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285A -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285A
KR20020012285A KR1020017016392A KR20017016392A KR20020012285A KR 20020012285 A KR20020012285 A KR 20020012285A KR 1020017016392 A KR1020017016392 A KR 1020017016392A KR 20017016392 A KR20017016392 A KR 20017016392A KR 20020012285 A KR20020012285 A KR 2002001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veying
gas
pressur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177B1 (ko
Inventor
이소자키신이치
구마가이시노부
고하마유타카
모치즈키미네오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요지로
닛폰 고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411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17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101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312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012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40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012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79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87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86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121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39141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요지로, 닛폰 고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요지로
Publication of KR2002001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1Injecting additional fuel or reducing agents
    • C21B5/003Injection of pulverulent co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2Making special pig-iron, e.g. by applying additives, e.g. oxides of other metals
    • C21B5/023Injection of the additives into the melting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2Making special pig-iron, e.g. by applying additives, e.g. oxides of other metals
    • C21B5/023Injection of the additives into the melting part
    • C21B5/026Injection of the additives into the melting part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호퍼 등에 저장된 미분탄, 폐플라스틱 등의 분립체를 배출구에 잘라내어 기류반송하는 분립체잘라냄·반송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류반송하는 반송관에 분립체를 잘라내는 장치로서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기내압력검지수단(23a, 23b), 반송관압력검지수단(25a, 25b), 압력조정수단(17a)을 구비하고, 또한 잘라냄장치에 복수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반송배관을 접속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분립체를 기송반송하는 것으로서,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여 대책을 강구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또한 불어넣음방법으로서 고온의 반송가스를 이용하여 반송가스량을 조정하며, 또한 반송경로에 설치한 분배기에 의해 분립체를 복수의 경로로 분배하여 분배제어를 확실하게 실시하고,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여 반송경로의 폐색대책을 강구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송급방법 및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OUT AND TRANSPORTING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분립체잘라냄, 반송의 방법 및 그 장치의 예로서는, 고로로의 미분탄불어넣음에 적용한 것인 일본국 특허공고 1995-03353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동일 공보에 나타내어진 발명의 요지는 분체저장호퍼의 아래쪽에 복수의 분체불어넣음호퍼를 병렬로 배치하고, 분체저장호퍼로부터 분체를 이 복수의 분체불어넣음호퍼에 번갈아 충전하며, 그 하부에 설치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분체공급장치를 통하여 분체반송관에 잘라내고, 반송가스와 혼합하여 반송해서 불어넣는 분체의 불어넣음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불어넣음호퍼내의 압력의 조정 및 분체공급장치로 공급하는 반송보조가스의 압력(잘라냄측 압력)을 분체반송관내의 압력변화를 고려하는 일 없이 분체반송관내의 압력과는 무관계하게 설정하고 있다. 한편 분체반송관내의 압력은 분체의 흐름상황, 분체유량, 가스유량 및 분체공급처압력 등의 여러가지의 요인에 의하여 항상 변동한다. 이 때문에 잘라냄측 압력을 분체반송관내의 압력과 무관계하게 설정하고 있으면 양 압력간의 관계에 따라서는 불어넣음호퍼로부터 분체를 잘라낼 때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잘라냄측 압력이 분체반송관압력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압력이 낮은 쪽으로부터 높은 쪽으로 분체를 잘라내게 되어 잘라냄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잘라냄측 압력이 분체반송관압력보다도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분체가 분체반송관에 밀어내어져서 정량잘라냄을 할 수 없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잘라냄장치에서 잘라내는 경우 잘라냄 바로아래의 잘라냄관형상이 폐색원인의 큰 요인이 되는데, 분체반송관에 직각으로 접속된 잘라냄관으로부터 분립체를 떨어뜨려 버리는 형식에서는 분립체가 반송방향의 속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서 접속부에서 체류하여 버려 폐색을 생기게 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기류반송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1982-195030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이 있다. 여기에서는 분립체를 기류반송할 때의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인 분립체가 반송경로의 도중에서 가스유속부족이나 분립체의 이형을 원인으로 하여 반송경로를 폐색하여 버리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반송경로의 폐색의 검출과 그 폐색해제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동일 공보에 나타내어진 요지는 분체수송관을 개폐밸브에 의해 복수 구간으로 구획하고, 배출방향하류단의 구간밸브로 폐색하며, 안내용 가공에어를 공급하고, 이것을 점차 반복하는 것에 의한 폐색해제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그러나 다음과 같이 문제점이 있다.즉 우선 폐색의 검지방법에 관해서는 압력차에 의한 검출은 범용적이 아니지만 미소한 차압의 제어가 되기 때문에 정밀도가 나빠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다른 폐색검지방법으로서 초음파식 흐름스위치에 의한 검출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측정위치에 따라서는 오동작이 일어나는 등 문제가 많다.
또 폐색해제방법에 관해, 일본국 특허공개 1982-195030호 공보의 것은 폐색이 생긴 경우에는 각 구간에 고압공기를 주입하여 폐색물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송출한다는 것이지만, 이와 같이 반송관의 폐색물을 반송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밀어내는 데에는 상당히 큰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동일 공보의 것은 배관라인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짓고, 각 구간마다 고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 때문에 설비가 복잡하고, 또 복수의 밸브개폐를 요하여 폐색해제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1993-124727호 공보의 것이 있는데, 이것은 폐색이 발생했을 때에 역압을 걸어서 이젝션탱크내에 되미는 방법이고, 에너지의 면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폐색이 생기는 것은 이물 혹은 이형의 피반송체의 혼입이 원인인 것이 많고, 상기 공보에 기재한 것과 같이 원인으로 된 물건을 이젝션탱크에 되돌린다는 방법에서는 다시 같은 원인으로 폐색을 생기게 하여 버리게 될지도 몰라서 유효한 방법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분립체반송관의 압력변동에도 불구하고 분립체의 정량잘라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분립체잘라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반송배관으로의 잘라냄시에 잘라냄관 및 반송관에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러운 잘라냄을 할 수 있는 분립체잘라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경로의 폐색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반송경로에 폐색이 생긴 경우에 적은 에너지로 폐색을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폐색의 원인을 제거하여 다시 같은 원인으로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경로의 도중에 설치한 분배기에 의해 분립체를 복수의 반송경로로 분배하여 반송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에 있어서, 분배제어를 확실하게 실시하고, 또 반송경로의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가스량을 적게 하여 설비비를 저감할 수 있는 분립체의 불어넣음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고고체기체비로 하는 동시에 배관마모를 경감할 수 있는 분립체의 불어넣음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① 분립체의 유동화전용을 위한 에어레이션가스를 이용하는 일 없이 분립체수송에 필요한 최저유속을 주기 위한 캐리어가스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분립체를 소요의 반응용기에 불어넣을 수 있고, 또한 ② 폐플라스틱과 같은 수밀리오더의 입체(粒體)이어도 불어넣음수송량의 조정을 확실하게, 또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송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저장호퍼 등에 저장된 미분탄, 폐플라스틱 등의 분립체(粉粒體)를 배출구에 잘라내어 기류반송하는 분립체잘라냄·반송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실시형태 2의 장치의 전체구성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실시형태 2의 요부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도 3에 나타낸 요부를 전방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실시형태 2의 작용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1 중 실시형태 2의 다른 형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2 중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2 중 실시형태 2의 장치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2 중 실시형태 2의 다른 형태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2의 장치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2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3의 전체구성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3의 요부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3 중 실시형태 3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4 중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4 중 실시형태 1의 분기부의 일부측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4 중 도 16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부분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4 중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4 중 실시형태 2의 장치의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5 중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5 중 도 21에 있어서의 폐색검지장치(504)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5 중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대전컨트롤러(515)에 있어서의 대전-방전의 모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4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5 중 실시형태 2의 장치의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6 중 이 실시에 적합한 설비흐름의 개요.
도 26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6 중 분립체의 유동송급챔버 및 그것에 인접하는 배관계의 개략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6 중 도 26 중의 AA화살표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 6 중 폐플라스틱입자의 고로로의 불어넣음양의 제어성 및 사용가스의 유량원단위에 관해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201A, 201B, 201C, 608: 저장호퍼
3: 불어넣음호퍼 3a, 3b: 분립체불어넣음호퍼
5a, 5b: 도입관 7a, 7b: 도입밸브
9a, 9b, 31: 잘라냄관 10, 402, 502: 반송관
11: 기계식 공급장치 11a, 11b: 공급장치
13a, 13b: 잘라냄밸브 15a, 15b: 가압가스배관
17a, 17b: 가압가스조정밸브 19a, 19b:배출관
21a, 21b: 배출밸브 23a, 23b: 호퍼압력검지장치
25a, 25b: 반송관압력검지장치 27a, 27b: 압력제어장치
31a: 연직부 31b: 경사부
33: 가속가스노즐 51, 506: 고로
53: 랜스 202, 213, 213A: 스크류피더
203: 구동용 모터
204a, 204b, 204Ba, 204Bb, 204Ca, 204Cb: 배출구
205, 205a, 205b, 205Ba, 205Bb, 205Ca, 205Cb, 305: 반송배관
206a, 206b, 309: 불어넣음배관 207: 고로
210a, 210b: 폐색검지장치 211: 제어장치
301, 401, 501: 불어넣음탱크 303, 609: 잘라냄장치
311: 압축기 313: 냉각기
315: 바이패스배관 321: 압력검출기
323: 유량조정밸브 325: 제어장치
331: 반송가스발취장치 333: 관부재
335: 챔버 337: 압력계
339: 발취배관 341, 406, 407, 415: 개폐밸브
343: 유량계 401, 501: 불어넣음탱크
403: 분배기 404, 405, 413: 분기관
408, 409, 505, 615: 불어넣음랜스 410, 411, 416, 621: 노즐
503, 517: 어스선 504: 폐색검지장치
511a, 511b: 절연부재 513: 대전부재
515: 대전컨트롤러 521: 역송용 배관
522: 포집박스 523, 525, 525a, 525b, 617: 배관
524: 집진기 604: 수송배관
605, 605a: 캐리어가스 607: 노즐관
607a: 입구 610: 분립체
614: 유동송급챔버 616: 반응장치
618: 유량조정밸브 619: 유량제어장치
620: 가스모아둠헤더 622: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내용을 개시한다. 즉,
제 1,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반송관에 저장용기내의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하기 위한 정량공급장치와;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반송관압력검지장치 및;
해당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해당 반송관압력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제 2,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반송관에 저장용기내의 분립체를,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와 해당 연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연직부에 대하여 반송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부 및 해당 경사부에 경사방향을 따라서 가속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가스노즐을 포함하는 잘라냄관을 통하여 정량잘라냄하기 위한 정량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제 3,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분립체잘라냄장치에 복수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해당 복수의 배출구의 각각에 반송배관을 접속하여 해당 복수의 배출구 및 해당 복수의 반송배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해당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반송하고 있는 해당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공정과;
폐색이 검지되면 해당 폐색이 검지된 반송배관에 접속된 해당 배출구로부터의 잘라냄을 정지하는 공정과;
해당 복수의 배출구 중 대기상태에 있었던 해당 배출구로부터 해당 분립체를 잘라내어 기류반송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반송방법.
