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184A -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 - Google Patents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184A
KR20020012184A KR1020017013640A KR20017013640A KR20020012184A KR 20020012184 A KR20020012184 A KR 20020012184A KR 1020017013640 A KR1020017013640 A KR 1020017013640A KR 20017013640 A KR20017013640 A KR 20017013640A KR 20020012184 A KR20020012184 A KR 20020012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area
noise reduction
noi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파크 데브나니
아리스크리스토퍼엠
스미스크라이그알
Original Assignee
브레난 테렌스 피
저비스 비. 웹 인터내셔날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난 테렌스 피, 저비스 비. 웹 인터내셔날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레난 테렌스 피
Publication of KR2002001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1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2Power and free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10/025Coupling and un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rack ab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 Railway Track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Handcart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트롤리의 최소 한 구성요소의 최소 하나의 영역에 소음절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감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음감축컨베이어트롤리는 트랙에 가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이상의 바퀴를 갖는 트롤리몸체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성요소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소음절감물질이 적용된다. 컨베이어 트롤리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는 소음절감을 위해 소음절감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Sound abatement methods and conveyor trolleys}
파워 프리 컨베이어는 파워 트랙과, 자유 트랙과 그리고 프리 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다수의 캐리어로 이루어 진다. 각각의 캐리어는 리딩 및 견인 트롤리를 포함하며, 트롤리는 프리 트랙에 위치하여 캐리어를 지지한다. 파워 트랙은 파워 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파워 체인을 포함한다. 종종 파워 및 프리 트랙은 상호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열된다. 각 리딩 트롤리는 파워 트랙으로 신장하고 파워 트랙에서 가동 파워 체인에 의하여 이송되는 푸셔 도그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퇴 가능한 도그를 포함한다. 푸셔 도그가 후퇴 가능한 도그와 결합할 때 트롤리 및 그에 의한 캐리어는 가동 파워 체인에 의하여 자유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밀어진다. 후퇴 가능한 도그가 후퇴될 때 또는 푸셔 도그와 결합을 해제할 때 트롤리는 힘을 잃어 이동을 정지한다.
파워 프리 컨베이어의 한 특징은, 컨베이어가 캐리어의 축적을 가능하게 한다. 파어 프리 컨베이어는 종종 복수의 정지된 캐리어가 좁게 간격지게 저장되거나 또는 필요할 때 까지 접촉 관계로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적부를 포함한다. 가동 캐리어를 축적하고 정지하기 위하여 가동 캐리어의 리딩 트롤리는 정지된 캐리어 아래의 견인 트롤리와 충돌하도록 구성된다. 2 개의 트롤 리가 충돌함에 따라 캐리어 리딩 트롤리의 캠레버는 다른 캐리어의 견인 트롤리의 축적 캠을 쳐서, 캠 레버가 리딩 트롤리의 후퇴 가능한 도그를 서게 한다. 수축 가능한 도그의 후퇴는 푸셔 도그에서 수축도그를 해제하여 리딩 트롤리 및 그에 의한 가동 캐리어가 가동 파워 체인에 의하여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충돌은 종종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캐리어는 금속 및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져 무거운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므로 그에 따라 상당히 무겁다. 결국, 가동 캐리어는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가지며 이 에너지는 캐리어를 정지하기 위하여 분산되어야 한다. 캐리어 및 트롤리는 금속 및 그 합금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각 충돌에 의하여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음파로 사리진다. 컨베이어 라인은 복합 축적부를 가지고 설비는 복합 컨베이어 라인을 가지기 때문에 캐리어 축적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일시적으로 자주 발생한다. 소음은 불쾌하여 축적부 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소음에 의한 악영향 때문에 트롤리 작동과 관련하여 소음 감쇄를 위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비록 소음의 상당한 부분이 리딩 트롤리와 리딩 트롤리의 몸체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에 의하여 야기되지만 트롤리 요소 사이의 다른 접촉 역시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많은 경우에 있어, 소음의 상당 량은 리딩 트롤리의 요소와, 리딩 트롤리의 소정의 요소와 견인 트롤리의 소정의 요소 사이 가운데 접촉에 의하여 발생한다. 예들들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음은 리딩 트롤리의 캠레버와 견인 트롤리의 축적캠 사이, 캠레버와 리딩 트롤리의 본체, 캠레버와 리딩 트롤리의 신축도그, 신축도그와 리딩 트롤리 본체, 그리고 푸셔 도그에서 신축 도그의 후퇴 중에 신축도그와 푸셔도그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할 것이다. 그 접촉은 직접직인 접촉과 슬라이딩 접촉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음 감축 방법과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음 2 개의 트롤리 사이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소음 감축 물질이 트롤리 요소의 소정의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 감축 방법 및 컨베이어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푸셔 도그와 결합을 위하여 신장 위치에서 신축 도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한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
