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93A -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93A
KR20020011993A KR1020017015314A KR20017015314A KR20020011993A KR 20020011993 A KR20020011993 A KR 20020011993A KR 1020017015314 A KR1020017015314 A KR 1020017015314A KR 20017015314 A KR20017015314 A KR 20017015314A KR 20020011993 A KR20020011993 A KR 2002001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mass
parts
sugar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니시치카시
타니히데토시
니시우라아키오
Original Assignee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노 도시오
Publication of KR2002001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함으로써 얻어지는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소량으로 억제하고, 또 심한 물리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고 또 효율적으로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MICROLIPOSOM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리포좀은 지질의 폐쇄 소포체이며, 그 소포체 내부에 봉입된 약물을 체내의 특정 부위에 의도적으로 지향하게 하는 것, 또한 약물의 안정성이나 방출의 지속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 입자 직경은 체내 동태에 있어서의 중요한 인자이며, 예컨대, 혈액 순환계로부터의 소실, 각 조직에의 분포, 장기에 의한 흡수, 조직간의 이행 등에 깊게 관여하고 있다. 이들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소한 입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직경을 미소화시킴으로써 주사제에 요구되는 필터 여과 멸균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주사 제제에서는 입자 직경이 중요한 인자이다.
종래의 리포좀의 제조 방법은 인지질을 수성 분산매 중에 수화·팽윤시키는 제1 공정 및 원하는 입자 직경을 얻기 위해서 미소화시키는 제2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고, 각각의 공정에 대해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제1 공정으로서는 지질을 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수거하여, 용기 내벽에 지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막을 형성시키고, 수성 분산 용매를 첨가해 교반하여, 지질의 박막을 수화 및 팽윤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편하지만 수화·팽윤후의 리포좀은 다층 소포체이며, 그 입자 직경은 대개 수∼수백 미크론으로 비교적 크다. 그래서, 주사제 등의 작은 입자 직경까지 미소화해야 하는 경우, 미소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제2 공정인 리포좀의 미소화 또는 입자 직경 분포의 균일화 방법으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에 의한 엑스톨류젼, 고압 유화, 초음파 조사 등이 있다[참조:리포좀(난에도(南江堂), 1988년]. 미소화 이전의 수화된 리포좀의 입자 직경이 큰 경우에는 동일한 구경의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에, 리포좀 분산액을 반복해서 통과시키거나[참조: 일본 특허 제2537186호(WO 8600238, EP 185756)], 고압에서의 유화 또는 초음파 조사 시간의 연장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 시간이나 제조 장치의 대형화가 문제가 된다.
그래서, 상기한 방법보다 용이하게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이 몇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잘 알려진 방법으로서, (1) 계면 활성제 제거법, 유기 용매 주입법이 있다[참조:리포좀(난에도, 1988), 라이프 사이언스에 있어서의 리포좀 실험 매뉴얼(슈프링거·패아라이크 도쿄, 1992)].
계면 활성제 제거법은 지질을 계면 활성제에 의해서 가용화한 후, 계면 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미소한 리포좀을 얻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 조제하는 경우에는 계면 활성제를 제거하는 장치가 필요하고, 또 그 처리 시간이 문제가 된다.
유기 용매 주입법은 지질을 에탄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그 용액을 수성 분산 용매 중에 주입하는 것으로, 수화가 용이하고, 또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지질 용액의 농도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지질 용액을 보다 희박하게 함으로써 미소한 리포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지질 용액을 희박하게 하면, 필연적으로 이용하는 유기 용매량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이들 방법에서는, 계면 활성제나 유기 용매를, 투석이나 겔 여과 등에 의해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효율적인 제조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2) 유기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서 지질을 수화하는 방법으로서, 가열하는 방법, 전단력을 인가하는 방법, 분말화하는 방법 등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지질의 수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질, 약품, 수성 분산매 또는 그 밖의 원료를 지질의 상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가온법(참조: 일본 특허 공고 평4-36735호 또는 일본 특허 공고 평4-28412호)은 열에 약한 약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고, 지질, 약품, 수성 분산매 또는 그 밖의 원료에 전단력을 가하는 기계화학적 (mechanochemical) 방법은 지용성 약품의 경우 회수율을 정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지질과 그 밖의 원료를 일단 용해하여 분말화하는 분무 건조법(일본 특허 공고 평4-37731호)에서는 지질의 비정질화와 표면적의 증대에 의해 수화가 신속히 수행되지만, 역시 열이나 회수율에 문제가 있는 점, 장치가 대규모인 점 등 때문에 공업화가 용이한 방법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데다, 수화후의 리포좀의 입자 직경의 미소화도 충분한 것이 아니었다.