제 4,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해당 저장용기내에 저장된 해당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스크류피더와;
해당 스크류피더의 양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구와;
해당 양단에 위치하는 배출구에 접속된 반송배관과;
해당 각 반송배관에 설치되어 해당 각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폐색검지장치와;
해당 폐색검지장치의 폐색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스크류피더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반송장치.
제 5,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단부에 배출구가 설치된 스크류피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제 6,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단부에 배출구를 갖는 스크류피더를 구비한 분립체잘라냄장치 3대를 1쌍으로 하고 적어도 1쌍 이상을 갖는 분립체잘라냄장치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상기 3대 중 2대는 병렬로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1대의 배출구로부터 잘라내어지는 해당 분립체는 해당 2대의 분립체잘라냄장치의 해당 저장용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제 7, 분립체를 고온의 반송가스에 의하여 반송하는 공정 및;
반송된 분립체를 불어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불어넣음방법.
제 8,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가 해당 반송배관내를 기송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배관내의 해당 반송가스의 속도가 아래식의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해당 반송가스량을 설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방법.
Umin=Umin0×(P0/P1)1/2
다만, Umin: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Umin0: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P0: 대기압(㎏/㎠)
P1: 반송관내압력(㎏/㎠)
제 9,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장치와;
반송배관내를 기송반송하는 분립체의 불어넣음장치와;
반송가스의 블어넣음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장치와;
반송배관내의 가스압력을 검지하는 압력검지장치와;
해당 압력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유량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제어장치는 상기 반송배관내의 반송가스속도가 아래식의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상기 유량조정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장치.
Umin=Umin0×(P0/P1)1/2
다만, Umin: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Umin0: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P0: 대기압(㎏/㎠)
P1: 반송관내압력(㎏/㎠)
제 10,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해당 반송배관내에서 기송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배관의 도중 복수 장소에서 가스유속이 해당 분립체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반송가스를 발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방법.
제 11,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장치와;
해당 분립체를 해당 반송배관내에서 기송반송하는 장치와;
해당 반송배관의 도중 복수 장소에 가스유속이 해당 분립체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가스유속이 되도록 해당 반송가스를 발취하는 반송가스발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장치.
제 12, 분립체를 분배기에 의해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여 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기관에 흐름에 대해 저항이 되도록 기체를 불어넣고, 해당 각 분기관에 흐르는 해당 분립체의 유량밸런스를 조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제 13, 분립체를 분배기에 의해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여 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복수의 분기관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는 공정과;
해당 차단된 분기관에 기체를 불어넣고 해당 차단된 분기관내의 해당 분립체를 유동화시켜서 해당 분기관의 폐색을 방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제 14, 분립체의 유량을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기 위해 해당 반송관과 해당 분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흐름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에 기체를 불어넣기 위해 해당 복수의 분기관에설치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15, 분립체의 유량을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기 위해 해당 반송관과 해당 분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해당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해당 개폐밸브와 해당 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해당 복수의 분기관에 기체를 불어넣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16, 분립체의 유량을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기 위해 해당 반송관과 해당 분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해당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해당 개폐밸브와 해당 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해당 복수의 분기관에 기체를 불어넣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17,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반송관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는 공정과;
해당 정전기가 소정 시간 이상 생기지 않았을 때에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함으로써 폐색을 검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제 18, 분립체를 반송관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생겼을 때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역송용의 가스를 공급하여 폐색을 해제하는 공정과;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해당 반송관의 밖에 설치한 포집용기에 포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제 19, 분립체를 반송관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의 기류반송에 의하여 해당 반송관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정전기가 소정 시간 이상 생기지 않았을 때에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공정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역송용의 가스를 공급하여 폐색을 해제하는 공정과;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해당 반송관의 밖에 별도 설치한 포집용기에 포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제 20,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도중에 절연부재를 통하여 설치된 대전배관 및;
해당 대전배관에 접속되어 대전배관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일정 시간마다 방전시키는 동시에, 해당 대전배관의 대전상태를 감시하여 일정 시간 이상 대전이 없을 때에 신호를 발신하고 대전을 컨트롤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21,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상류측에 해당 반송경로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포집하는 포집용기와;
해당 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고압가스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22,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도중에 절연부재를 통하여 설치된 대전배관과, 해당 대전배관에 접속되어 해당 대전배관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일정 시간마다 방전시키는 동시에, 해당 대전배관의 대전상태를 감시하여 일정 시간 이상 대전이 없을 때에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해당 반송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대전컨트롤장치와;
해당 반송관의 상류측에 해당 반송관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포집하는 포집용기와;
해당 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고압가스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제 23, 기계식 잘라냄장치를 이용하여 분립체를 챔버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해당 챔버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해당 챔버내에 공급된 해당 분립체에 대하여 해당 챔버내저면주위의 측벽부로부터 평면상 기류를 해당 챔버저면의 중심부를 향하여 분류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해당 챔버내에서 유동화시키는 공정과;
유동화되고 해당 중심부에 밀어보내어진 해당 분립체를 해당 분립체가 밀어보내어지는 공간영역에 미리 설치된 해당 챔버에서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는 수송배관의 입구에 보내주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공급방법.
제 24, 분립체를 잘라내기 위한 기계식 잘라냄장치와;
해당 잘라냄장치의 하측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해당 잘라냄장치로부터 잘라내어진 해당 분립체를 기류에 의해 유동화시키는 동시에, 유동화한 해당 분립체를 해당 기류에 의해 외부로 보내기 위한 유동송급챔버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유동송급챔버는 내부저면주위의 측벽에 수평방향으로 평면상 기류를 해당 내부저면중심부를 향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슬릿상 노즐은 가지며,
해당 분립체를 해당 유동송급챔버의 내부로부터 그 외부로 해당 기류에 의해 도출하기 위한 송급관이고, 해당 송급관은 해당 분립체의 유입구가 해당 유동송급챔버의 내부저면중심부의 위쪽공간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공급장치.
[최량의 형태 1]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고, 1은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호퍼, 3a, 3b는 저장호퍼(1)의 아래쪽에 도입관(5a, 5b)을 통하여 병렬설치된 분립체불어넣음호퍼, 7a, 7b는 도입관(5a, 5b)의 도중에 설치된 도입밸브이다.
9a, 9b는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의 배출구와 반송관(10)을 연결하는 잘라냄관, 11a, 11b는 잘라냄관(9a, 9b)에 설치되어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하는 공급장치, 13a, 13b는 잘라냄관(9a, 9b)에 설치한 잘라냄밸브이다.
15a, 15b는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에 가압공기 등의 가압가스를 도입하는 가압가스배관, 17a, 17b는 가압공기배관(15a, 15b)에 설치된 가압가스조정밸브, 19a, 19b는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 21a, 21b는 배출관(19a, 19b)에 설치된 배출밸브이다.
23a, 23b는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호퍼압력검지장치, 25a, 25b는 반송관(10)의 압력을 검지하는 반송관압력검지장치, 27a, 27b는 호퍼압력검지장치(23a, 23b) 및 반송관압력검지장치(25a, 25b)의 검지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가압가스조정밸브(17a, 17b)의 개폐 및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장치이다.
또한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은 반송관(10)내의 압력보다도 약간만(0. 1∼1㎏/㎠ 정도)높아지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장호퍼(1)내에 투입한 분립체를 불어넣음호퍼(3a, 3b)에 도입하고, 각각의 불어넣음호퍼(3a, 3b)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분립체를 반송관(10)에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것이다.
우선 저장호퍼(1)에 분립체를 투입하고, 이것을 불어넣음호퍼(3a)에 도입하는 데에는 모든 밸브를 닫힘으로 한 상태에서 배출밸브(21a)를 열림으로 하고, 계속해서 도입밸브(7a)를 열림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저장호퍼(1)내의 분립체가 불어넣음호퍼(3a)에 도입된다. 불어넣음호퍼(3a)의 중량을 도시하지 않은 로드셀로 계량하여 중량이 상한값에 달하면 도입밸브(7a)를 닫힘으로 하고 또한 배출밸브(21a)를 닫힘으로 한다.
다음에 가압가스조정밸브(17a)를 열림으로 하고 가압가스를 불어넣음호퍼(3a)내에 공급한다. 이 때 압력제어장치(27a)는 반송관압력검지장치(25a) 및 호퍼압력검지장치(23a)의 압력신호를 입력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이 반송관(10)내의 압력보다도 약간만(0. 1∼1㎏/㎠ 정도) 높아지도록 가압가스조정밸브(17a)의 개폐 및 개도를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불어넣음호퍼(3a)내의 압력이 소정값으로 되었다면 공급장치(11a)를 가동시키는 동시에 잘라냄밸브(13a)를 개방하여 잘라냄관(9a)으로부터 반송관(10)에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한다.
또한 분립체의 잘라냄 중에 있어서는 압력제어장치(27a)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항상 반송관(10)내 및 불어넣음호퍼(3a)내의 압력을 감시하고, 양자의 압력의 관계를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내의 압력이 반송관(10)내의 압력보다도 약간만(0. 1∼0. 5㎏/㎠ 정도) 높아지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은 압력제어를 함으로써 분립체는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 반송관(10)으로의 정량잘라냄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의 잘라냄이 개시되면 배출밸브(21b)를 열림으로 하고 계속해서 도입밸브(7b)를 열림으로 하여 저장호퍼(1)내의 분립체를 불어넣음호퍼(3b)에 도입하고, 도입이 완료했다면 도입밸브(7b)및 배출밸브(21b)를 열림으로 하고 대기시킨다. 또한 불어넣음호퍼(3b)로의 분립체의 도입은 불어넣음호퍼(3a)로의 도입이 완료한 직후이어도 좋고, 혹은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의 잘라냄이 개시하고 소정 시간 경과후이어도 좋지만 불어넣음호퍼(3a)내의 분립체의 잘라냄이 종료하기까지 불어넣음호퍼(3b)로의 분립체의 도입이 완료하도록 한다.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의 잘라냄에 의해 불어넣음호퍼(3a)의 중량이 하한값으로 되면 공급장치(11a)의 가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잘라냄밸브(13a) 및 가압가스조정밸브(17a)를 닫힘으로 하고, 다시 배출밸브(21a)를 열림으로 하여 불어넣음호퍼(3a)내의 가압가스를 배출한다.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의 잘라냄정지동작과 함께 불어넣음호퍼(3b)로부터의 잘라냄동작을 개시한다. 불어넣음호퍼(3b)로부터의 잘라냄동작은 상기한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의 잘라냄동작과 똑같다.
이상과 같이 하여 2대의 불어넣음호퍼(3a, 3b)를 차례차례 전환하고 연속적인 잘라냄을 실시한다.