도 2 는 푸셔 도그와의 해체를 위하여 후퇴 위치에서 신축 도그와 함께 도 1 의 트롤리를 보여 주는 도면;
도 3 및 도 4 는 소음 감소 특징으로, 도 1 의 트롤리 캠 레버의 측면 및 상면도;
도 5A 내지 5C 는 도 3 의 A-A, B-B, 그리고 C-C을 따른 소음 감소 물질의 단면도;
도 6.7 및 8 은 도 1 의 트롤리의 신축도그의 측면, 단부 그리고 저부에 대한 도면; 그리고
도 9A 내지 9D는 도 6 의 A-A, B-B, C-C 그리고 D-D를 따른 소음 감소 물질의 단면도
소음 줄이는 물질을 접촉이 일어 나는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 트롤리 충돌 중에 발생되는 소음 레벨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들 영역은, 견인 트롤리의 축적캠 뿐만 아니라 트롤리 본체를 포함하는 트롤리 요소 상의 영역과, 캠레버, 그리고 리딩 트롤리의 신축 도그 영역을 포함한다. 소음 감소 효과는 소음 감소 물질을 접촉이 생기지 않는 트롤리 요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 적용 시켜도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소음 감소 물질의 적용은, 소음 감소 물질과 함께 이들 영역에의 코팅, 접착, 마찰적인 접합, 및/또는 공동 충진을 포함하여 이들 영역에 그 물질을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음 감소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방법은 소음 감축 물질을, 가동 트롤리의 적어도 한 요소의 적어도 한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트롤리는 트롤리 본체와 상호 작동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트랙에서 주행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휠을 갖는 트롤리 본체를 포함한다. 요소는 소음 감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 감소 물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컨베이어 트롤리에 사용되는 요소가 소음 감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 감소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것을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 상술한다. 설명과 도면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들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하, 실시예에 대한 변경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며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파워 프리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의 트롤리(10)이다. 트롤리(10)는 댐퍼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트롤리(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과 소음저감 영역에 적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음저감물질을 포함한다. 트롤리(10)는 리딩 트롤리 또는 캐리어의 견인 트롤리로 사용된다.
도 1, 도 2 의 실시예에서, 트롤리(10)는 트롤리 본체(20), 캠레버(30), 신축도그(50), 그리고 축적캠(120)을 포함한다. 캠레버(30)는 또한, 도3, 4 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신축도그(50)는 도 6,7에서 설명하고 있다. 캠레버(30)는 캠레버(30)에의 구멍(32)을 통하여 신장하는 피봇핀(12)에 의하여 트롤리 본체(20)에 장착되어 선회 운동한다. 신축도그(50)는 바람직하기로는 트롤리 본체(20)의 채널(24)내에서 이동 가능한 스템(52)을 포함한다. 스템(5)은 캠레버(30)의 단부(34)를 수용할 정도 크기의 개구(54)를 갖는다.
작동에 있어, 트롤리(10)는 파워 프리 컨베이어 시스템의 자유트랙(14)에 위치하며, 트롤리(10)가 자유트랙(14)에서 주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휠(18)을 갖는다.트롤리(10)의 신축도그(50)는 가동 파워체인(미도시)에 연결되는 복수의 푸시도그(16)의 어떤 하나와 결합 가능하다. 가동 파워 체인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파워 트랙(미도시)에서 주행하고, 파워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자유트랙(14)과 함께 거의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된다. 신축도그(50)가 푸셔도그(16)와 결합할 때, 푸셔도그(16)는 신축도그(50)의 채널(56)로 신장하여, 자유트랙(14)에서 트롤리(10)를 구동하도록 신축도그(50)의 윙(110)에 대하여 민다. 신축도그(50)의 윙(110)은 도 8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가동 캐리어를 정지하고 축적하기 위하여 가동 캐리어의 리딩 트롤리(10)는 푸셔도그(16)와 결합을 해제한다. 결국 리딩 트롤리(10)는 정지 캐리어의 견인 트롤리(미도시)와 충돌하도록 만들어 진다. 리딩 트롤리(10)가 견인 트롤리와 충돌할 때 리딩 트롤리(10)의 캠레버(30) 단부(36)는 견인 트롤리의 축적 캠과 접촉한다. 이 접촉은 캠레버(30)를 도 1 에 도시한 위치에서 도 2 에 도시한 위치로 민다. 피봇 동작은 신축도그(50)를 상방으로 이동케 하여 채널(24) 속으로 후퇴한다. 신축도그(50)의 수축은 푸셔도그(16)에서 신축도그(50)를 해제하게 하여 푸셔 도그(16)가 트롤리(10)의 구동 없이 그의 주행을 계속하도록 한다.
이 작동 중에의 여러 트롤리 요소 중에는 많은 직접적인 그리고 미끄럼 접촉이 있다. 예들들어, 캠 레버(30)는 트롤리 본체(20), 신축 도그(50), 그리고 견인 트롤리의 축적 캠을 접촉하고; 신축도그(50)는 트롤리 본체(20), 푸셔도그(16)를 접촉한다. 이들 접촉은 리딩과 견인 트롤리 사이의 충돌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정도를 증가 시킨다.