한편, 리포좀을 제조할 때에, 당류나 전해질 등의 수용성 첨가물이 잘 이용된다.
이들을 첨가하는 주된 목적은 (1) 주사제로서 이용할 때의 등장화, (2) 동결 건조시에 있어서의 리포좀 형태의 유지, 또는 (3) 지질 박막 형성시의 코어 물질로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9-110828호(EP758645) 명세서에는 활성 성분 이외의 조제로서, 당류(락토즈, 만니톨 등)의 첨가가 가능하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어, 제조시에 10% 말토즈 용액을 이용하고 있다(실시예 4).
리포좀 테크놀러지[참조:Gregory Gregoriadis 편집, LIPOSOME TECHNOLOGY, Vol. I. 2nd Edition, 229-252(1993년 발행)]에는 동결 건조시에 있어서의 리포좀 형태의 유지에 부여하는 여러 가지 당의 효과가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3-62696호 명세서에는 당류를 부형제로서 이용하여 동결 건조함으로써 리포좀 제제의 특성이 개선된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고, 제조시의 당류 농도는 1∼10%로 한다.
일본 특허 공고 평5-51338호(EP119020) 명세서에는 수가용성 입상 담체 물질에 리포좀 박막을 피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그 담체 물질로서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천연 산출 아미노산류,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를 들 수 있고 있다. 또, 약 1∼10% W/V, 바람직하게는 약 3∼7% W/V 농도의 등장 수용액을 형성해야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포좀을 제조할 때에 종래부터 당류가 첨가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된 것이 아니며, 또한 그 농도도 등장인 10% 정도로밖에 이용되지 않아, 본 발명과 같이 고농도로는 이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당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농도의 당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유기 용매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또 심한 물리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미소한 리포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리포좀 제조 공정에서, 종래 기술에서는 채용되지 않은 고농도의 당류를 이용함으로써 미소한 리포좀을 용이하고 또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함으로써 얻어지는 미소한 리포좀.
[2]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주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자 직경이 400 nm보다 작은 [1]에 기재한 리포좀.
[3]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1∼30 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1]에 기재한 리포좀.
[4]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2∼15 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3]에 기재한 리포좀.
[5] 단당류, 이당류 및 당 알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1]에 기재한 리포좀.
[6] 글루코즈, 프럭토즈, 갈락토즈, 말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트레할로즈, 자일리톨, 만니톨 및 에리트리톨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5]에 기재한 리포좀.
[7] 당 10 질량부에 대해 지질의 비율이 5 질량부 이하가 되는 양의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이용하는 [1]에 기재한 리포좀.
[8]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로서 지질의 수용성 유기 용매 용액을 이용하는 [1]에 기재한 리포좀.
[9] 수용성 유기 용매가 탄소수 4 이하의 저급 알콜,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에서 선택되는 [8]에 기재한 리포좀.
[10]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8]에 기재한 리포좀.
[11]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5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10]에 기재한 리포좀.
[12]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3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11]에 기재한 리포좀.
