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57A -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57A
KR20020011957A KR1020017006817A KR20017006817A KR20020011957A KR 20020011957 A KR20020011957 A KR 20020011957A KR 1020017006817 A KR1020017006817 A KR 1020017006817A KR 20017006817 A KR20017006817 A KR 20017006817A KR 20020011957 A KR20020011957 A KR 2002001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e ingredient
plant
group
sabic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761B1 (ko
Inventor
뽈리길르
모레티크리스티앙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1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6Topical chemical, e.g. cosmetic or sunscr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특히 항-라디칼형 작용을 가진 식물 추출물의 용도 및 이러한 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 부속기관용 국소 외용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제품의 제조용, 특히 항-라디칼형 작용을 가지는 활성 성분으로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식물속의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 Clidemia, Inga, Sabicea, Astrocaryum, Siparuna, Eperua, Byrsonima, Priva, Coutoubea, 및 Goupia을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USE OF PLANT EXTRACTS WITH AN ANTI-RADICAL-TYPE ACTION}
프랑스 Guyana의 Creole 및 Palikur 지역민은 전통적인 약제에 다수의 향토 식물을 사용한다. 이들 식물 및 이들의 치료학적 용도는 "Pharmacopees traditionelles en Guyane: Creoles. Palikur, Wayapi"(1987년, Orstom에서 출판, Grenand P., Moretti C. 및 Jacquemin H 저술)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특정 식물의 추출물이 높은 피부의 내성과 관련된 다양한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인 작용을 가지며, 화장품용, 구체적으로 피부-화장품용 조성물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 구체적으로 피부-화장품에서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이의 목적은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 부속물(모발, 손톱 등)용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제품을 제조하는 데 프랑스의 Guyana산 특정 약초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해 선택된 식물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이들 모두는 기대하지도 못했던 강한 항-라디칼(anti-radical)형 작용을 가지지만, 또한 티로시나제활성(착색; pigmenting),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탈색; de-pigmenting)) 작용, 항-UVA 및 항-UVB 작용, UVA로부터 카탈라제 보호작용, 및 항-엘라스타제, 항-콜라게나제, 항-당화(anti-glycation) 및/또는 지질분해 작용(슬리밍; slimming)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Clidemia, Inga, Sabicea, Astrocaryum, Siparuna, Eperua, Byrsonima, Priva, Coutoubea, 및 Goupia로 이루어진 식물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 성분, 구체적으로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 부속물의 외부 국부용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제품에 사용되는 항-라디칼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식물속들 중에서 다음의 특정 식물 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Clidemia hirta, Clidemia dentata,
- Inga bourgoni, Inga pezizifera, Inga alata, Inga alba, Inga capitata, Inga meissneriana
- Sabicea cinerea, Sabicea glabrescens, Sabicera velutina, Sabicea villosa, Sabicea hirsuta
- Eperua falcata
- Byrsonima verbascifolia, Byrsonima crassifolia, Byrsonima chrysophylla, Byrsonima coriaces
- Astrocaryum vulgare, Astrocaryum murumuru, Astrocaryum chambira,Astrocaryum jauari, Astrocaryum macrocalyx
- Priva lappulacea
- Coutoubea spicata, Coutoubea ramosa
- Siparuna guianensis, Siparuna emarginata
- Goupia glabra
그러나 구체적으로 항-라디칼 형 작용에 대해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최적 작용을 가진 추출물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활성 성분을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Goupia glab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들의 수많은 작용 형태 덕분에, 이들 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혼합하여 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과 함께 피부 노화,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염료의 얼룩(patches of pigment), 피부 탄력성의 상실, 주름, 자극 및 염증(민감성 피부형의 치료), 환경 오염 및/또는 일광에 의한 자극 및/또는 슬리밍 제형을 주로 조절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추출물을 얻어서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식물의 부위는 뿌리, 피질(cortice: 식물의 뿌리, 대, 및/또는 줄기), 이파리 및 잎이 달린 대, 과실, 곡물, 및/또는 꽃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식물의 일부를 수확하여 건조하고나면, 추출과정을 실시한다. 사용된용매는 물, 알콜,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의 형태, 염소-함유 용매, 또는 다가 알콜, 또는 상기 언급된 상용성(miscible) 용매 중 적어도 두가지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추출물 또는 추출물들이 파의 방사(wave radiation), 예를 들면 전자파 또는 초음파를 바탕으로 한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물은 초임계 CO2의 추출 단독 또는 2차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식물의 추출물은 상기 언급된 추출 방법 중 하나에 의해서 얻어진 식물의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기준하고 구체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분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설명하기 이해서 상기 언급된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하에서 기재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식물의 일부는 단지 하나의 지표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입수하기 용이한 모든 부위로부터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Epurea falcata 줄기의 피질은 블레이드형 펄프화 기계에 의해 분쇄되고 잘게 짓이겨 진다.
3ℓ의 증류수를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다음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 펄프화된 외피 300 g을 반응기에 넣고;
- 1시간 동안 끓이면서 교반하여 추출하고;
-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 표면에 부유한 물질을 약 0.45 ㎛의 기공율로 여과하고;
- 여과물을 수집하고;
-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작업 조건과 상기 기재된 공정에 따라 증류수 2 ℓ로 잔류물을 추출하고;
- 얻어진 수상 추출물에 대한 건조물의 함량을 측정한 후, 첨가물 2/3 대 추출된 건조물 1/3의 비율이 되도록 말토덱스트린형의 물질을 첨가하고;
- 분무 또는 기타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방법(탈수, 냉동건조-동결건조, 건조실 내 건조 등)에 의해서 얻어진 수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
이 방법에서 얻은 건조 추출물의 총 수율은 피질 중량에 대해 15 중량%이다.
