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734A -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8734A KR20020018734A KR1020000051990A KR20000051990A KR20020018734A KR 20020018734 A KR20020018734 A KR 20020018734A KR 1020000051990 A KR1020000051990 A KR 1020000051990A KR 20000051990 A KR20000051990 A KR 20000051990A KR 20020018734 A KR20020018734 A KR 200200187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or
- ucc
- dcc
- amplifie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α,β,γ섹터별 신호를 해당 섹터별 DCC와 UCC로 각각 출력하는 제1,2 스위치부와, 해당 섹터별 DCC와 UCC에서 출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출력하는 제3,4 스위치부와, α,β,γ섹터별 DCC와 UCC의 주파수 하향 및 상향 변환 동작을 제어하고, α,β,γ섹터별 DCC 또는 UCC의 이상 확인시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해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1∼제4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RFC와,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DCC와, α,β,γ섹터 D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D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DCC와,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UCC와, α,β,γ섹터 U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U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UC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류 모니터링(Monitoring)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송수신부(Transceiver Shelf)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모니터링을 통해 송수신부의 주파수 하향변환 카드(Down Converter Card ; 이하, 'DCC'라 칭함)와 주파수 상향변환 카드(Up Converter Card ; 이하, 'UCC'라 칭함)내의 증폭소자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부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DCS(Digital Cellular System)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WLL(Wireless Local Loop)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는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또는 상향 변환시켜 출력하기 위한 DCC와 UCC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내 송수신부는 α,β,γ섹터별 DCC와 UCC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중화 절체용인 리던던시(Redundancy) DCC와 UCC를 하나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α,β,γ섹터별 DCC와 UCC의 주파수 하향 또는 상향 변환시에 필요한 주파수를 제공하는 PLL(Phase Lock Loop)부가 이상 동작하거나 α,β,γ섹터별 DCC와 UCC에 입력되는 DC 입력 전원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해당하는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함으로써 이중화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지국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방법은 DC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가 이중화되어 있으므로 송수신부가 이중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필드(Field)에서 시스템을 운용할 경우 DCC 또는 UCC내 증폭소자의 이상으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상기 DCC 또는 UCC내 증폭소자의 이상으로 인하여 DCC 또는 UCC의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해 주는 이중화 방안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류 모니터링을 통해 송수신부의 DCC와 UCC내의 증폭소자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증폭소자 이상시 해당하는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내 송수신부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4 : 제1∼제4 스위치부 15 : RFC
21,22,23 : α,β,γ섹터 DCC 24 : 리던던시 DCC
31,32,33 : α,β,γ섹터 UCC 34 : 리던던시 UCC
21-1,31-1 : 증폭기 1 21-2,31-2 : PLL부
21-3,31-3 : 혼합기 1 21-4,31-4 : 증폭기 2
21-5,31-5 : 혼합기 2 21-6,31-6 : 증폭기 N
21-7,31-7 : 전류 모니터링부 21-8,31-8 :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는,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해당 섹터별 DCC와 UCC로 각각 출력하는 제1, 제2 스위치부와, 해당 섹터별 DCC와 UCC에서 출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출력하는 제3, 제4 스위치부와, α,β,γ섹터별 DCC와 UCC의 주파수 하향 및 상향 변환 동작을 제어하고, α,β,γ섹터별 DCC 또는 UCC의 이상 확인시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해 주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4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RFC와,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3 스위치부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DCC와, 상기 α,β,γ섹터 D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D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DCC와,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제4 스위치부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UCC와, 상기 α,β,γ섹터 U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U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UC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해당 섹터별 DCC와 UCC로 각각 출력하는 제1, 제2 스위치부(11,12)와, 해당 섹터별 DCC와 UCC에서 출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출력하는 제3, 제4 스위치부(13,14)와, α,β,γ섹터별 DCC와 UCC의 주파수 하향 및 상향 변환 동작을 제어하고, α,β,γ섹터별 DCC 또는 UCC의 이상 확인시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해 주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4스위치부(11∼14)로 출력하는 RFC(15)와, 상기 제1 스위치부(11)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3 스위치부(13)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DCC(21∼23)와, 상기 α,β,γ섹터 DCC(21∼23)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D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부(11)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DCC(24)와, 상기 제2 스위치부(12)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제4 스위치부(14)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UCC(31∼33)와, 상기 α,β,γ섹터 UCC(31∼33)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U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부(12)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UCC(34)로 구성된다.
