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292A - 비만과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만과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292A
KR20020016292A KR1020000049553A KR20000049553A KR20020016292A KR 20020016292 A KR20020016292 A KR 20020016292A KR 1020000049553 A KR1020000049553 A KR 1020000049553A KR 20000049553 A KR20000049553 A KR 20000049553A KR 20020016292 A KR20020016292 A KR 2002001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urney
water
room
dried
const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517B1 (ko
Inventor
박세혁
Original Assignee
박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혁 filed Critical 박세혁
Priority to KR10-2000-004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5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음료로서 비만과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주도 및 따뜻한 남쪽 지방에 자라는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을 주 원료로 하고 또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 및 대추, 감초, 계피, 쑥, 인동화, 결명자, 진피를 첨가하여 이들의 성분을 전부 또는 일부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천연차인 여정실차 및 제조 방법이며 식사 전, 후 및 식간에 복용하여 비만과 변비 해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과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Tea produced with the fruit of the Ligustrum japonicum tree reduce weight and relieve constipation}
본 발명은 건강음료로써 비만과 변비 해소를 위한 여정실차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나무 열매인 여정실을 주 원료로 하여 비만과 변비 해소 효과를 가지는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여정실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광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는 제주도 및 따뜻한 남쪽 지방에 서식하는 광나무 열매인 여정실를 주원료로 하고 광나무의 꽃, 잎, 줄기껍질, 쑥, 인동화, 진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선택적으로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차를 제조하여 식전, 식후, 식간에 복용한 결과 비만과 변비 해소 효과를 얻을수 있는 순수 생약 성분의 천연차를 발명하였다.
비만과 변비 현상을 일으키는 요인 중 주요한 요인은 체내의 피하 및 장간막 지방이 과다 에 의한 비만과 장의 기능 저하와 배설물의 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변비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만과 변비 해소를 위하여 건강음료로서 여러 종의 드링크류가 개발되었다.
건강음료로서 비만과 변비 해소를 위하여 여러 드링크류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렇한 드링크류를 복용하므로써 설사, 전신권태 등의 부작용 문제점과 또한 고가로 판매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음료로서 비만과 변비 해소에 큰 효과가 있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차를 저렴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을 주원료로 하고 광나무의 꽃, 잎, 줄기 껍질 및 쑥, 인동화, 진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선택적 또는 함께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한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나무는 제주도 및 따뜻한 남쪽 지방의 저지대에 자라며 열매를 여정실이라고 하며 열매, 잎, 꽃, 표피, 뿌리 성분 중에 오레아놀릭산(Olenolic acid), 팔미트산(Pamic acid), 리놀릭산(Linoleic acid), 우르솔릭산(Ursolic acid),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어, 광나무 열매인 여정실은 체내 지방 분해물인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고 지방을 유화하여 체내 지방 성분의 축적을 완화시키는 작용과 간과 장, 콩팥의 기능을 강화하고 배변을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꽃은 강장, 강정, 피로회복에 효능이 있다.
잎은 과식에 따른 위부담감, 위궤양, 해열에 효능이 있다.
나무 껍질은 해열, 항말라리아 작용 및 기관지염에 효능이 있다.
쑥은 몸의 찬기운을 제거하여 통증을 그치게 하며 담즘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인동화는 체내 염증성 질환 및 해열, 해독 작용과 피를 맑게 하며 열로 인한 이질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진피는 기(氣)의 소통과 비장을 튼튼히 하는 효능이 있다.
감초는 비장을 보하고 해독, 해열 작용과 폐를 부드럽게하여 기침을 멎게하며 혼합 약제 중 독성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계피는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양기(陽氣)를 보하며 혈맥(血脈)의 냉기를 해소하여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대추는 위와 기(氣)를 보(補)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결명자는 간과 콩팥을 보하고 간열(肝熱)에 의한 중풍을 없애고 눈을 맑게 하며 혈압을 내리고 대변을 부드럽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물들은 그 고유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여정실과 광나무 꽃, 잎, 줄기의 껍질 함유물 중 콜레스테롤 분해와 체내 음식물의 유화 및 강장, 배변 완화에 관한 것이며 그 외 구성 성분들은 여정실의 콜레스테롤 분해의 효과를 높이고 또한 이 분해 작용을 보조하여 비만과 변비 해소 효과를 높이는 한편 인체 여러 기관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능을 일으키게 하는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단계
여정실의 채취와 건조
늦가을에서 겨울에 거쳐 잘 익어 검은색에 약간의 보라색을 띤 광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물로 잘 세정하고 10 내지 20℃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되게 건조한다.