실시예 2
Inga bourgoni 줄기의 피질은 블레이드형 펄프화 기계에 의해 분쇄되고 잘게 짓이겨 진다.
3ℓ의 50% 에틸알콜(에탄올)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다음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 펄프화된 외피 300 g을 반응기에 넣고;
-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 가열하여 추출하고;
-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 여과에 의해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 표면에 부유한 물질을 약 0.45 ㎛의 기공율로 여과하고;
- 여과물을 수집하고;
-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작업 조건과 상기 기재된 공정에 따라 50% 에탄올 1.5 ℓ로 잔류물을 추출하고;
- 진공하에서 양쪽의 2가지 여과물에서 알콜상을 증발시키고;
- 원심분리한 후, 건조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실시예 1에 언급된 것과 동일한 비율로 필요한 경우 수상을 첨가하고;
- 필요한 경우,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수분제거(탈수)하는 작업.
이 방법에서 얻어진 건조 추출물의 총 수율은 피질 중량에 대해 13.8 중량%이다.
실시예 3
Byrsonima verbascifolia 뿌리의 피질은 블레이드형 펄프화 기계에 의해 분쇄되고 잘게 짓이겨 진다.
3ℓ의 80% 메틸알콜(메탄올)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다음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 펄프화된 외피 300 g을 반응기에 넣고;
-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 가열하여 추출하고;
-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 표면에 부유한 물질을 약 0.45 ㎛의 기공율로 여과하고;
- 여과물을 수집하고;
-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작업 조건과 상기 기재된 공정에 따라 80% 메탄올 1.5 ℓ로 잔류물을 추출하고;
- 진공하에서 양쪽 2가지 여과물에서 메탄올상을 증발시키고;
- 원심분리한 후, 건조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실시예 1에 언급된 것과 동일한 비율로 수상을 첨가하고;
- 필요한 경우, 종래의 방법에 의해 용액을 수분제거하는 작업.
이 방법에서 얻어진 건조 추출물의 총 수율은 피질 중량에 대해 17.4 중량%이다.
실시예 4
Astrocaryum vulgare의 뿌리는 분쇄되고 잘게 짓이겨 진다.
3ℓ의 무수 에탄올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다음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 분쇄된 Astrocaryum vulgare 뿌리 300 g을 반응기에 넣고;
-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 가열하여 추출하고;
-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 표면에 부유한 물질을 약 0.45 ㎛의 기공율로 여과하고;
- 제1 추출물에 해당하는 여과물을 수집하고;
-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작업 조건과 상기 기재된 공정에 따라 에탄올 3 ℓ로 잔류물을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얻고;
- 40℃, 진공하에서 양쪽 2가지 여과물에서 에탄상을 증발시키고;
- 40-50℃의 환기장치가 장착된 건조 오븐에서 추출물을 건조하여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
따라서 7.15 g의 E1 추출물과 1.47 g의 E2 추출물을 수득하고 최종적으로 혼합하여 추출물의 총 수율은 뿌리의 중량에 대해 2.87 중량%이다.
다음의 표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모든 식물 및 추출물을 기재한 것이다.
식물종 추출된 식물의 부위 추출물의 종류 수율(2회 연속 추출) 성상
Clidemia hirta 이파리 수상 추출물 20.9 갈색 분말
Inga bourgoni 피질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9.713.811.7 적와인색 분말적와인색 분말적와인색 분말
Sabicea cinerea 잎이 있는 대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16.425.518.7 갈색 분말갈색 분말녹색 페이스트
Astrocaryum vulgare 뿌리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5.35.62.8 갈색 분말갈색 분말갈색-오렌지 페이스트
Siparunaguianensis 이파리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16.121.922.6 갈색 분말갈색 분말녹색 페이스트
Eperua falcata 피질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1517.616.7 갈색 분말갈색 분말갈색 페이스트
Byrsonima verbascifolia 뿌리피질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10.817.415.7 갈색 분말갈색 분말갈색 페이스트
Priva lappulacea 잎이 있는 대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24.014.513.9 갈색 분말갈색 분말갈색 페이스트
Goupia glabra 이파리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 30.030.4 갈색-오렌지 분말누런색 분말
Coutoubea spicata 대 + 이삭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18.518.818.0 갈색 분말갈색 분말갈색-녹색 페이스트
연구된 식물 추출물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작용은 화장품으로 중요한 제품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지, 당업자에게 알려진 테스트로 측정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테스트의 원리를 이하에 간단하게 기재하고 해당하는 표에 그 결과를 기재할 것이다.
1. 항-라디칼 형 작용
산화성 항-스트레스 특성을 실험관 내 및 실험실 내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실험관 내 실험의 군에는 초기 라디칼 형태의 산소와 생체 내에 유도된 반응형: 라디칼 수산기(HO° 및 음이온 수퍼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였다.