[13]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4]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 혼합하여 입자 직경이 400 nm보다 작은 리포좀을 얻는 [1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5]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1∼30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1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6]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2∼15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15]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7] 단당류, 이당류 및 당 알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1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8] 글루코즈, 프럭토즈, 갈락토즈, 말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트레할로즈, 자일리톨, 만니톨 및 에리트리톨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17]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9] 당 10 질량부에 대해 지질의 비율이 5 질량부 이하가 되는 양의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이용하는 [1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20]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로서, 지질의 수용성 유기 용매 용액을 이용하는 [1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21] 수용성 유기 용매가 탄소수 4 이하의 저급 알콜,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에서 선택되는 [20]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22]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20]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23]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5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리포좀을 얻는 [22]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24]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3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리포좀을 얻는 [23]에 기재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당과 물을 가열이나 교반에 의해서 혼합한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소량으로 억제하고, 또 심한 물리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미소한 리포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리포좀을 제조하는 경우, 당류는 고농도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 1∼30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 2∼1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 3∼1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된다. 또한, 그 당류는 용액, 또는 슬러리의 상태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당류로서는 글루코즈, 프럭토즈, 갈락토즈 등의 단당류, 말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트레할로스 등의 이당류, 혹은 자일리톨, 만니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류가 있고, 모두 바람직하다. 또, 당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류를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즈, 말토즈, 락토제, 수크로즈, 트레할로스, 자일리톨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당류가 이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말토즈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당과 지질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당 10 질량부에 대해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 중의 지질이 5 질량부 이하가 되는 비율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 10 질량부에 대해 리포좀 원료 중의 지질이 1 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1∼0.5 질량부의 비율이 되는 양의 리포좀 원료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질로서는 인 지질이나 당 지질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등), 리조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등),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스핑고미엘린, 디세틸포스페이트, 포스파티딘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모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난황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등), 포스파티딜글리세롤(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리포좀 원료로서 상기한 지질 이외에, 막 안정화 물질, 예컨대 콜레스테롤 등을 첨가할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서, 예컨대 α-토코페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질은 용액, 바람직하게는 농후한 용액, 혹은 지질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지질의 박막이나 분말의 상태로 첨가된다. 지질 용액의 용매로서는 수용성의 유기 용매가 이용된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가 4 이하인 저급 알콜,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이 있고, 모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소량으로 억제하여,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유기 용매가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포좀은 동결 건조 제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포좀 제조시에 이용한 유기 용매가 어느 정도 잔존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소량으로 억제하여, 미소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잔존하는 유기 용매량도 소량으로 충분하게 된다. 예컨대,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유기 용매를 이용한 리포좀을 동결 건조한 경우에, 잔존하는 유기 용매는 0.5∼5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질량부 정도의 소량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포좀에 유지시키는 생리 활성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않는다. 이들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수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은 미리 당 수용액 또는 당 슬러리 중에 첨가되어, 거기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가 주입된다. 또 소수성의 생리 활성 물질은 필요 최소한의 유기 용매로 용해되어,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와 혼합하여, 당 수용액 또는 당 슬러리 중에 주입된다.
고농도의 당 수용액 또는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교반할 수 있다. 교반에는 통상의 교반 외에, 균질화기 등의 유화·분산 장치를 이용한 교반이라도 좋다. 물론 유화·분산을 재촉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입자 직경은 신속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심한 물리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미소한 리포좀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입자 직경(동적 광 산란법 등으로 측정됨)이 약 400 nm 이하인 미소한 리포좀을 얻을 수 있고, 입자 직경이 300 nm 이하인 리포좀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미소한 리포좀은 필요에 따라 희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실용적으로 충분히 미소하지만, 입자 직경을 더욱 작게하거나, 입자 직경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추가의 물리적 처리,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에 의한 엑스톨루젼, 고압 유화 또는 초음파 조사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말토즈(1 kg)에 물(1 L)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했다. 실온까지 냉각한 50% 말토즈 수용액에 난황 레시틴(0.5 g), 에탄올(1.0 g)과 지용성 약품(PGE1·(도데카노일옥시)에틸에스테르; 0.05 g)으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용액을 매분 8,000 회전으로 30 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10 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190 nm였다.
