가이드홈(22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 중 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공(6b)에 결합한 상태가 된다. 구동기구(229)가 구동되고, 무단벨트(232)가 주행됨으로써, 프린트 배선기판(2)은, 반송부재(224)에 의해 가이드부재(233)의 레일부(234)에 가이드된 상태로 도 36 중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되고,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까지 반송된다. 여기서, 스텝(S22)에 있어서, 전자부품(10, 10a)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내에서 소정시간 정지되고, 랜드에 인쇄된 크림땜납이 반용융상태로 된다.
크림땜납이 반용융상태로 되면, 스텝(S23)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은, 반송부재(244)에 의해 예비가열용 리플로로(212a)에서 반출되고, 계속하여, 스텝(S24)에 있어서, 본 가열용 리플로로(212b)에 반입된다. 스텝(S25)에 있어서, 크림땜납이 반용융상태에 있는 전자부품(10, 10a)이 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2)은, 본 가열용 리플로로(212b)내에서 소정시간 정지되고, 크림땜납이 용융상태로 된다. 크림땜납이 용융하면, 스텝(S26)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기판(2)은, 반송부재(24)에 의해 본 가열용 리플로로(212b)에서 반출되고, 계속하여, 스텝(S27)에 있어서, 냉각블록(216)에 투입된다. 스텝(S27)에 있어서, 용융된 크림땜납은, 냉각블록(216)에 있어서 냉각되어 고체화되고, 전자부품(10, 10a)은 프린트 배선기판(2)에 납땜된다. 이 후, 반송기구(211)에서 프린트 배선기판(2)은, 다시 반출위치까지 반송되고, 여기서, 반송핀(225)은 실린더기구(227)에 의해 도 36중 반대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되고, 결합공(6b)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반송기구(211)에서 반출된다.
이상과 같은 리플로장치(5)에서는, 반송기구(211)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한 번에,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실장되어있는 전자부품(10, 10a)을 납땜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플로장치(5)에서는, 전자부품(10, 10a)의 실장작업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편면씩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리플로장치(5)에서는, 리플로로(212a, 212b)내에, 반송기구(2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을 둘러싸도록 제 1 내지 제 4축열판(236, 237, 238, 239)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 리플로로(212a, 212b)내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더욱이는, 리플로장치(5)에서는, 리플로로(212a, 212b)내의 배기를 배기용 후드(24)를 거쳐서 행하는 것에서 리플로로(212a, 212b)의 온도가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1)은,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장치(3)와, 이 인쇄장치(3)의 하류측에 설치된 실장장치(4)와, 실장장치(4)의 하류측에 설치된 리플로장치(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장시스템(1)에서는, 인쇄장치(3)에프린트 배선기판(2)을 대략 수직한 상태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11)가 설치되고, 인쇄장치(3)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실장장치(4)에도 프린트 배선기판(2)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121a∼121h)가 설치되고, 실장장치(4)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리플로장치(5)에도 프린트 배선기판(2)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211)가 설치되고, 이들의 반송기구(11, 121a∼121h, 211)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실장시스템(1)에서는, 프린트 배선기판(2)이 인쇄장치(3), 실장장치(4), 리플로장치(5)의 일련의 공정 중에서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인쇄장치(3)는, 반송기구(11)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측에, 스크린기구(12, 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실장장치(4)는, 반송기구(121a∼121h)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측에, 실장기구(122a∼122h)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는, 리플로장치(5)는, 반송기구(121a∼121h)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측에, 실장기구(122a∼122h)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장시스템(1)에서는, 인쇄장치(3)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설치된 랜드에 크림땜납을 동시인쇄 할 수 있고, 이어서, 실장장치(4)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전자부품(10, 10a)을 동시 실장할 수 있고, 이어서, 리플로장치(5)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2)의 양면에 실장된 전자부품(10, 10a)을 동시에 납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장시스템(1)에서는, 종래 프린트 배선기판에, 편면씩 크린땜납을 인쇄하고,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납땜하고 있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스페이스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또,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장치(4)에서는, 인쇄장치(3)의 제어부(15)에서 생성된 랜드위치데이터가 시스템 콘트롤러(124)를 거쳐서 실장기구(122a, 122b)의 제어부(123a)에 공급되고, 이 제어부(123a)에 공급된 랜드위치데이터가 제어부(123b∼123d)에 순차 공급됨으로써 실장기구(122a∼122h)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기구(121a∼121d)에 랜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은,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양면에 동시에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고, 이 랜드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납땜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전체의 소형화 및 전자부품의 실장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7)