또한 불어넣음호퍼(3a)로부터 불어넣음호퍼(3b)로 전환할 때에 정지하는 측인 불어넣음호퍼(3a)내의 분립체의 잔량이 적어진 시점에서 공급장치(11a)의 잘라냄량을 서서히 적게 하는 동시에, 잘라냄개시측인 불어넣음호퍼(3b)의 공급장치(11b)의 잘라냄량을 서시히 늘리도록 하면 양자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관(10)내의 압력과 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항상 분립체불어넣음호퍼(3a, 3b)내의 압력이 반송관(10)내의 압력보다도 약간만 높아지도록 했으므로, 불어넣음호퍼(3a, 3b)로부터 반송관(10)으로의 잘라냄을 원활, 또한 정량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분립체를 반송관으로 잘라낼 때에 잘라냄관 및 잘라냄관과 반송관의 연결부에 폐색현상이 생기는 일 없이 부드러운 잘라냄을 할 수 있는 분립체잘라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원연료로 되는 폐플라스틱 등의 분립체를 고로에 불어넣는 장치에 적용한 것의 전체구성의 설명도, 도 3은 도 2의 요부의 설명도, 도 4는 해당 요부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3은 불어넣음호퍼, 11은 불어넣음호퍼(3)로부터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하는 기계식 공급장치, 31은 기계식 공급장치(11)로부터 잘라내어지는 분립체를 반송관(10)에 도입하는 잘라냄관, 33은 잘라냄관(31)에 설치되어 분립체의 속도를 가속하는 공기 등의 가속가스를 분사하는 가속가스노즐, 53은 반송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고로(51)에 불어넣음을 하는 랜스이다.
잘라냄관(31)은 상단측이 기계식 공급장치(1)측에 접속되어 대략 연직으로 연장되는 연직부(31a)와, 해당 연직부(31a)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연직부(31a)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전방(반송방향)으로 굴곡해서 반송관(10)에 접속되는 경사부(31b)로 구성되어 있다.
잘라냄관(31)의 형상은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서서히 변형하고 있지만 단면적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단면적이 작아지면 그래서 분립체가 막히기 쉬워지고, 한편 단면적이 커지면 그래서 분립체의 유속이 저하하여 버린다는 폐해가 생기므로 이들을 피하기 위해 단면적을 일정하게 한 것이다.
또한 잘라냄관(31)의 측면형상은 한쪽편에만 구배를 설치하도록 하여 양측에 구배를 설치한 경우에 생기는 이른바 쐐기효과에 의한 선반매닮현상을 피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잘라냄관(31)의 연직부(31a)는 분립체의 낙하속도가 최대로 되도록 가능한한 길게 취하도록 한다. 또한 경사부(31b)는 후술하는 가속에 필요한 길이를 확보한 후에 최단길이로 설정한다.
다시 도 3에 의거하여 구성의 설명을 한다. 가속가스노즐(33)은 경사부(31b)의 후부측에 경사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가압가스원에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며, 경사부(31b)를 따른 비스듬한 아래쪽에 가압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또 도면 속의 원은 분립체의 입자를 나타내고 있다. 또 h1은 기계식 공급장치(11)의 하면으로부터 잘라냄관(31)의 굴곡부까지의 수직거리, h2는 잘라냄관(31)의 굴곡부로부터 잘라냄관(31)과 반송관(10)의 접합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기계식 공급장치(11)로부터 h1의 거리를 자연낙하한 분립체인 굴곡부에서 V1(수직아래쪽)의 속도를 갖고, 또한 가속가스노즐(33)로부터의 가속가스에 의하여 경사부(31b)를 따르는 방향으로 방향회전하는 동시에 증속하여 속도(V2)로 된다. 그리고 반송관(10)과의 연결부에서 반송관(10)내의 불어넣음에어에 의하여 불어넣음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V3으로 된다.
이 때 불어넣음에어의 속도를 V0으로 하면 가속가스에 의하여 방향전환과 증속한 에어의 속도(V2)의 반송방향(수평방향)의 분속도가 불어넣음에어의 속도(V0)와동등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분립체는 상기 연결지점에서 불어넣음에어의 흐름에 원활하게 탈 수 있어서 불어넣음에어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잘라냄관(31)의 도중에서 경사부(31b)를 설치하고, 해당 경사부(31b)에 있어서 가속가스를 분사하여 분립체의 방향전환과 증속을 실시하며, 수평방향의 분속도를 불어넣음에어의 속도(V0)와 같아지도록 했으므로 분립체의 합류가 원활하게 실시되어 폐색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경사각도를 수직아래쪽에 대하여 45도로 설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각도를 연직에 대하여 60도로 설정해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45도의 경우에 비하면 방향전환의 양이 많으므로 가속가스의 양 혹은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한편 불어넣음에어와의 합류시에 있어서는 원활한 합류가 가능하게 된다.
또 경사각이 45도보다 극단으로 작은 경우는 합류부에서의 원활한 합류가 방해되기 때문에 최소 경사각은 40도가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경사각으로서는 40∼60도가 바람직하다.
본 최량의 형태 1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기내압력검지수단과, 반송관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반송관압력검지수단과, 용기내압력검지수단과 반송관압력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상기 반송관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반송관내의 압력보다도 항상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분립체의 정량잘라냄을 확실 또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저장용기는 저장호퍼의 아래쪽에 병렬배치된 복수의 불어넣음호퍼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불어넣음호퍼에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분립체를 번갈아 충전하여 연속적으로 분립체를 잘라내도록 했으므로 분립체의 안정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잘라냄관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와, 해당 연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연직부에 대하여 반송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부를 갖고, 해당 경사부에 경사방향을 따라서 가속가스를 분사하는 가속가스노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립체는 가속가스노즐로부터 분사시키는 가속가스에 의하여 경사방향의 속도를 늘려서 기류반송관과의 합류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잘라냄시에 잘라냄관 및 반송관에 폐색이 생기는 일 없이 부드러운 잘라냄을 할 수 있다.
또 가속가스노즐로부터 분사하는 가속가스에 의하여 가속되는 분립체의 반송방향의 분속도가 기류반송관내의 기류속도 이상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합류를 보다 원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류반송관에 불어넣는 불어넣음가스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잘라냄관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되도록 했으므로 잘라냄관내에서의 막힘이나 속도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원활한 잘라냄이 가능하게 된다.
[최량의 형태 2]
(실시형태 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04a, 204b는 스크류피더(202)의 양단에 설치된 배출구, 205a, 205b는 각 배출구(204a, 204b)에 접속된 반송배관, 206a, 206b는 각각 반송배관(205a, 205b)에 연통하여 설치된 불어넣음배관, V1과 V1', V2와 V2'는 각각 불어넣음배관(206a, 206b)에 설치된 개폐밸브이다.
210a, 201b는 각 반송배관(205a, 205b)에 설치된 폐색검지장치이고, 예를 들면 압력차에 의한 것, 혹은 초음파식 흐름스위치에 의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폐색검지장치(210a, 210b)는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고 검지신호를 후술의 제어장치에 입력한다. 211은 제어장치이고, 폐색검지장치(210a, 210b)의 검지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용 모터(203)의 회전 및 개폐밸브(V1와 V1' 및 V2와 V2')의 개폐를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저장호퍼(201)내의 분립체는 스크류피더(202)에 의하여 2개의 배출구(204a, 204b)의 어느 쪽인가 한쪽의 측으로 잘라내어진다. 어느 쪽의 배출구에 잘라내어지는지는 구동용 모터(203)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현재 배출구(204a)측으로 잘라내고 있고 하면 분립체는 배출구(204a)로부터 반송배관(205a)에 배출되고, 불어넣음배관(206a)으로부터 불어넣어지는 에어의 기류를 타고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 때 불어넣음배관(206b)의 개폐밸브(V2)는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반송배관(205b)에는 불어넣음에어는 불어넣어지지 않고 있다.
반송배관(205a)에서의 반송 중에 반송배관(205)에서 폐색이 생기면 이것을 폐색검지장치(210a)가 검지하고 폐색신호를 제어장치(211)에 입력한다. 폐색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장치(211)는 개폐밸브(V1, V1')를 닫고 개폐밸브(V2, V2')를 개방하며, 또한 구동용 모터(203)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류피더(202)는 역회전을 개시하고, 저장호퍼(201)내의 분립체는 배출구(204b)로부터 배출되어 반송배관(205b)에 공급되고, 불어넣음배관(206b)으로부터 불어넣어지는 에어의 기류를 타고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경로가 반송배관(205a)으로부터 반송배관(205b)으로 전환된 후 반송배관(205a)의 폐색을 해제하고 대기상태로 해둔다.
또 반송배관(205b)에 폐색이 생긴 경우에는 똑같은 동작에 의해 반송경로를 반송배관(205a)으로 전환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경로에 폐색이 생겼을 때에 다른 반송경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폐색의 발생에 의해 분립체의 반송을 장시간 정지할 필요가 없어서 분립체의 연속적인 잘라냄과 반송을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반송경로의 도중에 분기부가 있는 경우에 그래서 폐색이 생기기 쉬운 것을 감안하여 복수의 반송경로를 설치하고 폐색이 생긴 경우에는 반송경로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냈다.
그러나 폐색이 생기는 것이 주로 분배기인 것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경로에 분배기를 없애서 애초부터 반송경로의 폐색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2의 설명도이고,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213은 스크류피더이고,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피더(213)를 회전시키면 저장호퍼(201)내의 분립체는 스크류피더(213)의 양단부에 설치된 배출구(204a, 204b)로부터 동량씩 잘라내어지고, 각각 반송배관(205a, 20b)에 공급된다. 반송배관(205a, 205b)에 공급된 분립체는 불어넣음배관(206a, 206b)으로부터 공급되는 불어넣음에어의 기류를 타고 하류측에 반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립체의 분배를 반송배관의 도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호퍼(201)로부터의 잘라냄시에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반송배관의 도중에 분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종래와 같은 분기관에 기인하는 반송배관의 폐색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예에 있어서는 2개의 반송배관(205a, 205b)에 동량 분배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예를 들면 고로의 원연료로서 미분탄이나 폐플라스틱을 고로의 풍구(tuyere)로부터 불어넣는 경우와 같이 다수의 경로에 동량 분배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저장호퍼와 스크류피더로 이루어지는 잘라냄장치를 복수조합함으로써 복수의 반송배관에 동량 분배할 수 있다.
도 9는 이와 같은 복수개를 조합한 것의 한 예로서 잘라냄장치(A, B, C) 3대를 조합한 것의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는 저장호퍼(201A)내의 분립체는 스크류피더(213A)에 의하여 동량씩 저장호퍼(201B, 201C)에 공급된다. 그리고 저장호퍼(201B, 201C)에 공급된 분립체는 각각 2개의 배출구(204Ba, 204Bb, 204Ca, 204Cb)로부터 동량씩 잘라내어진다. 그 결과 4개의 반송배관(205Ba, 205Bb, 205Ca, 205Cb)에 동량씩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호퍼와 스크류피더로 이루어지는 잘라냄장치를 복수 조합함으로써, 1개의 저장호퍼에 분립체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반송배관에 동량씩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3대를 일조로 하고, 이들을 복수 조합하도록 하면 더욱 더 다수의 공급처에 정량잘라냄이 가능하게 된다.
