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120A -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120A
KR20020019120A KR1020027000149A KR20027000149A KR20020019120A KR 20020019120 A KR20020019120 A KR 20020019120A KR 1020027000149 A KR1020027000149 A KR 1020027000149A KR 20027000149 A KR20027000149 A KR 20027000149A KR 20020019120 A KR20020019120 A KR 2002001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receiver
decoder
notification mess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179B1 (ko
Inventor
물암 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삐에르 레꾸르
까날 +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 레꾸르, 까날 +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삐에르 레꾸르
Publication of KR2002001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신호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일 센터에서 이용자에게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메일 센터에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응하는 장치, 수신기/디코더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E-MAIL}
종래의 이-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원격지에 있는 이용자가 그가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서버에 로그 인 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이-메일에 액세스할 수 있었다. ISP는 인터넷에서 수수되는 이-메일을 전송 및 검색하고, 검색된 이-메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메일 센터를 가진다. 이용자가 ISP에 로그 인 하였을 때, ISP는 메일 센터에 이용자 자신에게 도착한 이-메일이 있는 지를 통지한다; 도착한 이-메일이 있을 경우 그 이-메일은 가입자에게 다운로드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이용자가 ISP에 접속하였을 때 만이 메일이 도착하였음을 알 수 있고, 새로운 메일이 없는 경우에는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일 센터에서 이용자에게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는 이-메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수신기/디코더의 블록도.
도 3은 인터넷 액세스 시스템의 개관도.
도 4는 도 3의 이용자 장치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계층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인터넷 액세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인터넷 계정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르면, 메일 센터에서 이용자에게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신호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어떠한 이용자의 (직접적인) 요구없이 전송될 수 있다.
방송 신호 형식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메일 센터에 로그 인 하지 않고서도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하였음을 통지받을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그 통지 메시지를 받게 될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는 수신기/디코더가 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보내지게될 통지 메시지 만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수신기/디코더는 그 내부에 저장된 식별자와 추출된 식별자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디코더는 스마트카드 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식별자는 적어도 그 스마트카드 번호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 수신기/디코더로 통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편리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스마트카드"는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 저장장치를 갖는 반도체 칩 기반 카드 장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건을 포함한다. 또한, 이 용어는 예를 들어 종종 텔레비전 디코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키 형태의 장치와 같이 카드를 대체할 만한 물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별명, 패스워드, 이용자 선호 등의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는 바람직하게 메일 센서에 위치한 운영자 측에 저장된다. 이로써, 운영자는 이-메일 계정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받게 될 수신기/디코더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바람직하게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통지 메시지가 스마트카드 번호를 가진 수신기/디코더로 전송되게 하고 이 스마트카드 번호에 상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를 관련시키는 것이다. 스마트카드 번호는 수신기/디코더의 스마트카드에 고유한 번호로 되고, 따라서 각각의 수신기/디코더를 식별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예약 서비스의 일부로 될 수 있으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예약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메일 계정을 예약 서비스와 함께 관리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가입자"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를 지칭하며, 용어 "이용자"는 이-메일 서비스의 이용자를 지칭한다. 각각의 가입자에 관련되어 하나 이상의 이-메일 이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서 또는 셋 톱 박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어 이용자가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의 단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의 수신인에 대한 식별자 (하나의 수신기/디코더에서 여러개의 이-메일 계정을 사용할 경우) 또는 이-메일의 발신인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이-메일의 제목 등의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텍스트는 전송시에 암호화되고, 수신기/디코더에 의해 해독된다.
바람직하게, 수신기/디코더는 이-메일 수신인의 식별자, 이-메일 발송인의 식별자, 또는 이-메일 텍스트의 부분 또는 전부와 같은 통지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달리, 통지 메시지의 어떠한 부분도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하고 단지 아이콘이 스크린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가입자의 수신기/디코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크린 또는 수신기/디코더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이용자가 이-메일 통지를 받기 원하는 지 여부 및 이용자가 받기를 원하는 이-메일의 개수에 관련한 이용자의 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용자의 선호는 수신기/디코더에 저장되고 이어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이용자는 선택된 수 만큼의 이-메일을 통지 받는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메일 센터에서 수신한 개개의 이-메일을 통지 받을 수 있거나 이용자가 메일 센터에 최근 액세스한 이후로 메일 센터에서 수신한 첫번째 이-메일 만을 통지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의 방송에서 특별한 응용을 갖는다. 방송에서 부가적인 정보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방송 신호는 바람직하게 디지털 전송 시스템을 통해 보내지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디지털 전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우선 시청각 또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또는 방송하는 몇 가지 전송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 특별히 적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인터넷 응용을 위한 고정 무선 네트워크 및 폐쇄 회로 텔레비전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MPEG 등의 디지털 압축 기술을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MPEG라는 용어는 국제 표준화 기관의 작업 그룹인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 의해 개발된 데이터 전송 표준 및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 응용을 위해 개발된 MPEG-2를 의미하며, 문서 ISO 13818-1, ISO 13818-2, ISO 13818-3 및 ISO 13818-4 에 상술되어 있다. 본 특허 출원에 관련하여, 이 용어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 분야에 적용 가능한 MPEG 포맷들의 모든 변형, 수정 또는 개선을 포함한다.