광나무 꽃의 채취와 건조
봄에 광나무 꽃을 채취하여 잘 세정한 후 15 내지 25℃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되게 한다.
광나무 잎의 채취와 건조
봄에 광나무의 연한 잎을 채취하여 잘 세정한 후 15 내지 25℃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되게 한다.
광나무 줄기의 껍질 채취와 건조
봄이 가지치기 또는 간벌하는 광나무의 줄기 중 그 직경이 3mm이상인 가지의껍질을 벋겨 잘 세정한 후 15 내지 25℃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되게 한다.
쑥의 채취와 건조
봄에 해안과 산야의 쑥을 채취하여 잘 세정한 후 15 내지 25℃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한 때의 30 내지 50%되게 건조한다.
인동화의 채취와 건조
봄에 만개된 인동화를 채취하여 잘 세정한 후 15 내지 25℃인 그늘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되게 한다.
진피의 채취와 건조
늦가을에서 겨울에 거쳐 진귤을 채취하여 잘 세정한 후 껍질을 벋겨 이 껍질을 10 내지 20℃인 그늘에서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되게 한다.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재료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는 한약제로 시판되는 재료를 구입하여 잘 세정한 후 그늘에서 2 내지 3일 건조한다.
제 2 단계
여정실차 1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30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 단계에서 건조된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 꽃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4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 잎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5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 줄기의 껍질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6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을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7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줄기의 껍질을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8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잎과 줄기의 껍질을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9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 껍질 각각 3 내지 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0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을 각각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1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인동화을 각각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2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진피를 각각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3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과 인동화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4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과 진피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5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인동화와 진피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6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의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 인동화, 진피를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7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의 광나무의 꽃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8의 제조
제1단계에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잎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19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재조된 광나무 줄기의 껍질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0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의 광나무 꽃과 잎 및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5 내지 3g을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1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 꽃과 줄기의 껍질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2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 잎과 줄기의 껍질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3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광나무 꽃, 잎, 줄기의 껍질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3 내지 2.6g을 물 2L의 비율로 물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4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쑥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5의 제조
제 1단계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인동화를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6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의 진피 9 내지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의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7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쑥과 인동화를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8의 제조
제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쑥과 진피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29의 제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인동화와 진피 각각 4.5 내지 9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0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쑥, 인동화, 진피 각각 3 내지 6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1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쑥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2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인동화와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3의 제조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진피와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8 내지 3.6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4의 제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쑥과 인동화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5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에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쑥과 진피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6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인동화와 진피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5 내지 3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7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쑥, 인동화, 진피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1.3 내지 2.6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2 내지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여정실차 38의 제조
제 1단계에서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제 2단계에서 건조된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 인동화, 진피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 각각 0.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 내지 600mL가 되게 하였다.
실시예 2
분말 여정실차의 제조
제 2 단계의 여정실차 1 내지 38 가지의 종류를 제조하는 여정실차의 재료를상기의 여정실차 1 내지 여정실차 38가지의 종류로 제조시 혼합되는 비율로 각각 잘게 썰어 50 매쉬 내지 150매쉬로 분쇄하여 3g을 티백에 넣어 분말 상태의 비만 및 변비를 해소하기 위한 여정실차를 제조한다.
실험예
실험예 1
본 발명의 여정실차에 의한 지방 분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한 38종의 여정실차 중 주요 재료인 여정실 및 광나무 꽃, 잎, 줄기의 껍질, 쑥, 인동화, 진피를 이용한 6종의 천연차 100mL에 완숙된 돼지 고기의 피하 지방 10g씩을 넣어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36 내지 38℃를 유지하는 항온기에 넣어 2시간 후, 6시간 후, 24시간 후 지방의 중량 감소를 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이 때 지방의 분해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물 100mL에 같은 양인 10g의 완숙된 돼지 고기 지방을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지방 분해 효과는 물 속에서의 분해 효과의 차이가 비교적 적은 광나무 잎을 사용한 여정실차와 비교적 차이가 큰 여정실, 쑥과 진피를 사용한 여정실차, 그리고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광나무 꽃과 줄기의 껍질, 인동화를 사용한 여정실차로 3부류로 나타났다.
