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6Y1 -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 Google Patents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6Y1
KR200200156Y1 KR2020000011273U KR20000011273U KR200200156Y1 KR 200200156 Y1 KR200200156 Y1 KR 200200156Y1 KR 2020000011273 U KR2020000011273 U KR 2020000011273U KR 20000011273 U KR20000011273 U KR 20000011273U KR 200200156 Y1 KR200200156 Y1 KR 200200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monorail
overloa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두수
Original Assignee
고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60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74409B1/ko
Application filed by 고두수 filed Critical 고두수
Priority to KR202000001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2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for control of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for propul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10Temporary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노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방제 작업을 수행하는 방제기가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과부하 상태를 유지하면 이를 감지하여 과부하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켜 주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모노레일 방제기의 주행 속도를 조절해 주는 속도 조절부(20)와;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40)와; 상기 구동 모터(4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 주는 모터 구동부(42)와; 상기 모터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40)의 정역회전을 제어해 주는 정역회전 조절부(44)와; 상기 구동 모터(4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50)와;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동을 자동 수동 정지 전진 후진 제어해 주는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10)와; 구동 모터(40)를 구동시켜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 주면서,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상기 과부하 감지부(50)를 통해 감지하다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과부하 상태를 해소시켜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A Overload Controller on Monorail}
본 고안은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방제 작업을 수행하는 방제기가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과부하 상태를 유지하면 이를 감지하여 과부하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켜 주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모노레일 자동 방제기는 모노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방제 작업을 수행하면서, 방제기에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장시간 동안에 과부하 걸려도 이를 자동으로 해소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국에는 과부하로 인하여 방제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노레일 방제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항상 대기하여 관찰하여 과부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과부하가 걸리면 이를 직접 해소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노레일 자동 방제기의 기능을 개선하여 과부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인을 제거하거나 방제기를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시스템 파손을 방지해 주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노레일 자동 방제기에 있어서, 모노레일 방제기의 주행 속도를 조절해 주는 속도 조절부와;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 주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해 주는 정역회전 조절부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과부하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동을 자동 수동 정지 전진 후진 제어해 주는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운행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속도 조절부를 통해 운행 속도가 결정되면, 정력회전 조절부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 구 동부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면서, 구동 모터의 과부하 여부를 상기 과부하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다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과부하 상태를 해소시켜 주는 제어부와;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스위치부 11 : 자동 스위치 12 : 수동 스위치
13 : 정지 스위치 14 : 후진 스위치 15 : 전진 스위치
20 : 속도 조절부 30 : 제어부 40 : 모터
42 : 모터 구동부 44 : 정역회전조절부 46 : 광 결합기 1
50 : 과부하 감지기 52 : 광 결합기 2 60 : 전원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레일 방제기의 주행 속도를 조절해 주는 속도 조절부(20)와;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40)와; 상기 구동 모터(4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 주는 모터 구동부(42)와; 상기 모터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40)의 정역회전을 제어해 주는 정역회전 조절부(44)와; 상기 구동 모터(4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50)와;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동을 자동 수동 정지 전진 후진 제어해 주는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10)와; 상기 스위치부(10)를 통해 운행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속도 조절부(20)를 통해 운행 속도가 결정되면, 정력회전 조절부(44)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 구동부(42)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40)를 구동시켜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면서,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상기 과부하 감지부(50)를 통해 감지하다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과부하 상태를 해소시켜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10)는 모노레일 방제기의 운행 모드를 자동/수동/정지/후진/전진시켜 주는 자동 스위치(11), 수동 스위치(12), 정지 스위치(13), 후진 스위치(14), 전진 스위치(15)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와 정역회전 조절부(44) 사이에는 잡음 제거 및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광 결합기 1(Photo Coupler, 46) 연결되어 있으며,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50)와 구동 모터(40) 사이에도 광 결합기 2(52)가 연결되어 잡음 제거 및 전기적 절연을 통하여 제어부(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속도 조절부(20)는 가변 저항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모노레일 방제기를 자동으로 운용하고자 하면, 스위치부(10)의 자동 스위치(11)를 이용하여 자동 모드로 설정한 후에 메인 전원을 투입하면, 제어부(40)는 정역회전 조절부(44)를 통해 구동 모터(40)를 정회전시켜서 모노레일 상의 방제기를 목표 위치로 이송하면서 방제 작업을 수행하며,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반대로 구동 모터(40)를 역회전시켜서 제자리(시작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모노레일 방제기를 수동으로 운용하고자 하면, 스위치부(10)의 수동 스위치(12)를 이용하여 수동 모드로 설정한 후에 메인 전원을 투입하고, 후진 및 전진 스위치(14, 15)를 이용하여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방제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전 후진 작업을 하면서 정지시키고자 하면 정지 스위치(13)를 이용하여 정지시킨다.