충돌 중에 발생하는 소음 정도를 줄이기 위하여, 트롤리 본체(20)와, 캠레버(30), 신축 도그(50) 그리고 축적 캠(120)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롤리(10) 요소는 소음 저감물질이 적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예들들어 도 3,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레버(3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과 그에 적용되는 소음저감 물질을 포함한다. 캠레버(30)는 2 개의 단부(34,36)와 그 2 개의 단부(34,36) 사이에 놓이는 피봇 구멍(32)을 갖는 긴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캠레버(30)의 한 단부(34)는 영역(35)과 그 영역(35)에 가해지는 소음저감물질(38)을 포함한다. 이 영역(35)은 단부(34)의 전체면을 둘러싸 신장하고, 단부에서 피봇구멍(32) 거리로 신장한다. 캠레버(30)의 이 단부는 신축도그(50)의 스템(52) 상 개구(54)를 통하여 신장하고, 그리고 충돌 중에 캠레버(30)의 단부(34)는 신축도그(50)를 접촉하여, 신축도그(50)를 상방으로 민다. 캠레버(30)의 다른 단부(36)는 공동(40)과 접촉 영역(42)을 포함한다. 공동(40)은 비접촉 영역, 즉 충돌 중에 트롤리(10)의 다른 요소와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며,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소음저감물질(43)이 채워진다. 도 5A - 5C 는 도 3 에 도시한 3 위치에서 소음저감물질(43)의 단면을 보여 준다. 캠레버(30)와 신축도그(50)의 작동을 위하여 견인 트롤리의 축적 캠을 접촉하는 접촉 영역(42)은 그곳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44)을 포함한다.
캠레버(30)는 또한, 소음저감물질로 만들어 지는 부재(46)가 적용되는 다른 접촉 영역(45)을 포함한다 캠레버(30)의 이 영역(45)은 충돌 중에 트롤리 본체(20)와 접촉한다. 부재(46)는 블록(47)의 형상을 가지며, 여러 방식으로 영역(45)에 적용된다. 예들들어, 도 3,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46)는 블록(47)에서 신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템(48)을 포함하며, 스템(48)은 캠레버(30)의 구멍(49)으로 신장한다. 스템(48)과 구멍 (49) 사이의 상호 고정은 부재(46)를 캠레버(30)에 취부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부재(46)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일단 낡은 부재가 제거되면 구멍(49)으로 새로운 부재의 스템(48)을 단지 밀어 넣으므로써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비록 부재(46)가 상호 고정을 통하여 캠레버(30)로 취부되지만 부재(46)는 접착제 같은 것을 사용한 어떤 소정의 방법으로 캠레버(30)에 취부된다.
도 6,7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도그(50)는 또한 소음저감물질이 적용되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신축도그(50)는 신축도그(50)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캠부(58,60), 캠부(58,60)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이는 스템(52), 그리고 두 단부(58,60) 사이에 놓이는 윙(110)을 포함한다. 윙(110)은 캠부(58,60) 및 스템(52) 모두에 수직이다. 윙(110)은 소음저감물질(64)이 적용되는 영역(62)을 포함한다. 윙(110)의 이 영역(62)은 윙(110)이 푸셔도그(16)를 접촉하는 곳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도 6,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저가물질(66)은, 스템(52)이 충돌 중에 트롤리 본체(20)의 채널(24)을 접촉하는 신축도그(50)의 스템(52) 상 영역(68)에 적용된다. 이들 영역(68)에서의 스템(52)과 채널(24)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은 거의 없고, 미끄럼 접촉이 발생한다.소리 감소 물질을 스템(52)의 이들 영역(68)에의 적용은 소음 저감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소음 저감 물질(66)은 스템(52)의 영역(68)에 여러 형태로 적용될 것이다. 바람직한 방법은 소음저감물질(66)을 스템(52)의 오목홈(70)에 적용하여, 비록 소음저감물질(66)이 스템 주행을 방해함 없이 스템(52)의 표면 상으로 약간 신장하더라도 스템(52)의 전체적인 치수가 채널(24)에서의 그의 주행을 방해할 정도로 변경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시트 또는 패드 형상을 하는 소음저감물질(66) 편은 부재(46)가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레버(30)에 부착되는 것과 비슷하게 스템(52) 상의 각 영역(68)에 부착된다. 소음저감물질(66)의 각 편은 상호 고정을 위하여 스템(52)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템(72)을 포함한다.