1) 실험관내 "화학적" 테스트
a) 항-DPPH 테스트
DPPH(디페닐피크릴 하이드라질)은 유리되고, 안정한, 보라색의 라디칼로, 류코유도체(leuco derivative)에서, 자유 라디칼을 포획하는 물질에 의해 변성된다(중성화 작용, "스카벤저 효과"라고도 기재됨).
이 결과는 추출물이 없는 비교 물질과 비교하여 라디칼 형태의 "DPPH"의 억제 백분율로 나타난다.
b) 살리실산에 의한 항-HO°테스트(Fenton 반응)
HO°(EDTA 존재 하에 H2O2와 Fe++에 의해 형성됨)는 살리실산과 수산화되어 적색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490 ㎚에서의 광학 밀도는 수산화 살리실산 함량에 해당한다.
항-라디칼 물질은 HO°와 반응하여 이 적색 화합물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결과는 이 수산화 반응의 함유량 억제 백분율로 나타난다(2회 테스트의 평균).
c) 데옥시리보스에 의한 항-HO°테스트(Fenton 반응)
HO°(EDTA 존재 하에 H2O2와 Fe++에 의해 형성됨)는 데옥시리보스를 알데하이드 유도체로 산화시켜 티오바르비투레이트 산에 의해 측정된다.
티오바르비투레이트 산은 알데하이드와 축합되어 핑크색 화합물을 형성한다(532 ㎚에서 DO).
또한, 이온과 착물화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EDTA 없이 Fenton 반응을 실행한 다음, 데옥시리보스를 HO°로 의해 산화한다.
결과는 억제 백분율로 나타난다(2회 테스트의 평균).
2) "생화학적" 실험관내 실험 : 항-음이온 수퍼옥사이드 테스트
잔틴 옥시다제는 산화성 스트레스 동안 유도된 효소로, 푸린 염기(아데닌 및 구아닌)를 요산 및으로 이화(catabolize)된다.
는 자연적으로(또는 SOD =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에 의해) H2O2와 O2로 변화된다.
a) 항- 작용: Luminol에 의한 방법
는 Luminol에 의한 현광법으로 인지될 수 있다.
효소 시스템(하이포잔틴/잔틴 옥시다제)은 Luminol과 반응하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을 형성하여 Luminol과 반응하여 중간체 화합물을 형성한다. 안정화되면, 이 화합물은 광전자 증배기(photomultiplier)에 의해 인지되는 형광 물질을 배출한다.
항-라디칼 작용을 가진 물질은 음이온을 흡수하거나 파괴하여, 형광물질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b) 항- 및 H 2 O 2 작용: 마이크로퍼옥시다제의 존재 하에 Luminol에 의한 방법
효소 시스템(하이포잔틴/잔틴 옥시다제)은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을 형성하여 점차와 H2O2로 디스뮤테이트된다.
와 H2O2는 마이크로퍼옥사이드(M)와 반응하여 O2 1(단일 산소)를 형성하여 Luminol (Lum)을 분해하여 형광성 화합물을 형성하여 광전자 증배기에 의해 인지되는 빛을 낸다.
항-라디칼 물질은 H2O2또는또는 O2 1중 하나를 흡수하여, 형광성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c) 항- 작용: NBT(테트라졸 염)에 의한 방법
효소 시스템(하이포잔틴/잔틴 옥시다제)은 NBT와 반응하여 적색 화합물인 파마잔을 형성하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을 형성한다.
항-라디칼 물질은을 흡수하거나 파괴하여 파마잔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이들 3가지 테스트 a), b), 및 c)의 결과는 억제 백분율로 나타난다(2회 테스트의 평균).
상기 언급된 테스트 1) 및 2)의 결과는 이하 표에 나타난다:
식물종 추출물의 종류 ARL (%l) Fenton 테스트(%l) HX +XOD 테스트(%l)
DPPH 살리실산 데옥시리보스 Lum Lum+M NTB
Clidemia hirta 수상 추출물 91 40 70 99 51 53
Inga bourgoni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949495 402774 100100100 989899 647183
Sabicea cinerea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909493 473951 3950 99100100 899998 416250
Astrocaryum vulgare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769393 48 59 98100100 2798100 237481
Siparunaguianensis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929438 49 47 9910099 679996 477154
Eperua fal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919194 64 10099100 8594100 496189
Byrsonima verbascifoli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959594 808475 100100100 100100100 837580
Priva lappulace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9510093 465137 45 100100100 709796 354544
Goupia glabr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 9689 4961 3231 100100 9490 34
Coutoubea spi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929392 798172 9910099 418950
Lum: Luminol; Lum + M : Luminol + 마이크로퍼옥시다제
Ⅱ)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항- UVA 세포 보호에 대한 실험실 내 생존
A) 염분리된(salted-out) MDA(Morliere P. 및 그의 동료: "UV-A induced lipid peroxydation in cultured human fibroblasts", Biochim. Biophys. Acta 1084, 3:261-269, 1991)의 측정
1) 이론적 배경
UV-A가 피부에 투과하면 구체적으로 세포질 막의 과산화지질화에 의해 인지되는 산화성 스트레스가 쌓인다.
과산화지질은 말론알 디알데히드로 분해되어, 많은 생물학적 분자, 예를 들면 단백질(효소 억제) 및 뉴클레인 염기(돌연변이원)와 교차결합하고 연결될 것이다.
2) 공정
섬유아세포를 소의 태아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 주입한다.