본 최량의 형태 2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분립체잘라냄장치에 복수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해당 복수의 배출구의 각각에 반송배관을 접속하여 상기 복수의 배출구 및 상기 복수의 반송배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도록 했으므로 반송경로에 폐색이 생긴 경우에도 연속반송을 할 수 있다.
또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양 단부에 배출구를 갖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각 배출구에 접속된 반송배관과, 각 반송배관에 설치되어 해당 반송배관의 페색을 검지하는 페색검지장치와, 해당 폐색검지장치의 폐색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스크류피더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배출구 및 상기 복수의 반송배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분립체를 기류반송할 수 있어서 반송경로에 폐색이 생긴 경우에도 연속반송할 수 있다.
또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피더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 단부에 배출구가 설치된 스크류피더를 구비함으로써 분립체의 잘라냄시에 있어서 분립체를 분배할 수 있으므로, 반송배관의 도중에 분배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반송배관의 도중에서 폐색이 생기기 어렵다.
또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피더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 단부에 배출구를 갖는 스크류피더를 구비한 분립체잘라냄장치 3대를 1쌍으로 하고 이것을 적어도 1쌍 이상 갖는 분립체잘라냄장치이고, 상기 3대 중 2대를 병렬로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1대의 각 배출구로부터 잘라내어지는 분립체를 상기 2대의 분립체잘라냄장치의 저장용기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효과에 덧붙여 복수의 반송배관에 대하여 분립체의 동량의 잘라냄이 가능하게 된다.
[최량의 형태 3]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온고압의 반응로로서 철광석과 석탄으로 선철을 제조하는 고로에 분립체를 불어넣는 경우를 예로서 채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01은 미분탄 등의 분립체를 저장하는 불어넣음탱크, 303은 불어넣음탱크(30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하는 잘라냄장치, 305는 잘라냄장치(303)로부터 잘라내어진 분립체를 고로(207)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배관이다.
309는 반송배관(305)에 연통하여 반송가스를 공급하는 불어넣음배관이고, 311은 불어넣음배관(309)에 설치되어 반송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313은 압축기(31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압축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315는 냉각기(313)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배관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고로내압을 4㎏/㎠(게이지압)로 한 경우 반송배관(305)의 압력손실을 고려하면 불어넣음탱크(301)의 내압은 대략 7. 5㎏/㎠(게이지압)로 된다. 그리고 7. 5㎏/㎠(게이지압)의 압력하에서 분립체를 안정수송하기 위해서는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을 20m/s로 설정하면 약 7. 0m/s의 가스유속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축기(311)에 의하여 반송가스를 8㎏/㎠(게이지압)까지 승압하고, 이것을 냉각기(313)를 경유시키지 않고, 즉 바이패스배관(315)을 경유하여 반송배관(305)에 반송가스로서 공급하도록 한다.
반송가스를 8㎏/㎠(게이지압)까지 승압하면 압축과정에서 가스온도는 3110℃까지 승온한다. 그리고 배관내부직경을 Ø38. 4㎜, 반송배관(305)의 입구의 가스온도를 100℃(압축기입구로부터 10℃ 저하)로 하면 필요가스유속인 7m/s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가스량은 187N㎥/h로 된다.
이에 대해 바이패스배관(315)을 경유하지 않고 냉각기(313)를 경유하여 반송가스온도를 20℃로 한 경우에는 필요가스유속인 7. 0m/s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가스량은 238N㎥/h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래의 반송가스량에 대하여 약 79%의 반송가스량으로 완료되게 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고로에 불어넣는 가스량이 적어지므로 로내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과 같은 고온상태에서 반용융상태로 되어 배관벽에 부착ㆍ폐색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는 분립체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압축기(311)에서 승압된 압축가스의 일부를 냉각기(313)에 흐르게 하고, 다른 것을 바이패스배관(315)에 흐르게 하도록 하여 반송배관(305)의 입구가스온도를 조정하도록 하면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반송가스의 최저유속을 설정함으로써 반송배관의 마모량의 감소, 연소로의 열효율저하의 방지 등을 실현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장치의 설명에 앞서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자의 안정수송을 위한 최저가스유속은 입자의 종말속도에 비례한다고 생각된다. 이 종말속도는 분위기압력에 의하여 변화하지만 대기압하에서는 입자성상(입자직경, 입자밀도 등)이나 고체기체비에 의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진다.
즉 구형입자의 종말속도(Ut)는 다음의 (1)식으로 구해진다.
Ut=g(ρp-ρf)×dp2/18μ (Ar<104)
dp×(4g2(ρp-ρf)2/225ρfμ)1/3(104<Ar<9. 43<104) (1)
(3g(ρp-ρf)dp/ρf)1/2(9. 43×104<Ar<3×109)
여기에서 Ar=dp3ρf(ρP-ρf)/μ2
ρp: 입자밀도(㎏/㎥)
ρf: 가스밀도(㎏/㎥)
dp: 입자직경(m)
μ: 가스점도(Paㆍs)
g: 중력가속도(m/s2)
입자직경(dp)이 2㎜ 정도 이상의 분립체에서는 Ar>9. 43×104로 된다(예를 들면 ρp: 1000㎏/㎥, ρf: 1㎏/㎥, dp: 2㎜, μ: 189×10-7Paㆍs, g: 9. 8m/s2로 하면 Ar=2. 2×105로 되어 Ar>9. 43×104로 된다.).
따라서 (1)식에 있어서의 제 3 식이 적용된다. 그리고 ρf는 P(P: 압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압력(P1)에 있어서의 종말유속(Ut1)과 대기압(P0)에 있어서의 종말유속(Ut0)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추정된다.
Ut1=Ut0×(P0/P1)1/2 (2)
상기 식으로부터 분위기압력이 변화한 경우의 종말속도는 압력의 평방근에 반비례((2)식)하면 취급해도 지장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입자의 안정수송을 위한 최저가스유속(Umin)도 반송관내압력에 의존하여 (3)식과 같이 구해진다.
Umin=Umin0×(P0/P1)1/2(3)
다만, Umin: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Umin0: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P0: 대기압(㎏/㎠)
P1: 반송관내압력(㎏/㎠)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Umin0)을 구함으로써 반송관내압력하에 있어서의 최저가스유속(Umin)을 (3)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가스의 유속을 상기와 같이 하여 구한 최저가스유속(Umin)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분립체의 안정수송이 가능하게 되고, 또 가능한한 최저가스유속(Umin)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배관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반송유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장치의 설명도이고, 301은 분립체를 저장하여 불어넣는 불어넣음탱크, 303은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301)로부터 반송배관으로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잘라냄장치이다. 잘라냄장치(303)는 테이블피더, 스크류피더 등의 기계식의 잘라냄장치이고, 이와 같이 기계식으로 하는 것으로 분립체의 잘라냄시의 반송가스량을 저감 혹은 완전히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305는 분립체를 반송하는 반송배관, 321은 반송배관(305)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 323은 반송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 325는 압력검출기(321)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최저유속으로 되는 반송가스의 유량을 연산하고, 해당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유량조정밸브(32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반송되는 분립체의 방법 등에 의거하여 미리 분립체의 대기압하에 있어서의 최저유속을 구해 두고 제어장치(325)에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실제의 분립체의 불어넣음시에 압력검출기(321)에 의하여 반송배관(305)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값에 의거하여 제어장치(325)에 의해 (3)식에 의거하여 실제의 압력하에 있어서의 최저유속을 구하고, 이 유속으로 되도록 유량조절밸브(323)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송관내압력하에 있어서 최저유속에서의 불어넣음이 가능하게 되어 배관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실제로 실시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실험예에 있어서의 반송계 방법은 이하와 같다.
ㆍ반응로내압력; 4㎏/㎠(게이지압)
ㆍ반송배관직경; 40A(내부직경 38. 4㎜)
ㆍ반송배관길이; 150m
ㆍ분립체 밀도; 1000㎏/㎥
ㆍ분립체 유량; 1800㎏/h
분립체를 대기압분위기하에서 반송하는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안정수송을 위한 최저가스유속(Umin0)은 Umin0=14m/s이었다. 반송계 계획에 있어서는 최저유속에 여유를 갖고 Umin0=20m/s로 설정했다.
또 불어넣음탱크출구하부의 반송배관의 압력은 P=7. 5㎏/㎠(게이지압)이다. 그래서 불어넣음탱크출구, 즉 반송배관입구(P=7. 5㎏/㎠(게이지압))에서의 가스유속을 상기한 식 (3)에 의하여 구하면 7. 0m/s로 되고, 똑같이 하여 대기압∼7. 5㎏/㎠(게이지압)의 압력범위에 있어서의 최저유속을 식 (3)에 의거하여 구하고 선도로 나타내면 도 12의 실선과 같이 된다.
그런데 반송배관의 관내압력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저하하고 관내압력이 저하하면 가스유속이 증가하게 되므로 가스유혹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반송배관입구(P=7. 5㎏/㎠(게이지압))에서의 가스유속을 7. 0m/s로 설정한 경우의 반송배관의 관내압력의 저하에 의한 가스유속증가경향을 도 12의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의 파선과 실선을 비교하면 파선의 쪽이 실선보다도 항상 위쪽에 있는 것으로부터 반송배관입구(P=7. 5㎏/㎠(게이지압))에서의 가스유속을 7. 0m/s로 설정하면 안정수송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반송배관입구(P=7. 5㎏/㎠(게이지압))에서의 가스유속을 7. 0m/s로 설정한 경우의 가스유속은 최대이어도 12m/s(풍구지점에 있어서의 유속)이고, 배관의 마모의 점에서도 문제 없다.
또 필요로 되는 가스유속은 Q=224N㎥/h, 고체기체비는 6 이상 가능하고, 저반송가스량, 고고체기체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관의 마모의 저감 및 고고체기체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분립체의 안정수송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최저유속의 설정방법을 나타내고 반송배관입구에서의 최저유속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도 12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배관입구에서 최저유속을 설정한 것만으로는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관내압력의 저하에 기인하여 필요최저유속(도 3의 실선)보다도 유속이 증가하여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반송경로의 전체에서의 최저유속에 가까운 반송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설명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331은 반송배관(305)의 도중의 복수 장소에 설치되어 반송가스를 소정의 양만큼 발취하는 반송가스발취장치이다. 도 14는 반송가스발취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반송가스발취장치(331)는 반송배관(305)의 도중에 개재설치된 다공질상의 관부재(333), 다공질상의 관부재(333)를 덮는 챔버(335), 챔버(335)에 설치되어 챔버내의 반송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337), 챔버(335)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발취배관(339), 발취배관(339)에 설치된 개폐밸브(341), 발취배관(339)에 설치된 유량계(3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공질상의 관부재(333)의 길이는 발취부의 통과유속을 고려하여 최적치수로 설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송가스발취장치(331)에 있어서는 반송가스가 통과할 때에 다공질상의 관부재(333)의 무수한 작은 구멍으로부터 반송가스가 챔버(335)측으로 배출되고, 그리고 챔버(335)내의 가스는 개폐밸브(341)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반송가스는 다공질상의 관부재(333)의 전체 둘레ㆍ전체 길이로부터 균등하게 챔버(335)측에 배출되므로 이 부분에서 분립체가 체류하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송가스발취장치(331)에 의해 반송배관(305)으로부터 반송가스를 발취하는 경우의 작용ㆍ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예에 있어서의 반송계 방법은 이하와 같다.