통지 메시지는 방송신호내로 메시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어떠한 공지된 기술이라도 사용하여 보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 메시지는 MPEG 섹션 또는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 및/또는 해독할 수 있도록 이용자에게 수신기/디코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 또는 그 이상의 이용자가 동일한 수신기/디코더를 공유할 수 있다. 용어 "수신기/디코더"는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신호를, 예를 들어 적당한 수단을 통해 방송 또는 전송되는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 용어는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기/디코더의 실예는 예를 들어 "셋 톱 박스"에서와 같이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기 위해 수신기와 통합된 디코더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디코더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수신기와 조합하여 동작하거나, 웹 브라우저, 비디오 레코더,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고, 따라서 상기 방송 신호는 텔레비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위성방송, 지상방송, 케이블 또는 다른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지 메시지는 이용자에게 바로 전달된다. 이는 이용자가 이-메일의 도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어떠한 행동도 취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상에 따르면, 메일 센터에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보내지는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그 방법은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하였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의 양상은 상기 제 1의 양상의 특징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메일 센터에서 이-메일을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방송신호 형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식으로 이-메일은 이용자가 이-메일의 전송을 직접 요청하지 않고서도 이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메일은 상기 통지 메시지에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메일 센터와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수신기/디코더에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이용자가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할 필요 없이 메일 센터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에게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방송 신호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바람직하게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와 연결된다.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디코더의 스마트카드 번호와 관련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예약 서비스의 일부로 될 수 있으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예약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에 연결될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의 수신인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의 발신인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용자의 선호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장치는 선택된 수 만큼의 이-메일을 통지할 수 있다. 장치는 메일 센터에서 수신한 개개의 이-메일을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장치는 이용자가 메일 센터에 최근 액세스한 이후 메일 센터에서 수신한 첫번째 이-메일 만을 통지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 압축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압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통지 메시지를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분으로서 전송한다. 장치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방송신호는 텔레비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요구없이 통지 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메일 센터에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보내지는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그 장치는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하였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메일 센터에서 이-메일을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그 장치는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방송신호 형식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통지 메시지에 관련하여 상술한 장치의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 및/또는 해독하기 위한 수신기/디코더가 제공되며, 이 수신기/디코더는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하였음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방송신호와 함께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통지 메시지는 그 통지 메시지를 받게 될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는 수신기/디코더가 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보내지게될 통지 메시지 만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통지 메시지 내의 식별자와 수신기/디코더 내부에 저장된 식별자를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기/디코더는 스마트카드 번호를 가지며, 상기 식별자는 적어도 스마트카드 번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디코더는 메일 센터에 이-메일의 도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수신기/디코더는 통지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 및/또는 해독하기 위한 수신기/디코더가 제공되며, 이 수신기/디코더는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하였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와 수신기/디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적 특징들은 본 발명의 장치적 특징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가지 양상에 대한 특징은 다른 양상에도 적용될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1)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압축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공지된 MPEG-2 압축 시스템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방송 센터의 MPEG-2 압축기(3)는 디지털 신호 스트림(통상 비디오 신호 스트림)을 수신한다. 압축기(3)는 링크(5)를 통해 멀티플렉서 및 스크램블러(4)와 연결된다.
멀티플렉서(4)는 다수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여 전송 스트림을 조합하고 링크(7)를 통하여 방송 센터 송신기(6)로 압축 디지털 신호들을 전송한다. 링크(7)는 물론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송신기(6)는 인공위성트랜스폰더(9)로 향한 업링크(8)를 통해 전기자기적 신호들을 전송하며, 트랜스폰더(9)에서 그 신호들은 전자적으로 처리되고 관념상의 다운링크(10)를 통해 말단 이용자가 소유하거나 임대한 통상 접시 형태의 지상 수신기(12)로 방송된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다른 이송 채널들로는 지상 방송, 케이블 전송, 위성/케이블 복합 링크, 전화 네트워크 등과 같은 것이 물론 가능하다.
수신기(12)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말단 이용자가 소유하거나 임대한 통합 수신기/디코더(13)로 전달되며, 이어서 말단 이용자의 텔레비전 세트(14)로 연결된다. 상기 수신기/디코더(13)는 압축된 MPEG-2 신호를 텔레비전 세트(14)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 신호로 해독한다. 도 1에서 수신기/디코더가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었을 지라도, 수신기/디코더는 통합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분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수신기/디코더"는 셋톱 박스와 같은 별도의 수신기/디코더와 수신기/디코더를 내장하는 텔레비전 모두를 포함한다.