표1은 3회 실험의 평균 지방 중량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여정실차에 의한 지방 분해 효과
종류중량감소량(g) 여정실차1 (여정실) 여정실차3 (여정실+광나무꽃) 여정실차4 (여정실+광나무잎) 여정실차5 (여정실+줄기껍질) 여정실차24 (여정실+쑥) 여정실차25 (여정실+인동차) 여정실차26 (여정실+진피)
실험 직전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2시간 후 0.5(9.5) 1.3(8.7) 0.4(9.6) 0.9(9.1) 0.6(9.4) 0.7(9.3) 0.4(9.6) 0.3(9.7)
6시간 후 1.3(8.7) 2.4(7.6) 0.9(9.1) 2.1(7.9) 1.2(8.8) 1.9(8.1) 0.9(9.1) 0.8(9.2)
24시간 후 2.8(7.2) 4.9(5.1) 2.2(7.8) 3.9(6.1) 2.4(7.6) 3.6(6.4) 2.0(8.0) 1.5(8.5)
24시간 후 감소비(%) 28.0 49 22 39 24 36 20 15
( )는 남아 있는 지방의 중량
실험예 2
본 발명에 의한 여정실차에 의한 지방 분해 효과로 인체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인을 비롯한 8명이 여정실과 쑥, 인동화, 진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로 만들어 먹기에 가장 좋은 여정실차 37을 하루 3 내지 6회, 1회에 100 내지 130mL 정도 마신 결과 현저하게 복부 부위의 지방 감소를 느낄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표2와 같다.
표 2 여정실차 37에 의한 복부위 감소 현상
표시단위 : 복부둘레(cm)/체중(Kg)-신장(cm)
사람별복부둘레 박세혁(본인)(남-51세) 강00(남-18세) 김00(남-17세) 한00(남-16세) 추00(여-18세) 홍00(여-18세) 김00(여-18세) 김00(여-18세)
시작일2000.6.1 96(72-168) 108(101-178) 118(115-183) 96(79.5- 166) 80.5(69-165) 79.9(56-150) 81(76-158) 83.1(72-160)
10일 후 88(72-168) 104(101-178) 106(115-183) 92(79.5-166) 76.4(68.5-165) 78.0(56-150) 79.4(76-158) 84(72.5-160)
20일 후 87(70.5-168) 104(101-178) 107(114-183) 92(79-166) 77.0(70-165) 77.3(56-150) 80.5(76.5-158) 81(73-160)
30일 후 85.5(70.5-168) 102(100-178) 105.5(111-183) 91(79-166) 78.0(69-165) 77.0(56-150) 81.0(77.5-158) 80.5(72.5-60)
30일후 복부둘레 감소비 11% 10.6% 10.5% 5.2% 3.1% 3.6% 0% 2.8%
※ 박세혁 본인은 2000년 2월 12일에 측정 시작
또한 하절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계절적 요인으로 비만 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본인을 제외한 7명이 여정실차 37을 마시기 시작할 때가 하절기 시작이므로 계절적 요인에 의한 현상과 비교하기 위하여 여정실차 37을 식음하지 않는 7명에 대하여 복부둘레와 체중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3과 같다.
표 3 계절적 요인에 의한 비만 현상 변화
표시 단위 :복부둘레(cm)/체중(Kg)-신장(cm)
사람별복부둘레 고00(남-18세) 양00(남-17세) 임00(남-16세) 윤00(여-18세) 변00(여-18세) 고00(여18세) 이00(여-18세)
시작일2000. 6. 1 101(88-170) 105(96-176) 104(96-176) 83.4(84-172) 77(66-156) 67.2(59-159) 76(63-156)
10일 후 100.2(86.5-170) 104(97-176) 100(94-176) 87.3(83.5-172) 78.4(66-156) 69(61-159) 75.6(63.5-156)
20일 후 100(87.5-170) 103(97-176) 100(91-176) 85.8(83-172) 78.4(66-156) 70(50-159) 75(63-156)
30일 후 100(85.8-170) 104(97.5-176) 98(89.5-176) 84(82-172) 77.2(66-156) 68(58.5-159) 72.6(62-156)
30일 후 복부둘레 감소비(%) 1% 1% 5.8% +0.7% +0.3% +1.2% 5.3%
실험 예3
변비 해소 효과
본 발명의 여정실차에 의한 변비 해소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변비로 고통을 받는 7사람에게 여정실과 쑥, 인동화, 진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로 만든 여정실차 7종류 각각에 대하여 하루 3 내지 6회, 1회 100 내지 130mL씩 마시도록 한 결과 빠르게는 1일 후 늦게는 5일 후 모두 변비가 사라졌다.