ㆍ반응로내압력; 4㎏/㎠(게이지압)
ㆍ반송배관직경; 32A(내부직경 32. 9㎜)
ㆍ반송배관길이; 150m
ㆍ분립체 유량; 30. 0㎏/min
반송배관의 구경(32A), 분립체의 불어넣음량(30. 0㎏/min), 대기압하에 있어서의 수송최저유속은 실험값 혹은 계산값으로부터 14. 15m/s로 하고, 안전계수(2. 0)를 곱하여 28. 3m/s의 조건으로 했다. 또 이 때의 반송가스량은 반송압력하(8. 0㎏/㎠)에서 4. 08N㎥/min로 된다. 또한 온도는 0℃로 했다.
그래서 불어넣음탱크의 출구의 압력을 8. 0㎏/㎠로 설정하면 이 지점에 있어서의 최저반송가스유속을 실시형태 2의 식 (3)으로부터 구하면 10. 0m/s로 된다. 그래서 불어넣음탱크의 출구가스유속(10. 0m/s)으로 한 경우의 거동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가 50m의 지점의 반송가스유속은 11. 43m/s이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는 압력이 7. 0㎏/㎠로 감압해 있고, 여기에서의 최저가스유속을 실시형태 2의 식 (3)에서 구하면 10. 7m/s로 된다.
그래서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가 50m의 지점에서의 가스유속이 10. 7m/s로 되도록 반송가스발취장치(331)에 의하여 가스의 발취를 실시한다. 발취량은 (11. 43-10. 7)×(32. 9/2)2π×7=0. 259N㎥/min으로 된다.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가 50m의 지점에서 0. 259N㎥/min의 가스를 발취했을 때의 거동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계산의 압력값은 절대압을 나타낸다.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가 100m의 지점에서 또한 0. 288N㎥/min의 가스를발취했을 때의 거동을 표 3에 나타낸다.
도 15는 표 3에 나타낸 거동을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며, 종축이 가스유속을 나타내고, 횡축이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송배관의 도중의 복수 장소에서 반송가스를 발취하고, 각 지점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최저가스유속으로 함으로써, 도중에서 가스의 발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유속이 저감되어 고고체기체비와 배관마찰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의 발취지점이 2군데인 경우를 나타냈는데 발취지점이 많을수록 관내가스유속의 변조폭이 작아지므로 발취지점을 많게 할수록 좋다.
또 다공질상의 관부재의 예로서는 소결금속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재이어도 다공상의 관부재이고 반송가스가 관부재 전체로부터 남김없이 발취하는 것이면 좋다.
본 최량의 형태 3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립체를 반송가스에 의하여 불어넣는 분립체의 불어넣음방법에 있어서 고온의 반송가스를 이용하도록 했으므로 반송가스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서 반송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급처가 고로인 경우에는 고로에 불어넣는 가스량이 적어지므로 로내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으로부터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을구하는 식을 나타내고, 해당 식에 의거하여 반송배관내의 반송가스유속이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반송가스량을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압력하에 있어서의 최저유속에서의 불어넣음이 가능하게 되어 고고체기체비와 반송배관의 마모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저가스유속은 실험이나 계산에서 얻어지는 최저가스유속에 안전계수를 곱하여 설정한다.
또 반송배관의 도중 복수 장소에 있어서 가스유속이 분립체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반송가스를 발취하도록 했으므로, 반송배관경로의 전체에 있어서 최저유속에 가까운 반송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더 고고체기체비와 반송배관의 마모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표 1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m) 0(탱크출구) 50 100 150
압력[()내는 게이지압](㎏/㎠) 8. 0(7. 0) 7. 0(6. 0) 6. 0(5. 0) 5. 0(4. 0)
반송가스량 (㎥/min) 0. 510 0. 583 0. 680 0. 816
반송가스유속 (m/s) 10. 00 11. 43 13. 22 16. 00
고체기체비 (㎏/㎏) 30. 0/(4. 08×1. 29)=5. 70
표 2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m) 0(탱크출구) 50 100 150
압력[()내는 게이지압](㎏/㎠) 8. 0(7. 0) 7. 0(6. 0) 6. 0(5. 0) 5. 0(4. 0)
반송가스량 (㎥/min) 0. 510 0. 546 0. 637 0. 764
반송가스유속 (m/s) 10. 00 10. 70 12. 49 14. 99
고체기체비 (㎏/㎏) 30. 0/(3. 82×1. 29)=6. 09
표 3
불어넣음탱크로부터의 거리(m) 0(탱크출구) 50 100 150
압력[()내는 게이지압](㎏/㎠) 8. 0(7. 0) 7. 0(6. 0) 6. 0(5. 0) 5. 0(4. 0)
반송가스량 (㎥/min) 0. 510 0. 546 0. 589 0. 706
반송가스유속 (m/s) 10. 00 10. 70 11. 55 13. 85
고체기체비 (㎏/㎏) 30. 0/(3. 06×1. 29)=6. 59
[최량의 형태 4]
(실시형태 1)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고, 고로조업에 있어서 원연료로 되는 폐플라스틱을 풍구로부터 불어넣는 장치에 적용한 예이다. 고로풍구는 로체원주상에 배치되는 것으로부터 불어넣음배관길이는 정면풍구와 향(向)정면풍구에서 다르다. 따라서 불어넣음배관길이의 차에 의해 관내압력손실이 다르기 때문에 분배기에서 균등분배한 것만으로는 각각의 배관의 불어넣음량에 차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배기의 하류측에 저항이 되는 공기를 불어넣고, 각 불어넣음배관에 흐르는 폐플라스틱의 유량이 균등해지도록 조정한 것이다.
이하 도 16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01은 불어넣음재인 폐플라스틱을 저류하는 동시에 일정량을 잘라내는 불어넣음탱크, 402는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불어넣음탱크(401)가 접속된 반송관, 403은 반송경로의 도중에서 반송경로를 분기하여 피반송재를 분배하는 분배기, 404, 405는 각각 분배기(403)에 접속된 제 1, 2 분기관, 406, 407은 각각 제 1, 2 분기관(404, 405)에 설치된 개폐밸브, 408, 409는 각각 제 1, 2 분기관(404, 405)의 선단측에 접속된 불어넣음랜스이다.
410, 411은 각각 제 1, 2 분기관(404, 405)에 있어서의 분배기(403)의 근처에 설치한 조정에어용의 노즐이다. 노즐(410, 411)은 흐름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방향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흐름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방향의 예로서는 에어분사방향의 축선과 분사지점보다도 하류측의 분기관(404,405)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내인 경우가 있다.
도 17에 분기부(403)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기부(403) 관로면적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내부직경을 분기전 Ø49. 5㎜, 분기후 Ø38㎜ 2개로 하고, 분기전후의 반송배관의 단면적을 대략 동등하게 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분기관(404, 405)의 길이가 다른 것에 의한 배관저항의 차, 혹은 분배기(403)의 제작오차 등에 의해 제 1, 2 분기관(404, 405)에 분배되는 폐플라스틱의 양에 차가 생긴다.
그래서 노즐(410, 411)로부터 반송류에 저항이 되는 방향에 조정용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조정용 에어를 분사했을 때에 흐르는 분립체의 유량을 에어를 분사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적게 하고, 결과로서 조정용 에어를 분사하지 않는, 혹은 분사량이 적은 분기관에 흐르는 분립체의 유량을 많게 하여 양자의 유량이 동등해지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실제의 제어에 있어서는 각 분기관(404, 405)에 분류체유량검출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분류체유량검출장치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노즐(410, 411)로부터 분사하는 공기량을 조정하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장치에 의해 실제로 분립체의 유량조정을 실시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험에 있어서는 제 1, 2 분기관(404, 405)에 분사하는 조정용 에어량을 각각 W1, W2N㎥/h, 제 1, 2 분기관(404, 405)의 폐플라스틱의 유량을 각각 FW1, FW2㎏/h로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종축이 폐플라스틱의 유량(㎏/h)을 나타내고, 횡축이 제 1, 2 분기관(404, 405)에 분사하는 조정용 에어량의 차(W2-W1)N㎥/h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파선이 제 1 분기관(404)의 유량을 나타내고 실선이 제 2 분기관(405)의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용 에어량의 차가 0인 경우(예를 들면 W1, W2가 모두 0인 경우)에는 제 1, 2 분기관(404, 405)의 폐플라스틱의 유량의 차는 약 55㎏/h 있지만, 제 1 분기관(404)에 분사하는 조정용 에어량을 늘려서 제 1, 2 분기관(404, 405)에 분사하는 조정용 에어량의 차를 약 15N㎥/h로 하는 것으로, 제 1, 2 분기관(404, 405)의 유량은 모두 약 440㎏/h로 되어 일치시킬 수 있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용 에어의 불어넣음에 의하여 각 분기관의 유량을 광범위하게 제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극히 간단한 수단에 의해 배관의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분립체의 분배제어를 넓은 범위에서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2 분기관(404, 405)의 양쪽에 노즐(410, 411)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분배기(403)에서 2개의 반송경로로분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배관저항이 작아서 무조정인 경우에 반송량이 많아지는 2군데의 분기관에 조정용 에어노즐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410, 411)로부터 반송류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조정용 에어를 분사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컨데 유량을 작게 할 필요가 있는 분기관에 저항이 되도록 에어를 분사하면 되므로 반송류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분사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410, 411)의 설치위치에 대하여 특히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분배기(403)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설명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을 설명한 도 16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반송정지 중의 분기관에 있어서 체류한 분립체가 분기관을 폐색하지 않도록 해당 분기관에 분립체를 유동화시키기 위한 공기를 불어넣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분배기(403)에서 분기된 3개의 분기관(404, 405, 413)에 개폐밸브(406, 407, 415)를 설치하는 동시에 개폐밸브(406, 407, 415)의 상류측에 퍼지에어용의 노즐(410, 411, 416)을 설치한 것이다. 노즐(410, 411. 416)의 방향은 특히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각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에어의 압력은 반송가스의 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분기관(413)이공급처의 사정 등에 의해 폐플라스틱의 반송을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개폐밸브(415)를 닫고 반송경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노즐(416)로부터 에어를 분사한다.
