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5Y1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Google Patents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45Y1 KR200200145Y1 KR2020000010344U KR20000010344U KR200200145Y1 KR 200200145 Y1 KR200200145 Y1 KR 200200145Y1 KR 2020000010344 U KR2020000010344 U KR 2020000010344U KR 20000010344 U KR20000010344 U KR 20000010344U KR 200200145 Y1 KR200200145 Y1 KR 2002001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cargo
- moving
- coupled
- screw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좌우 양측에 안내레일(14)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전방으로 받침대(12)가 절곡 연장되며 하단부 후방에 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 중간에 나사축(3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과 양측의 안내레일(14)에 양측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케이스로 형성되며 전면에 포크형 화물적재판(21)이 결합되는 화물이동선반(20)과; 상기 화물이동선반의 내부에서 나사축(31)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동 되도록 되는 이동유니트(30)가 정/역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치되어 나사축(31)을 따라 직선 운동되도록 되는 선반이동장치와; 상기 선반이동장치의 구동모터(33) 및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반이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져,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장치에서 선반이동장치의 구동모터(33)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화물이동선반(20)이 이동유니트(3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하며, 화물이동선반(20)은 프레임(10)의 양측 안내레일(14)을 따라 이동되어 적재된 화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의 운반과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에 리프트장치가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장치되어 그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하도록 하고, 사용상 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화물을 운반하거나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공장에 기둥들과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를 설비하여야 했으나, 그 설비비용이 비싸고,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 순발력이 떨어지고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레일의 영역을 벗어나면 별도의 운반수단과 리프트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호이스트로 작업할 수 없거나 용이하지 않은 운반과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해 소형 캐리어형 리프트수단이 사용되었으며, 그 구조는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하단에 받침판이 전방 쪽으로 절곡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캐리어에 리프트장치가 부가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종래 캐리어형 리프트수단은 프레임에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수단어셈블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치되고, 상기 포크수단어셈블리가 유압장치와 전기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제어에 따라 유압장치가 유압에 의해 포크수단어셈블리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화물을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캐리어형 리프트수단은 유압장치 및 그 제어장치들에 의해 가격이 너무 고가이며 너무 무거워 그 생산성이 낮았으며, 유압장치의 설치공간이 크기 때문에 화물을 리프팅하는 포크수단어셈블리가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버팀목 등으로 받쳐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다른 구조의 캐리어형 리프트수단은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4각나사의 나사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나사축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모터가 프레임 하단부에 장치되며, 상기 나사축에 나사 연결되는 포크수단어셈블리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에 의해 포크수단어셈블리가 상하로 이동되어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하역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트수단은 노출된 나사축이 회전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낮았으며, 하역시 급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및 구동장치가 고가여서 비교적 전체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리어형상을 갖는 프레임에 화물을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화물이동선반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화물이동선반의 내부에 선반이동장치가 제어장치에 의해 화물이동선반에 구동제어가 가능하게 장치되어,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기존 리프트장치와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전동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전동 리프트에서 화물이동선반의 커버를 분리한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전동리프트에 지지대가 취부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보조지지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화물이동선반의 롤러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전동리프트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바퀴
12 : 받침대 13 : 손잡이
14 : 안내레일 15 : 축전지트레이
20 : 화물이동선반 21 : 화물적재판
22 : 롤러 23 : 선반본체
24 : 커버 25 : 짐받이대
26 : 아이볼트 27 : 지지대
30 : 이동유니트 31 : 나사축
32 : 브라켓 33 : 구동모터
34 : 피니언기어 35 : 아이들기어
40 : 제어스위치박스 41 : 상향스위치버튼
42 : 하향스위치버튼 43 : 리미트스위치
44 : 주름관 50 : 보조지지대
51 : 보조바퀴 52 : 스토퍼
53 : 횡축 54 : 종축