실시예 2
말토즈(1 kg)에 물(1 L)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했다. 실온까지 냉각한 50% 말토즈 수용액에 난황 레시틴(5.0 g), 에탄올(8.0 g)과 지용성 약품(PGE1·(도데카노일옥시)에틸에스테르; 0.5 g)으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용액을 매분 10,000 회전으로 30 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10 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180 nm였다.
실시예 3
말토즈(2.5 kg)에 물(2.5 L)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했다. 실온까지 냉각한 50% 말토즈 수용액에 난황 레시틴(12 g), 에탄올 (20 g)과 지용성 약품(PGE1·(도데카노일옥시)에틸에스테르; 1 g)으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용액을 매분 8,000 회전으로 3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25 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210 nm였다.
실시예 4
말토즈(1 kg)에 물(0.3 L)을 첨가한 말토즈 슬러리에 난황 레시틴(5.0 g)과 에탄올(8.0 g)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슬러리를 매분 8,000 회전으로 15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10 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200 nm였다.
실시예 5
말토즈(20 g)에 물(8 ml)을 가한 말토즈 슬러리에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0.1 g)과 에탄올(0.2 g)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주입했다. 슬러리를 매분 100 회전으로 6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200 m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130 nm였다.
실시예 6
말토즈(20 g)에 물(8 ml)을 가한 말토즈 슬러리에,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혼합물(65:5:30) (0.2 g)과 에탄올(0.3 g)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주입했다. 슬러리를 매분 100 회전으로 6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200 ml까지 희석하고,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220 nm였다.
비교예
말토즈(10 g)에 물(90 ml)을 첨가한 10% 말토즈 수용액에 난황 레시틴(0.3 g)과 에탄올(3.0 g)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용액을 매분 100 회전으로 60분간 교반하여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100 ml까지 희석했다. 동적 광 산란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800 nm였다.
실시예 7
각종 당의 50% 수용액(20 ml)에 난황 레시틴(0.6 g)과 에탄올(0.8 g)로 이루어지는 레시틴 용액을 주입했다. 이 용액을 매분 100 회전으로 24시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얻었다. 이 리포좀을 물로 전량 100 ml까지 희석했다. 희석액의 파장 400 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탁도를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탁도
말토즈 1.03
트레할로즈 1.10
락토즈 0.51
수크로즈 0.97
글루코즈 0.81
자일리톨 0.91
탁도는 입자 직경의 지표로서 이용되는 값이며, 탁도가 작은 값일수록, 입자 직경도 작음을 나타내고 있다[참조:Gregory Gregoriadis 편집, LIPOSOME TECHNOLOGY, Vol. I, 2nd Edition, 568-57 (1993년 발행)].
표 1의 결과와 말토즈를 이용한 실시예 1에서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당에 관해서도 말토즈를 이용했을 때의 입자 직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의 입자 직경의 리포좀을 얻을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 예컨대, 리포좀 주사액, 또는 사용시 용제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이용하는 고형의 주사제로 제제화되어 사용된다. 이 주사제는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무통화제, 완충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들은 최종 공정에서 멸균하거나 무균 조작법에 의해서 조제된다. 또한, 무균의 고형제, 예컨대, 동결 건조품을 제조하여, 그 사용전에 무균화 또는 무균의 주사용 증류수 또는 다른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그 밖의 제제로서는 예컨대, 외용 액제, 연고제, 도포제, 흡입제, 스프레이제, 좌제 및 질내 투여를 위한 페서리 등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된다.

Claims (24)

  1.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한 리포좀.