또한, 전 후진 속도는 상기 속도 조절부(20)를 통해 이동 속도를 설정한다.
한편, 모노레일 방제기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에 자동 운행하는 도중에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과부하 상태가 되면, 과부하 감지부(50)가 이를 감지하고, 과부하 상태를 감지한 제어부(30)는 정역회전 조절부(44)를 통해 자동으로 모노레일 방제기를 몇 차례(3차례) 전 후진시키면서 과부하 원인을 해소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과부하 상태가 해소되지 않으면 그 상태에서 바로 구동 모터(40)를 정지시켜서 모노레일 방제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는 모노레일 방제기가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과부하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으로 모노레일 방제기를 몇 차례 전 후진서 그 원인을 자동으로 제거하거나, 그 과정을 수행하여도 과부하 원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모노레일 방제기를 정지시켜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모노레일 방제기에 있어서,
    모노레일 방제기의 주행 속도를 조절해 주는 속도 조절부(20)와;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시켜 주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40)와; 상기 구동 모터(4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 주는 모터 구동부(42)와; 상기 모터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40)의 정역회전을 제어해 주는 정역회전 조절부(44)와; 상기 구동 모터(4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50)와; 모노레일 방제기의 구동을 자동 수동 정지 전진 후진 제어해 주는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10)와; 상기 스위치부(10)를 통해 운행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속도 조절부(20)를 통해 운행 속도가 결정되면, 정력회전 조절부(44)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 구동부(42)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40)를 구동시켜 모노레일 방제기를 전 후진 주면서, 구동 모터(40)의 과부하 여부를 상기 과부하 감지부(50)를 통해 감지하다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과부하 상태를 해소시켜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와 정역회전 조절부(44), 구동 모터(40)와 과부하 감지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잡음을 제거하고, 전기적 절연을 통하여 강전 이 제어부(30)에 유입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광 결합기(46, 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KR2020000011273U 1999-08-28 2000-04-20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KR200200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273U KR200200156Y1 (ko) 1999-08-28 2000-04-20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52A KR100374409B1 (ko) 1999-08-28 1999-08-28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모노레일 방제기
KR2020000011273U KR200200156Y1 (ko) 1999-08-28 2000-04-20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52A Division KR100374409B1 (ko) 1999-08-28 1999-08-28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모노레일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6Y1 true KR200200156Y1 (ko) 2000-10-16

Family

ID=2663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273U KR200200156Y1 (ko) 1999-08-28 2000-04-20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56Y1 (ko) 과부하 방지 기능을 모노레일 방제기
KR100374409B1 (ko)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모노레일 방제기
JPH08242505A (ja) 電気自動車の予備制御装置
JPH01285443A (ja) オートワイパの駆動方法
JP2000120437A (ja) 冷却ファンの駆動装置
KR100286526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방법
KR100297412B1 (ko) 차량용 와이퍼모터의 노이즈제거장치
KR0137499B1 (ko)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
KR19980058633A (ko) 엔진 역회전 제어장치
KR970009439B1 (ko) 무부러쉬 직류모터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JP3139916B2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KR970004099Y1 (ko) 디스크 정지시 슬립 방지 회로
KR100193681B1 (ko) 휠 굴삭기의 엔진제어 장치
KR200146489Y1 (ko) 타워크레인 트롤리의 가변속제어회로
JPS6337032B2 (ko)
KR200146089Y1 (ko) 공작기계의 릴레이 채터링 검출장치
KR20200060083A (ko) 차량용 와이퍼 구동 장치
KR970004456Y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JPH02286451A (ja) ワイパ制御装置
JPH09287109A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の走行とコンベヤの安全制御回路
JP2005130538A (ja) モータ制御回路
KR20040060175A (ko) 칩 컨베이어의 자동부하 해제장치 및 방법
JP2553830B2 (ja) 洗濯機等の給水弁制御装置
KR19980053553A (ko) 파킹 폴 안전장치
KR19990026584U (ko) 시동 모터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