  1. 프린트 배선기판의 랜드에 땜납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랜드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실장장치와,
    상기 실장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이 실장된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열하고,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납땜하는 리플로장치를 갖추고,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은, 상기 인쇄장치, 상기 실장장치, 상기 리플로장치의 순으로 반송되는 사이,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은,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상기 랜드에 납땜을 행하기 전,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된 검출기구에 의해 랜드위치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실장장치는, 이 랜드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3.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자부품을 흡인 유지하는 부품유지기구와,
    상기 부품유지기구를,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자부품을 흡인 유지하는 제 1위치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과 대향한 제 2위치에 걸쳐서 회동 조작하는 회동조작기구와,
    상기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1가이드부재와 제 2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기구를 갖추고,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상기 부품유지기구가 상기 제 2가이드부재까지 상승하였을 때, 상기 반송기구에 유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부품유지기구는,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상기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작기구는, 상기 부품유지기구의 승강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부품유지기구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에 결합되는 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부품유지기구가 승강됨으로써, 상기 랙기어에 맞물린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부품유지기구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에 걸쳐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위치에 있는 부품유지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부품유지기구에 유지된 전자부품의 유지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품유지기구에는, 이 부품유지기구의 승강방향과 직교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전자부품의 유지상태를 조정하는 조정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에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고, 베이스판에 설치된 위치결정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의 하류측에서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동시에, 서로 이웃한 상류측에서도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8.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이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린기구와,
    상기 각 스크린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이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근접하고 있을 때, 상기 스크린에 접동되어, 잉크를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압출하는 스키지를 가지는 스키지기구와,
    상기 스키지기구를 상기 스크린기구에 접동시키도록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갖춘 인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크림땜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단일의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기구와,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구동전달기구를 거쳐서 상기 스키지기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반송방향과 평행한 측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대향하여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측연부를 결합 지지하는 한 쌍의 결합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판은,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스키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측으로 휘어서 밀착 가능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지의 선단부 근방에는, 상기 스키지가 상기 스크린을 접동할 때, 상기 잉크가 롤링되도록 보조암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설치된 위치검출용 마크를 검출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자세를 보정하는 조정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5. 랜드에 크림땜납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기판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열하고, 상기 랜드에 인쇄된 크림땜납을 용융하는 리플로로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한 쪽의 주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리플로로내에 설치되는 제 1가열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다른 쪽의 주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리플로로내에 설치되는 제 2가열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의 하측에서 가열하도록 상기 리플로로내에 설치되는 제 3가열기구를 갖추는 리플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로내에는, 상기 반송기구에 지지된 프린트 배선기판을 둘러싸도록 축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축열판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로로에는, 배기후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플로로내의 배기는, 상기 리플로로에 접속된 상기 배기후드를 거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장치.