이 에어에 의하여 분기관(413)에 있어서의 분배기(403)와 개폐밸브(415)간에 존재하는 폐플라스틱이 유동화되고, 이 부위가 폐플라스틱에 의하여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기관(413)에 의한 폐플라스틱의 불어넣음을 개시하는 경우에는 퍼지에어의 분사를 정지한 후 개폐밸브(415)를 열기로 하거나, 또는 개폐밸브(415)를 닫기로 하는 동시에 혹은 열기로 한 후 퍼지에어의 분사를 정지한다. 이 때 분배기(403)와 개폐밸브(415)의 사이에 잔류하는 폐플라스틱은 퍼지에어에 의하여 유동화되어 있으므로 개폐밸브(415)를 개방함으로써 부드럽게 반송을 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립체에 의한 배관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급처상황에 따라서 분기관의 유연한 선택과 ON-OFF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분립체의 분배제어와 배관의 폐색방지를 별개로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노즐로부터의 에어의 분사방향은 특히 규정하지 않으므로, 흐름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에어분사가 가능하도록 노즐을 설치하면 폐플라스틱의 반송 중에는 분배제어로서 이용하고, 반송정지 중에는 배관의 폐색방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최량의 형태 4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배기의 하류측의 반송경로에 흐름에 대하여 저항이 되도록 기체를 불어넣고, 각 반송경로에 흐르는 분립체의 유량밸런스를 조정하도록 했으므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배관의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분립체의 분배제어를 넓은 범위에서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분배기의 하류측의 반송경로의 차단시에 해당 차단된 반송경로에 기체를 불어넣고, 해당 차단경로내의 분립체를 유동화시켜서 반송경로의 폐색을 방지하도록 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립체에 의한 배관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공급처상황에 따라서 분기관의 유연한 선택과 반송개시-정지가 가능해진다.
또 반송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분립체의 유량을 복수의 반송경로에 분배하는 분배장치와, 상기 복수의 반송경로의 각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해당 개폐밸브와 상기 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반송경로에 기체를 불어넣는 기체불어넣음노즐을 설치하며, 해당 기체불어넣음노즐을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기체를 불어넣도록 했으므로, 분립체의 반송 중에는 균등분배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정지 중에는 배관의 폐색방지를 할 수 있다.
[최량의 형태 5]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는 반송경로의 폐색검지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고, 고로조업에 있어서 연료로 되는 폐플라스틱을 풍구로부터 불어넣는 기송라인에 적용한 예이다. 도면에 있어서,501은 불어넣음재인 폐플라스틱을 저류하는 동시에 일정량을 잘라내는 불어넣음탱크, 502는 반송경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불어넣음탱크(501)가 접속된 반송관, 503은 반송관(502)의 복수 장소에 설치된 어스선, 504는 반송관(502)의 도중에 설치되어 반송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폐색검지장치, 505는 고로(506)의 불어넣음랜스이다.
도 22는 도 21의 폐색검지장치(504)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의거하여 폐색검지장치(504)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2에 있어서, 511a, 511b는 반송관(502)에 소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된 절연부재, 513은 절연부재(511a, 511b)의 사이에 설치된 대전배관, 515는 대전배관(513)에 접속되어 대전배관(513)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홀딩기간을 컨트롤하는 대전컨트롤러, 517은 대전컨트롤러(515)에 설치된 어스선이다.
대전배관(513)은 예를 들면 강관으로 형성되고 배관내를 통과하는 분립체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대전시키는 것이다. 대전배관(513)의 길이는 반송물(원료)에 따라 발생정전기가 다르므로 그 특성에 의하여 정해진다.
대전컨트롤러(515)는 대전배관(513)에서 대전한 정전기를 연속적으로 방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전한 정전기의 홀딩시간을 컨트롤한다. 즉 대전-방전-대전-방전의 패턴을 항상 연속적으로 관리하고, 반송의 정상, 이상을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불어넣음탱크(501)로부터 잘라내어지는 폐플라스틱은 불어넣음에어에 의하여 반송배관(502)에 밀어넣어져서 기송되고, 불어넣음랜스(505)를 통하여 고로(506)에 불어넣어진다.
다른 물체끼리의 마찰현상에 의하여 정전기를 발생하는데, 폐플라스틱의 기송에 있어서도 폐플라스틱과 반송관(502)의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한다.
그리고 반송관(502)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어스선(503)에 의해 방전되고 반송관(502)의 전 범위에서 대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대전배관(513)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절연부재(511a, 511b)에 의해 반송관(502)측으로 전달하는 것이 차단되고, 대전컨트롤러(515)에 의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어스선(517)을 통하여 방전이 반복된다.
도 23은 대전컨트롤러(515)에 있어서의 대전-방전의 모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종축이 대전압, 횡축이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정상으로 반송이 실시되고 있을 때는 예를 들면 도 23의 A영역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시간마다 대전과 방전이 반복된다. 또한 대전-방전-대전-방전의 타임피치는 초단위로부터 분단위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반송관(502)의 도중에 폐색이 생긴 경우에는 폐플라스틱이 반송관(502)을 흐르지 않게 되므로, 도 23의 영역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전배관(513)에서의 대전이 생기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 이상 대전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 대전컨트롤러(515)는 경보를 발신한다. 경보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경보램프의 점멸, 경보신호를 중앙감시실에 발신하는 등 여러가지의 것이 생각된다.
폐색이 해제된 경우에는 도 23에 있어서의 C영역과 같이 다시 일정 시간마다 대전과 방전이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관(502)에 생기는 정전기에 의하여 폐색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했으므로 측정장소에 관계없이 반송관(502)에서 생기는 폐색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반송관(502)에 폐색이 생기고 있지 않으면 분립체의 이동이 있고, 분립체의 이동이 있으면 반송라인의 어느 쪽인가의 장소에 있어서도 크건 작건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불어넣음배관(502)에 1개의 폐색검지장치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각 불어넣음배관(502)에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 대전배관(513)의 길이는 반송물의 종류에 따라 발생정전기가 다르므로 그 특성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로 설정한다.
또 대전배관(513)의 재질로서 강관을 예로 들었는데 반송되는 원료와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또한 반송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지계의 것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반송관에 생긴 폐색을 해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2의 설명도이고, 도 21과 동일 부분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 521은 반송관(502)의 상류측에 반송관(502)에 연속하여 설치된 역송용 배관, 522는 역송용 배관(521)에 연결되어 폐색물을 포집하는 포집박스, 524는 배관(523)을 통하여 포집박스(522)에 접속된 집진기, 525는 반송관(502)의도중에 설치된 퍼지에어용 배관이고, 525a, 525b로 분기해 있다. 또 퍼지에어배관(525)은 컴프레서 등의 고압에어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퍼지에어용 배관(525)과 이것에 접속되는 고압에어공급원에 의하여 가스공급수단이 실현되어 있다.
V1∼V6은 각 배관에 설치된 차단밸브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상의 조업시에 있어서, 불어넣음탱크(501)로부터 불어넣음원료의 폐플라스틱이 잘라내어지고, 불어넣음에어에 의하여 반송관(502)을 통과하고 불어넣음랜스(505)를 통하여 고로(506)에 불어넣어진다. 이 때 차단밸브(V2, V3, V4)는 열림상태이고 차단밸브(V1, V5, V6)는 닫힘상태이다.
한편 불어넣음원료가 반송관(502)을 폐색한 경우 불어넣음에어의 불어넣음을 정지하고 차단밸브(V1, V5, V6)를 열림으로, 차단밸브(V2, V3, V4)를 닫힘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퍼지에어배관(525)으로부터 고압의 퍼지에어를 불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관(502)을 폐색하고 있었던 폐색물이 제거되어 폐색이 해제되고, 반송관(502)에 있어서의 차단밸브(V4)의 상류측을 폐색하고 있었던 폐색물은 반송관(502)을 역류하여 포집박스(522)에 포집되며, 차단밸브(V4)의 하류측을 폐색하고 있었던 폐색물은 반송관(502)을 하류측으로 흘러서 랜스(505)로부터 고로(506)에 불어넣어진다.
차단밸브(V4)의 상류측을 폐색하고 있었던 폐색물은 폐색과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압력을 받으므로 폐색의 해제에 요하는 힘은 적어서 좋다. 한편 차단밸브(V4)의 하류측에 대해서는 차단밸브(V4)가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단밸브(V4)로부터 랜스(505)까지의 반송관(502)의 체적이 작으므로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하여 폐색해제는 할 수 있다.
또한 퍼지에어배관(525)으로부터 고압의 퍼지에어를 불어넣었을 때에 포집박스(522)로부터 발진(發塵)하는 것이 생각되는데 이 발진은 배관(523)을 통하여 집진기(524)에서 집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폐색물을 포집박스(522)에 포집하고 반송경로의 계외로 꺼내고 있으므로 다시 이것이 폐색의 원인으로 되는 일이 없다. 또 폐색을 생기게 한 것과 역방향으로 에어를 퍼지하여 폐색을 해제하므로 작은 에너지로 해제가 가능하다.
또 본 예에 있어서는 하류의 공급측이 고로이고 폐색물을 연소시켜 버리므로 하류측으로의 폐색해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폐색검지와 폐색해제를 따로따로 실시형태 1, 2로서 설명했는데, 폐색검지와 폐색해제의 각각을 모두 구비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에는 대전컨트롤러(515)가 발신하는 경보신호에 의거하여 차단밸브(V1∼V6)의 개폐를 자동제어함으로써 폐색검지와 폐색해제를 자동화할 수있다.
본 최량의 형태 5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립체의 기류반송에 의하여 반송경로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고, 해당 정전기가 소정 시간 이상 생기지 않았을 때에 반송경로에 폐색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했으므로 반송경로의 폐색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 반송경로에 폐색이 생겼을 때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역송용의 가스를 공급해서 폐색을 해제하는 동시에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반송경로 밖에 설치한 포집용기에 포집하도록 했으므로, 적은 에너지로 폐색을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폐색의 원인을 제거하여 다시 같은 원인으로 폐색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최량의 형태 6]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분립체의 유동화송급장치를 이용하여 소요의 반응용기에 분립체를 불어넣는 경우의 설비흐름의 개요를 나타낸다. 분립체(610)를 저장호퍼(608)로부터 기계식의 잘라냄장치(609)에서 유동송급챔버(614)에 연속적으로 잘라낸다. 유동송급챔버(614)에 유입하여 퇴적하고 있는 분립체(610)는 해당 챔버(614)내에 불어넣어진 공기 등의 캐리어가스(605)에 의해 강제적으로 유동화되고, 중심부에 배치된 노즐관(607)에 밀어넣어져서 수송배관(604)내에 송급되며, 해당 수송배관(604)내를 캐리어가스(605)로 운반되어불어넣음랜스(615)로부터 고로, 그 밖의 공업로 등의 반응장치(616)에 불어넣어진다. 또한 유동송급챔버(614)로부터 노즐관(607)과 수송배관(604)의 조합을 적당히 복수 계열 설치한다.