다중 채널 시스템에서, 멀티플렉서(4)는 다수의 병렬 소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를 처리하며, 해당 채널 번호를 통해 정보를 방송하도록 송신기(6)와 상호 작용한다. 시청각 정보에 부가하여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떤 다른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가 피전송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와 인터레이스 되는 채널 일부 또는 전부로 유입된다.
조건부 접근 시스템(15)은 상기 멀티플렉서(4)와 수신기/디코더(13)에 연결되며, 부분적으로 방송 센터와 부분적으로 디코더에 위치된다. 조건부 접근 시스템(15)은 말단 이용자가 하나 이상의 방송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상업적인 제공과 관련된 메시지(방송 공급자들이 판매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해독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는 수신기/디코더(13)에 삽입 가능하다. 수신기/디코더(13)와 스마트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말단 이용자는 가입자 모드 또는 매 시청 지불(Pay-Per-View)모드로 상업적인 제공을 구매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프로그램은 멀티플렉서(4)에서 스크램블링되며, 소정의 전송에 적용된 조건들과 암호화 키는 조건부 접근 시스템(15)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크램블링된 데이터의 전송은 유료 TV 시스템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스크램블링된 데이터는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제어 워드와 함께 전송되며, 제어 워드 자체는 소위 '이용 키(exploitation key)'에 의해 암호화되며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스크램블링된 데이터와 암호화된 제어 워드는 수신기/디코더(13)에서 수신되고, 수신기/디코더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이용 키의 등가물에 접근함으로써 암호화된 제어 워드를 해독하고 나서 전송된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한다. 예를 들어, 선불 가입자는 전송 시청을 허가 받기 위해 암호화된 제어 워드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이용 키를 매달 방송되는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에서 수신한다.
대화식 시스템(16)은 멀티플렉서(4) 및 수신기/디코더(13)에 연결되며, 부분적으로 방송 센터와 부분적으로 디코더에도 설치된다. 이 대화식 시스템(16)은 말단 이용자가 모뎀 지원 채널(17)을 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모뎀 지원 채널은 조건부 접근 시스템(15)에서 사용되는 통신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수신기/디코더(13)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다운로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기/디코더(13)는 예를 들어 6개의 다운로딩 장치를 포함한다; 직렬 인터페이스(30), 병렬 인터페이스(32), 모뎀(34), 2개의 카드 리더(36), 및 MPEG 스트림 튜너(38).
방송 및 수신 시스템은 또한 웹 브라우징 및 이-메일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수신기/디코더(13)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수신기/디코더가 인터넷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며 수신기/디코더(13)에 연결된 텔레비전 세트(14) 또는 컴퓨터를 통해 웹 페이지 또는 이-메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 액세스 시스템의 개관이 도시되어 있다. 가입자 장치(20; 수신기/디코더 포함)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24)을 통해 운영자(22)와 통신한다. 가입자 장치는 요청을 임의의 데이터, 예를 들어 특별한 웹 페이지 또는 이-메일이 전송되는 운영자(22)로 전송한다. 운영자는 이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을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26)에게로 출력한다. 이 요청에 응답하여, ISP는 인터넷(27)으로부터 획득되는 요청 웹 페이지, 또는 ISP에서 가입자가 받게될 이-메일을 포함할 수 있는 응답을 운영자로 공급한다. 운영자는 응답이 예를 들어, 개인 섹션과 같은 MPEG 비트 스트림으로 통합되고,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기(6)에 의하여 송신되며, 수신기(12)에 의하여 수신되는 방송 센터(28)로 응답을 전송한다. 가입자 장치(20)는 MPEG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응답을 추출하여, 응답을 텔레비전 세트 또는 컴퓨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대안적으로, 응답은 PSTN(24)을 통하여 가입자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 장치(20)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 레벨이 도 4에 도시된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은 웹 브라우저 및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웹 브라우저 및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은 넷스케이프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및 아웃룩 익스프레스, 또는 수신기/디코더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특별히 디자인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될 수 있다. 그 이하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은 HTTP, 소켓, TCP/IP, PPP/SLIP 및 드라이버 레벨이다. 드라이버 레벨은 통상 PC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비교됨으로써 변형되고, 가입자 장치의 모뎀을 통하여 PSTN과 통신하기 위한 모뎀 드라이버와 MPEG 플로우 튜너(4028)를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튜너 드라이버로 나누어진다.