  2. 제1항에 있어서,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자 직경이 400 n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3. 제1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1∼30 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4. 제3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2∼15 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5. 제1항에 있어서, 단당류, 이당류 및 당 알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6. 제5항에 있어서, 글루코즈, 프럭토즈, 갈락토즈, 말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트레할로스, 자일리톨, 만니톨 및 에리트리톨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당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7. 제1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지질의 비율이 5 질량부 이하가 되는 양의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8. 제1항에 있어서,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로서 지질의 수용성 유기 용매 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9. 제8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용매가 탄소수 4 이하의 저급 알콜,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0. 제8항에 있어서,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1. 제10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50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2. 제11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3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3.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고농도의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에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주입 혼합하여 입자 직경이 400 nm보다 작은 리포좀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1∼30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물을 2∼15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당 수용액 혹은 당 슬러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단당류, 이당류 및 당 알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글루코즈, 프럭토즈, 갈락토즈, 말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트레할로스, 자일리톨, 만니톨 및 에리트리톨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당 10 질량부에 대해 지질의 비율이 5 질량부 이하가 되는 양의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원료로서 지질의 수용성 유기 용매 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용매가 탄소수 4 이하의 저급 알콜,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1∼10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5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리포좀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 리포좀 제제로 구성하는 경우, 지질 10 질량부에 대해 0.5∼30 질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가 잔존하는 리포좀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KR1020017015314A 1999-06-01 2000-05-30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11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57999 1999-06-01
JPJP-P-1999-00153579 1999-06-01
PCT/JP2000/003472 WO2000072824A1 (fr) 1999-06-01 2000-05-30 Microliposomes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93A true KR20020011993A (ko) 2002-02-09

Family

ID=1556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14A KR20020011993A (ko) 1999-06-01 2000-05-30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81928A1 (ko)
KR (1) KR20020011993A (ko)
AU (1) AU4951000A (ko)
WO (1) WO2000072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7007B2 (ja) * 2012-05-15 2017-10-04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33A (ja) * 1983-06-29 1985-01-16 Dai Ichi Seiyaku Co Ltd リポソ−ムの製造法
JP2714633B2 (ja) * 1989-10-05 1998-02-16 花王株式会社 リポソーム形成剤及びリポソーム組成物
JPH06239734A (ja) * 1993-02-18 1994-08-30 Kanebo Ltd リポソームの調製法及びリポソーム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951000A (en) 2000-12-18
EP1181928A1 (en) 2002-02-27
WO2000072824A1 (fr) 200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8774B2 (ja) アンホテリシンbリポソームの改良調整法
CN101244039B (zh) 一种制备难溶性药物脂质体制剂的新方法
US103220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FI95439B (fi) Menetelmä biologisesti aktiivisten multivesikulaaristen lipidivesikkeleiden tai liposomien valmistamiseksi
WO1987001933A1 (en) Stabilized liposome/amphotericin composition and method
US20110250262A1 (en) Method for producing liposome and method for dissolving cholesterol
JP2018502870A (ja) トラネキサム酸の多小胞リポソーム処方物
KR101102834B1 (ko) 신규한 리포좀 제조 방법 및 장치
AU2002322024B2 (en) Encapsulation of nanosuspensions in liposomes and microspheres
CH684308A5 (de) Liposomen enthaltend ein Allylamin.
AU2002322024A1 (en) Encapsulation of nanosuspensions in liposomes and microspheres
JPH05255070A (ja) リポソーム製剤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50031679A1 (en) Method for producing liposomal formulations of active ingredients
CA2089494C (en) Vesicles in non-polar media
US5534502A (en) Process for producing fat emulsion
EP0488142B1 (de) Verfahren zur Verkapselung fester oder flüssiger, lipophiler Wirkstoffe zu diesen Wirkstoff enthaltenden Phospholipid-Liposomen sowie Arzneimittel diese Liposomen enthaltend
US2007012246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sicle dispersion
CA2279259A1 (en) Pain reducing parenteral liposome formulation
HU211991A9 (en) Liposomal products
MXPA05002183A (es)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de liposomas de tamano pequeno y metodo de preparacion.
KR20020011993A (ko) 미소한 리포좀 및 그 제조 방법
JP3249583B2 (ja) リポソーム製剤
WO1992002208A1 (en) Stable doxorubicin/liposome composition
KR100535213B1 (ko)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나노 액정 캐리어, 그제법 및 그를 함유한 조성물
CN100431525C (zh) 脂质体悬浮液制造方法及含该法所制脂质体悬浮液的产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