도 26에 상기 유동송급챔버(614) 및 그 근처의 가스배관 및 분립체배관의 개략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7에 도 26 중의 AA화살표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동송급챔버(614)에는 하부외부측벽에 캐리어가스(605)공급용의 배관(617)이 유량조정밸브(618)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어가스(605)의 유량조정이 유량제어장치(619)에서 실시된다. 유동송급챔버(614)의 하부둘레벽내부에는 가스모아둠헤더(6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연통하여 유동송급챔버(614)내부저면주위의 측벽부에 캐리어가스(605)분출용의 슬릿상 노즐(621)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상 노즐(621)은 캐리어가스(605a)를 저부둘레벽으로부터 저부중심부를 향하여 평면상 기류의 형태로 분사시키기위한 것이며, 슬릿상 노즐(621)로부터 분사된 캐리어가스(605a)의 저면으로의 촬영형상은 다수의 선형부분이 역방사상으로 중심부에 모이는 형태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저면중심부에는 매끄러운 돌기(622), 즉 원추의 사면이 내측에 매끄럽게 만곡한 산형의 돌기(6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역방사상으로 분사된 캐리어가스(605a)는 이 돌기(622)의 사면을 따라서 흐르고 중심부위쪽으로 불어올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위쪽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분립체(610)는 유동송급챔버(614)내에 자연낙하하여 퇴적하면서 다른쪽에서 평면상의 역방사상 캐리어가스(605a)에 의해 유동화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입구(607a)가 배치된 노즐관(607)에밀어넣어져서 수송배관(604)내에 송급된다.
상기 분립체의 유동화송급공정에 있어서는 캐리어가스(605)에 의해 분립체(610)를 상기한 바와 같은 고속의 기류형태로 강제적으로 실시하므로, 분립체(610)의 잘라냄은 반드시 연속적으로 실시할 필요는 없고, 유동송급챔버(614)내에 항상 소정량 이상의 분립체(610)가 존재하도록 조절하면 문제는 없다. 또 유동송급챔버(614)내에 분립체(610)가 퇴적한 상태에서도 임의로 유동송급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충전된 분립체(610)이어도 유동송급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보다도 고고체기체비수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610)의 잘라냄에 대해서는 정량잘라냄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잘라냄정밀도는 요구되지 않고, 또한 비교적 소류량의 분립체잘라냄시에 기계식 잘라냄장치에서 문제로 되는 맥류의 문제도 고려하지 않아서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통상의 분립체용 기계식 잘라냄장치이면 충분하다.
유동송급챔버(614)의 하부외주부벽내에는 가스모아둠헤더(6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릿상 노즐(621)로부터 분사하는 캐리어가스(605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분립체의 에어레이션을 위한 장치부재나 압력가스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소비가스로서는 분립체수송에 필요한 최저유속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의 캐리어가스(605)로 조업이 가능하고, 또 가스유량제어방식이기 때문에 분립체(610)의 고로 등 반응용기(616)로의 불어넣음유량의 제어성에 대하여 가스압력제어방식에 의한 경우보다도 우수해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도 27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송급장치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입자를 고로에 그 풍구부로부터 불어넣은 시험(실시예)을 실시했다. 또한 비교시험으로서 종래 실시되고 있는 방법인 폐플라스틱입자를 에어레이션플레이트를 통하여 압력가스로 유동화하고, 압력제어방식에 의해 폐플라스틱입자의 고로로의 불어넣음유량을 제어하며, 캐리어가스로 수송배관에서 기송하여 고로에 풍구부로부터 불어넣는 시험을 실시했다(비교예). 표 4에 주된 시험조건을 나타낸다.
시험에 있어서 폐플라스틱입자의 고로내로의 불어넣음유량의 제어성 및 사용가스유량에 대하여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도 28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동일 도면으로부터 폐플라스틱입자의 고로내불어넣음유량의 설정값에 대한 실측값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성은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사이에 있어서의 반송을 위한 사용가스유량에 대해서도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예에 있어서보다도 현저하게 저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결과는 입자직경이 수십미크론∼수백미크론 정도의 가는 분립체의 경우에 대해서도 유사경향의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본 최량의 형태 6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가는 분립체로부터폐플라스틱입자와 같은 비교적 조립체(粗粒體)까지의 분립체를 대상으로 하고, 이것을 기송에 의해 고로 그 밖의 반응장치내에 불어넣는데 있어서 불어넣음수송량의 제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싼값으로 효율적으로 조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송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공업상 유용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표 4
폐플라스틱입자직경, 길이 Φ8㎜, 5∼15㎜ 길이
폐플라스틱부피비중 300㎏/㎥
불어넣음배관 직경 40A
불어넣음배관 길이 수평 : 50m
수직 : 15m
고로풍구 5atm
설정불어넣음량 1∼1. 8t/h
본 발명의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저장호퍼 등에 저장된 미분탄, 폐플라스틱 등의 분립체를 배출구에 잘라내어 기류반송할 수 있다.

Claims (33)

  1.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반송관에 저장용기내의 분립체를 정량잘라냄하기 위한 정량공급장치와;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반송관압력검지장치 및;
    해당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해당 반송관압력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저장용기는 저장호퍼의 아래쪽에 병렬배치된 복수의 불어넣음호퍼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수의 불어넣음호퍼에 해당 저장호퍼로부터 해당 분립체가 번갈아 충전되어 연속적으로 해당 분립체가 잘라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3.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반송관에 저장용기내의 분립체를,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와 해당 연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연직부에 대하여 반송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부 및 해당 경사부에 경사방향을 따라서 가속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가스노즐을 포함하는 잘라냄관을 통하여 정량잘라냄하기 위한 정량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분립체는 가속가스노즐로부터 분사하는 가속가스에 의하여 가속되고, 해당 분립체의 해당 반송방향의 분속도는 해당 반송관내의 기류속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경사부의 경사각은 40∼60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해당 경사부의 경사각은 40∼60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잘라냄관의 단면적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반송관압력검지장치와;
    용기내압력검지장치와 반송관압력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저장용기내의 압력을 해당 반송관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9.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분립체잘라냄장치에 복수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해당 복수의 배출구의 각각에 반송배관을 접속하여 해당 복수의 배출구 및 해당 복수의 반송배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해당 분립체를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반송하고 있는 해당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공정과;
    폐색이 검지되면 해당 폐색이 검지된 반송배관에 접속된 해당 배출구로부터의 잘라냄을 정지하는 공정과;
    해당 복수의 배출구 중 대기상태에 있었던 해당 배출구로부터 해당 분립체를 잘라내어 기류반송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반송방법.
  10.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해당 저장용기내에 저장된 해당 분립체를 정량잘라내는 스크류피더와;
    해당 스크류피더의 양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구와;
    해당 양단에 위치하는 배출구에 접속된 반송배관과;
    해당 각 반송배관에 설치되어 해당 각 반송배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폐색검지장치와;
    해당 폐색검지장치의 폐색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스크류피더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반송장치.
  11.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단부에 배출구가 설치된 스크류피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12. 분립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축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대칭의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단부에 배출구를 갖는 스크류피더를 구비한 분립체잘라냄장치 3대를 1쌍으로 하고 적어도 1쌍 이상을 갖는 분립체잘라냄장치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상기 3대 중 2대는 병렬로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1대의 배출구로부터 잘라내어지는 해당 분립체는 해당 2대의 분립체잘라냄장치의 해당 저장용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잘라냄장치.
  13. 분립체를 고온의 반송가스에 의하여 반송하는 공정 및;
    반송된 분립체를 불어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불어넣음방법.
  14.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가 해당 반송배관내를 기송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배관내의 해당 반송가스의 속도가 아래식의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해당 반송가스량을 설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방법.
    Umin=Umin0×(P0/P1)1/2
    다만, Umin: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Umin0: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P0: 대기압(㎏/㎠)
    P1: 반송관내압력(㎏/㎠)
  15.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장치와;
    반송배관내를 기송반송하는 분립체의 불어넣음장치와;
    반송가스의 블어넣음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장치와;
    반송배관내의 가스압력을 검지하는 압력검지장치와;
    해당 압력검지장치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유량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제어장치는 상기 반송배관내의 반송가스속도가 아래식의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상기 유량조정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장치.
    Umin=Umin0×(P0/P1)1/2
    다만, Umin: 반송관내압력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Umin0: 대기압하에서의 최저가스유속(m/s)
    P0: 대기압(㎏/㎠)
    P1: 반송관내압력(㎏/㎠)
  16.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해당 반송배관내에서 기송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배관의 도중 복수 장소에서 가스유속이 해당 분립체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가스유속으로 되도록 반송가스를 발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방법.
  17. 분립체를 불어넣음탱크로부터 반송배관내에 정량적으로 잘라내는 장치와;
    해당 분립체를 해당 반송배관내에서 기송반송하는 장치와;
    해당 반송배관의 도중 복수 장소에 가스유속이 해당 분립체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가스유속이 되도록 해당 반송가스를 발취하는 반송가스발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해당 반송배관의 도중에 개재설치된 다공상의 관부재와;
    해당 관부재의 주위를 덮는 동시에 해당 관부재를 통하여 유출한 해당 반송가스를 저류하는 용기 및;
    해당 용기내의 가스를 소정량만큼 발취하는 가스발취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불어넣음장치.
  19. 분립체를 분배기에 의해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여 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기관에 흐름에 대해 저항이 되도록 기체를 불어넣고, 해당 각 분기관에 흐르는 해당 분립체의 유량밸런스를 조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20. 분립체를 분배기에 의해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여 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복수의 분기관 중 적어도 1개를 차단하는 공정과;
    해당 차단된 분기관에 기체를 불어넣고 해당 차단된 분기관내의 해당 분립체를 유동화시켜서 해당 분기관의 폐색을 방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21. 분립체의 유량을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기 위해 해당 반송관과 해당 분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흐름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에 기체를 불어넣기 위해 해당 복수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22. 분립체의 유량을 반송관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에 분배하기 위해 해당 반송관과 해당 분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해당 복수의 분기관 각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해당 개폐밸브와 해당 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해당 복수의 분기관에 기체를 불어넣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기체는 흐름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에 불어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노즐의 기체불어넣음방향은 그 방향의 축선과 불어넣음지점보다도 하류측의 배송경로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노즐의 기체불어넣음방향은 그 방향의 축선과 불어넣음지점보다도 하류측의 배송경로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26.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반송관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는 공정과;
    해당 정전기가 소정 시간 이상 생기지 않았을 때에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함으로써 폐색을 검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27. 분립체를 반송관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생겼을 때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역송용의 가스를 공급하여 폐색을 해제하는 공정과;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해당 반송관의 밖에 설치한 포집용기에 포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28. 분립체를 반송관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의 기류반송에 의하여 해당 반송관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정전기가 소정 시간 이상 생기지 않았을 때에 해당 반송관에 폐색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공정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역송용의 가스를 공급하여 폐색을 해제하는 공정과;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해당 반송관의 밖에 별도 설치한 포집용기에 포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방법.
  29.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도중에 절연부재를 통하여 설치된 대전배관 및;
    해당 대전배관에 접속되어 대전배관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일정 시간마다 방전시키는 동시에, 해당 대전배관의 대전상태를 감시하여 일정 시간 이상 대전이 없을 때에 신호를 발신하고 대전을 컨트롤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30.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상류측에 해당 반송경로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포집하는 포집용기와;
    해당 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고압가스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31. 분립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류반송하기 위한 반송관과;
    해당 반송관의 도중에 절연부재를 통하여 설치된 대전배관과, 해당 대전배관에 접속되어 해당 대전배관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일정 시간마다 방전시키는 동시에, 해당 대전배관의 대전상태를 감시하여 일정 시간 이상 대전이 없을 때에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해당 반송관의 폐색을 검지하는 대전컨트롤장치와;
    해당 반송관의 상류측에 해당 반송관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폐색의 원인으로 된 폐색물을 포집하는 포집용기와;
    해당 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고압가스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기류반송장치.