주사 72시간 후, 식물 추출물(2%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 존재)을 첨가한다.
37℃, CO2= 5%에서 배양 48시간 후, 배지를 식염수로 교체하고 섬유아세포에 일정량의 UV-A(15 J/㎠)를 조사한다.
조사가 완료되면, 표면에 부유하는 식염수에서 MDA(말론알 디알데히드) 비율을 측정하고 섬유아세포에서 단백질의 비율을 측정한다.
티오바비투레이트 산과 단백질의 반응, 소위 Bradford 방법에 의해서 MDA를 측정한다.
B) UVA로부터 카탈라제 효소의 작용 보호
1) 배경 이론
UVA는 피부를 투과하여 산화의 스트레스가 쌓여 카탈라제를 포함하는 많은 효소의 작용을 약화시킨다.
카탈라제는 글루코스 또는 하이포잔틴과 같은 물질의 산화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H2O2를 제거할 수 있는 효소이다.
H2O2는 빠르게 제거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철이 존재하는 경우 맹독의 하이드록시 라디칼(HO°)을 형성한다.
2) 방법
(L.H. Johansson 및 L A H Borg의 "A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talase activity in small tissue samples", Anal. Biochem. 174, 331-336, 1988).
송아지 태아 혈청이 첨가된 배지에 섬유아세포를 주입하였다.
주입 72시간 후 식물 추출물(2% 혈청이 0.01 내지 0.05 중량/부피%의 농도로 포함한 배지에 용해됨)을 첨가한다.
37℃ CO2= 5%에서 배양 48시간 후, 배지를 식염수로 교체하고 섬유아세포에 UV-A(5 J/㎠)를 조사한다.
조사가 완료되면 활성 카탈라제의 비율은 분광분석법으로 측정하고 이의 활성은 섬유아세포에서 측정된 단백질의 비율과 관련되는 것이다.
모든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을 자외선 조사한 물질에 대해 카탈라제 활성이 증가하는 비율로 식물 추출물의 작용을 제공한다(2회 테스트의 평균).
Ⅲ) 실험실 내에 인간의 케라틴 세포 생존에 대한 항-UVB 세포 보호 효과의 증거
1) 이론적 배경
UV-B는 효소인 포스포리파제 A2를 활성화시켜서 약간의 염증(홍반, 부종)을 일으킨다.
이 효소는 혈장 막의 인지질에서 아라키돈산을 제거한다. 아라키돈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에 의해 형성되는 E2 프로스타글란딘(=PGE 2)을 포함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이다.
2) 방법
송아지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배지에 A431 케라틴 세포를 주입한다. 37℃, CO2= 5%에서 배양 72시간 후, 테스트하고자 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를 식염수로 교체한다. UV-B(30 mJ/㎠)를 케라틴 세포에 직접 조사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표면에 부유한 배지에서 PGE2와 LDH 비율을 측정한다.
입자 계수기에 의해 케라틴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고 ELISA 테스트에 의해 PGE 2 비율을 측정한다.
또한, 효소 반응에 의해 LDH(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비율을 측정한다. LDH는 세포 이상을 유발하는 세포질 효소이다.
식물 추출물의 활성을 테스트하고 대조군 물질에 의해 도달한 값과 비교한 2가지 표시자의 억제율 백분율로 결과를 나타낸다(2가지 테스트의 평균으로, 각각 2회 반복)
Ⅳ) "항-프로테아제" 활성
약한 염증을 일으키는 동안 중성구 다형질핵산 물질에서 또는 UV-A 방사에 노출된 섬유아세포에 의해 분리된 프로테아제는 피부의 세포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을 분해한다.
실험관 내 효소 반응에 의해 2가지 종류의 프로테아제를 테스트하였다.
1) 항-엘라스타제 테스트(Bieth J., "Elastase: structure, function and pathological role", Front Matrix Biol., 6: 1-82, Karger, 1978).
PNN은 엘라스틴(세린 프로테아제), 프로테오글리칸 및 콜라겐에서 활성인 엘라스타제를 분리한다.
2가지 종류의 물질: 합성 크로모겐인 것(SS 테스트) 및 천연 물질인 Congo red와 결합한 엘라스틴(Rc 테스트)을 사용하여 췌장(세린 프로테아제)로부터 엘라스타제에서 실험관 내 테스트를 실행한다.
주변 온도에서 30분간 또는 37℃에서 2시간 배양을 실시하고 410 및 520 ㎚에서 각 경우의 착색 작용을 측정한다.
비교를 위해 테스트된 억제 검증 매스(inhibition proof mass)는 α-1 안티트립신이다.
2) 항-콜라게나제의 실험관 내 테스트(Van wart 및 그의 동료, "A continuous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Clostridium histolyticum collagenase", Anal. Biochem., 113, 356-365, 1981)
약한 염증 동안 PNN에 의해 또는 "old" 또는 자외선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의해 콜라게나제를 분리한다.
clostridium hystoliticum 콜라게나제 및 합성 크로모겐 물질인 FALGPA로 테스트를 실행한다
주변 온도에서 30분간 배양을 하고 324 ㎚에서 광학밀도를 측정한다.
활성자가 없는 대조 물질에 대한 효소의 억제 백분율로 결과를 제공한다.
비교군으로 실험되는 억제 대조 물질은 시스테인이다.