여러 가지 구조의 가입자 장치(20)가 가능하다. 하나의 구조에서, PC는 사용되지 않고, 가입자 소프트웨어 전체가 수신기/디코더(13)상에서 실행된다. 이 구조에서, 수신기/디코더(13)는 내부 모뎀 또는 외부 모뎀과 시리얼 포트중 하나를 통하여 PSTN(24)과 통신한다. 수신기/디코더(13)는 지상 수신기(12)로부터 비트 스트림의 인터넷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제어기 또는 키보드와 수신기/디코더(13)에 연결된 텔레비전 세트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 구조에서, 하기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운영자에 설치된 게이트웨이가 필요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경우에, 도 4에 나타낸 TCP/IP 레벨은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에서, 개인 컴퓨터(PC)는 PC의 패러럴 포트에 의하여 수신기/리코더(13)의 패러럴 포트(또는, 선택적으로 PC의 시리얼 포트에 의하여 수신기/디코더(13)의 시리얼 포트(30);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에, 도 4에 나타낸 상위 부분의 소프트웨어 레벨은 PC상에 실행되고, 나머지 하위 부분의 소프트웨어 레벨은 수신기/디코더(13)상에서 실행된다.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PC에 연결된 키보드 및 모니터에 의하여 제공된다.
또 다른 구조에서, PC는 PC의 내부 또는 외부 모뎀을 통하여 PSTN(24)에 연결된다. 이 구조에서, 수신기/디코더(13)는 개별적으로, 또는 ISA 또는 PCI 버스에 연결된 PC의 애드 온 또는 플러그인 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인터넷 접근 시스템의 구조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 계정 관리 시스템(IAMS: 50)은 웹 브라우징 및 이-메일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26)와 링크된다. 또한, IAMS(50)는 가입자를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로의 접근을 부여 또는 거부하기 위하여 요청을 IAMS로 전송하는 가입자 관리 시스템(SMS;60)에 링크된다. 수신기/디코더(13)는 내부 모뎀, 공중 전화 교환망(PSTN;24), 네트워크 접근 서버(NAS;56) 및 게이트웨이(58)를 통하여 IAMS에 연결된다.
또한, SMS는 방송 텔레비전 서비스와 같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가와 가입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가입자 인가 시스템(SAS: 61)에 연결된다. SMS는 병렬로 SAS 및 IAMS 시스템을 구동하고, 2개의 시스템간의 일치를 보증한다. SMS과 SAS 및 IAMS 사이의 통신은 배치 파일을 사용하는 실시간 TCP/IP 링크를 사용하여 발생된다.
게이트웨이(58)는 가입자가 실시간으로 인터넷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ISP(26)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메일 및 다른 서비스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메일 서비스와, IAMS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급 서비스 (provisioning service) 및 리마인더 서비스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58)는 단일 모뎀 연결로 여러 가지 다른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메시지 라우터이다. 수신기/디코더에 IPS와 통신하기 위한 TCP/IP 프로토콜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ISP와 통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토콜을 수신기/디코더에 또한 제공한다. 수신기/디코더(13)는 도 5에서 라인(59)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58)를 통하여 ISP와 통신한다. 수신기/디코더에 필요한 프로토콜이 설치되는 경우, 통신이 도 5에서 라인(57)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접 ISP와 발생될 수 있다.
ISP 인터페이스(66)는 IAMS에서 발생되는 이용자의 계정에 관한 각 변형이 메일 서비스와 같은 호스팅 인터넷 서비스를 관리하는 ISP에서 이용자 계정으로 복사될 수 있게 한다. 이용자의 인터넷 계정에 관한 모든 정보가 TV 및 인터넷 파라미터의 관리를 보증하는 IAMS에 집중된다. 또한, IAMS는 인터넷 파라미터와 TV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를 가입자 관리자 시스템(SMS: 60)과의 IAM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리한다. SMS(60)는 가입자를 관리하고, 가입자에 의하여 인터넷 서비스로의 접근을 부여 또는 부인하기 위하여 요청을 IAMS로 전송한다.
IAMS 계정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입자는 우선 새로운 계정에 대한 요청을 요청된 이-메일 어드레스, 패스워드 및 선택된 옵션과 같은 정보와 함께 수신기/디코더(13)에서 IAMS(50)로 전송한다. IAMS는 수신기/디코더의 스마트 번호를 체크함으로써, 관련된 가입자의 계정이 SMS로부터의 요청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가입자 계정이 만들어지면, 가입자는 새로운 이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다. IAMS는 요청된 이-메일 어드레스 및 패스워드와 함께 인터넷 계정을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을 ISP로 전송한다. 한 번 계정이 설정되면, ISP는 확인 응답을 IAMS로 반환한다. 이용자 계정 정보(패스워드, 이-메일 어드레스 및 인터넷 파라미터 등)는 가입자의 스마트카드 번호와 함께 IAMS에 저장된다. 이용자는 메일 서버(28)로 및 메일 서버(28)로부터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IAMS의 주요 구성 요소가 도 6에 도시된다. IAM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카드 번호와 같은 가입자 파라미터에 링크된 이-메일 계정 파라미터의 집중 리스트를 유지.
·SMS의 요청으로 가입자에 대한 인터넷 서비스로의 접근을 부여 또는 거절.
·가입자의 요청(제공)으로 인터넷 계정을 커스터마이징.