상기 α섹터 DCC(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부(11)를 통해 입력되는 α섹터 신호(2315MHz)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1(21-1)과, 혼합기1,2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컬신호(2455MHz)와 제2 로컬신호(101.6MHz)를 각각 발생하는 PLL부(21-2)와, 상기 증폭기1(21-1)에서 증폭된 α섹터 신호(2315MHz)와 상기 PLL부(21-2)에서 발생된 제1 로컬신호(2455MHz)를 혼합하여 제1 소정 주파수(140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1(21-3)과, 상기 혼합기1(21-3)에서 출력된 제1 소정 주파수(140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2(21-4)와, 상기 증폭기2(21-4)에서 증폭된 제1 소정 주파수(140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21-2)에서 발생된 제2 로컬신호(101.6MHz)를 혼합하여 제2 소정 주파수(38.4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2(21-5)와, 상기 혼합기2(21-5)에서 출력된 제2 소정 주파수(38.4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N(21-6)과, 상기 증폭기1,2,N(21-1,4,6)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21-7)와,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21-7)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RFC(15)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21-8)로 구성된다.
나머지 β,γ섹터 DCC(22,23)와 리던던시 DCC(24)의 내부 구성도 상기 α섹터 DCC(21)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α섹터 UCC(31) 역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부(12)를 통해 입력되는 α섹터 신호(38.4MHz)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1(31-1)과, 혼합기1,2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컬신호(108.4MHz)와 제2 로컬신호(2455MHz)를 각각 발생하는 PLL부(31-2)와, 상기 증폭기1(31-1)에서 증폭된 α섹터 신호(38.4MHz)와 상기 PLL부(31-2)에서 발생된 제1 로컬신호(108.4MHz)를 혼합하여 제1 소정 주파수(70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1(31-3)과, 상기 혼합기1(31-3)에서 출력된 제1 소정 주파수(70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2(31-4)와, 상기 증폭기2(31-4)에서 증폭된 제1 소정 주파수(70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31-2)에서 발생된 제2 로컬신호(2455MHz)를 혼합하여 제2 소정 주파수(2385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2(31-5)와, 상기 혼합기2(31-5)에서 출력된 제2 소정 주파수(2385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N(31-6)과, 상기 증폭기1,2,N(31-1,4,6)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모니터링부(31-7)와,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31-7)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RFC(15)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31-8)로 구성되며, 나머지 β,γ섹터 UCC(32,33)와 리던던시 UCC(34)의 내부 구성도 상기 α섹터 UCC(31)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에는 종래 이중화를 위한 PLL 감시부와 DC 입력 전원 감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파수 하향 변환시 이중화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적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1 스위치부(11)가 RFC(15)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각각 α,β,γ섹터 DCC(21∼23)로 출력하고, 이어 α,β,γ섹터 DCC(21∼23)는 상기 α,β,γ섹터별 신호를 각각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3 스위치(13)를 통해 출력한다.
즉, α섹터 DCC(21)의 동작을 예로 들면, α섹터 DCC(21)내 증폭기1(21-1)이 제1 스위치부(11)를 통해 입력되는 α섹터 신호인 2315MHz를 소정 레벨 증폭하고, 이어 혼합기1(21-3)이 상기 증폭기1(21-1)에서 증폭된 2315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21-2)에서 발생된 2455MHz의 제1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140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증폭기2(21-4)는 상기 혼합기1(21-3)에서 출력된 140MHz의 α섹터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고, 혼합기2(21-5)는 상기 증폭기2(21-4)에서 증폭된 140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21-2)에서 발생된 101.6MHz의 제2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38.4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며, 이후 증폭기N(21-6)은 상기 혼합기2(21-5)에서 출력된 38.4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제3 스위치부(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류 모니터링부(21-7)는 상기 증폭기1,2,N(21-1,4,6)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정상상태와 다른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를 검출한다.