일련의 테스트 Ⅱ), Ⅲ), 및 Ⅳ)의 결과는 이하의 표에 기재된다:
식물종 추출물의 종류 UV-A(%1) 카탈라제의 활성 증가% /방사된 대조 물질 UV-B(%1) 엘라스타제 (%1) 콜라게나제(%1)
MDA PGE2 LDH Rc SS
Clidemia hirta 수상 추출물 23 67 92 67 93
Inga bourgoni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7170 7858 9285100 7291100 343851 100100
Sabicea cinerea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748678 81 954087 10075100 686047 8310027
Astrocaryum vulgare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918275 786879 977983 29100 95675 1510091
Siparunaguianensis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7972 55 6050 8675 78 2962 369921
Eperua fal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796659 1009988 10010093 49 368572
Byrsonima verbascifoli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636642 232624 706450 928973 100101100 688668 100100100
Priva lappulace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26 21 27 70 99
Goupia glabr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
Coutoubea spi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47
MDA: 말론알 디알데하이드, PEG2: 프로스타글란딘 E2, LDH: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1: 대조 물질에 대한 억제율
Ⅴ) 멜라닌 생성의 억제
1) "실험관 내"에서 티로시나제의 억제
티로시나제는 인간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의 합성에 중요한 효소이다.
이 효소는 티로신이 멜라닌으로 전환하는 첫 번째 2단계, 즉 멜라닌이 DOPA(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으로 산화하고 이어서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산화하는 단계를 촉매한다.
도파크롬은 475 ㎚ 분광분석기에서 정량되는 착색된 화합물이다.
실험관 내에 사용된 이 효소(곰팡이로부터 얻음)의 활성은 반응의 키네틱에 의해 20초에서 측정된다.
검증 매스(proof mass) 물질은 하이드로퀴논이다(C150 = 0.025% wt/vol).
결과는 대조 물질에 대한 억제 백분율로 표현된다.
2) 실험실 내 배양에서 B16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의 억제
실험하고자 하는 식물 추출물의 존재 하에 실험실에서 배양된 멜라닌 세포(B16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 멜라닌의 분광분석기로 분석된 함량에 의해 멜라닌 생성의 억제를 검사한다.
B16 멜라닌 세포를 특정한 성장 배지에서 배양하고 37 ℃, CO2= 5%에서 3일간 배양한다. 멜라닌 생성을 활성화하는 배지에 식물 추출물을 용해하고 37℃에서 3일간 B16과 접촉시킨다.
표면에 부유하는 배지에서 분리된 멜라닌의 염석(salted-out) 속도는 475 ㎚의 분광분석기에 의해 정량화된다.
세포내의 멜라닌의 비율은 NaOH 1N + 10% (v/v) DMSO의 혼합물에서 용해된 균질한 B16 세포에서 475 ㎚의 분광분석기에 의해 정량화된다.
균질화된 B16 세포에서 단백질 비율은 소위 Bradford 방법에 의해 정량화된다.
비교 물질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이다.
Ⅵ. 비효소적 당화를 억제하는 활성의 실험관 내 증거 ("항-당화 작용)
(DEYL 및 그의 동료: "Increased 당화 and pigmentation of collagen in aged and young parabiotic rats and mice",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55, 39-47, 1990/ MONNIER 및 그의 동료: "Accelerated age-related browning of human collagen in diabetes mellitus", Proc. Natl. Acad. Sci., USA 81 583-587, 1984)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는 인간 조직의 노화에 중요한 과정이다.
이 반응은 Maillard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당뇨병에서 관찰되는 질병의 주된 원인이 되는 세포외 매트릭스 및 기저막의 망상조직을 설명한다.
또한, Schiff 염기는 산소의 반응형의 생산을 촉매하여 비효소적 당화 작용을 악화시킨다.
1%(p/v) 글루코스의 존재하에 45 ℃에서 21시간 동안 배양된 I-형 콜라겐에서 실험관 내 테스트를 실행한다.
표면에 부유한 물질(fs) 및 원심분리 석출물(fgc)에서 430 ㎚(350 ㎚에서 여기)에서 Schiff 염기의 비율을 플루오리메트리(fluorimetry)에 의해 평가한다. 결과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대조 물질에 비해 억제 백분율로 제공된다.
Ⅶ) 인간의 지방세포에 대한 지질분해 활성에 대한 "실험실내" 생존
지질분해는 효소인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또는 TGL)에 의해 지질 세포에 저장된 트리글리세라이드(TG)를 제거하는 것으로, TG가 유리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리되어서 혈류에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지방산은 이후 근육 세포에 흡수되어서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실험실 내 테스트는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된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물질로 실험실 내에서 배양된 지질 세포에서 분리되어 나간 글리세린의 비율을 분광분석기 측정에 의해 측정한다.
지질세포는 피하 인간 조직의 효소적 소화, 즉 Rodbell 방법(Rodbell M., "Metabolism of isolated fat cell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39. no. 2, pages 375-380, 1964)에 의해 분리된다.
37℃에서 90분 동안 지질세포와 접촉되는 특정 배지에 식물 추출물을 용해한다.
염석(salted-out) 글리세린의 비율은 Carpene C. 및 그의 동료의 방법(J. Pharmacol., vol. 12, no.2, pages 219-224, 1981)에 따라 표면에 부유하는 배지에서 분광분석기에 의해 정량화한다.