·이-메일 이용자가 이벤트를 등록하고 이벤트 때에 이-메일에 의하여 알려줄 수 있게 하는 리마인더 서비스.
·IAMS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ISP와 같은 관련 서버로 복사될 수 있는 복사 서비스.
중앙 IAMS는 저장 수단(72)에 저장되는 인터넷 서비스 및 이-메일 계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70)이다. SMS 통신 인터페이스(74)는 IAMS가 SMS와 통신할 수 있게 하여, IAMS는 메일 서비스로의접근이 부여 또는 거부된 가입자의 항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공급 서버(76)는 가입자가 가입자의 이-메일 계정을 관리하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한다. 리마인더 서버(78)는 가입자가 이벤트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벤트는 가입자의 이-메일 계정에 관한 것이다. 이용자는 이벤트를 등록하고 자동적으로 생성된 이-메일을 통하여 이벤트 이전에 미리 결정된 날짜에 자동 리마인더를 수신할 수 있다.
이-메일 통지 인터페이스(84)는 방송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EMNS(62)가 IAMS RDBMS(70)에서 가입자의 통지 선호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지원 서버(80)는 관리자가 IAMS에서 가입자 또는 이-메일 이용자의 존재 및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한다. 복사 서비스(82)는 ISP 계정 관리 시스템에서 IAMS RDBMS(70)의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복사한다.
수신기/디코더(13)에서 IAMS로 전송되는 요청은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이-메일 계정 관리에 대한) 제공 서버 및 (리마인더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리마인더 서버와 같은 IAMS의 적합한 부분으로 전송된다.
IAMS의 또 다른 사항은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특허 출원중인 "인터넷 가입자 관리"에 개시되어 있고,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써 이용된다. 게이트웨이의 또 다른 사항과, 수신기/디코더와 IAMS 및 ISP 사이의 통신 방법은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특허 출원중인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고,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써 이용된다.
이-메일 통지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IAMS는 이-메일 통지 시스템(도 5의 블록 62)과 상호 작용하는 이-메일 통지 인터페이스(84)가 제공된다. 이-메일 통지 시스템은 이용자가 메일 서버(64)의 메일박스로 새로운 이-메일을 수신하자마자 통지할 수 있게 한다. 짧은 메시지는 방송으로 이용자의 수신기/디코더로 전송된다.
메일 서버(64)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고, 이용자에게 전송될 이-메일을 저장한다. 새로운 메일이 수신될 때, 메일 서버는 통지 요구를 이-메일 통지 시스템(EMNS: 62)으로 전송한다. 통지 요구는 ISP(26)가 새로운 메일을 수신한 시점에서만 전송된다. 즉, 이멘트 구동 방법이다. ISP로부터 EMNS로 전송될 수 있는 다양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o 새로운 이-메일 : 새로운 이-메일이 대기
o 최초 이-메일 : 이용자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후의 최초 이-메일
o 메일 서버에 연결된 이용자
일단 EMNS가 ISP로부터 통지 요청을 수신하면, EMNS는 IAMS RDBMS(70)에서 이용자의 통지 선호와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데 필요로 되는 관련 파라미터를 검색한다.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선호는 다음을 포함한다.
o 이-메일 통지 온 또는 오프
o 마지막으로 ISP에 접속한 이후의 각 새로운 메일 또는 최초 메일을 통지
o 이-메일의 발송인를 디스플레이
o 이-메일의 수신자를 디스플레이
일부 경우에, 그것은 상기 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설정하는 운영자가 될 수 있다.
또한, EMNS는 이용자가 예를 들어 SMS에 의하여 통지 시스템의 사용이 금지되지 않은 것을 체크한다. 이용자가 그 자신의 이-메일이 통지되어야 하는 것을 상기 체크가 나타내면,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통지 메시지가 발생된다. 통지 메시지는 IAMS RDBMS(70)에서 추출되는 관련 이용자의 수신기/디코더의 스마트카드 번호를 포함한다. 스마트카드 번호는 (수신기/디코더가 다수의 이용자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반드시 유일하지는 않지만) 수신기/디코더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의 수신인을 식별하는 정보, 이-메일의 발송인을 식별하는 정보, 및 이-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과 같은 수신기/디코더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와 같은 그 밖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통지 메시지의 방송 요구는 EMNS에서 방송 센터(63)로 전달된다. 요구를 수용하면, 방성 센터는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24시간중 15분마다의 일정한 간격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순환 시간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 메시지는 제 1 시간 주기동안 비교적 빈번하게 전송되며 제 2 시간 주기동안 비교적 드물게 전송될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EMM) 또는 MPEG-2 섹션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메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EMM의 구조가 설명된다. 일련의 디지털 데이터 비트로서 구성되는 EMM은 헤더(3060), EMM 자체(3062), 및 서명(3064)을 포함한다.