55 : 걸림돌기 56 : 지지용고리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안내레일의 상하 양단부가 소정 폭을 두고 결합되어 하단부에 전방으로 받침대가 절곡 연장되고 상단부에 후방으로 손잡이가 절곡 연장되며 하단부 양측에 후방으로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단 중간에 나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과 프레임의 양측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는 케이스로 형성되며 케이스 전면에 포크가 형성되는 화물이동선반과; 상기 화물이동선반의 내부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장치되고 나사축을 따라 상하로 나선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이동장치와; 상기 선반이동장치의 구동모터 및 축전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1)가 양측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캐리어형상을 갖는 프레임(10)에 화물을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화물이동선반(2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화물이동선반(20)의 내부에 선반이동장치가 제어장치에 제어 가능하게 장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장치에서 선반이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화물이동선반(2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하며, 화물이동선반(20)은 프레임(10)의 양측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되어 적재된 화물을 이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는 두 지지축이 소정 폭을 두고 연결대에 의해 상하 양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에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대(12)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둔각(95°정도)을 갖도록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단부에 후방으로 손잡이(13)가 절곡 연장된다. 또한, 양 지지축은 각기 내측에 안내레일(14)이 형성되어 화물이동선반(20)의 양측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며, 상하의 양 연결대 중간에 나사축(31)의 상하 양단이 지지되고, 하단부 일측에 축전지트레이(15)가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하단부 양측에 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전지트레이(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가 안착되도록 되며, 양측의 안내레
일(14)과 나사축(31)에 화물이동선반(2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1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두면 받침대(12)가 지면에 밀착되어 직립상태가 유지되고, 상부의 손잡이(13)를 후방으로 당기면 받침대(12)가 지면에서 떨어지고 바퀴(11)가 지면을 따라 회전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직립상태로 두고, 적재된 화물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3)를 후방 하부로 당겨 경사지도록 하므로 받침대(12)가 들리고 바퀴(11)만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화물이동선반(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강판이 절곡 형성되어 후방이 개방되는 케이스로 형성되며 전면에 화물 적재용 화물적재판(21)이 결합되고 상하 양측부가 각기 롤러(22)에 의해 프레임(10)의 양측 안내레일(1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반본체(23)와, 선반본체(23)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4)와, 선반본체(23)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부로 연장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일면을 지지하는 짐받이대(2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물이동선반(20)은 선반본체(23)의 전면에 결합되는 화물적재판(21)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하고, 적재된 화물이 짐받이대(25)에 지지되도록 하며, 양측의 롤러(22)에 의해 안내레일(14)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화물적재판(21)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철판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포크부가 형성되고, 외곽 및 포크부 저면에 보강리브(rib)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선반본체(23)에 나사들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롤러(22)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클러치베어링(22a)이 결합되고, 클러치베어링(22a)이 선반본체(23)의 측면에 고정되어, 선반본체(23)가 상승할 때에는 회전 이동되고, 하강하는 때에는 회전이 정지되어 안내레일(14)의 측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강 행정시 제동기능을 수행하여 하강이 서서히 진행되도록 하므로 구동모터(33) 및 구동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짐받이대(25)는 파이프가 소정 곡율로 만곡되어 상단부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하부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선반본체(23)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측 중간부에 고리(25a)가 형성되어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이 고리(25a)에 체결되도록 된다.
선반이동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반본체(23)와 커버(24) 사이의 내부에서 선반본체(23)의 후면에 브라켓(32)이 결합되어 브라켓(32)의 일측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3)가 고정되고, 나사축(31)의 외주면에 나선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유니트(30)가 브라켓(3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33)의 피니언기어(34)가 아이들기어(35)에 의해 이동유니트(30)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이동유니트(30)는 아이들기어(35)와 치합되도록 하는 기어(30a)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볼스크류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내장되는 볼(ball)들이 나사축(31)의 나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하 양단부가 선반본체(23)에 고정되는 브라켓(32)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선반이동장치는 구동모터(33)에 전원을 인가하면 일체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4)에 의해 아이들기어(35)가 회전되고, 아이들기어(35)와 치합된 기어(30a)에 의해 이동유니트(3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나사축(31)의 외주면에서 이동유니트(30)가 회전운동과 동시에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유니트(30)를 지지하는 브라켓(32)과 함께 선반본체(23)가 이동유니트(30)와 함께 