분리된 글리세린의 비율은 탁도측정법(turbidimetry)에 의해 측정된 모든 지질의 비율과 비교한 값으로 주어진다. 결과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 물질에 대한 증가 백분율로 주어진다.
비교 물질은 테오필린 및 이소프렌알린이다.
테스트 Ⅴ), Ⅵ), 및 Ⅶ)의 결과는 이하의 표에 요약되어 있다:
식물종 추출물의 종류 티로시나제 항-당화 B16 멜라닌 지질분해
C150 CA50 fs fgc 함량 지수 Mel. extra 증가율%
Clidemia hirta 수상 추출물 0.31 37 50
Inga bourgoni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0.0600.0700.010 100 76 0.050.030.02 3.93.51.4 688010
Sabicea cinerea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0.0900.060 21 50 0.010.03 1.61.8 4910
Astrocaryum vulgare 수상 추출물50% 에탄올 E에탄올 추출물 0.630.23
Siparunaguianensis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Eperua fal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0.380.080 97 46 0.01 1.5 93 30
Byrsonima verbascifoli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0.0900.0500.010 0.020.03 0.022.52.5 1.79152 72
Priva lappulace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0.350.130.060
Goupia glabr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 0.037
Coutoubea spicata 수상 추출물80% 메탄올 E에탄올 추출물 0.640.390.27
상기 표에서,
- CI50: 50% 저해율을 제공하는 활성 성분의 중량/부피의 농도
- CA50: 50% 활성을 제공하는 활성 성분의 중량/부피의 농도
- 함량: 테스트된 활성 성분의 중량/부피의 농도
- 지수(B16 멜라닌): 단백질 비율/세포 내 멜라닌의 비율
- Mel. extra: 세포외 멜라닌(표면에서 부유하는 물질에서 염분리됨) 비율의 억제 백분율
상기 테스트 표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였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항-엘라스타제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항-콜라게나제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탈색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Astrocaryum vulgare, 및 Coutoubea spic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주요한 항-UVB 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주요한 항-UVA 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UVB로부터 카탈라제를 보호하는 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Sabicea cinerea, Siparuna guianensis, 및 Byrsonima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강한 항-당화 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및 Eperua falc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주요한 착색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Goupia glabra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라디칼형 작용 및 상당한 슬리밍(지질분해성) 작용을 제공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진 활성 성분은 Eperua falcata 식물의 추출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의 부속물의 국부 외용의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라디칼형 작용을 제공하는 활성 성분으로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Clidemia, Inga, Sabicea,Astrocaryum, Siparuna, Eperua, Byrsonima, Priva, Coutoubea, 및 Goupia로 이루어진 식물속에 속하는 단독,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첨가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식물속의 식물종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Goupia glab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이 제공해야할 항-라디칼 형 작용에 관한 기타 부가적인 특성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것들 둥에서 선택되는 식물의 군은 상기의 테스트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에 기재된 각기 작용에 따르는 다양한 해당치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항-UVA, 항-UVB, 및 항-콜라게나제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작용, 및 항-엘라스탄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작용, 및 항-당화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및 Eperua falc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작용, 항-엘라스탄 작용, 및 탈색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착색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Goupia glabra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은 슬리밍 작용을 하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Eperua falcata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화장품 조성물은 활성 성분-단독 또는 다른 활성 성분과 혼합하여-으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되고 얻어진 식물 또는 식물들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0.1 중량% 내지 3 중량%를포함한다.
활성 성분을 이루는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화장품에서 가능한 모든 생약의 형태, 구체적으로 수중유적형 에멀젼, 유중수적형 에멀젼, 안면 로션, 밀크 화장품, 젤, 하이드로겔, 크림, 포마드, 비누, 펠렛, 분사물질, 모발 로션,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약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화장 벡터, 구체적으로 리포좀, 마크로캡슐,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마크로입자,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벡터에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품 또는 화장품 제제를 이하에서 비제한적인 본 발명의 실질적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기재할 것이다.
실시예 1
피부 미백 크림의 형태의 화장품을 이하의 중량 조성을 예로서 할 수 있다:
A 분획: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및 Cetreareth-20 15.0%
파라핀 오일 3.0%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3.0%
디메티콘 3.0%
세틸 알콜 0.5%
PEG 30 글리세롤 이소스테아레이트 2.0%
B 분획:
물 72.2%
메틸 파라벤 0.2%
이미다졸리니딜 우레아 0.3%
Inga bourgoni의 에탄올 추출물 0.5%
C 분획
향료 0.3%
화장 크림의 제조방법은 75℃에서 교반하여 A 분획 성분을 녹이고, 75℃에서 B 분획을 조제하여, 터빈 교반기로 B 분획을 A 분획에 넣고 유성방식(planetary) 교반으로 냉각시킨 후, C 분획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피부에 착색된 얼룩을 치료하기 위한 핸즈용 반점 방지(anti-blotch) 에멀젼 형태의 화장품을 이하의 중량 조성을 예로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은 이외에도 다양한 작용, 구체적으로 항-라디칼, 항-엘라스타제, 및 항-콜라게나제의 작용을 할 수도 있다.