헤더(3060)는 이 경우에 EMM을 개개의 형태(즉, 단일 가입자로 정해진)로서 식별하는 유형 식별자(3066), EMM의 길이가 주어지는 길이 식별자(3068), 가입자의 스마트카드 번호에 기초한 어드레스(3070), 운영자 식발자(3072), 및 키 식별자(3074)를 포함한다.
EMM 자체(3062)는 EMM을 메일 통지에 관한 다른 정보와 함께 메일 통지 EMM으로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EMM은 (동일 수신기/디코더를 사용하는 몇몇 이-메일 이용자가 존재하는) 가정용 이-메일의 수신자, 이-메일의 발송인, 이-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 대기 이-메일 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MM의 이 부분은 특유의 EMM을 식별하는 인덱스이다.
마지막으로, 통상 8바이트의 서명(3064)는 EMM에서 잔여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다수의 체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EMM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어떤 또는 전체의 상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MPEG 섹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MPEG 섹션의 사용 이점은 TV 접근 제어가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각 수신기/디코더는 들어오는 통지 메시지를 모니터하고, 상기 수신기/디코더의 스마트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이용자가 수신기/디코더에 접속되면, 수신기/디코더는 통지 메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메일에 주소화되는 특유의 이용자를 식별한다. 수신기/디코더는 예를 들어 메시지를 수신기/디코더 디스플레이 또는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이용자의 이-메일이 대기중인 것을 통지한다. 또한,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신기/디코더가 메일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기/디코더는 메시지를 "번(burn)"해서, 상기 메시지가 되풀이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것은 들어오는 메일 통지 메시지를 이미 수신된 것과 비교하여, 단지 새로운 메시지를 통지함으로써 행해진다. 통상, EMM 또는 MPEG 섹션은 상기 메시지가 이미 수신되어 작용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인덱스가 비교되는데 필요로 되는 경우에만 상기 EMM 또는 MPEG섹션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으로, 수신기/디코더(13)는 예를 들어 PSTN(24)을 통하여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하기 위하여 EMNS(62)를 요청할 수 있다.
일단 이용자가 메일 대기를 통지받으면, 이용자는 이-메일이 전송되도록 요청을 ISP로 전송할 수 있다. 이-메일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PSTN(24) 또는 통신 링크(8, 9, 10)중의 하나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메일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기/디코더(13)는 이-메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가입자가 나중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이-메일을 저장한다.
이용자가 이용자의 이-메일을 검색할 때, EMNS는 이-메일이 검색된 ISP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EMNS는 통지 전송하는 것을 중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메일 전체가 통지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동일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전달된다. 본 실시예는 케이블 및 광통신 전송 시스템과 같은 큰 대역폭을 가진 통신 시스템에 적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메일 자체가 방송되기 때문에, 독립된 통지 메시지가 필요없게 된다.
용어
다음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이-메일 어드레스 : 이-메일 어드레스는 이-메일 ID와 도메인 이름의 2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이-메일 어드레스의 형태는 mail_ID@Domain_Name이다.
이-메일 계정 : 이-메일 계정은 이용자에 대하여 메일 서버가 이용자의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필요로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메일 Id : 이-메일 어드레스의 접두부. 이-메일 Id는 도메인 이름에서 유일한 것이다.
이-메일 통지 : 이-메일 통지 시스템은 가입자의 메일박스로 새로운 이-메일을 수신하자마자 가입자(EMN)에게 통지될 수 있게 한다. 짧은 메시지는 방송으로 및/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가입자의 STB로 전송된다.
인터넷 계정 관리 시스템 : 가입자 TV 계정 관리 파라미터와 관련 이-메일 계정 시스템(IAMS)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메일박스 : IMAP 전송을 위해 저장되는 메시지가 메일박스(IMAP 또는 POP)에 확보된다. 메일 서버상의 메일박스는 메일박스 Id에 의하여 유일하게 식별되어야 한다. 다른 도메인 이름을 호스팅하는 메일 서버는 이-메일 Id가 메일 서버상에서 유일한 것을 검토할 수 없어, 메일박스 Id는 이-메일 어드레스이어야 한다.
메일 서버 : 프로그램이 이-메일을 다른 메일 서버와 교환하고, 메시지를 메일 클라이언트로 수용하고 전송한다.
공급 서버 : 이용자가 이용자 자신의 이-메일 계정 자체를 만들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한다.
리마인더 서버 : 이용자가 이벤트를 등록하고 자동 메일을 통하여 자동 리마인더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셋 탑 박스(STB) : 디지털 디코딩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완전히 조립되고, 디지털 비디오 방송 표준 및 까날+ 테크놀로지 시방서 대로 제조된다. 셋 탑 박스는 최종 이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전송된 비디오,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디지털 디코더로써 이용된다.
스마트카드 : 하나 이상의 상업적 운영자 및 기타 액세스 정보에 대한 비밀키를 전기적으로 저장하는 카드.