본 발명은 건강음료로서 여정실을 주원료로 하고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 및 쑥, 인동화, 진피,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일정 배합비로 혼합한 재료들의 성분이 용액상 또는 분말 상태인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본 여정실차는 식전, 식후, 식간, 어느 때 복용해도 비만과 변비 해소에 효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체내 콜레스테롤 감소로 고혈압 저하와 간장과 신장, 위장 등 인체 주요 기관들의 건강과 이로 인한 정력의 활성화와 숙취해소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6)

  1.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감초, 계피, 대추 및/또는 결명자가 첨가되는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광나무의 잎, 꽃 및/또는 줄기의 껍질이 첨가되는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쑥, 인동화 및/또는 진피가 첨가되는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광나무의 꽃, 잎, 줄기의 껍질과 쑥, 인동화, 진피 및 감초, 계피, 대추, 결명자가 첨가되는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과 첨가재료가 분말로 이루어진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 추출물은 여정실 30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8. 제 2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 추출물은 여정실 12 내지 21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첨가되는 재료의 추출물은 각각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10.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첨가되는 재료의 추출물은 각각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실에 첨가되는 재료의 추출물은 각각 0.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
  12. 여정실을 10 내지 20℃의 그늘에서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 단계;
    상기 건조된 여정실 30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가 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1항에 따른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를 제조하는 방법.
  13. 여정실을 10 내지 20℃의 그늘에서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고, 상기 첨가되는 추출물의 재료는 15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로 감소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첨가되는 추출물의 첨가 재료 2.3 내지 4.5g을 물 2L의 비율로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가 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2항에 따른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를 제조하는 방법.
  14. 여정실을 10 내지 20℃의 그늘에서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고, 상기 첨가되는 추출물의 재료는 15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첨가되는 추출물의 첨가 재료 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가 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를 제조하는 방법.
  15. 여정실을 10 내지 20℃의 그늘에서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고, 상기 첨가되는 추출물의 재료는 15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여정실 12 내지 21g과 첨가되는 추출물의 첨가 재료 0.9 내지 1.8g을 물 2L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물의 양이 400mL 내지 600mL가 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5항에 따른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를 제조하는 방법.
  16. 여정실의 분말은 여정실을 10 내지 20℃의 그늘에서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40 내지 6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고, 상기 첨가되는 재료는 15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여 그 중량이 채취할 때의 30 내지 50%로 감소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여정실과 첨가재료를 세절하고 50 내지 150매쉬로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6에 따른 비만 및 변비 해소용 여정실차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0-0049553A 2000-08-25 2000-08-25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037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553A KR100378517B1 (ko) 2000-08-25 2000-08-25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553A KR100378517B1 (ko) 2000-08-25 2000-08-25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292A true KR20020016292A (ko) 2002-03-04
KR100378517B1 KR100378517B1 (ko) 2003-03-31

Family

ID=1968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553A KR100378517B1 (ko) 2000-08-25 2000-08-25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67A (ko) * 2002-03-15 2003-09-22 조명하 진피 복합제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 조성물 추출방법
WO2013022178A1 (ko) * 2011-08-10 2013-02-14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67A (ko) * 2002-03-15 2003-09-22 조명하 진피 복합제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 조성물 추출방법
WO2013022178A1 (ko) * 2011-08-10 2013-02-14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517B1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3085B (zh) 用于改善肉质风味的猪饲料
CN105582333A (zh) 一种养生补肾黄秋葵酒及其制备方法
CN103734428B (zh) 一种提高免疫力的女贞子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20120084723A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2450517A (zh) 一种肉鸡饲料及其使用的中药添加剂
CN104286486B (zh) 用于治疗鸭病毒性肝炎的功能性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452151A (zh) 一种阴道护理凝胶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03719544B (zh) 用于提高肉鸭肉质的饲料
KR100968674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CN112167574A (zh) 一种新鲜龟苓膏及其制备方法
KR20120115443A (ko) 숙취 해소용 탕약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Reid A Handbook of Chinese Healing Herbs: An Easy-to-Use Guide to 108 Chinese Medicinal Herbs and Dozens of Prepared Herba l Formulas
KR101090593B1 (ko) 모시풀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샴푸
KR20020048212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1496635A (zh) 金银菊复合吸品
CN106137863A (zh) 一种婴幼儿用多效润肤膏
CN104474028B (zh) 治疗皮肤瘙痒的药膏及其制备方法
CN105168799B (zh) 一种治疗鸡白痢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0378517B1 (ko) 여정실차 및 그 제조 방법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58298B1 (ko) 숙취 해소제의 제조방법
CN105076414A (zh) 一种适宜失眠人群饮用的酸奶及制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