즉, α섹터 DCC(21)의 입력에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거나, 쇼크(Shock),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상기 증폭기1,2,N(21-1,4,6)에 스트레스(Stress)를 가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증폭기1,2,N(21-1,4,6)에 공급되는 전류는 정상상태의 전류와 차이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21-7)는 상기 증폭기1,2,N(21-1,4,6)에 대한 이상 확인시 인터페이스부(21-8)를 통해 모니터링한 결과를 RFC(15)로 전달하여 RFC(15)가 스위칭 제어신호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증폭소자의 이상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RFC(15)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부(11)와 제3 스위치부(13)가 스위칭 절체 동작하여 비정상적인 해당 섹터 D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24)의 경로로 절체하여 비정상적인 해당 섹터 DCC에 입력되는 해당 섹터 신호를 리던던시 DCC(24)에서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주파수 상향 변환시 이중화 동작을 설명한다.
주파수 상향 변환시 이중화 동작은 주파수 하향 변환시 이중화 동작과 동일하다.
즉, 정상적으로 주파수 상향 변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2 스위치부(12)가 RFC(15)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각각 α,β,γ섹터 UCC(31∼33)로 출력하고, 이어 α,β,γ섹터 UCC(31∼33)는 상기 α,β,γ섹터별 신호를 각각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제4 스위치(14)를 통해 출력한다.
즉, α섹터 UCC(31)의 동작을 예로 들면, α섹터 UCC(31)내 증폭기1(31-1)이 제2 스위치부(12)를 통해 입력되는 α섹터 신호인 38.4MHz를 소정 레벨 증폭하고, 이어 혼합기1(31-3)이 상기 증폭기1(31-1)에서 증폭된 38.4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31-2)에서 발생된 108.4MHz의 제1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70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증폭기2(31-4)는 상기 혼합기1(31-3)에서 출력된 70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고, 혼합기2(31-5)는 상기 증폭기2(31-4)에서 증폭된 70MHz의 α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31-2)에서 발생된 2455MHz의 제2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2385MHz의 α섹터 신호를 출력하며, 이후 증폭기N(31-6)은 상기 혼합기2(31-5)에서 출력된 2385MHz의 α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제4 스위치부(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류 모니터링부(31-7)는 상기 증폭기1,2,N(31-1,4,6)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정상상태와 다른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를 검출한다.
즉, α섹터 UCC(31)의 입력에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거나, 쇼크,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상기 증폭기1,2,N(31-1,4,6)에 스트레스를 가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증폭기1,2,N(31-1,4,6)에 공급되는 전류는 정상상태의 전류와 차이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31-7)는 상기 증폭기1,2,N(31-1,4,6)에 대한 이상 확인시 인터페이스부(31-8)를 통해 모니터링한 결과를 RFC(15)로 전달하여 RFC(15)가 스위칭 제어신호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증폭소자의 이상으로 주파수 상향 변환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RFC(15)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치부(12)와 제4 스위치부(14)가 스위칭 절체 동작하여 비정상적인 해당 섹터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UCC(34)의 경로로 절체하여 비정상적인 해당 섹터 UCC에 입력되는 해당 섹터 신호를 리던던시 UCC(34)에서 입력받아 주파수 상향 변환시키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모니터링을 통해 송수신부의 DCC 및 U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이상 유무를 항상 감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DCC 및 UCC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링크의 통화품질 및 용량 저하와 순방향 링크의 순간적인 셀 반경 감소 현상을 조기에 극복할 수 있으며, DCC 및 UCC내 비정상적인 증폭소자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시스템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고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등, 송수신부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해당 섹터별 DCC와 UCC로 각각 출력하는 제1, 제2 스위치부와,해당 섹터별 DCC와 UCC에서 출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RFC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출력하는 제3, 제4 스위치부와,α,β,γ섹터별 DCC와 UCC의 주파수 하향 및 상향 변환 동작을 제어하고, α,β,γ섹터별 DCC 또는 UCC의 이상 확인시 비정상적인 DCC 또는 UCC의 경로를 리던던시 DCC 또는 UCC의 경로로 절체해 주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4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RFC와,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3 스위치부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DCC와,상기 α,β,γ섹터 D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D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DCC와,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섹터별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제4 스위치부로 출력하고,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α,β,γ섹터 UCC와,상기 α,β,γ섹터 UCC내 증폭소자에 대한 전류 모니터링시 증폭소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비정상적인 UCC로 입력되는 해당 섹터별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받아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리던던시 