가입자 : 가입자는 TV 계정(예를 들어, 스마트카드 번호)에 관련된다.
가입자 관리 시스템(SMS): 가입자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이용자 : 이용자는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다. 단일 가입자에 대하여 여러 이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이-메일 통지 시스템은 이-메일이 대기중인지 여부를 이용자가 요청하지 않고서도 이용자에게 메일 센터에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는, 즉 메일 통지 메시지가 이용자에게 "푸시"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로써 상술되었고, 상세 사항의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설명되었고, 청구범위 및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특징은 독립적으로 또는 어떤 적절한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청구항에 나타낸 참조 부호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0)

  1. 메일 센터에서 이용자에게 이-메일의 도착을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신호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어떠한 (직접적인) 이용자의 요구없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그 통지 메시지를 받게 될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수신기/디코더에 저장된 식별자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스마트카드 번호를 가지고, 상기 식별자는 적어도 상기 스마트카드 번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를 바람직하게 메일 센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에 링크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기/디코더의 상기 스마트카드 번호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예약 서비스의 일부로 되고,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예약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이-메일 수신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메일 발송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수신기/디코더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상기 메일 센터에서 상기 이-메일의 도착을 상기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선택된 수만큼의 이메일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분으로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권한부여 관리 메지시로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메일 센터에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의 도착을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 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로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메일 센터로부터 이용자에게 이-메일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신호로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메일 센터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수신기/디코더에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메일 센터에서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방송 신호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받게 될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4항 또는 25항에 있어서,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기/디코더의 식별자에 링크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수신기/디코더의 스마트카드 번호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6항 또는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예약 서비스의 일부로 되며, 이-메일 계정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예약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4항 내지 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메일 수신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4항 내지 2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메일 발송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4항 내지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4항 내지 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4항 내지 3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용자에게 선택된 수만큼의 이-메일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24항 내지 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분으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지 메시지를 권한부여 관리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24항 내지 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로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이-메일을 메일 센터로부터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방송 신호로 상기 이-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9. 메일 센터에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의 도착을 상기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 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방송 신호를 수신 및/또는 해독하기 위한 수신기/디코더로서,
    메일 센터에 이-메일의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방송 신호와 함께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디코더.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통지 메시지내의 식별자를 상기 수신기/디코더 내부에 저장된 식별자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디코더.
  43. 제 41항 또는 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스마트카드 번호를 가지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스마트카드 번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디코더.
  44. 제 41항 또는 4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메일 센터에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디코더.
  45. 제 41항 내지 4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디코더는 상기 통지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디코더.
  46. 방송 신호를 수신 및/또는 해독하기 위한 수신기/디코더로서,
    제 1의 매체를 통해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메일 센터에 이-메일 도착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 1의 매체와 다른 제 2의 매체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디코더.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매체는 교환망 매체이며, 상기 제 2의 매체는 방송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디코더.
  48. 제 24항 내지 40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와 제 41항 내지 4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기/디코더를 포함하는 이-메일 도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49.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50.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이를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
KR1020027000149A 1999-07-05 2000-02-29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53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401680 1999-07-05
EP99401680.6 1999-07-05
EP99401888.5 1999-07-23
EP99401888A EP1067741A1 (en) 1999-07-05 1999-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E-m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20A true KR20020019120A (ko) 2002-03-09
KR100853179B1 KR100853179B1 (ko) 2008-08-20

Family

ID=2615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149A KR100853179B1 (ko) 1999-07-05 2000-02-29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2) EP1067741A1 (ko)