또한, 소음 저감물질은 신축도그(50)의 제 1 캠부의 소정의 접촉 및 비접촉 영역에 적용된다. 도 6 및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저감물질(76)은 비접촉 영역(78)에 적용되며, 소음저감물질(80)의 다른 편은 신축도그(40)가 채널(24)로 후퇴할 때 트롤리 본체(20)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82)에 적용된다. 비접촉영역(78)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76)은 도 9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며, 캠부(58)의 상부에 위치한다. 소음저감물질(76)의 이 편은 캠부(58) 꼭대기의 리지(86)를 수용하는 홈(84)을 포함한다. 접촉영역(82)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80) 역시 도 9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58)의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소음저감물질(80)은, 캠부(58)의 상부에 취부되는 2 개의수평부(88), 캠부(58) 최상부의 리지(86)를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수평부(88) 사이의 섹션(90), 그리고 캠부(58)의 슬라이드(94)에 설치되는 2 개의 수직부(92)를 갖춘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제 1 캠부(58)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76,80)은, 트롤리(10)가 다른 트롤리와 충돌할 때 캠부(58)가 터닝포크와 비슷하게 동작을 하기 때문에, 캠부(58)와 관련한 울림을 줄이는 댐버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소음저감물질은 신축도그(50)의 제 2 캠부(60)의 접촉면적과 비접촉면적에 적용된다. 예들들어, 소음저감물질(96)은 제 2 캠부(60)의 접촉면적(98)에 적용된다. 신축도그(50)의 이 접촉영역(98)은 신축도그(50)가 채널(24)로 후퇴할 때 트롤리 본체(20)를 접촉한다. 도 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소음 저감물질(96)은 제 1 캠부(58)의 접촉 영역(82)에 적용되는 물질(80)과 비슷하다. 그리하여 소음저감물질(96)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소음저감물질(100)은 또한 제 2 램부(60)의 비접촉영역(102)에도 적용된다. 도 9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저감물질(100)의 이 편은 2 개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수직 섹션(104)과, 상부에서 2 개의 수지 rtprtus(104)을 연결하는 상대적으로 얇은 수평 섹션(106)을 갖춘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이 소음저감물질(100) 편은 리지(108)의 측부에 취부되는 2 개의 수직 섹션(102,104)과, 리지(108)의 상부에 취부되는 수평 섹션(106)과 함께 제 2 캠부(60) 최상부의 ??(108)에 설치된다.
소음저감물질은 충돌 중에 캠레버(30)를 접촉하는 영역에의 축적캠(120)에 적용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저감물질(122)은 축적캠(120)의 접촉 영역에 적용된다. 접촉 영역은 충돌 중에 캠레버와 접촉한다.
본 발명에서 트롤리 본체(20)와 신축 도그(50) 사이의 접촉과 같이 두 트롤리(10) 요소 사이에 접촉이 있을 때, 신축도그(50)와 같이 소음저감물질은 일반적으로 두 요소 중 하나에만 적용한다. 선택적으로 소음 저감물질은 트롤리(10)의 다른 요소에만 적용되거나 또는 모든 요소에 적용된다.
소음저감물질은 트롤리의 영역에 여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소음저감물질의 적용은 스프레이 코팅 및/또는 접착제 수단에 의하여 트롤리의 접촉 또는 비접촉 영역에 소음저감물질을 접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소음저감물질은 트롤리의 영역에 더욱 느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들들어, 도 3,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 역할을 하는 소음저감물질이 스템이 놓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템과 해당 구멍 사이의 상호 고정수단으로 트롤리에 부착될 것이다. 소음저감물질 부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물질이 부착될 트롤리 영역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물질을 모울드 한다. 그리고 모울드된 소음저감물질을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과 같이, 소정의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트롤리 영역에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소음저감물질이 부착되는 영역의 효율적인 부착을 위하여 매끄러운 면이 되도록 가공 및 또는 연마한다.
모울드 된 소음저감물질의 두께는 적용에 따라 변할 것이다. 어떤 경우엔 소음저감물질이 얇은 시트와 같은 형상을 갖거나 또는 다르게 적용할 경우 예들들어, 패드나 불록과 같이, 두께운 시트 형상을 가질 것이다.
소음저감물질은 여러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소음저감물질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쿠션기능, 소음 및 진동 저감기능 및/또는 소음 및 진동 절연체 기능을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은 이들 기능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적합한 물질이다. 이 적합한 물질은 예를들어, 고무 및 폴리메릭 물질과 같은 소정의 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소음저감물질은 트롤리 영역에 안전하게 취부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효과적인 소음 저감을 위한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효과저감물질의 예는 어떤 소정의 듀로미터(durometer) 기준으로 바람직하기로는 60-90 범위 내의 폴리우레탄 이다. 60 이하 듀로미터의 폴리우레탄은 트롤리 영역에 안전하게 취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하는 반면, 한편 어떤 경우엔 90 이상 듀로미터 폴리우레탄은 효과적인 소음저감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적용에서, 60-90 범위 밖의 듀로미터를 갖는 폴리우레탄도 효과적인 소음저감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트롤리 충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줄이는 소음저감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롤리 요소에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 소음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음저감물질은 소정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 영역에 적용되며, 이들 영역은 접촉 및 비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테스트
테스트는 폴리우레탄 소음저감물질을 갖는 컨베이어 트롤리에 의하여 달성되는 소음 저감 정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실시되었다
테스트 설명 요약
표준 100-mm(4인치) 도그 매직 트롤리를 100-mm(4인치) 역직선 트랙설정에서의 소음 저감 트롤리와 비교했다.