나사축(31)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화물이동선반(20)의 화물적재판(21)에 적재된 화물을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축전지트레이(15)에 축전지가 안착되도록 괴고, 구동모터(33)가 상기 축전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반본체(23)의 후면 일측에 취부되는 제어스위치박스(40)가 상기 축전지와 구동모터(33)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상단부 일측에 화물이동선반(20)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향스위치버튼(41)이 취부되고, 타측에 화물이동선반(20)을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향스위치버튼(42)이 취부되며, 선반본체(23)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리미트스위치(43)가 장치되며, 상향스위치버튼(41)과 하향스위치버튼(42) 및 리미트스위치(43)가 제어스위치박스(40)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어스위치박스(40)는 정/역 릴레이 회로에 의해 구동모터(33)를 조작하도록 되고, 상/하단의 리미트스위치(43)에 의해 선반본체(23)의 수직방향 행정을 제어하도록 된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상향스위치버튼(41)을 누르면 제어스위치박스(40)에서 축전지의 전원이 구동모터(33)에 인가되도록 하여 구동모터(33)가 정회전되도록 하
고, 하향스위치버튼(41)을 누르면 제어스위치박스(40)에서 구동모터(33)에 역방향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구동모터(33)가 역회전되도록 하며, 상향스위치버튼(41) 및 하향스위치버튼(42)에서 손을 때면 제어스위치박스(43)가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33)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선반본체(2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중에 리미트스위치(43)가 프레임(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접촉되거나 장애물에 거리면 제어스위치박스(40)가 구동모터(33)로 인가되는 축전지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제어장치는 일측의 상향스위치버튼(41)을 누르면 선반본체(23) 및 화물이 적재된 화물적재판(21)이 프레임(10)의 안내레일(14) 및 나사축(31)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고, 스위치에서 손을 때면 화물적재판(21)이 상부로 상승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타측의 하향스위치버튼(42)을 누르면 선반본체(23)와 화물적재판(21)이 프레임(10)의 안내레일(14)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스위치에서 손을 때면 선반본체(23)와 화물적재판(21)이 정지하게 되며, 상승 또는 하강 중에 리미트스위치(43)가 프레임(10) 상단부나 하단부에 접촉되면 이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반본체(23)의 커버(24)에 아이볼트(26)들이 결합되어 축전지에 연결되도록 되는 플라스틱 주름관(44)의 중간부가 아이볼트(26)의 구멍에 관통되게 지지되고, 주름관(44)의 상단부가 탄력적으로 벤딩된 상태로 선반본체(23)에 연결되도록 지지되며, 선반이동장치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상기 주름관(44) 내부를 통해 배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선반본체(23)가 상하로 이동되면 주름관(44)의 상단과 아이볼트(26)도 함께 상하로 이동되게 되어 주름관(44)의 벤딩부위가 변동되게 되며, 아이볼트(26)의 구멍에 의해 벤딩되는 주름관(44)이 안내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10)이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제어장치용 전선들이 프레임(10) 내부에 배관되고, 선반이동장치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상기 주름관(44) 내부를 통해 배관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전선케이블에 의해 자동차의 축전지에 연결할 수 있는 콘넥터가 축전지트레이(15)의 일측에 장치되어, 자동차가 있는 곳에서는 어디에서든지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보조바퀴(51)가 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대(50)가 프레임(1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비교적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하는 경우 보조지지대(50)가 프레임(10)과 소정 각도를 갖고 보조바퀴(51)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된다.
여기에서, 보조지지대(50)는 중간 외주면에 스토퍼(52)가 돌출되는 횡축(53)양단부가 프레임(10)의 후면에 고정되고, 횡축(53)의 일측 외주면에 종축(54)의 상단부가 걸림돌기(55)에 의해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제한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바퀴(51)가 결합되는 상기 종축(54)의 하단부가 지지용고리(56)에 의해 일측 프레임(10) 하단부에 지지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된다.
이러한 보조지지대(50)는 보통 지지용고리(56)에 의해 프레임(10)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있게 되며,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지지용고리(56)를 해제시키면 종축(54)이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상단부가 횡축(53)의 외주면에서 회전되게되고, 일정각도 회동되면 걸림돌기(55)가 스토퍼(52)에 밀착되어 회전이 제한되게되며, 보조바퀴(51)가 프레임(10)과 소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므로 화물의 적재상태가 더욱 안정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로 손잡이(13)를 밀면 보조바퀴(51)가 프레임(10) 하단의 바퀴(11)들과 함께 구름 이동되게 된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물이동선반(20)의 커버(24) 후면에 후방 하향으로 절곡 돌출되는 지지대(2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함께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대(27)를 커버(24)에 취부하고, 상기 지지대(27)의 절곡 돌출부를 차량의 적재함 부위에 지지한 상태에서, 하향스위치버튼(42)을 조작하면 화물이동선반(20)이 움직이지 못하므로 프레임(10) 및 바퀴(11)가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용이하게 차량의 적재함에 실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이동선반이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반이동장치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화물이동선반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기존의 동일한 출력을 발생하는 것에 비해 그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에 저렴하며, 롤러와 보조장치 들에 의해 안전성과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좌우 양측에 안내레일(14)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전방으로 받침대(12)가 절곡 연장되며 하단부 후방에 