KR1020017016513A 2000-04-27 2001-04-26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KR100831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2923A JP2001313493A (ja) 2000-04-27 2000-04-27 電子部品の実装システム
JPJP-P-2000-00132923 200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469A true KR20020019469A (ko) 2002-03-12
KR100831597B1 KR100831597B1 (ko) 2008-05-23

Family

ID=1864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513A KR100831597B1 (ko) 2000-04-27 2001-04-26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4093B2 (ko)
JP (1) JP2001313493A (ko)
KR (1) KR100831597B1 (ko)
CN (1) CN1191004C (ko)
WO (1) WO2001084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905A (ko) 2014-11-28 2016-06-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 및 전자부품 실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3691B2 (en) * 2003-01-17 2007-11-13 Speedlin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substrate printing
JP4372605B2 (ja) * 2004-04-15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装置および電子部品搭載方法
JP2009111312A (ja) * 2007-11-01 2009-05-21 Trinc:Kk チップマウンター
JP4883072B2 (ja) *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DE102013205731A1 (de) * 2013-03-28 2014-10-02 JRT Photovoltaics GmbH & Co. KG Siebdruckanlage zum Bedrucken von flächigen Substraten, insbesondere Solarzellen und Verfahren zum Bedrucken von Substraten
EP2804457B1 (de) * 2013-05-14 2016-04-20 Pematech AG Vorrichtung zu einem Transport oder zu einem Transport und zu einer Bearbeitung von Leiterplatten
DE202013102447U1 (de) * 2013-06-07 2014-09-08 Seho Systemtechnik Gmbh In Transportsystem integrierter Arbeitsplatz
US20150128856A1 (en) * 2013-11-14 2015-05-14 Illinois Tool Works Inc. Dispensing apparatus having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substrate within the dispensing apparatus
JP6524418B2 (ja) * 2016-02-04 2019-06-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部品実装方法
KR102354184B1 (ko) 2018-03-06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KR102667205B1 (ko) * 2019-06-14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JP7368962B2 (ja) * 2019-07-09 2023-10-25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実装装置
CN112009080B (zh) * 2020-08-28 2021-12-28 湖南维胜科技电路板有限公司 一种电路板生产用高精密的自动印刷机
CN113747677A (zh) * 2021-08-19 2021-12-03 珠海市浩威达电子科技有限公司 线路板夹具和线路板元件的返修方法
CN114156214B (zh) * 2022-01-06 2023-05-23 广东技术师范大学 一种高效的电子芯片用封装装置
CN114654189B (zh) * 2022-04-21 2023-11-14 深圳市豪恩声学股份有限公司 耳机自动制造设备及耳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4800A (en) * 1979-12-28 1981-07-31 Taiyo Yuden Kk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part
CA1260882A (en) * 1984-12-10 1989-09-26 Pace Incorporated Fused eyeletting machine
DE3730024A1 (de) * 1987-09-08 1989-03-16 Basf Ag Formen fuer das druckschlickergiess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keramischen massen
JPH05129763A (ja) * 1991-10-31 1993-05-25 Toppan Printing Co Ltd ホツトエアーレベリングソルダーコーテイング装置
US5443534A (en) * 1992-07-21 1995-08-22 Vlt Corporation Providing electronic components for circuity assembly
US5564183A (en) * 1992-09-30 1996-10-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ducing system of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for
DE4433565A1 (de) * 1994-09-20 1996-03-21 Blaupunkt Werke Gmbh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Bestücken der Ober- und Unterseite von Leiterplatten mit SMD-Bauteilen
JP2955990B2 (ja) * 1996-06-28 1999-10-04 株式会社沖電気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ズ スクリーン版洗浄装置
MX9709038A (es) * 1996-11-25 1998-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stema y metodo de produccion de montajes de tableros de circuitos impresos.
JPH10270841A (ja) * 1997-03-27 1998-10-09 Nec Corp プリント基板解体方法
JPH10270741A (ja) * 1997-03-28 1998-10-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半導体受光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905A (ko) 2014-11-28 2016-06-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 및 전자부품 실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6797A (zh) 2002-08-28
US6964093B2 (en) 2005-11-15
WO2001084895A1 (fr) 2001-11-08
JP2001313493A (ja) 2001-11-09
KR100831597B1 (ko) 2008-05-23
CN1191004C (zh) 2005-02-23
US20020133937A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597B1 (ko) 전자부품의 실장시스템
JP2722142B2 (ja) リフロー自動半田付け装置
WO2016199207A1 (ja) 印刷装置及び対基板作業装置
KR20110005689A (ko) 전자부품 탑재 장치
JP200508174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494636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下受交換作業方法
JP5533650B2 (ja) 自動はんだ付け装置
JP3770237B2 (ja) 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38580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3188599A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電子部品搭載機
CN112218761B (zh) 丝网印刷机
JP2001310443A (ja) 印刷装置
JPH10119240A (ja) 印刷装置
JP2015204324A (ja) 搬送加熱装置
JP4567517B2 (ja) 印刷装置
JP2001313498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2001313461A (ja) リフロー装置
JP2682085B2 (ja) リフローはんだ付装置
JP4440186B2 (ja) ハンダ付け装置
JP392234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6920586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ならびにペースト供給装置
JP2000151088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11119352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リフロー半田付けシステム
KR100573248B1 (ko) 칩온 필름 부착시스템
JPH10119239A (ja) 印刷用スクリーン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