아래의 요소가 소음저감 트롤리 조립체에 사용되었다.: 댐퍼를 갖춘 100-mm (4인치) 역트롤리 조립체: 도 1 -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도그에 몰드/부착된 우레판. 수정된 트롤리는 새로 맞춘(새로운=몰드 및 새로 맞춘=접합된) 것이다.
소음저감 100-mm(4인치) 역캠레버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이 충진된 공동과 도포된 탱(tang)을 갖는다. 새로 맞춘 디자인은 또한 100-mm(4인치) 역캠 레버에도 적용된다. 사용되는 요소의 나머지는 표준 장비이다. 판매는 6 개의 도그와 6 개의 캠(1개의 새로 맞춘 세트와 2 개의 새로운 세트) 세트로 제공된다. 폴리플렉스사가 제조한 본딩된 새로 맞춘 세트, 그리고 제조사가 카스텔론 앤 윈필드인 모울드된 새로운 세트.
100-mm(4인치) 트롤리 조립체에서 나오는 정도의 소음을 얻기 위하여 비교되는 100-mm(4인치) 의 역시스템을 만들었다. 100-mm(4인치) 역트랙 조립체는 푸셔, 실린더, 그리고 하중이 올려진 트롤리와 함께 사용되어 100-mm(4인치) 역시스템과 비슷한 소음을 나오도록 하였다. 그리고 스틸 트롤리와 우레탄이 장착된 트롤리를 비교하였다.
소음 측정 요소는 : 5데시빌 정도의 변동율을 갖는 연속 소음 레벨, 10%, 50%, 그리고 90% 배율을 초과하는 RMS 레벨, 최고 레벨, 최대 SPLs, 그리고 최소 SPLs를 포함한다.
목적:
정지 블레이드에 의하여 정지되는 리드 트롤리와, 그리고 리드 트롤리로 둘러 싸는 제 2 트롤리의 푸셔 도그와 함께 결합하는 100-mm(4인치) 역 신축도그의 소음 정도를 얻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100-mm(4인치) 역시스템과 비교 가능한 100mm(4인치)의 역 테스트 표준에서의 소음 레벨을 얻기 위한 것이다. 다른 목적은 후자에서 소음 저감이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스틸과 우레탄 코팅 요소와 비교하는 것이다.
허용 기준
전체 시스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만약 소정의 "소비자가 정하는" 데시빌 정도의 소음 감소가 아래의 소음 축소 요소와 함께 달성된다면 이는 수용 가능한 것일 것이다. : 100-mm(4인치)역 도그 매직 트롤리 조립체, 역 캠레버, 그리고 역 신축 도그 및 레버에 몰드/본딩된 우레탄.
공정
푸셔를 직선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150-mm(6인치) 구멍을 갖는 공기 실린더를 볼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 시험 표준을 설정한다. 실린더 로드는 25-mm(1인치) 직경을 갖는 핀을 푸셔와 용접으로 연결한다. 실린더의 속도는 부하 없는 상태에서 0.3 미터/초(60피트/분)로 설정한다. 테스트에 사용되는 라인 압력은 공장의 에어를 이용한다. 중이층 상의 탱크 압력은 0.827MPa(120 psi)이다. 테스트 표준에서의 바닥 압력은 0.758 MPa(110 psi)이다. 주의 : 레귤리이터는 항상 오픈 상태로 설정한다. 공기 흐름에 흐름 제어 또는 배기 측정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다.
두 트롤리의 두 세트는 각 쌍이 386 킬로그람(850 파운드)의 시스템으로 설치한다. 리드 트롤리는 역 신축도그를 가지며, 견인 트롤리는 갖지 않는다. 푸셔 픽업에 대하여 그들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위치는 푸셔도그가 두 리드 트롤리를 위한 역 신축도그를 결합하지 전에 75mm(3인치)이다. 테스트는 각 픽업에 대하여 트롤리의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된다.
주변 소음 레벨은 각 새로운 위치에서 2 번 측정한다. 소음 측정은 3 위치 값(레버를 갖는 제어값) 으로 단지 작동 실린더에 대하여 측정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트롤리는 정지 블레이드로 둘러 싸지고 실린더는 소음 테스트 중에 전후로 2 번 작동했다. 다음, 푸셔는 픽업이 준비된 후방 위치로 밀려진다. 트롤리는 아래의 과정을 거친다. 먼저, 트롤리는 푸셔에 의하여 픽업되고, 그리고 리딩 트롤리가 트랙에 장착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견인 트롤리 조립체는 리드 조립체로 둘러 싸진다. 그리고 연속 소음 테스트를 마친다. 이 반복은 각 위치 마다 10 회 반복한다.