A 분획: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 6.0%
올레인 알콜 1.5%
글레세린 스테아레이트 2.0%
Steareth 2 2.0%
Karite 버터 3.0%
디메티콘 4.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프로필 파라벤 0.1%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1%
B 분획:
물 60.8%
Elastab 388 (Laboratoires Serobiologiques) 2.5%
Byrosonima verbascifolia 추출물(80% 메탄올) 1.5%
Astrocaryum vulgare 에탄올 추출물 1.5%
프로필렌 글리콜 5.0%
C 분획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및 Laureth 7 2.0%
이 에멀젼의 제조방법은 75℃에서 A 분획과 B 분획을 별도로 제조하고, 75℃에서 터빈 교반기로 B 분획을 A 분획에 넣고, 50℃로 냉각시킨 후, C 분획에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최종 혼합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3
주름 방지 데이 크림 및 다기능성 노화방지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이하의 중량 조성을 예로서 할 수 있다:
A 분획: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14.0%
옥틸 도데칸올 16.0%
디부틸 아디페이트 6.0%
Ceteareth 12 1.5%
Ceteareth 20 1.5%
B 분획:
프로필렌 글리콜 5.0%
Inga bourgoni의 수계 추출물 3.25%
Sabicea cinerea (50% 에탄올)의 추출물 1.0%
Eperua falcata의 에탄올 추출물 0.75%
Elastab 4112(Laboratoires Serobiologiques) 0.4%
물 50.6%
C 분획:
향료 0.3%
화장 크림의 제조방법은 80℃에서 교반하면서 A 분획과 B 분획을 조제하고, 터빈 교반기에 의해 A 분획을 B 분획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5℃로 냉각하고 C 분획을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최종 혼합물을 주변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론 기재된 실시예 및 도시된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성분의 조성물 또는 산업적 등가물을 교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서 이탈함 없이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7)

  1.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 부속기관의 국소 외용의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제품의 제조에서의 활성 성분, 구체적으로 항-라디칼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으로 Clidemia, Inga, Sabicea, Astrocaryum, Siparuna, Eperua, Byrsonima, Priva, Coutoubea, 및 Goupia로 이루어진 식물속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Goupia glab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의 부분이 뿌리, 피질, 이파리, 잎이 달린 대, 과실, 곡물, 및/또는 꽃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을 실시하는 데 사용되는 용매가 물, 알콜,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다가 알콜, 염소-함유 용매, 및 상기 용매 중 적어도 2가지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추출물들이 마이크로파 또는 초음파와 같은 파의 조사에 따른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용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용매가 초임계 CO2단독 또는 제2의 용매와 혼합한 것인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가된 항-엘라스타제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용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가된 탈색(de-pigmenting)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Clidemia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Astrocaryum vulga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가된 항-콜라게나제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한 항-UVB 효과를 추가로 가지는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한 항-UVA 효과를 추가로 가지는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인 용도.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VA로부터 카탈라제를 보호하는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Sabicea cinerea, Siparuna guianensis,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인 용도.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한 항-당화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및 Eperua falc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인 용도.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가된 슬리밍(slimming)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Eperua falcata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한 착색(pigmenting) 작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활성 성분이 Goupia glabra 식물로부터 얻은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및 Priva lappulac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도.
  17. Clidemia, Inga, Sabicea, Astrocaryum, Siparuna, Eperua, Byrsonima, Priva, Coutoubea, 및 Goupia 속으로 이루어진 식물속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추출물을 활성 성분, 구체적으로 항-라디칼형 작용을 제공하는 활성 성분으로, 단독,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첨가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피부, 점막, 및/또는 상피 또는 신체의 부속기관의 국소 외용의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Goupia glab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항-UVA, 항-UVB, 및 항-콜라게나제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및 항-엘라스타제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및 항-당화(anti-glycation)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및 Eperua falc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UVA, 항-UVB, 항-콜라게나제, 항-엘라스타제, 및 탈색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Eperua falcata, 및 Byrsonima verbascifo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3.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착색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Goupia glabra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4.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슬리밍 작용을 가진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성분은 Eperua falcata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단독 또는 다른 활성 성분과 혼합한 활성 성분이 Clidemia hirta, Inga bourgoni, Sabicea cinerea, Astrocaryum vulgare, Siparuna guianensis, Eperua falcata, Byrsonima verbascifolia, Priva lappulacea, Coutoubea spicata 및 Goupia glab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0.1 중량% 내지 3 중량%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이루는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이 화장품에서 가능한 생약의 형태, 구체적으로 수중유적형 에멀젼, 유중수적형 에멀젼, 안면 로션, 밀크 화장품, 젤, 하이드로겔, 크림, 포마드, 비누, 펠렛, 분사물질, 모발 로션,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약 형태로 사용되는 활성성분을 형성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물이 하나 이상의 화장품 벡터, 구체적으로 리포좀, 마크로캡슐,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마크로입자,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 벡터에 첨가되는 화장품 또는 피부-제약학적 조성물.