UC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β,γ섹터 DCC가,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 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1과, 혼합기1,2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컬신호와 제2 로컬신호를 발생하는 PLL부와, 상기 증폭기1에서 증폭된 α,β,γ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에서 발생된 제1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1과, 상기 혼합기1에서 출력된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2와, 상기 증폭기2에서 증폭된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에서 발생된 제2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제2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2와, 상기 혼합기2에서 출력된 제2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N과, 상기 증폭기1,2,N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와,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RFC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β,γ섹터 UCC가,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α,β,γ 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1과, 혼합기1,2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로컬신호와 제2 로컬신호를 발생하는 PLL부와, 상기 증폭기1에서 증폭된 α,β,γ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에서 발생된 제1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1과, 상기 혼합기1에서 출력된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2와, 상기 증폭기2에서 증폭된 제1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와 상기 PLL부에서 발생된 제2 로컬신호를 혼합하여 제2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2와, 상기 혼합기2에서 출력된 제2 소정 주파수의 α,β,γ섹터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N과, 상기 증폭기1,2,N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와,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RFC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990A KR20020018734A (ko) | 2000-09-04 | 2000-09-04 |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990A KR20020018734A (ko) | 2000-09-04 | 2000-09-04 |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8734A true KR20020018734A (ko) | 2002-03-09 |
Family
ID=1968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1990A KR20020018734A (ko) | 2000-09-04 | 2000-09-04 |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873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7189A (ko) * | 2002-03-25 | 2003-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 및방법 |
KR100450958B1 (ko) * | 2001-09-11 | 2004-10-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차단없는 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섹터/다중 주파수할당을지원하는 기지국 시스템 |
-
2000
- 2000-09-04 KR KR1020000051990A patent/KR200200187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0958B1 (ko) * | 2001-09-11 | 2004-10-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차단없는 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섹터/다중 주파수할당을지원하는 기지국 시스템 |
KR20030077189A (ko) * | 2002-03-25 | 2003-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 및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5251B2 (en) | Mobile radio apparatus and radio unit | |
CN100525269C (zh) | 基带单元环形级联的资源备份方法以及基带单元 | |
US20090154377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US10651799B2 (en) | Selecting between boosted supply and battery supply | |
KR20020018734A (ko) | 전류 모니터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내 송수신부의 이중화장치 | |
JPH11168424A (ja) | 簡易型の携帯電話基地局装置 | |
US7466962B2 (en) | Methods and apparatus of providing a radio frequency local oscillator signal for a transceiver | |
KR20080082536A (ko) | 기지국 무선 장치,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무선장치의 제어 방법 | |
JPH06284085A (ja) | ディジタル無線通信装置 | |
US7069048B2 (en) | Base station system supporting multi-sector/multi-frequency assignment for seamless call service | |
CN100433574C (zh) | 一种基站前向链路的冗余备份系统及射频切换装置 | |
US6421332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and output levels of base station transmit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WO2009113329A1 (ja) | 通信装置、歪み補償回路、および歪み補償方法 | |
CN221728329U (zh) | 一种终端信号增强装置 | |
KR100244192B1 (ko) | 개인휴대통신에서 출력전력증폭기 리던던시 절체방법 및 그장치 | |
JP2001230704A (ja) | 無線送受信装置 | |
US7742549B2 (en) | Dual-polarization receiver | |
JP2003169030A (ja) |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折り返し試験方法 | |
KR0119559B1 (ko) | 무선 랜의 주파수 송수신 장치 | |
JPH11298381A (ja) | 共通増幅装置 | |
KR20020018733A (ko) | 기지국 장치내 주파수 하향 변환기의 이중화 장치 | |
KR20030057708A (ko) | 무선기지국의 예비장비 절감장치 | |
KR100244196B1 (ko) | 시스템의 주요 소자에 대한 이중화 회로 | |
JP3314920B2 (ja) | 中継装置 | |
JPH10271028A (ja) | セルラ−電話機の受信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