데이터 및 결과
코팅 제조처 SPL 평균
폴리플렉스 83.7 dBA
카스텔론 84.3 dBA
윈드필드 84.0 dBA
스틸 86.1 dBA
결론
트롤리는 이들 차이로 비교되었다. : 스틸 범퍼, 스틸 캠, 그리고 스틸 도그와 우레탄 범퍼, 우레탄 도포된 캠과 도그. 이 두 형상의 결과는 우레탄 도포 트롤리는 스틸 보다 평균 2dBA 낮은 소음 레벨을 보였다. 이 소음 테스트는, 소음 축소 도그와 캠의 다른 제조사 사이엔 0.5dBA 이상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체인도그와 역신축도그의 결합보다 상당히 큰 소리의 하중인 386킬로그램(850 파운드)의 충격 펄스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386킬로그램(850 파운드)의 동적 하중 정지는 이 시스템에서 나오는 어떤 다른 것 보다 더 큰 소음이 나온다. 더욱이, 리드 쌍의 스틸 트롤리를 치는 제 2 쌍의 스틸 트롤리는 하중 충격을 줄이기 위한 우레탄 범퍼를 갖춘 다른 3 개의 테스트 보다 더 소음이 컸다. 따라서, 충격 소음을 줄인 역신축 도그에 의하여 나오는 소음 레벨이 차이가 있고, 이들 차이는 소음 테스트 중 중요한 표면이 아니기 때문에 이는 결국 3개의 소음 저감 형상에 사용된 우레탄 트롤리가, 이 테스트에서의 소음 레벨에 있어 차이가 예상됨을 알 수 있다. 정지 하는 트롤리의 정확한 소음 레벨을 위하여 정지 블레이드 뿐만 아니라 전체 정지를 포함하여 앞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Claims (45)

  1. 가동 트롤리와 정지 트롤리 사이의 충돌로 푸셔도그에서 가동 트롤리를 해제하는 동안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가동 트롤리의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가동 트롤리의 본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정지 트롤리의 축적 캠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5.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가동 트롤리의 신축도그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6. 앞선 청구항 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가동 트롤리의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가동 트롤리의 본체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가동 트롤리의 캠레버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9.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푸셔도그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정지 트롤리의 축적 캠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 방법
  11.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본체가 가동 트롤리의 캠레버를 접촉하는 가동 트롤리의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 방법
  1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및 정지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 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본체가 가동 트롤리의 신축도그를 접촉하는 가동 트롤리의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 방법
  13.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1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1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방법
  1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 저감물질의 적용은 소음저감물질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방법
  17.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 저감물질의 적용은 소음저감물질을 한 형상으로 몰딩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그 형상을 붙이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은 공동을 포함하며, 그리고 소음저감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소음저감물질과 함께 공동을 채우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저감방법
  1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저감물질은 폴리우레탄인 소음 저감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소음저감물질은 약 60-90 사이의 듀로미터를 갖는 소음저감 방법
  21. 트롤리는 :
    트랙에서 주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휠을 갖는 트롤리 본체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그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을 가지며 트롤리 본체와 연계하여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트롤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트롤리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레버;
    캠레버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신축도그; 그리고
    트롤리 본체와 관련하여 상호 작용하는 축적 캠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캠레버, 신축도그, 그리고 축적캠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그리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그 영역에 적용하는 소음저감물질을 포함하는 트롤리
  23. 제 21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트롤리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그리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트롤리 본체의 그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을 갖는 트롤리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캠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그리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캠레버의 그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을 포함하며, 그리고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다른 트롤리의 축적 캠과 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캠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트롤리 본체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캠레버 영역은 트롤리의신축도그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27. 제 22 항 내지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신축 도그의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을 포함하는 트롤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축도그 영역은 트롤리의 본체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트롤리의 캠레버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30. 제 27 항,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푸셔도그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31. 제 22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롤리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 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은 트롤리의 축적 캠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소음저감물질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롤리