JP (1) JP2003503957A (ko)
KR (1) KR100853179B1 (ko)
CN (1) CN1372742B (ko)
AU (1) AU2685900A (ko)
CA (1) CA2377636A1 (ko)
HK (1) HK1044649B (ko)
MY (1) MY129145A (ko)
NO (1) NO20020024L (ko)
PL (1) PL352514A1 (ko)
WO (1) WO20010033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2226A1 (en) * 2003-06-27 2005-01-06 Alticast Corp. Broadcasting system with contents-dependent conditional access
WO2007030685A2 (en) * 2005-09-09 2007-03-15 Robert Howe Pinckney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KR100939712B1 (ko) * 2003-03-24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셋탑박스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4184A1 (en) 2001-04-25 2002-11-21 Avaya, Inc. Mailbox access mechanism over low-bandwidth, high-latency wireless networks
EP1288812A3 (en) * 2001-08-27 2004-08-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mail receiving device and its method
US7269793B2 (en) 2001-10-19 2007-09-11 Ebs Group Limited Conversational dealing system
GB2395868A (en) * 2002-11-29 2004-06-02 Nokia Corp Messaging system using set-top box and television display
DE10260239A1 (de) * 2002-12-20 2004-07-01 Siemens Ag Verfahren zur Informierung eines Benutzers über eine für ihn gespeicherte Nachricht
JP2004272371A (ja) * 2003-03-05 2004-09-30 Toshiba Corp 情報機器及びメール制御方法
WO2005064509A1 (en) * 2003-12-17 2005-07-14 Nokia Corporation Data transport to mobile devices using a radio broadcast data channel
US8606862B2 (en) 2007-08-21 2013-12-10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ail delay adaptation
US8909714B2 (en) 2007-08-21 2014-12-09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ail delay adaptation
US8706819B2 (en) 2007-08-21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ail delay adaptation
CN101447843B (zh) * 2008-06-16 2010-10-27 北京大学 多设备间事件信息实时共享方法
CN101951598B (zh) * 2010-08-19 2013-04-10 深圳市迪威特数字视讯技术有限公司 基于业务运营支撑系统的客户绑定方法和系统
GB2491514B (en) * 2010-11-25 2015-02-04 Ensygnia Ltd Handling encoded information
GB2481663B (en) 2010-11-25 2012-06-13 Richard H Harris Handling encoded information
GB2519876B8 (en) * 2010-11-25 2015-12-02 Ensygnia Ltd Handling encoded information
WO2013072724A1 (en) * 2011-11-20 2013-05-23 Nds Limited Hybrid messaging system
US9015813B2 (en) 2012-11-21 2015-04-21 Jack Bicer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verification, and payments
US8677116B1 (en) 2012-11-21 2014-03-18 Jack Bicer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CN105916031B (zh) * 2016-05-09 2020-03-10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授权管理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6746A (en) * 1993-08-19 1997-02-18 News Datacom Ltd CATV systems
US5696906A (en) * 1995-03-09 1997-12-09 Continental Cablevision, Inc. Telecommunicaion user accou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966754B2 (ja) * 1995-03-16 1999-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基地局、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JP2770796B2 (ja) * 1995-07-26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H11512903A (ja) * 1995-09-29 1999-11-02 ボスト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ク 双方向性広告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アーキテクチャ
JP3338315B2 (ja) * 1996-11-27 2002-10-28 株式会社東芝 電子メールシステム
IL120023A0 (en) * 1997-01-16 1997-04-15 Amit Noah Apparatus and method for E-mail communication
JPH10210072A (ja) * 1997-01-22 1998-08-07 Toshiba Corp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H10247936A (ja) * 1997-03-04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ール送受信システム
US6185603B1 (en) * 1997-03-13 2001-02-06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e-mail and alerting messages
KR19980073529A (ko) * 1997-03-15 1998-11-05 구자홍 디지탈 위성 방송 이-메일(E-Mail)수신기 및 이-메일(E-Mail)수신방법
DE69838125T2 (de) * 1997-04-23 2008-04-10 Nortel Networks Ltd., St. Laurent Server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lieferung von nachrichten zu einem telekommunikationsgerät
DE19743363A1 (de) * 1997-09-30 1999-04-08 Siemens Ag Verfahren und Postmelde-Einheit zum Behandeln von nicht abgerufener, elektronischer Post
JPH11177682A (ja) * 1997-12-11 1999-07-02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DE19755742A1 (de) * 1997-12-16 1999-06-1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Signalisierung einer elektronischen Nachrich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712B1 (ko) * 2003-03-24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셋탑박스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WO2005002226A1 (en) * 2003-06-27 2005-01-06 Alticast Corp. Broadcasting system with contents-dependent conditional access
WO2007030685A2 (en) * 2005-09-09 2007-03-15 Robert Howe Pinckney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WO2007030685A3 (en) * 2005-09-09 2007-05-03 Robert Howe Pinckney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7046A1 (en) 2002-04-17
CN1372742B (zh) 2011-03-02
KR100853179B1 (ko) 2008-08-20
PL352514A1 (en) 2003-08-25
EP1197046B1 (en) 2016-02-24
WO2001003386A1 (en) 2001-01-11
CA2377636A1 (en) 2001-01-11
EP1067741A1 (en) 2001-01-10
JP2003503957A (ja) 2003-01-28
AU2685900A (en) 2001-01-22
MY129145A (en) 2007-03-30
HK1044649B (zh) 2017-02-17
NO20020024L (no) 2002-03-05
HK1044649A1 (zh) 2002-10-25
NO20020024D0 (no) 2002-01-03
EP1067741A9 (en) 2001-07-11
CN1372742A (zh)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179B1 (ko) 이-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08245B1 (ko)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20035557A (ko) 인터넷 가입자 관리
JP4870078B2 (ja) 低階層キ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694759B1 (ko) 메시지 방송 및 수신 방법
EP1568226B1 (en) Messaging over mobile phone network for digital multimedia network
RU226722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электронной почтой
RU2263409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JP4551138B2 (ja) 個人情報利用型受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FR2964288A1 (fr) Acquisition de droits d'acces a un contenu protege sans intervention de l'utilisa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608

Effective date: 200805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