  32. 기계식 잘라냄장치를 이용하여 분립체를 챔버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해당 챔버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해당 챔버내에 공급된 해당 분립체에 대하여 해당 챔버내저면주위의 측벽부로부터 평면상 기류를 해당 챔버저면의 중심부를 향하여 분류하는 공정과;
    해당 분립체를 해당 챔버내에서 유동화시키는 공정과;
    유동화되고 해당 중심부에 밀어보내어진 해당 분립체를 해당 분립체가 밀어보내어지는 공간영역에 미리 설치된 해당 챔버에서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는 수송배관의 입구에 보내주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공급방법.
  33. 분립체를 잘라내기 위한 기계식 잘라냄장치와;
    해당 잘라냄장치의 하측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해당 잘라냄장치로부터 잘라내어진 해당 분립체를 기류에 의해 유동화시키는 동시에, 유동화한 해당 분립체를 해당 기류에 의해 외부로 보내기 위한 유동송급챔버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유동송급챔버는 내부저면주위의 측벽에 수평방향으로 평면상 기류를 해당 내부저면중심부를 향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슬릿상 노즐을 가지며,
    해당 분립체를 해당 유동송급챔버의 내부로부터 그 외부로 해당 기류에 의해 도출하기 위한 송급관이고, 해당 송급관은 해당 분립체의 유입구가 해당 유동송급챔버의 내부저면중심부의 위쪽공간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에 의한 분립체의 유동화공급장치.
KR1020017016392A 1999-07-08 2000-07-06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KR10056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11699A JP3341720B2 (ja) 1999-07-08 1999-07-08 粉粒体の気流搬送方法及び装置
JPJP-P-1999-00194116 1999-07-08
JPJP-P-1999-00210122 1999-07-26
JPJP-P-1999-00210120 1999-07-26
JP11210120A JP2001031247A (ja) 1999-07-26 1999-07-26 粉粒体の気流搬送方法及び装置
JP21012299A JP3494086B2 (ja) 1999-07-26 1999-07-26 粉粒体切出し搬送方法及び粉粒体切出し装置
JP21012199A JP3557954B2 (ja) 1999-07-26 1999-07-26 粉粒体切出し装置
JPJP-P-1999-00210121 1999-07-26
JP23687499A JP3528696B2 (ja) 1999-08-24 1999-08-24 粉粒体の吹込み方法及び装置
JPJP-P-1999-00236874 1999-08-24
JP32121799A JP2001139141A (ja) 1999-11-11 1999-11-11 気流による粉粒体の流動化送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1999-00321217 199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285A true KR20020012285A (ko) 2002-02-15
KR100565177B1 KR100565177B1 (ko) 2006-03-30

Family

ID=2755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392A KR100565177B1 (ko) 1999-07-08 2000-07-06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114672A1 (ko)
EP (1) EP1211202A4 (ko)
KR (1) KR100565177B1 (ko)
WO (1) WO20010040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83B1 (ko) * 2003-12-29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분환원철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532786B1 (ko) * 2022-07-11 2023-05-18 (주)한신엔지니어링 분체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64B1 (ko) * 2001-08-27 2006-05-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분체 기류 수송량 제어장치
AUPR817201A0 (en) * 2001-10-09 2001-11-01 Technological Resources Pty Limited Supplying solid feed materials for a direct smelting process
BRPI0415680B1 (pt) 2003-10-21 2013-04-02 equipamento e processo de fusço direta.
DE112012003689B4 (de) * 2011-09-05 2020-12-10 Diamond Engineering Co . , Ltd. Pulverzuführeinrichtung und Pulverzuführverfahren
EP2671633A1 (de) * 2012-06-06 2013-12-11 Basf Se Verfahren zum Transport geschäumter thermoplastischer Polymerpartikel
NL1039764C2 (en) * 2012-08-17 2014-02-18 J O A Technology Beheer B V A method of, a control system, a device, a sensor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ransport of fibrous material in a transport line of a pneumatic conveying system.
DE102012108198B4 (de) * 2012-09-04 2016-05-25 Windmöller & Hölscher Kg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Abfallprodukten einer Produktionsmaschine mit einem Absaugelement
US9561915B2 (en) * 2015-03-19 2017-02-07 Ipeg, Inc. Pressure differential proofing method for pneumatic conveying
US10494200B2 (en) * 2016-04-25 2019-12-03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Measurement of product pellets flow rate
CN106809628A (zh) * 2016-12-29 2017-06-09 张春慧 一种粉料搅拌的下料装置
US10421625B2 (en) * 2017-09-08 2019-09-24 Cnh Industrial Canada,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lockages present in a delivery conduit of a seeder
CA3038323A1 (en) * 2018-03-28 2019-09-28 Ipeg, Inc. System and method using telemetry to configure control systems for pneumatic conveying systems
US10926965B2 (en) * 2018-03-28 2021-02-23 Ipeg, Inc. System and method using telemetry to characterize, maintain and analyze pneumatic conveying systems
CN111703900B (zh) * 2020-07-02 2021-07-16 华东理工大学 一种气力输送方法
CN116103457A (zh) * 2023-02-07 2023-05-1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炉喷煤系统的稳定喷吹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9654C (de) * 1935-05-04 1939-01-02 Polysius Akt Ges 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erdern von pulvrigem Massengut mittels Pressluft
DE710526C (de) * 1939-12-01 1941-09-17 Polysius Akt Ges G Vorrichtung zum Foerdern von pulverfoermigem Massengut mittels Pressluft, bei der zwei Behaelter unter Verwendung eines Zeitrelais abwechselnd gefuellt werden
DE970309C (de) * 1953-08-21 1958-09-04 Moeller Johannes Gefaessfoerderer zum pneumatischen Foerdern pulverfoermigen und koernigen Gutes
JPS4623079Y1 (ko) * 1966-07-21 1971-08-10
DE2363505A1 (de) * 1973-12-20 1975-07-03 Waeschle Maschf Gmbh Aufgabevorrichtung einer druckluftfoerderanlage fuer schuettgut
GB2068868B (en) * 1980-02-09 1984-02-15 Macawber Eng Ltd Pneumatic conveying of bulk material
JPS5823301B2 (ja) * 1980-10-14 1983-05-14 川崎製鉄株式会社 粉体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FR2504152B1 (fr) * 1981-04-21 1986-07-04 Usinor Procede d'injection de charbon pulverise dans les tuyeres d'un haut fourneau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JPS57195030A (en) 1981-05-22 1982-11-30 Nippon Alum Mfg Co Ltd:The Blocking releasing method for powder transport pipe
JPS582525A (ja) * 1981-06-25 1983-01-08 Petorokaapu Inc 複数吹込口への粉粒体吹込方法
IT1221878B (it) * 1982-06-23 1990-07-12 Menci Spa Dispositivo pneumatico per lo scarico di materiali polverulenti o granulari da contenitori fissi o mobili
JPS62267404A (ja) * 1986-05-14 1987-11-20 Kawasaki Steel Corp 高炉吹込み用微粉炭の搬送方法
US4863316A (en) * 1987-07-01 1989-09-05 The Perkin-Elmer Corporation Closed loop powder flow regulator
JPH01176627U (ko) * 1988-06-03 1989-12-15
LU87453A1 (fr) * 1989-02-14 1990-09-19 Wurth Paul Sa Procede d'injection pneumatique de quantites dosees de matieres pulverulentes dans une enceinte sous pression variable
JP2770833B2 (ja) * 1990-05-21 1998-07-02 日清製粉株式会社 粉体の除去又は搬送の方法
EP0499759A1 (en) * 1991-02-21 1992-08-26 Bp Chemicals S.N.C. Process for monitoring flow in a pneumatic conveying system
JPH0733530B2 (ja) * 1991-06-25 1995-04-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粉体吹込方法
JPH0524649A (ja) * 1991-07-26 1993-02-02 Penta Ocean Constr Co Ltd 土砂圧送装置
JPH05124727A (ja) 1991-11-05 1993-05-21 Kawasaki Steel Corp 粉粒体の吹き込み装置
JP2525316Y2 (ja) * 1993-03-23 1997-02-12 株式会社日本アルミ 空気輸送装置
AT402816B (de) * 1995-10-19 1997-09-2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zum fördern eines feinteiligen feststoffes
JPH09208050A (ja) * 1996-01-31 1997-08-12 Kawasaki Steel Corp 粉粒体吹込制御装置
JPH10167472A (ja) * 1996-12-06 1998-06-23 Saeki Kensetsu Kogyo Kk 空気圧送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3122056B2 (ja) * 1997-01-22 2001-01-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輸送装置の閉塞防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83B1 (ko) * 2003-12-29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분환원철 레벨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532786B1 (ko) * 2022-07-11 2023-05-18 (주)한신엔지니어링 분체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1202A1 (en) 2002-06-05
EP1211202A4 (en) 2008-04-23
WO2001004030A1 (fr) 2001-01-18
US20020114672A1 (en) 2002-08-22
KR100565177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2285A (ko)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US7144204B2 (en) Pneumatic conveyor device and method
EP00816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dered particles
CA2738719C (en) Device and method for pneumatically conveying bulk materials in a dense flow method
WO2000039009A1 (en) Conveying particulate material in a pressurised gas
US20030075085A1 (en) Device for discharging dust from a dry dust collector of a blast furnace
CN101152932B (zh) 具有多个出料口的含碳固体粉料供料装置及其供料方法
EP0663855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pressurized container
EP0123542B1 (en) Distribution of gas entrained particles
US20120257934A1 (en) Metering system, dense phase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bulk material in powder form
JP2004035913A (ja) 粉粒体吹込み制御方法及び装置
EP0064508A1 (en) DEVICE AND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PUMP FOR DRY SOLID POWDER MATERIAL.
KR20030046456A (ko) 저유동성 덩어리 재료를 공급 라인으로 도입하는 장치
JP3513735B2 (ja) チャー搬送装置
TW458935B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out and transporting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WO2004046001A2 (en) Pneumatic conveying system for particulate material
JP2001031246A (ja) 粉粒体切出し装置
JP3528696B2 (ja) 粉粒体の吹込み方法及び装置
GB2106064A (en) Pneumatic conveyance of solids
JP2003514108A (ja) 流動層還元炉の流動層崩壊防止装置
US4689076A (en) Method of operating metallurgical furnace and a metallurgical furnace apparatus
JP4916851B2 (ja) 微粉炭吹き込み装置
LU92978B1 (en) Installation for distribution of granular or powder material via pneumatic transport comprising a device for pressurizing and depressurizing a dispensing hopper for storage of said material
JP2001031247A (ja) 粉粒体の気流搬送方法及び装置
JP3053327B2 (ja) 微粉炭吹き込み用フィードタンクの排圧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