  32. 제 2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33. 제 2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슬라이딩 접촉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34. 제 2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트롤리
  35. 제 2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저감 물질의 적용은 소음저감물질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롤리
  36. 제 2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 저감물질의 적용은, 소음저감물질을 한 형상으로 몰딩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그 형상을 붙이는 것을 포함하는 트롤리
  37. 제 3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은 공동을 포함하며, 그리고 소음저감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소음저감물질과 함께 공동을 채우는 것을 포함하는 트롤리
  38. 제 2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음저감물질은 폴리우레탄인 트롤리
  39. 제 38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소음저감물질은 약 60-90 사이의 듀로미터를 갖는 트롤리
  40. 컨베이어 트롤리에 사용되는 요소는 :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그리고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그 영역에 적용되는 소음저감물질을 포함하는 요소
  41. 제 4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요소
  42. 제 41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요소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레버를 더 포함하는 요소
  44. 제 40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도그를 더 포함하는 요소
  45. 제 40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적캠을 더 포함하는 요소
KR1020017013640A 1999-05-06 2000-05-05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 KR20020012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72599P 1999-05-06 1999-05-06
US60/132,725 1999-05-06
PCT/US2000/006694 WO2000068504A1 (en) 1999-05-06 2000-05-05 Sound abatement methods and conveyor trolle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184A true KR20020012184A (ko) 2002-02-15

Family

ID=224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640A KR20020012184A (ko) 1999-05-06 2000-05-05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74747B1 (ko)
EP (1) EP1175529B1 (ko)
JP (1) JP2002544041A (ko)
KR (1) KR20020012184A (ko)
CN (1) CN1349578A (ko)
AR (1) AR023868A1 (ko)
AU (1) AU4971000A (ko)
BR (1) BR0010463A (ko)
CA (1) CA2373002A1 (ko)
DE (1) DE60027286T2 (ko)
ES (1) ES2260015T3 (ko)
HU (1) HUP0200887A2 (ko)
PL (1) PL351068A1 (ko)
WO (1) WO2000068504A1 (ko)
ZA (1) ZA200108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5836C2 (de) * 1999-06-07 2002-11-07 Eisenmann Kg Maschbau Schleppförderer
JP4086028B2 (ja) * 2004-10-05 2008-05-14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装置
US8220613B2 (en) * 2009-07-22 2012-07-17 Jervis B. Webb Company Stackable carri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 assemblies
CN103803234A (zh) * 2014-02-28 2014-05-21 正裕电器配件(昆山)有限公司 电线生产用内循环式流水线
ES2797486T3 (es) * 2014-05-29 2020-12-02 Esypro Manutencion S L U Sistema de almacenaje manual flexible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4112E (ko) 1931-10-29 1934-10-16
US2115064A (en) 1935-01-11 1938-04-26 Miner Inc W H Car construction
US2164859A (en) 1937-05-20 1939-07-04 American Car & Foundry Co Mine car bumper
US3011457A (en) 1958-01-27 1961-12-05 Renault Overhead conveyors
US3083650A (en) 1959-06-25 1963-04-02 Renault Conveyors
US3178035A (en) 1963-05-01 1965-04-13 Pullman Inc Shock absorbing arrangement
US3294254A (en) 1964-06-17 1966-12-27 Kastalon Inc Bumper device
US3216590A (en) 1964-08-04 1965-11-09 Pullman Inc Sill lockout device
US3284122A (en) 1964-12-22 1966-11-08 John W Rich Shock absorbing buffer
US3223049A (en) 1965-06-09 1965-12-14 Pullman Inc Split sliding sill and cushioning arrangement
US3451353A (en) 1965-11-24 1969-06-24 American Chain & Cable Co Accumulating tow truck conveyor system
US3467023A (en) 1966-11-10 1969-09-16 American Chain & Cable Co Accumulating and pusher tow truck conveyor system
US3559586A (en) * 1968-11-29 1971-02-02 Rapistan Inc Retracting push-rod assembly for conveyors
US3559585A (en) 1969-03-28 1971-02-02 Webb Co Jervis B Power and free conveyor
US3721433A (en) 1969-11-21 1973-03-20 Collision Devices Inc Deformable shock-absorbing guard
US3664267A (en) 1970-02-16 1972-05-23 F A T A Spa Soc Overhead dual-track conveyors systems
US3720172A (en) 1970-07-29 1973-03-13 Webb Co J Conveyor carrier tow bar
US3726234A (en) 1970-08-04 1973-04-10 A Dema Two-rail conveyor with a device for drawing,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load-bearing trolley
US3675587A (en) 1970-09-28 1972-07-11 Nutting Truck & Caster Co Tow line truck and bumper system
US3774546A (en) * 1971-06-07 1973-11-27 Seatech Engineering Conveyor apparatus
US3948186A (en) 1971-09-13 1976-04-06 Jervis B. Webb Company Overhead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US3799327A (en) * 1971-12-07 1974-03-26 Schulz F Ass Inc Conveyor system and dog
US3810428A (en) 1972-03-13 1974-05-14 P Klamp Subfloor conveyor tow trucks
DE2230130A1 (de) 1972-06-21 1974-01-10 Krupp Gmbh Puffer, insbesondere fuer krane