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0)과;상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 중간에 나사축(3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과 양측의 안내레일(14)에 양측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케이스로 형성되며 전면에 포크형 화물적재판(21)이 결합되는 화물이동선반(20)과;상기 화물이동선반의 내부에서 나사축(31)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동 되도록 되는 이동유니트(30)가 정/역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치되어 나사축(31)을 따라 직선 운동되도록 되는 선반이동장치와;상기 선반이동장치의 구동모터(33) 및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선반이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화물이동선반(20)은 양측부가 클러치베어링(22a)이 조합되는 롤러(22)에 의해 프레임(10)의 양측 안내레일(1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반본체(23)와, 상기 선반본체의 상단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일면을 지지하는 짐받이대(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선반이동장치는 화물이동선반의 내부에 브라켓(32)이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3)가 고정되고, 나사축(31)의 외주면에 나선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유니트(30)가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피니언기어(34)가 이동유니트(30)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은 후면에 보조바퀴(51)가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대(50)가 소정각도 제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화물이동선반(20)은 후면에 후방으로 절곡 돌출되는 지지대(2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함께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제 3항에 있어서, 이동유니트(30)는 기어(30a)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볼스크류로 형성되어, 내부에 내장되는 볼들이 나사축(31)의 나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하 양단부가 브라켓(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0344U KR200200145Y1 (ko) | 2000-04-07 | 2000-04-07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CN01218877U CN2493605Y (zh) | 2000-04-07 | 2001-04-05 | 具有电操纵平台的手推运货车 |
GB0108759A GB2362372A (en) | 2000-04-07 | 2001-04-06 | Hand truck with electrically operated lifting platform |
JP2001001942U JP3080896U (ja) | 2000-04-07 | 2001-04-06 | キャリヤ型電動リフト |
US09/828,184 US6530740B2 (en) | 2000-04-07 | 2001-04-09 | Hand truck with electrically operated lifting plat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0344U KR200200145Y1 (ko) | 2000-04-07 | 2000-04-07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6263A Division KR20010090685A (ko) | 2000-05-12 | 2000-05-12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45Y1 true KR200200145Y1 (ko) | 2000-10-16 |
Family
ID=1965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0344U KR200200145Y1 (ko) | 2000-04-07 | 2000-04-07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4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589B1 (ko) | 2006-11-28 | 2008-04-11 |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 롤이송 핸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
KR101749921B1 (ko) * | 2010-07-27 | 2017-07-04 | 인테스트 코포레이션 | 위치조절 시스템 및 위치조절 방법 |
KR101914261B1 (ko) * | 2018-02-06 | 2018-11-01 | 주식회사 미래안전기술단 |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
-
2000
- 2000-04-07 KR KR2020000010344U patent/KR2002001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589B1 (ko) | 2006-11-28 | 2008-04-11 |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 롤이송 핸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
KR101749921B1 (ko) * | 2010-07-27 | 2017-07-04 | 인테스트 코포레이션 | 위치조절 시스템 및 위치조절 방법 |
KR101914261B1 (ko) * | 2018-02-06 | 2018-11-01 | 주식회사 미래안전기술단 |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80896U (ja) | キャリヤ型電動リフト | |
US7220222B2 (en) | Cart for die transportation | |
US5036929A (en)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loads such as a trolley or a rolling chair for the handicapped | |
CN110182719B (zh) | 一种高自由度的叉车装置 | |
CN206927550U (zh) | 一种升降服务叉车 | |
KR100421087B1 (ko) |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 |
CN210971178U (zh) | 一种工地上便于装卸建筑材料的推车 | |
KR20010090685A (ko)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
KR200200145Y1 (ko) | 캐리어수단이 조합된 전동 리프트 | |
JP2006076715A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KR101275981B1 (ko) | 차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운반차 | |
CN100475172C (zh) | 为残疾人配置在车辆上的升降装置 | |
CN110217728A (zh) | 一种电动叉车提升装置 | |
KR200472623Y1 (ko) | 리프트 캐리어 | |
JP2000302046A (ja) | 配膳車 | |
CN211055172U (zh) | 搬运设备 | |
KR20220154769A (ko) | 적재하중 승강 장치를 구비한 무인 수송 차량 | |
CN112830426A (zh) | 一种凸轮顶升的搬运设备 | |
CN214141436U (zh) | 随车叉车及其行走机构 | |
CN215558738U (zh) | 立式举升装置 | |
KR200167348Y1 (ko) | 승강 구동부를 분리한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 |
CN213011638U (zh) | 一种双梁悬臂起重机 | |
JP2016166062A (ja) | ローダ | |
KR101897713B1 (ko) | 자동판매기의 전동식 이동장치 | |
KR970005906Y1 (ko) | 화물운반용 대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