KR1020017006817A 1998-12-03 1999-11-30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0626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5380A FR2786694B1 (fr) 1998-12-03 1998-12-03 Utilisation d'extraits de plantes notamment a action anti-radicalaire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mportant de tels extraits
FR98/15380 199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57A true KR20020011957A (ko) 2002-02-09
KR100626761B1 KR100626761B1 (ko) 2006-09-22

Family

ID=953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817A KR100626761B1 (ko) 1998-12-03 1999-11-30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511684B1 (ko)
EP (1) EP1135103B1 (ko)
JP (1) JP4833410B2 (ko)
KR (1) KR100626761B1 (ko)
AT (1) ATE251889T1 (ko)
AU (1) AU1968500A (ko)
DE (1) DE59907396D1 (ko)
ES (1) ES2209539T3 (ko)
FR (1) FR2786694B1 (ko)
ID (1) ID30019A (ko)
WO (1) WO2000032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6694B1 (fr) * 1998-12-03 2002-09-27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xtraits de plantes notamment a action anti-radicalaire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mportant de tels extraits
KR100361040B1 (ko) * 2000-10-05 2002-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황백, 산수유, 대황, 행인, 당귀, 정향 및 띠 추출물을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825921B1 (fr) * 2001-06-15 2005-02-11 Oreal Inhibiteur de no-synthase et utilisations
FR2834206B1 (fr) * 2002-01-03 2004-03-19 Pharmascience Lab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huile extraite de graines de murumuru, son utilisation cosmetique,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une huile extraite de graines de murumuru
FR2844202A1 (fr) * 2002-09-06 2004-03-12 Conseil General De Guyane Extraits de fruits d'astrocaryum vulgare et preparations obtenues a caractere anti-inflammatoire
US7585518B2 (en) 2002-11-19 2009-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duct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r increasing ceramide levels in skin
US7037535B2 (en) 2002-11-19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neutralizing house dust mite feces
EP1452167A1 (de) * 2003-02-28 2004-09-01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pharmazeu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en Extrakt aus Eperua falcata
US20050019379A1 (en) 2003-07-22 200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health
KR100896697B1 (ko) 2004-04-09 2009-05-14 (주)아모레퍼시픽 고압유화기술에 의한 대황추출물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및이를 응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689215B2 (ja) * 2004-09-01 2011-05-25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細胞賦活剤、美白剤、及びコラゲナーゼ阻害剤
FR2877577A1 (fr) * 2004-11-09 2006-05-12 Jean Pierre Maloisel Extraits de fruits d'astrocaryum aculeatum a visee anti hypertrophie benigne de la prostate, anti inflammatoire et anti oxydante
FR2885296B1 (fr) * 2005-05-03 2009-07-31 Bonnafous Catherine Jacqueline Proprietes antioxydantes, antiradiculaires et anti-raideurs rhumastismales des huiles et du tourteau d'astrocaryum vulgaire
US20090324705A1 (en) * 2008-02-13 2009-12-31 Nina Vikhrieva Phytonutr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FR2957258A1 (fr) * 2010-03-12 2011-09-16 Laurence Audrey Angel Chow-Toun Composition cosmetique.
BR102018072738B1 (pt) * 2018-11-05 2023-10-03 Natura Cosméticos S.A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produção de óleo e/ou manteiga de astrocaryum vulgare, uso da composição cosmética e método para produção e/ou proteção contra degradação de ácido hialurônico na pele
CN110230193B (zh) * 2019-05-17 2020-09-04 邵阳美莎发制品有限公司 一种假发防紫外线高柔顺性的处理方法
BR102019013936A2 (pt) * 2019-07-04 2021-01-12 Natura Cosméticos S.A Ingredientes bioativos, usos dos ingredientes bioativos e composição cosmética
CN112842969A (zh) * 2021-03-17 2021-05-28 上海瑞帝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炎症修复、抗氧化组合物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7838A1 (fr) * 1979-10-16 1981-04-30 Oreal Nouveaux composes non-ioniques polyoxyethylenes a deux chaines lipophi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US5756109A (en) * 1996-09-27 1998-05-26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geranyl geraniol and retinol or retinyl esters
JPH10139680A (ja) * 1996-11-08 1998-05-26 Lion Corp 抗男性ホルモン剤
FR2786694B1 (fr) * 1998-12-03 2002-09-27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xtraits de plantes notamment a action anti-radicalaire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mportant de tels extra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86694A1 (fr) 2000-06-09
ATE251889T1 (de) 2003-11-15
ES2209539T3 (es) 2004-06-16
US6861078B2 (en) 2005-03-01
JP2003522730A (ja) 2003-07-29
FR2786694B1 (fr) 2002-09-27
EP1135103A1 (de) 2001-09-26
US20030138507A1 (en) 2003-07-24
US6511684B1 (en) 2003-01-28
JP4833410B2 (ja) 2011-12-07
ID30019A (id) 2001-11-01
EP1135103B1 (de) 2003-10-15
WO2000032162A1 (de) 2000-06-08
KR100626761B1 (ko) 2006-09-22
AU1968500A (en) 2000-06-19
DE59907396D1 (de)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761B1 (ko) 항-라디칼형 작용을 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6406720B1 (en) Cosmetic containing plant extracts
US6274123B1 (en) Use of an extract of the genus Adansonia
CN105267268B (zh) 人参叶提取物制造方法及包含其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61036B1 (ko) 설련 추출물 및 권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3370A (ko) 백화고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01884434B1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3504388A (ja) 化粧品または皮膚薬学的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つのLannea属植物抽出物の使用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300424B (zh) 含红花山茶提取物的多重抗皱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20130062045A (ko) 파초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83526B1 (ko) 백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812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8381A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24084504A2 (en) Quercetagetin enriched marigold extracts, composition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17017845A (zh) 绣球菌浓缩液的应用,抗衰老美白组合物及化妆品
KR20220063959A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14