US3818840A (en) 1972-11-15 1974-06-25 Webb Co Jervis B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US3926125A (en) 1974-02-20 1975-12-16 Redman Fisher Eng Ltd Power and free conveyor
US3902430A (en) 1974-04-15 1975-09-02 American Chain & Cable Co Conveyor system
US4122778A (en) 1975-07-04 1978-10-31 F.A.T.A - Fabbrica Apparecchi Di Sollevamento E Trasporto Ed Affint S.P.A. Damped suspended conveyor trolley
US4058064A (en) 1975-07-07 1977-11-15 American Chain & Cable Company, Inc.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with spaced apart actuation and engagement means
JPS6023241Y2 (ja) * 1979-02-19 1985-07-1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DE2915236A1 (de) 1979-04-14 1980-10-23 Uerdingen Ag Waggonfabrik Aufhaengung fuer ein foerdermittel
DE2938474C2 (de) * 1979-09-22 1982-02-18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upplungsvorrichtung für Schleppkreisförderer
US4395954A (en) * 1979-06-13 1983-08-02 Durkoppwerke Gmbh Coupling device for materials-handling conveyor
US4408540A (en) 1981-05-13 1983-10-11 Jervis B. Webb Company Method and conveyor system for processing articles through successive operations
US4616570A (en) 1981-06-10 1986-10-14 Jervis B. Webb Company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s
ZA823309B (en) 1981-06-10 1983-03-30 Webb Int Co Jervis B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s
JPS592672U (ja) * 1982-06-30 1984-0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オ−バ−ヘツドコンベヤの絶縁キヤリヤ
JPS59164254A (ja) * 1983-03-09 1984-09-17 株式会社ダイフク トロリ−コンベヤ推進装置
GB2210008B (en) 1985-07-23 1989-12-28 Nakanishi Metal Works Co Power and free conveyor
US4771700A (en) 1985-07-23 1988-09-20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Power-and-free conveyor
US4930618A (en) * 1988-12-27 1990-06-05 Roh Jae Y Power free triple conveyor
US4993541A (en) * 1989-05-16 1991-02-19 Roh Jae Y Triple conveyor
JP2516301Y2 (ja) 1991-11-22 1996-11-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複式トロリーコンベヤのエアー式緩衝装置
JP2803431B2 (ja) * 1992-02-21 1998-09-24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2595470Y2 (ja) * 1992-08-21 1999-05-31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複動式トロリコンベヤ
US5285889A (en) * 1992-11-16 1994-02-15 Jervis B. Webb Company Attachment member for conveyor chain and trolley assembly
KR960013621B1 (ko) * 1993-09-01 1996-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한쌍의 요동훅을 이용한 파우어 앤드 프리 컨베이어
JP2891058B2 (ja) * 1993-09-30 1999-05-17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DE9404183U1 (de) * 1994-03-14 1995-07-20 Fredenhagen Kg Kreis- bzw. Schleppkreisförderer
CA2155603A1 (en) 1994-08-11 1996-02-12 Lary F. Campau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with noise abatement
US5511486A (en) 1994-09-16 1996-04-30 Lico, Inc. Shock absorbing tow bar
US5632206A (en) 1995-07-14 1997-05-27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Adjustable cushioned tow bar for power and free conveyor
US5823116A (en) * 1996-09-20 1998-10-20 Williams; David F. Shock-absorbing tow bar coupler
USD413190S (en) 1997-09-30 1999-08-24 Jervis B. Webb Company Trolley bumper
US6003443A (en) 1997-12-29 1999-12-21 Jervis B. Webb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accumulation of carriers in a convey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5529A1 (en) 2002-01-30
AR023868A1 (es) 2002-09-04
JP2002544041A (ja) 2002-12-24
HUP0200887A2 (en) 2002-06-29
CA2373002A1 (en) 2000-11-16
PL351068A1 (en) 2003-03-10
AU4971000A (en) 2000-11-21
DE60027286T2 (de) 2006-08-31
WO2000068504A1 (en) 2000-11-16
ES2260015T3 (es) 2006-11-01
US6374747B1 (en) 2002-04-23
ZA200108516B (en) 2002-06-12
CN1349578A (zh) 2002-05-15
DE60027286D1 (de) 2006-05-24
EP1175529B1 (en) 2006-04-12
BR0010463A (pt) 2002-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5826B1 (en)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braking
JPWO2006103714A1 (ja) 被搬送物の制動制御が可能な重力式のホイール又はローラコンベア
KR20020012184A (ko) 소음 감축 방법과 컨베이어 트롤리
KR101191860B1 (ko) 트레일링 라인을 위한 컨덕터 클램프
US9745152B2 (en) Impact buffer
JP5208422B2 (ja) 結合バッファ
US8764593B2 (en) Sound-damping unit for a sprocket, and sprocket
US20200262662A1 (en) Dock bumper
US20140174317A1 (en) Brake beam paddle caps
MXPA01011244A (en) Sound abatement methods and conveyor trolleys
AU737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accumulation of carriers in a conveyor system
JP3561996B2 (ja) 物体の移動又は押圧のための装置
JPH11125216A (ja) 位置決め具
GB2513388A (en) Improved dock bumper and method of replacement
WO1991017938A1 (en) Conveyor belt support apparatus
CA2269304A1 (en) Trolley assembly using a shock absorber trolley and method of use
FI76297C (fi) Bromsuppstaellning foer en pao skenor roerlig anordning.
CA2369131A1 (en) Trolley assembly using a shock absorber trolley and method of use
EP0876948A3 (en) Parking brake or supporting leg, primarily for small vehicles
SE0003561L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förflytta gos från eller till en lastpall
PL62346Y1 (pl) Urządzenie do liniowego przemieszczania przedmiotó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